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420A -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420A
KR20040057420A KR1020020084160A KR20020084160A KR20040057420A KR 20040057420 A KR20040057420 A KR 20040057420A KR 1020020084160 A KR1020020084160 A KR 1020020084160A KR 20020084160 A KR20020084160 A KR 20020084160A KR 20040057420 A KR20040057420 A KR 2004005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emission
emission source
mixture
base layer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9293B1 (ko
Inventor
유미애
김훈영
남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293B1/ko
Priority to JP2003180210A priority patent/JP2004214164A/ja
Priority to US10/684,520 priority patent/US7365482B2/en
Priority to CNB2003101165361A priority patent/CN100487847C/zh
Publication of KR2004005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01J1/3048Distributed particle emit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7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arge area or array sources, i.e. essentially a source for each pixel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전자 방출원 표면으로 보다 많은 카본 나노튜브들이 돌출되도록 하여 전자 방출량을 높이고, 구동 전압을 저감시키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2 기판과; 제1,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방출원과;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전자 방출 수단과; 제1, 2 기판 중 다른 한 기판에 구비되어 전자 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에 의해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며, 전자 방출원이 카본 나노튜브층과; 카본 나노튜브층을 일 기판에 접합시킴과 아울러, 카본 나노튜브층에 전자 방출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도성을 지니는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카본 나노튜브층이 베이스층과 실질적으로 비혼합되면서 베이스층 위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WITH ELECTRON EMISSION SOURCE FORMED AS MULTILAYERED STRUCTURE}
본 발명은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을 갖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의 일종인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초기에 몰리브덴이나 실리콘 등의 물질을 적층하여 선단을 뾰족하게 구성한 소위 스핀트(spindt) 타입의 전자 방출원을 사용하였으나, 이 스핀트 타입의 전자 방출원은 초미세 구조로 제조 방법이 복잡하고, 높은 정밀도의 제조 기술이 요구되므로 대화면 표시장치 제작에 적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탄소계 물질을 이용하여 평평한 전자 방출원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대화면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전자 방출원에 적합한 탄소계 물질로는 흑연, 다이아몬드상 카본(DLC; diamond liked carbon) 및 카본 나노튜브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카본 나노튜브는 끝단의 곡률 반경이 20Å 정도로 극히 미세하여 1∼3V/㎛ 정도의 낮은 전계에서도 전자 방출을 원활하게 일으켜 이상적인 전자 방출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기 카본 나노튜브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의 형성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이 대표적이다. 스크린 인쇄법은 카본 나노튜브 분말과 프리트 및 비히클을 혼합한 페이스트 형태의 혼합체를 캐소드 전극 위에 스크린 인쇄한 다음 열처리하여 유기 성분을 증발시키고, 프리트를 용융시켜 카본 나노튜브를 캐소드 전극 위에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 인쇄법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대화면 표시장치 제작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스크린 인쇄법으로 완성된 전자 방출원은 대부분의 카본 나노튜브들이 페이스트의 고형분에 묻혀 전자 방출원의 표면으로 돌출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15는 스크린 인쇄법으로 완성된 전자 방출원의 개략도로서, 종래의 전자 방출원(1)은 일부의 카본 나노튜브들(3a)이 전자 방출원(1)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카본 나노튜브들(3b)은 고형분에 묻혀 있으며, 고형분에 묻힌 카본 나노튜브들(3b)은 전자 방출에 기여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도 15에서 인용 부호 5는 캐소드 전극을, 7은 절연층을, 9는 게이트 전극을 나타낸다.
도 16은 스크린 인쇄법으로 완성된 전자 방출원의 내부 단면을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서, 사진에서 둥근 구형의 물질이 고형분을 나타내며, 가느다란 카본 나노튜브들이 고형분 속에 묻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본 나노튜브를 이용한 종래의 전자 방출원은 전자 방출을 위해 그 주위에 조성되는 전계 세기에 비해 전자 방출량이 원하는 값이 비해 떨어지고, 목표하는 전자 방출량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해야 하므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구동 전압이 높아지는 원인이 되며, 전자 방출원에 인가되는 과도한 전압으로 인해 전자 방출원의 수명이 저하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방출원 표면으로 보다 많은 카본 나노튜브들이 돌출되도록 하여 전자 방출량을 높이고, 구동 전압을 낮추며, 전자 방출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원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방출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세부 단계의 개략도.
도 12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방출원의 평면과 측면을 촬영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방출원과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방출원의 전류-전압 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용 전자 방출원의 개략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용 전자 방출원의 내부 단면을촬영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진공 용기를 형성하는 제1, 2 기판과, 제1,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방출원과,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전자 방출 수단과, 제1, 2 기판 중 다른 한 기판에 구비되어 전자 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에 의해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방출원이 카본 나노튜브층과, 카본 나노튜브층을 상기 일 기판에 접합시킴과 아울러, 카본 나노튜브층에 전자 방출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도성을 지니는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이 베이스층과 실질적으로 비혼합되면서 베이스층 위에 적층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층은 PbO, SiO2및 Ba2O3을 포함하는 글래스 프리트로 이루어지는 접착성 물질, 및 은, 구리,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전도성을 갖는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접착성 물질에는 은, 니켈, 알루미늄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층은 요철화된 표면을 구비하며, 이를 위하여 베이스층은 0.05∼5㎛ 입경의 구형 입자들을 포함하거나, 0.01∼10㎛ 간격과 0.01∼5㎛ 깊이의 요철 표면을 갖는 요철 박막을 형성한다.
상기 구형 입자들은 은, 구리,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철 박막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또는 크롬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카본 나노튜브 밀도는 베이스층의 카본 나노튜브 밀도의 100∼1,000,000배 범위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층의 두께는 0.05∼5㎛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방출 표시장치(2)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진공 용기를 형성하도록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전면 기판(4)과 후면 기판(6)을 포함하며, 후면 기판(6)에는 전자 방출원(8) 및 전자 방출원(8)에 전계를 형성하여 전자를 방출시키는 구성이, 그리고 전면 기판(4)에는 전자에 의해 가시광을 방출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기판(6)에는 캐소드 전극들(10)이 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캐소드 전극들(10)을 덮으면서 후면 기판(6) 전면에 절연층(12)이 형성되며, 절연층(12) 위에 게이트 전극들(14)이 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캐소드 전극(10)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그리고 캐소드 전극(10)과 게이트 전극(14)의 교차 영역, 즉 각각의 화소 영역에 게이트 전극(14)과 절연층(1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16)이 형성되고, 홀(16)에 의해 노출된 캐소드 전극(10) 표면으로 카본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원(8)이 형성된다. 이로서 각각의 전자 방출원(8)은 절연층(12)을 통해 게이트 전극(14)과 절연되며, 그 윗부분이 게이트 전극(14)에 둘러싸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 방출원(8)은 카본 나노튜브층(18)과, 카본 나노튜브층(18)을 캐소드 전극(10) 상에 접합시킴은 물론, 카본 나노튜브층(18)에 전자 방출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도성을 지니는 베이스층(20)으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18)은 베이스층(20)과 실질적으로 비혼합되면서 베이스층(20) 위에 적층되어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층(20)은 전술한 접착성과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착성 물질과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캐소드 전극(10) 상에 소정의 두께, 바람직하게 0.05∼5㎛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성 물질은 PbO, SiO2및 Ba2O3을 포함하는 글래스 프리트로서, 소성에 의해 용융되어 카본 나노튜브들(18a)을 캐소드 전극(10) 상에 접합시키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이면 무방하고, 바람직하게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착성 물질과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베이스층(20)은 소성 후 고형분으로 남게 되며, 카본 나노튜브층(18)을 구성하는 개개의 카본 나노튜브들(18a)은 실질적으로 그 일단이 베이스층(20)에 접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일단이 전자 방출원(8)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이 때, 상기 베이스층(20)은 전도성이 있는 접착성 물질 만을 포함하거나, 전도성 물질 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도성이 있는 접착성 물질로는 은, 니켈, 알루미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층(20)과 카본 나노튜브층(18)을 인위적으로 분리하고, 베이스층(20)을 구성하는 은과 같은 금속 입자들에 비해 카본 나노튜브의 무게가 극히 작기 때문에, 카본 나노튜브층(18)을 구성하는 개개의 카본 나노튜브들(18a)이 베이스층(20)으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방출원(8)은 카본 나노튜브층(18)의 카본 나노튜브 밀도가 베이스층(20)의 카본 나노튜브 밀도의 100∼1,000,000배 범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자 방출원(8)이 베이스층(20)과 카본 나노튜브층(18)으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 카본 나노튜브들(18a)은 베이스층(20)에 묻히는 대신 전자 방출원(8)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이로서 전자 방출원(8)은 보다 많은 개수의 카본 나노튜브들(18a)을 전자 방출원(8) 표면으로 돌출시키며, 이와 같이 돌출된 카본 나노튜브들(18a)의 끝단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전자를 방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면 기판(4)에는 전자 가속에 필요한 고전압(대략, 5∼10kV)이 인가되는 투명한 애노드 전극(22)과, 전자에 의해 여기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막(24)이 위치하며, 상기 전면 기판(4)과 후면 기판(6)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페이서(26)에 의해 일정한 셀 갭을 유지한다.
이로서 캐소드 전극(10)과 게이트 전극(14) 사이에 소정의 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전극(22)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캐소드 전극(10)과 게이트 전극(14)의 전압 차에 의해 전자 방출원(8)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전자 방출원(8)에서 전자가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는 애노드 전극(22)에 인가된 고전압에 이끌려 해당 형광막(24)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켜 소정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의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2)는 전술한 전자 방출원(8) 구성에 의해 보다 많은 개수의 카본 나노튜브들(18a)을 전자 방출원(8) 표면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돌출된 카본 나노튜브(18a)의 끝단으로 전계를 보다 용이하게 집중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보다 많은 개수의 카본 나노튜브들(18a)로부터 전자를 방출시켜 전자 방출량이 증가하고, 그 결과 화면의 휘도가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전자 방출원(8)은 베이스층(20)의 표면을 요철화하여 베이스층(20)의 표면적을 늘임으로써 베이스층(20) 위에 적층되는 카본 나노튜브(18a)의 밀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방출원(28)의 베이스층(30)은 0.05∼5㎛ 범위의 입경을 갖는 구형 입자들(30a)을 구비하며, 구형 입자들(30a)에의해 요철화된 표면을 갖는다. 상기 구형 입자(30a)는 바람직하게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층(30)은 전도성 입자들과 더불어 글래스 프리트와 같은 접착성 물질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방출원(34)의 베이스층(36)은 0.01∼10㎛ 간격과 0.01∼5㎛ 깊이의 요철 표면을 갖는 요철 박막(36a)을 구비한다. 상기 요철 박막(36a)은 ITO(indium tin oxide), 크롬(Cr) 등의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며,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요철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요철 박막(36a)이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베이스층(36)은 전도성 물질 없이 접착성 물질 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 방출원 주위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 다음에 설명하는 전극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로서, 전면 기판(4)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후면 기판(6)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 기판(6)에는 게이트 전극들(40)이 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들(40)을 덮으면서 후면 기판(6) 전면에 절연층(42)이 형성되며, 절연층(42) 위에 캐소드 전극들(44)이 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게이트 전극(40)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그리고 캐소드 전극(44)과 게이트 전극(40)의 교차 영역, 즉 각각의 화소 영역마다 캐소드 전극(44)의 일측 가장자리에 전자 방출원(46)이 형성된다.
이로서 게이트 전극(40)과 캐소드 전극(44) 사이에 소정의 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게이트 전극(40)과 캐소드 전극(44)의 전압 차에 의해 전자 방출원(46)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전자 방출원(46)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된다. 이 때, 전자 방출원(46)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7∼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방출원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10) 상에 접착성 물질, 전도성 물질, 및 비히클이 혼합된 제1 혼합체(48)를 스크린 인쇄한 다음 건조시킨다. 상기 접착성 물질은 PbO, SiO2및 Ba2O3을 포함하는 글래스 프리트이고, 전도성 물질은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분말상 금속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혼합체는 전도성을 갖는 접착성 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을 지닌 접착성 물질로는 은, 니켈, 알루미늄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히클은 인쇄가 용이하게 되도록 조성물의 점도, 농도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비히클의 대표적인 종류에는 점착성 부여제, 결합제 및 용제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물질이 점착성 부여제로 사용되고, 아크릴 수지와 에폭시 수지 등이 결합제로 사용되며, 에틸 셀룰로오즈, 테르페놀, 부틸카비톨 아세테이트 등이 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혼합체(50)가 전도성 물질로서 0.05∼5㎛ 입경의 전도성 입자들(50a), 특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1 혼합체(50)는 전도성 입자들(50a)에 의해 요철화된 표면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된 제1 혼합체(48) 위에 카본 나노튜브 분말과 비히클이 혼합된 제2 혼합체(52)를 스크린 인쇄한 다음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건조된 제1, 2 혼합체(48, 52)를 300∼500℃ 범위에서 5∼60분 동안 소성하여 제1, 2 혼합체(48, 52)의 유기 성분을 태워 제거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20)과 카본 나노튜브층(18)으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원(8)을 완성한다.
이 때, 전술한 소성 단계에서 제1 혼합체(48)의 접착성 물질이 용융됨과 아울러, 제1 혼합체(48)의 유기 성분과 제2 혼합체(52)의 유기 성분이 동시에 제거되면서 실질적으로 개개의 카본 나노튜브들(18a)은 그 일단이 베이스층(20)에 접착되고, 이와 동시에 카본 나노튜브들(18a)의 다른 일단이 전자 방출원(8)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혼합체(48)와 제2 혼합체(52)는 감광성 수지와 광 개시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혼합체(48)와 제2 혼합체(52)를 후면 기판(4) 전면에 스크린 인쇄한 다음, 전자 방출원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1, 2 혼합체(48, 52)를 부분 경화시킨 후 현상을 통해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전자 방출원(8)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방출원이 도 4에 도시한 요철 박막(36a)을 구비하는 경우, 전자방출원(34)의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10) 상에 ITO 또는 크롬 등의 도전 피막(54)을 코팅하고, 도전 피막(54) 위에 포토레지스트(56)를 1∼5㎛ 두께로 입힌 다음, 포토레지스트(56)를 0.01∼10㎛ 간격으로 패터닝하여 도전 피막(54)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에칭 용액(점선 화살표로 표시)을 이용하여 노출된 도전 피막(54)을 식각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1∼10㎛ 간격과 0.01∼5㎛ 깊이의 요철 표면을 갖는 요철 박막(36a)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요철 박막(36a) 위에 접착성 물질과 비히클이 혼합된 제1 혼합체(58)를 스크린 인쇄한 다음 건조하고, 건조된 제1 혼합체(58) 위에 카본 나노튜브 분말과 비히클이 혼합된 제2 혼합체(60)를 스크린 인쇄한 다음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300∼500℃ 범위에서 5∼60분 동안 소성하여 제1 혼합체(58)와 제2 혼합체(60)의 유기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전자 방출원(34)을 완성한다.
도 12는 베이스층에 은(Ag) 입자들을 함유한 전자 방출원의 평면을 촬영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전자 방출원을 측면에서 촬영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서, 사진에서 둥근 구형의 물질이 은 입자이며, 은 입자 표면으로 가느다란 카본 나노튜브들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방출원(실시예)과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방출원(비교예)의 전류-전압 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시예의 전자 방출원으로 도 12에 나타낸 전자 방출원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예의 전자 방출원으로 도 16에 나타낸 전자 방출원을 사용하였다. 상기 그래프의 가로축은 전자 방출원에 인가되는 전계 세기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전류 밀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방출원이 표면으로 보다 많은 개수의 카본 나노튜브들을 돌출시킴에 따라, 동일한 전계 세기에서 현저하게 향상된 전류 밀도를 나타내며, 7.5V 인가 조건에서 전류 밀도가 대략 4배 정도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방출원 표면으로 보다 많은 개수의 카본 나노튜브들을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전계 세기에서 전자 방출량을 높여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키며, 구동 전압을 낮추어도 원하는 전자 방출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방출원에 과도한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적정 수준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자 방출원의 사용 수명을 늘일 수 있다.

Claims (16)

  1.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진공 용기를 형성하는 제1, 2 기판과;
    상기 제1,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방출원과;
    상기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전자 방출 수단; 및
    상기 제1, 2 기판 중 다른 한 기판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에 의해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방출원이,
    카본 나노튜브층과;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을 상기 일 기판에 접합시킴과 아울러, 카본 나노튜브층에 전자 방출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도성을 지니는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이 상기 일 기판 위에 임의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이 상기 베이스층과 실질적으로 비혼합되면서 베이스층 위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 수단이,
    상기 전자 방출원이 마련되는 일 기판 상에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전자 방출원이 위치하는 캐소드 전극들과;
    상기 전자 방출원을 제외하고 상기 캐소드 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일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노출시키기 위한 홀들을 구비하면서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캐소드 전극들과 수직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 수단이,
    상기 전자 방출원이 마련되는 일 기판 상에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덮으면서 상기 일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과 수직한 라인 패턴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전자 방출원이 위치하는 캐소드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이,
    상기 다른 일 기판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 표면에 형성되는 형광막들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은, 니켈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도성을 갖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은,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PbO, SiO2및 Ba2O3를 포함하는 글래스 프리트로 이루어지는 접착성 물질; 및
    은,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요철화된 표면을 갖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0.05∼5㎛ 입경의 구형 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입자들이 은,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0.01∼10㎛ 간격과 0.01∼5㎛ 깊이의 요철 표면을 갖는 요철 박막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박막이 인듐 틴 옥사이드(ITO) 또는 크롬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카본 나노튜브 밀도가 상기 베이스층의 카본 나노튜브 밀도의 100∼1,000,000배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0.05∼5㎛의 두께로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5. 기판 상에 접착성 물질, 전도성 물질, 및 비히클이 혼합된 제1 혼합체를 스크린 인쇄한 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혼합체 위에 카본 나노튜브 분말 및 비히클이 혼합된 제2 혼합체를 스크린 인쇄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체와 제2 혼합체를 소성하여 제1 혼합체의 접착성 물질을 용융시킴과 아울러 제1 혼합체와 제2 혼합체의 유기 성분을 증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전자 방출원 형성 방법.
  16. 기판 상에 접착성 물질, 전도성 물질, 감광성 수지, 광 개시제, 및 비히클이 혼합된 제1 혼합체를 전면 인쇄한 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혼합체 위에 카본 나노튜브 분말, 감광성 수지, 광 개시제, 및 비히클이 혼합된 제2 혼합체를 전면 인쇄한 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혼합체와 제2 혼합체를 부분 노광하여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현상을 통해 경화되지 않은 제1 혼합체와 제2 혼합체를 제거하여 패터닝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남은 제1 혼합체와 제2 혼합체를 소성하여 제1 혼합체의 접착성 물질을 용융시킴과 아울러 제1 혼합체와 제2 혼합체의 유기 성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전자 방출원 형성 방법.
KR1020020084160A 2002-12-26 2002-12-26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KR10087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60A KR100879293B1 (ko) 2002-12-26 2002-12-26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JP2003180210A JP2004214164A (ja) 2002-12-26 2003-06-24 多層構造で形成された電子放出源を備えた電界放出表示装置
US10/684,520 US7365482B2 (en) 2002-12-26 2003-10-15 Field emission display including electron emission source formed in multi-layer structure
CNB2003101165361A CN100487847C (zh) 2002-12-26 2003-11-14 包括形成多层结构电子发射源的场发射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60A KR100879293B1 (ko) 2002-12-26 2002-12-26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20A true KR20040057420A (ko) 2004-07-02
KR100879293B1 KR100879293B1 (ko) 2009-01-19

Family

ID=3282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60A KR100879293B1 (ko) 2002-12-26 2002-12-26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65482B2 (ko)
JP (1) JP2004214164A (ko)
KR (1) KR100879293B1 (ko)
CN (1) CN10048784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739A (ko) * 2018-10-26 2021-06-25 각코호진 와세다다이가쿠 탄소 금속 구조체 및 탄소 금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1108B (en) * 2001-08-13 2002-11-21 Delta Optoelectronics Inc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technology
US6750461B2 (en) * 2001-10-03 2004-06-15 Si Diamond Technology, Inc. Large area electron source
US7470353B2 (en) 2004-08-30 2008-12-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ield emitter electrode using self-assembling carbon nanotubes and field emitter electrode manufactured thereby
KR20060019903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전자 방출원
US20060108907A1 (en) * 2004-11-23 2006-05-25 Yasushi Sano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its manufacture method
JP2006244745A (ja) * 2005-03-01 2006-09-14 Hitachi Ltd 表示パネル
KR20060117823A (ko) * 2005-05-14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CN100583349C (zh) * 2005-07-15 2010-01-20 清华大学 场发射阴极、其制造方法及平板型光源
JP2007087643A (ja) * 2005-09-20 2007-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放出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電子放出源
KR20070046598A (ko) * 2005-10-31 2007-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 및 광전소자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상기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CN100573808C (zh) 2006-03-22 2009-12-23 清华大学 场发射照明光源及其制造方法
CN100555530C (zh) * 2006-03-24 2009-10-28 清华大学 场发射双面显示光源及其制造方法
CN100573777C (zh) * 2006-03-31 2009-12-23 清华大学 场发射电子源及其制造方法
CN100561657C (zh) * 2006-03-31 2009-11-18 清华大学 场发射灯管及其制造方法
FR2899572B1 (fr) * 2006-04-05 2008-09-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tection de cavites debouchant sur une face d'un element microstructure
US7868531B2 (en) * 2006-05-05 2011-01-11 Brother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bon nanotube arrays for field electron emission
CN101093764B (zh) * 2006-06-23 2012-03-28 清华大学 场发射元件及其制备方法
CN101188179B (zh) * 2006-11-15 2010-05-26 清华大学 场发射电子源的制造方法
CN101192492B (zh) * 2006-11-22 2010-09-29 清华大学 透明导电膜的制备方法
KR101281168B1 (ko) 2007-01-05 201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방출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계 방출소자
JP4984131B2 (ja) * 2007-02-27 2012-07-25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ナノカーボンペースト及びナノカーボンエミッタの製造方法
KR20090077705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패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1368495B1 (ko) 2009-03-31 2014-02-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투명전극 및 전도성 적층체
WO2012061621A2 (en) * 2010-11-03 2012-05-10 4Wind Science And Engineering, Llc Electron flow generation
EP3435400A1 (en) * 2017-07-28 2019-01-30 Evince Technology Ltd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 fl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device
CN113517164B (zh) * 2021-03-08 2024-03-29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碳纳米管阴极的制作方法、碳纳米管阴极及电子设备
WO2022188003A1 (zh) * 2021-03-08 2022-09-1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碳纳米管阴极的制作方法、碳纳米管阴极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323A (en) * 1993-03-08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field emission displays
JPH10125215A (ja) * 1996-10-18 1998-05-15 Nec Corp 電界放射薄膜冷陰極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DE69834673T2 (de) * 1997-09-30 2006-10-26 Noritake Co., Ltd., Nagoy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nenemittierenden Quelle
KR100396367B1 (ko) * 1998-06-18 2003-09-02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광표시관용 알루미늄 페이스트 및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이용한 형광표시관 및 그 제조방법
JP2000123711A (ja) * 1998-10-12 2000-04-28 Toshiba Corp 電界放出型冷陰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9532B2 (ja) * 1999-01-11 2008-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ーボンインキ、電子放出素子、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0285795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電子放出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US6504292B1 (en) * 1999-07-15 2003-01-07 Agere Systems Inc. Field emitting device comprising metallized nano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62931A (en) * 1999-09-01 2000-05-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arbon nanotube emitter with triode structure
AUPQ304199A0 (en) * 1999-09-23 1999-10-2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Patterned carbon nanotubes
US6914372B1 (en) * 1999-10-12 2005-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emitting element and electron source, field emission image display device, and fluorescent lamp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477739B1 (ko) * 1999-12-30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US6333598B1 (en) * 2000-01-07 2001-1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ow gate current field emitter cell and array with vertical thin-film-edge emitter
JP4579372B2 (ja) 2000-05-01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放出素子、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素子
KR20020004143A (ko) * 2000-07-03 2002-01-16 김영남 산화물 캐소드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산화물 캐소드 구조
CN100524577C (zh) * 2000-07-19 2009-08-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发射元件及采用其的图象显示装置
KR20020018798A (ko) * 2000-09-04 2002-03-09 김순택 마이크로 팁 어레이의 제조방법 및 전계방출디스플레이소자의 제조 방법
JP2002100828A (ja) * 2000-09-22 2002-04-05 Hitachi Cable Ltd 光送受信器
KR100684823B1 (ko) * 2000-11-23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디스플레이의 필드 에미터용 카본나노튜브를성장시키는 방법
US20020070648A1 (en) * 2000-12-08 2002-06-13 Gunnar Forsberg Field emitting cathode and a light source using a field emitting cathode
JP2002197993A (ja) * 2000-12-26 2002-07-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カラー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US6541906B2 (en) * 2001-05-23 2003-04-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equipped with a dual-layer cathode and an anode on the same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on
US6750604B2 (en) * 2001-05-23 2004-06-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incorporating cathodes having narrow nanotube emitters formed on dielectric layers
JP3839713B2 (ja) * 2001-12-12 2006-11-01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平面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6919730B2 (en) * 2002-03-18 2005-07-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arbon nanotube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739A (ko) * 2018-10-26 2021-06-25 각코호진 와세다다이가쿠 탄소 금속 구조체 및 탄소 금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4164A (ja) 2004-07-29
CN1512536A (zh) 2004-07-14
US7365482B2 (en) 2008-04-29
KR100879293B1 (ko) 2009-01-19
CN100487847C (zh) 2009-05-13
US20040195950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293B1 (ko) 다층 구조로 형성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계 방출표시장치
JP2005243635A (ja) 電子放出素子用電子放出源の形成方法とこれを利用した電子放出素子
KR101082437B1 (ko)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JP2001266737A (ja) 電子源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源装置を備えた平面表示装置
KR101082440B1 (ko) 전자 방출 소자,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및 그 제조 방법
JP3674844B2 (ja) 同一基板上にカソードおよびアノードを備える電界放出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1590A (ja) 電子放出源の製造方法、電子放出源及び蛍光発光型表示器
TW201426807A (zh) 場發射陰極裝置及其驅動方法
KR100805318B1 (ko) 탄소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74453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전자 방출원 형성 방법
KR20060117823A (ko)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20065968A (ko)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자 이미터 스택의 제조방법과 그 구조
JP4649739B2 (ja) 冷陰極電界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
KR100296879B1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46598A (ko) 카본계 물질 및 광전소자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상기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4654A (ko) 전자 방출 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43391A (ko) 전자 방출 디바이스,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16632A (ko) 3극관형전계방출표시소자의제조방법
US20090134768A1 (en) Electron emission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040102435A (ko) 카본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원을 구비하는 전계방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0519762B1 (ko) 전계방출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104549A (ko) 전자 방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4748A (ko) 분지형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이를 포함한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KR20070056614A (ko) 전자 방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20070005147A (ko) 카본계 물질 및 금속 나노막대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이를포함한 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