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124A - 보 이음재 - Google Patents

보 이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124A
KR20040057124A KR1020020083577A KR20020083577A KR20040057124A KR 20040057124 A KR20040057124 A KR 20040057124A KR 1020020083577 A KR1020020083577 A KR 1020020083577A KR 20020083577 A KR20020083577 A KR 20020083577A KR 20040057124 A KR20040057124 A KR 20040057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coupled
joint
web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7124A/ko
Publication of KR2004005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보들을 연결하는 보 이음재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 이음재는 철골 구조물의 기둥에 결합된 보(20)에 다른 보를 일렬로 연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20)의 일측 웨브에 고정된 고정구(51)와, 고정구(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구(52) 및, 회전구(52)와 일체로 고정되며 보(20)와 다른 보에 각각 결합되는 보 이음판(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 이음재는 한 쌍의 보 이음판(30)이 보(20)의 웨브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보(20)와 다른 보를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 이음재{A joint for steel beam}
본 발명은 한 쌍의 보들을 연결하는 보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보와 보 사이를 용이하게 체결하는 보 이음재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건물의 철골공사에서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보가 설치되는데, 이런 기둥과 기둥 사이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그 폭에 해당하는 길이가 긴 보가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는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는 다수개의 보들이 상호 연결되어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beam) 사이를 연결하는 보 이음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와 보 이음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공사에서 사용되는 보(10, 20, 21)에는 일반적으로 H형강이 사용된다. 그리고, 보(10)의 양 끝단 웨브에는 다른 보(20, 21)들과 결합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체결공(1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보(10)의 상부 양 끝단에는 크레인에 의해 보(10)를 공중으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크레인의 줄이 결합되는 걸림쇠(13)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에 설치되는 보(20)의 끝단 웨브에는 보(20)와 다른 보(10)를 연결하는 보 이음판(30)이 결합된다. 보 이음판(30)은 일정한 강성을 갖는 사각 철판이며, 보 이음판(30)에는 2열로 다수개의 제 2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20)의 끝단 웨브에는 볼트(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또 다른 체결공이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와 다른 보를 연결하는 보 이음과정에 대해 설명하겠다.
교량이나 건물에서 구조물의 기둥을 설치하고, 설치된 기둥과 다른 기둥 사이에는 보를 설치 결합한다. 이 때, 기둥과 다른 기둥의 사이가 넓은 경우에는 다수개의 보들을 다음과 같이 연결 설치해야 한다.
먼저, 기둥과 다른 기둥에 결합될 보(20, 21)의 끝단 웨브에 한 쌍의 보 이음판(30)을 접하고, 볼트(40)를 체결공에 삽입한 후에 너트(41)로 가조립형태로 느슨하게 체결한다. 그런 다음에는 보 이음판(30)이 결합된 보(20, 21)들을 각각 크레인으로 양중하고, 기둥과 다른 기둥에 보(20, 21)들을 각각 설치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보(20, 21)들 사이에 또 다른 보(10)를 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위치시키고, 끼워지는 보(10)의 양 끝단 웨브를 상기 보(20, 21)들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보 이음판(30) 사이에 각각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에는 보(10)의 제 1체결공(12)과 보 이음판(30)의 제 2체결공(32)이 일치되도록 상기 보(10)를 미세하게 움직인 후에, 볼트를 제 1, 제 2체결공(12, 32)으로 삽입 체결한다.
하지만, 상기 보 이음구조는 크레인으로 보(10)를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좁은 한 쌍의 보 이음판(30)의 사이에 보(10)의 웨브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보 이음작업이 어려워서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 이음과정은 보(10)를 용이하게 끼우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보(10)를 보 이음판(30)의 사이에 유도 삽입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작업자가 보 이음작업 중에 높은 위치에서 추락할 수도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보의 끝단 웨브에 보 이음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 이음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보 이음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beam) 사이를 연결하는 보 이음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와 보 이음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 이음재가 회전 가능하게 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와 보 이음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의 상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보 이음판들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보 30 : 보 이음판(beam splice plate)
40, 50 : 체결용 볼트 51 : 고정구
52 : 회전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 이음재는 철골 구조물의 기둥에 결합된 보에 다른 보를 일렬로 연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의 일측 웨브에 고정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구 및, 상기 회전구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보와 상기 다른 보에 각각 결합되는 보 이음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느슨한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는 상기 고정구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보의 웨브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라운딩된 곡면이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 이음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 이음재가 회전 가능하게 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와 보 이음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의 상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 이음재는 보(20)의 웨브 외측방향으로 보 이음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보(20)의 양 웨브면에 각각 결합된다.
보(20)는 철골 구조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형강이며, 보(20)의 끝단부 웨브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 이음판(3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2열로 된 체결공(32, 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20)의 양 웨브면에는 직육면체 철물인 고정구(51)의 일면이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고정구(51)에서 보(20)의 플랜지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회전구(52)가 볼트(50)와 너트(53)에 의해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구(52)는 보(20)와 다른 보를 연결하는 보 이음판(30)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고정구(51)에 대해 회전하면서 보(20)의 웨브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라운딩된 곡면이 일측부에 형성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보 이음판들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 이음재는 한 쌍의 보 이음판(30)들이 보(20)의 웨브 외측방향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보(20)의 양 웨브면에 접하도록 회전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 이음재의 설치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기둥과 다른 기둥에 결합될 보(20)의 양 웨브에는 고정구(51)의 일면을 각각 용접하고, 보 이음판(30)의 일측부에는 회전구(52)를 각각 용접한다. 그런 다음에는 회전구(52)가 고정된 한 쌍의 보 이음판(30)들을 보(20)의 끝단부 양 웨브면에 접하게 위치시키고, 고정구(51)와 회전구(52)를 볼트(50)와 너트(52)를 이용해 체결한다. 이 때, 보 이음판(30)에 고정된 회전구(52)는 볼트(5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할 정도로 체결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는 보 이음재가 결합된 한 쌍의 보(20)들을 크레인으로 양중하고, 기둥과 다른 기둥에 보(20)를 각각 설치 결합시킨다. 이 때, 보(20)에 결합된 한 쌍의 보 이음재들은 보(20)의 웨브 외측방향으로 상호 벌어진 상태이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보(20)들 사이에 다른 보를 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위치시키고, 보(10)의 양 끝단 웨브를 상기 보(20)들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보 이음판(30) 사이에 각각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에는 상호 벌어진 한 쌍의 보 이음판(30)들을 보(20)의 웨브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보(20)들 사이에 위치한 다른 보를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보 이음판(30)의 체결공(32, 33)에 볼트를 삽입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보(20)들과 다른 보는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보(20)의 양 웨브면에 결합된 보 이음재들은 한 쌍의 보 이음판(30)들을 회전 고정시키는 고정구(51), 회전구(52)가 각각 결합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는 필요에 따라 보(20)의 일측 웨브면에만 보 이음판(30), 고정구(51), 회전구(52)로 구성된 보 이음재가 설치되고, 보(20)의 타측 웨브면에는 다른 보 이음재가 용접과 같은 수단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 이음재는 한 쌍의 보 이음판이 보의 웨브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보와 다른 보를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보 이음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철골 구조물의 기둥에 결합된 보에 다른 보를 일렬로 연결하는 보 이음재에 있어서,
    상기 보의 일측 웨브에 고정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구 및, 상기 회전구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보와 상기 다른 보에 각각 결합되는 보 이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이음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느슨한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이음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상기 고정구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보의 웨브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라운딩된 곡면이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이음재.
KR1020020083577A 2002-12-24 2002-12-24 보 이음재 KR20040057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77A KR20040057124A (ko) 2002-12-24 2002-12-24 보 이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77A KR20040057124A (ko) 2002-12-24 2002-12-24 보 이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124A true KR20040057124A (ko) 2004-07-02

Family

ID=3734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577A KR20040057124A (ko) 2002-12-24 2002-12-24 보 이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1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7262A (zh) * 2020-09-15 2020-11-27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高空连接板及其连接方法
CN112663498A (zh) * 2020-11-19 2021-04-16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栓接合龙段拼接板快速安装合龙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7262A (zh) * 2020-09-15 2020-11-27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高空连接板及其连接方法
CN112663498A (zh) * 2020-11-19 2021-04-16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栓接合龙段拼接板快速安装合龙施工方法
CN112663498B (zh) * 2020-11-19 2022-05-17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栓接合龙段拼接板快速安装合龙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7124A (ko) 보 이음재
JPH08144368A (ja) エンドプレート形式鉄骨構造体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JP2011241084A (ja) 壁つなぎ装置及び壁つなぎ装置の取付方法
JP2002294864A (ja) 横梁の取付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ウェヴプレート
JPH05148819A (ja) 鋼桁の連結方法
JP2006152673A (ja) 鉄骨梁組体
JP3230298B2 (ja) ユニットの接合構造
JPH0444545A (ja) 柱と梁の接合部および補強金物
JP2018162607A (ja) 床パネル、床構造、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JP7063564B2 (ja) 床パネル構成体、乾式床構造および乾式床構造作製方法
JPH07243205A (ja) 足場装置
JP4091706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3134124B2 (ja) 柱・梁の接合装置
JPH04146343A (ja) 柱・梁接合工法
JP2011241083A (ja) 壁つなぎ装置
JPH01146033A (ja) 方形断面である構築部材の接合方法
JP2024019969A (ja) 柱梁接合方法及び柱梁接合の際に用いられる位置調整用治具
JP6875120B2 (ja) 床パネル、床構造、床部の施工方法および建物の躯体の再利用方法
JPH0841987A (ja) 箱型断面ブレース
JPH0579184A (ja) 梁型枠支保工ユニツト
JP2500602Y2 (ja) 梁 材
JPH084113A (ja) 鉄骨小梁の架設方法
JPS6316401Y2 (ko)
JP3010003B2 (ja) 鉄骨造に於ける柱と梁の仕口構造
JPH04185851A (ja) 建築物の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