KR20040057454A -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454A
KR20040057454A KR1020020084202A KR20020084202A KR20040057454A KR 20040057454 A KR20040057454 A KR 20040057454A KR 1020020084202 A KR1020020084202 A KR 1020020084202A KR 20020084202 A KR20020084202 A KR 20020084202A KR 20040057454 A KR20040057454 A KR 2004005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vehicle body
axle
susp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2008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7454A/ko
Publication of KR2004005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 B60G5/03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the arm itself being resilient, e.g. a leaf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6Bracket or knuckle for rigid axles, e.g. for clamping
    • B60G2204/43065U-shaped bolts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4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미치는 필요강도내에서 리프스프링 및 스키드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지지암(60)을 설치함으로써, 지상고를 증대시키고 기동성을 향상시키며, 향후 운용환경에 적절한 트레일러 개발에 적용 가능토록 적용성을 향상시켜 트레일러 설계의 다양성을 제시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structure of suspension for trail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미치는 필요강도내에서 리프스프링 및 스키드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지지암을 설치함으로써, 지상고를 증대시키고 기동성을 향상시키며, 향후 운용환경에 적절한 트레일러 개발에 적용 가능토록 적용성을 향상시켜 트레일러 설계의 다양성을 제시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는 다량의 화물을 단기간에 운반하는 경우 즉, 한 대의 동력원 차량운행으로 두 대 분량을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 동력을 가진 차량의 후미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이동능력이 떨어지는 중장비를 운송할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동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서 다량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정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차축(엑슬)에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중이 큰 물체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특수차량인 트레일러에 설치된 현수장치는 차축을 프레임 또는 차체에 연결시켜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더불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퀴의 상,하진동을 완충하여 가능한 한 차체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사람 및 화물 등을 보호하고, 또 바퀴의 불규칙한 도로접촉으로 야기되어지는 진동을 억제하여 주행을 안정되게 하면서도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슬(4)은 U볼트(6)와 함께 리프스프링(leaf spring ; 8)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엑슬(4)은 U볼트(6)에 의해 엑슬지지대(10)의 상부에 고정되고, 계속해서 상기 엑슬지지대(10)의 하부에는 띠모양으로 성형한 다수개의 판(leaf)을 포개어 구성된 리프스프링(8)이 고정되되, 상기 리프스프링(8)은 그 전방과 후방이 차체(1)에 형성된 스프링행거(20)에 핀 끼움형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스프링(8)은 그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시트(12)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시트(12)의 상부 즉, 리프스프링(8)과 스프링시트(12)사이에 스키드플레이트(14)가 구비되며, 주행중 리프스프링(8)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키기 위한 쇽 업소버(shock absorber ; 16)가 구비되어 엑슬지지대(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트레일러가 도로를 따라 주행할 때, 바퀴에서 엑슬(4)로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리프스프링(8)에 의해 흡수되어 완충됨과 아울러 쇽 업소버(16)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어 차체(1)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의하면, U볼트(6)와 같이 엑슬(4)을 잡아주는 리프스프링(8)이 직선형이고, 또한 스키드플레이트(14)가 너무 두꺼워 지상고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미치는 필요강도내에서 리프스프링 및 스키드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지지암을 설치함으로써, 지상고를 증대시키고 기동성을 향상시키며, 향후 운용환경에 적절한 트레일러 개발에 적용 가능토록 적용성을 향상시켜 트레일러 설계의 다양성을 제시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차체 52 : 엑슬
54 : 엑슬지지대 56 : U볼트
58 : 쇽 업소버 60 : 지지암
62 : 암행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엑슬을 프레임 또는 차체에 연결시켜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더불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퀴의 상,하 진동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슬이 U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엑슬지지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그 양끝단이 차체의 일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지지암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의하면, U볼트(56)에 의해 엑슬(52)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엑슬지지대(54)의 하부에 지지암(6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엑슬지지대(54)의 일측에는 쇽 업소버(58)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암(60)은 종래 리프스프링과 스키드플레이트를 통합하여 일체화한 개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엑슬지지대(54)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차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60)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암행거(62)에 의해 차체(50)의 일측부에 고정 결합되는데,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미치는 충격강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암(60)은 하부로 완만한 유선을 형성하며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절곡각 및 길이는 트레일러 최초 설계시 설정된 지지암의 전방 고정위치에 따라 설계자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트레일러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조정 가능한 요소에 지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의하면, 엑슬지지대(54)의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암(60)이 종래 리프스프링 및 스키드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제작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지상고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암(60)은 도로 운행중 도로 굴곡에 따른 현수장치의 상,하 및 비틀림 작동에 영향없이 U볼트(56)와 함께 트레일러 차체구조물에 엑슬(52)을 고정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동작토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에 의하면,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미치는 필요강도내에서 리프스프링 및 스키드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지지암을 설치함으로써, 지상고를 증대시키고 기동성을 향상시키며, 향후 운용환경에 적절한 트레일러 개발에 적용 가능토록 적용성을 향상시켜 트레일러 설계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엑슬(52)을 프레임 또는 차체(50)에 연결시켜 차체(50)의 중량을 지지함과 더불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퀴의 상,하진동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슬(52)이 U볼트(56)에 의해 고정되는 엑슬지지대(54)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그 양끝단이 차체(50)의 일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지지암(60)이 차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KR1020020084202A 2002-12-26 2002-12-26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KR20040057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02A KR20040057454A (ko) 2002-12-26 2002-12-26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02A KR20040057454A (ko) 2002-12-26 2002-12-26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54A true KR20040057454A (ko) 2004-07-02

Family

ID=3735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202A KR20040057454A (ko) 2002-12-26 2002-12-26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4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86U (ko) 2015-10-05 2017-04-13 김회중 성 기능 보조 기구
KR102323559B1 (ko) * 2020-08-10 2021-11-09 (주)카츠코리아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보트 트레일러용 서스펜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86U (ko) 2015-10-05 2017-04-13 김회중 성 기능 보조 기구
KR102323559B1 (ko) * 2020-08-10 2021-11-09 (주)카츠코리아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보트 트레일러용 서스펜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470A (en) Transverse stabilizer for wheel axle suspension system
AU2016303253B2 (en)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a rear axle of a vehicle
US7900941B2 (en) Anti-roll bar for motor vehicles
US3799571A (en) Overload spring
US11298999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US6382659B1 (en) Load distributing tandem suspension assembly
WO2017013261A1 (en)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a rear axle of a vehicle
KR20040057454A (ko)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JPS641897Y2 (ko)
KR100649270B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2001287525A (ja) トーションバー・エア・ライド・サスペンション
JP200631543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40143A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KR200389308Y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0302714B1 (ko) 차량의차축식현가장치
KR200253062Y1 (ko) 차량용리어서스펜션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471753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KR20010063988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10042255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상부체결구조
KR19980032757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20100040575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