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219A -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219A
KR20040055219A KR1020020081852A KR20020081852A KR20040055219A KR 20040055219 A KR20040055219 A KR 20040055219A KR 1020020081852 A KR1020020081852 A KR 1020020081852A KR 20020081852 A KR20020081852 A KR 20020081852A KR 20040055219 A KR20040055219 A KR 20040055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re earth
aluminum
leaching
waste slurry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147B1 (ko
Inventor
윤호성
김철주
유태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1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폐 슬러리 건조분말을 열처리하여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열처리된 슬러리를 황산과 혼합하여 황산화반응을 수행한 후 수침출 공정을 거쳐 희토류와 알루미늄이 함유된 침출용액을 제조하고, 침출용액에 일정량의 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황산나트륨희토류 복염을 침전시키므로서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LCD기판을 세륨연마 한후 발생되는 폐 슬러리로부터 고가의 유가 금속인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 회수하여 재활용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방법{A Method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rare earth and aluminum component from spent slurry of cerium abrasive}
본 발명은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을 황산화분해한 후 수침출을 거쳐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침출하고 침출용액으로부터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수입에 의존하는 유가자원인 희토류를 고순도로 분리·회수할수 있도록 하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화세륨은, 희토류원소들 중에서 가장 안정된 형태로 이에 대한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산화세륨은, 세륨연마제의 폐슬러리 건조분말 내에는 희토류에 알루미늄과 함께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산화세륨(CeO2)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륨계 연마재는, 여러가지 유리재료의 연마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매체용 유리,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유리기판과 같은 전기·전자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재료의 연마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응용분야가 점차로 확대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에서 이러한 LCD 및 반도체 기판의 연마후 배출되는 연마슬러리의 사용량은 급증하고 있는 실정으로, 폐 연마 슬러리의 발생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통상적인 처리방법은 연마공정이 완료된 폐슬러리를 정화 장치에 보내고, 이때 고상 입자는 침전시켜 매립하고, 슬러리중 고상입자가 분리된 상태인 액체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방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LCD 기판의 세륨연마 후 발생되는 폐슬러리로부터 고가의 유가금속인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하여 재활용 할수 있도록 하고, 산화세륨을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희토류의 분리·회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손쉽게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하도록 하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희토류와 일루미늄의 분리방법을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륨연마제와 폐슬러리 건조분말의 열분석 거동곡선을 도시한 그래프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을 500℃ 에서 열처리한 후, 열처리된 분말을 황산과 혼합하여 250℃ 에서 황산화반응시켜 희토류와 알루미늄 성분을 황산염 형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황산화반응이 진행된 건조분말을 물에 침출시켜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침출용액으로 회수하고, 이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황산나트륨희토류 복염 형태로 침전시키며, 이를 고액 분리하여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시키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륨연마재 슬러리가 유리 연마제 제조 시 분산제로서, 금속 이온류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산 중합체 및 그의 암모늄염, 메타크릴산 중합체 및 그의 암모늄염,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유기 고분자류, 라우릴 황산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황산암모늄 등의 수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수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의 수용성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폐 슬러리 건조분말에는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제거에 필요한 열처리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폐 슬러리 건조분말내에 포함되어 있는 희토류는 산화물 형태로 존재하는데, 산화희토류는 강산에 잘 용해되나, 산화세륨은 산화희토류 중 가장 안정된 상태로 강산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용해성이 좋은 염의 형태로 화학구조를 변화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희토류를 황산화 반응시켜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는 황산희토류염(Re2(SO4)3)의 형태로 폐 슬러리 건조분말을 처리하였다.
상기 산화희토류의 황산화 반응후 침출온도, 침출시간, 광액농도 등을 적정 조건으로 하여 폐 슬러리 건조분말을 수침출 시킴으로서 희토류와 알루미늄이 함유된 침출용액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 침출용액에 적정량의 황산나트륨을 첨가한후 일정 온도에서 희토류를 복염상태로 침전시켜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희토류와 알루미늄의 분리방법을 실험예를 들어 설명한다.
(1)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의 열처리
세륨연마재는, 연마공정에서 연마슬러리 상태로 연마공정에 투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분산제 등 여러 유기물질의 사용이 불가피함으로,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은 상당량의 유기물질을 항상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열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유기물질이 함유되는 건조분말의 열분해 거동을 살펴보면, 도 2와 같은 열분해 거동을 나타내고 있는데, 열분해 과정이 일어나면서 100 ∼150 ℃에서는 흡착수의 제거가 일어나며, 연속하여 400 ℃까지 약 30%의 무게 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슬러리 내에는 상당량의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500℃ 이상에는 무게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폐 슬러리 건조분말의 열처리는 약 500℃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의하여, 출발물질로 사용한 LCD용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과 500℃ 로 열처리된 폐슬러리 건조분말의 성분분석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2)황산화반응에 의한 산화세륨의 분해 및 침출
산화세륨(CeO2)은, 산에 쉽게 용해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황산화반응에 의한 세륨을 황산염 형태로 변형시켜 용해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세륨 및 희토류의 황산화분해반응은 다음 반응식과 같다.
즉, 상기 반응식과 같은 황산화 분해반응시 그 산물을 수 침출시키므로서 희토류를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황산화 반응시 황산 첨가량 및 황산화 반응온도 그리고 수 침출시 침출온도, 침출시간, 광액농도를 변수로 이들이 침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함으로서 폐슬러리 건조분말 내 희토류와 알루미늄 성분의 최적 분해 및 침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상기 침출용액 내 희토류와 알루미늄 함량은 ICP 분석을 통하여 구할 수 있었다.
다음은 실험변수에 대한 침출율의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가.황산화반응 시 황산첨가량에 따른 희토류와 알루미늄 침출율 변화
다음의 표2는, 황산 첨가량을 1당량에서 3당량으로 변화시키면서 250℃ 에서 2시간 황산화반응 후 수 침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황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침출율은 증가하나 3당량 에서는 침출율이 저하된다.
그 결과, 본 조건에서 황산 첨가량은 2.5 당량이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나.수 침출온도에 따른 희토류와 알루미늄 침출율 변화
다음의 표3은, 황산 첨가량 2.5 당량, 황산화 반응온도 및 시간이 250℃, 2 시간에서 황산화 분해반응된 산물의 수침출시 침출온도(30∼70℃)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40∼50℃를 기준으로 침출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희토류 및 알루미늄의 침출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용액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산희토류(Re2(SO4)3)의 용해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조건에서는 침출온도 40℃가 최적임을 알 수 있다.
다.수 침출시간에 따른 희토류 및 알루미늄 침출율 변화
다음의 표4는, 황산 첨가량 2.5당량, 황산화 반응온도 및 시간이 250℃, 2 시간에서 황산화 분해반응된 산물의 수침출 시, 수 침출시간 변화에 따른 희토류 침출율을 고찰한 결과 2 시간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그 결과 본 조건에서는 침출시간 2 시간이 최적의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라.광액농도에 따른 희토류 및 알루미늄 침출율 변화
다음의 표5는, 수 침출시 분해산물의 광액농도 변화에 따른 침출율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결과에 의하면 광액농도는 약 10%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표6은, 250℃ 에서 2시간동안 황산화 분해반응 후, 침출온도 40℃, 침출시간 2시간, 광액농도 10%에서 침출시킨 침출용액의 희토류와 알루미늄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3)황산나트륨을 이용한 침출용액 내 희토류와 알루미늄의 분리
상기 표1의 성분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폐 슬러리 건조분말 내에는 희토류에 상응하는 알루미늄이 함유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가물질의 회수 차원에서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용액 내 3가의 희토류 원소들은 황산매질에서 황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황산나트륨희토류(Re·Na(SO4)2)를 형성하면서 침전되지만, 3가의 알루미늄은 황산나트륨과 반응을 하지 않고 용액 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반응 메카니즘을 본 발명에 적용하여 반응식2와 같이 알루미늄을 희토류와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침출용액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면 3가의 희토류 양이온들은 황산나트륨과 결합하여 황산나트륨 희토류를 형성하여 침전되므로서 알루미늄이 희토류원소들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의하여 공정이 간단하게 됨은 물론 회수된 희토류의 회수율 및 품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황산나트륨 첨가량의 영향
다음의 표7은, 일정한 희토류와 알루미늄이 함유된 침출용액에 황산나트륨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3가의 희토류 제거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황산나트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3가 희토류 제거 후 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루미늄의 회수율은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회수율과 품위를 감안하여 황산나트륨의 첨가량은 2당량이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나.황상나트륨 첨가 시 반응온도에 따른 알루미늄의 분리수율 및 품위
다음의 표8은, 황산나트륨 첨가시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복염침전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황산나트륨 희토류 침전이 용이하게 일어나며, 알루미늄의 순도는 증가하나, 알루미늄의 회수율이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알수있고, 이에의하여 반응온도는 50℃ 정도가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9는 위에서 얻은 최적 조건, 즉 황산나트륨 첨가량 2.0당량, 반응온도 50℃에서 황산나트륨 복염침전에 의하여 희토류 원소들을 분리제거 한후의 알루미늄 함유 용액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희토류에 대한 알루미늄의 품위가 99.8%로서 고도 분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륨연마재후 발생되는 폐슬러리로부터 고가의 유가금속인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하여 재활용 하고, 산화세륨을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희토류의 분리·회수율을 향상시키며, 손쉽게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화학적 처리 후 전량 매립에 의존하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수입에 의존하는 유가자원인 희토류(경희토류 : 란타늄, 세륨, 네오디뮴 등)를 고순도로 분리·회수하여 재활용 하며, 고순도 알루미늄 함유 용액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희토류 및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폐 연마 슬러리 건조분말을 500℃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된 폐 슬러리 분말에 황산을 혼합하여 황산화반응하여 황산염형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황산화 반응이 진행된 건조분말 수침출 시켜 침출용액을 회수하는 단계;
    침출용액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한 복염 침전법을 수행하는 단계;및,
    복염 침전법이 수행된 침출용액을 고액 분리하여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 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용액을 회수하는 단계는, 침출온도 40∼50℃, 침출시간 2∼3 시간, 광액농도는 약 5∼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 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는, 반응온도 200∼250℃, 황산첨가량 1.5∼3당량, 반응시간 2∼3 시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 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염 침전법을 수행하는 단계는, 침출용액의 희토류와 황산나트륨이 반응하여 황산나트륨희토류 복염 형태로 침전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 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염 침전법을 수행하는 단계는, 황산나트륨 첨가량 1.5∼3당량, 반응온도 30∼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 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회수 하는 방법.
KR10-2002-0081852A 2002-12-20 2002-12-20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KR10053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52A KR100534147B1 (ko) 2002-12-20 2002-12-20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52A KR100534147B1 (ko) 2002-12-20 2002-12-20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219A true KR20040055219A (ko) 2004-06-26
KR100534147B1 KR100534147B1 (ko) 2005-12-06

Family

ID=3734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852A KR100534147B1 (ko) 2002-12-20 2002-12-20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1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83B1 (ko) * 2004-12-20 2006-06-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rt용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수산화세륨의분리회수 방법
KR101422068B1 (ko) * 2013-11-14 2014-07-2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희토류 정광으로부터 희토류 및 비희토류 원소의 분리회수방법
KR101486439B1 (ko) * 2013-04-15 2015-01-27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리아계 연마재 폐기물을 재활용한 탄산세륨의 제조방법
WO2015080326A1 (ko) * 2013-11-28 2015-06-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구리 함유 휘수연광의 전처리 방법
CN110563014A (zh) * 2019-09-20 2019-12-13 常熟理工学院 利用fcc废催化剂联合制备钾明矾和高含量镧、铈稀土复合盐的工艺
US10738369B2 (en) * 2017-01-12 2020-08-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ethod of separating rare earth elements from rare earth polishing powder wastes
WO2022116859A1 (zh) * 2020-12-02 2022-06-09 北京工业大学 一种从废稀土抛光粉中分离提取稀土与再生稀土抛光粉的方法
WO2022116870A1 (zh) * 2020-12-02 2022-06-09 北京工业大学 一种两步酸浸梯次分离回收废铈基稀土抛光粉中稀土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75B1 (ko) * 2013-06-19 2016-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세륨 연마재의 재생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83B1 (ko) * 2004-12-20 2006-06-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rt용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수산화세륨의분리회수 방법
KR101486439B1 (ko) * 2013-04-15 2015-01-27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리아계 연마재 폐기물을 재활용한 탄산세륨의 제조방법
KR101422068B1 (ko) * 2013-11-14 2014-07-2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희토류 정광으로부터 희토류 및 비희토류 원소의 분리회수방법
WO2015080326A1 (ko) * 2013-11-28 2015-06-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구리 함유 휘수연광의 전처리 방법
US10738369B2 (en) * 2017-01-12 2020-08-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ethod of separating rare earth elements from rare earth polishing powder wastes
CN110563014A (zh) * 2019-09-20 2019-12-13 常熟理工学院 利用fcc废催化剂联合制备钾明矾和高含量镧、铈稀土复合盐的工艺
WO2022116859A1 (zh) * 2020-12-02 2022-06-09 北京工业大学 一种从废稀土抛光粉中分离提取稀土与再生稀土抛光粉的方法
WO2022116870A1 (zh) * 2020-12-02 2022-06-09 北京工业大学 一种两步酸浸梯次分离回收废铈基稀土抛光粉中稀土的方法
US11753308B1 (en) 2020-12-02 2023-09-12 Beijing University Of Technology Method for separating and extracting rare-earth and regenerating rare-earth polishing powder from rare-earth polishing powder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147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nocenzi et al. Treatment of fluid catalytic cracking spent catalysts to recover lanthanum and cerium: Comparison between selective precipitation and solvent extraction
Davris et al. Selective leaching of rare earth elements from bauxite residue (red mud), using a functionalized hydrophobic ionic liquid
Chunsheng et al. Clean separation technologies of rare earth resources in China
CN101659413B (zh) 一种超冶金级硅的制备方法
WO2022116870A1 (zh) 一种两步酸浸梯次分离回收废铈基稀土抛光粉中稀土的方法
CN106319218A (zh) 从含稀土的铝硅废料中回收稀土、铝和硅的方法
CN104928475B (zh) 一种含稀土的铝硅废料的回收方法
KR100534147B1 (ko) 세륨연마재 폐 슬러리로부터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분리회수하는방법
WO2012140998A1 (ja) 重希土類元素の回収方法
JP2013126928A (ja) 酸化セリウムの回収方法
Li et al. Towards zero-consumption of acid and alkali recycling rare earths from scraps: a precipitation-stripping-saponification extraction strategy using CYANEX® 572
CN102275930B (zh) 硅粉回收方法
CN111020196B (zh) 一种基于poaa从放射性废渣浸出液中分离钍和富集稀土方法
CN102390832B (zh) 一种处理三氯氢硅合成过程产生的废弃硅粉的方法
JP3615943B2 (ja) 使用済希土類元素系研摩材からの希土類元素の回収方法
Otsuki et al. Solid-solid separation of fluorescent powders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aqueous and organic phases
JP3641190B2 (ja) タンタル/ニオブ含有原料の処理方法
WO2012132107A9 (ja) ニオブの分離精製方法及び製造方法
CN105568005A (zh) 一种从荧光粉废粉中回收稀土的方法
Borra et al. A brief review on recovery of cerium from glass polishing waste
KR950013314B1 (ko) 폐수중 불소처리 잔사의 재처리방법
KR100591383B1 (ko) Crt용 세륨연마재 폐슬러리로부터 수산화세륨의분리회수 방법
KR101554901B1 (ko) 유리패널 연마용 무기 연마재 폐슬러지 재생 방법
TW201738357A (zh) 一種由螢光粉中分離稀土元素之方法
CN105039727A (zh) 一种从超低含量NdFeB废渣中回收稀土的工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