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613A -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 - Google Patents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613A
KR20040054613A KR10-2003-7013523A KR20037013523A KR20040054613A KR 20040054613 A KR20040054613 A KR 20040054613A KR 20037013523 A KR20037013523 A KR 20037013523A KR 20040054613 A KR20040054613 A KR 2004005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ranch
pipe
main
communica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치야후미아키
야기이사부로
야마카와마사루
우에다야수히로
이시주카오사무
아소코지
마에모토유키카주
히로카와타카아키
나카추카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산키공업주식회사
아시모리 공업 주식회사
아시모리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8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16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88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9627B2/ja
Application filed by 산키공업주식회사, 아시모리 공업 주식회사, 아시모리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키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5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8Fixation devices in ducts for draw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fluid as pulling means, e.g. liquid, pressurised gas or suc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관에 분기관이 분기되어져 있는 지중 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을 용이하게 부설하고,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은 통신 케이블(6)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2)가 형성되어진 본체부(3)와 상기 본체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3)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구비한 초관(1)을 맨홀(9, 10)을 이용하여 지중 관로(17, 7)에 연결하여,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상기 맨홀(9, 10) 내벽에 장력을 더하여 고정하고, 상기 초관 (1)을 지중 관로(17, 7) 안의 대략 상부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METHOD OF CONSTRUCTING INFORMATION CORRESPONDENCE PIPE, CONSTRUCT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MBER}
현재 고속 및 초고속 통신의 네트워크의 구축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그 매체인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는 가공 방식(aerial scheme; 架空方式)과 지중 매설 방식이 있다. 지중 매설 방식으로의 통신 케이블의 부설은 가공 방식을 통한 부설과 비교하여 공간 환경(지상 풍경의 미관 등)을 보존하면서도 지진이나 태풍 등의 재해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지중 관로의 내에 하수도관은 본관에 접속하고 있는 분기관(설치관)이 이미 각 가정에 도출되어 있고, 또한 관내 상부는 빈 공간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 가정에 통신 케이블을 인입시키는 FTTH(Fiber To The Home) 계획의 중요한 인프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하수도관의 본관 상부의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근래에는 통신 케이블이 입선 가능한 초관(sheath pipe)을 본관 상부의 내면에 대해 안장 등의 지지구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 정보 대응관을 지중에 매설하고, 통신 인프라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29는 지중에 매설되어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성되어져 있는 하수도관 등의 단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처럼, 통상의 관체 내면에 통신 케이블(106)을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초관(103)이 브래킷(104)에 의해 장착되고 있어 하수도관 등의 본관 (105)으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본관(105)에는 각 가정과 연결되어 있는 분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하게 되어져 있지만, 해당 분기관은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성되지 않고 비정보 대응관인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안에 넣기 위해 초관을 구비한 정보 대응관에 관하여 특개평11-3113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하수도관의 상부 외주면에 지지되어지도록 하수도관의 외주면에 따라 활처럼 휘어진 지지판과 초관이 내부를 끼워 관통시키도록 링 형태를 하고 있고, 하수도관에 설치된 관통공을 통과하고 하수도관 내의 상부에 돌출하도록 지지판 내측에 설치된 브래킷으로 구성되어진 초관 지지구를 이용하고, 하수도관의 상부에 관축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진 각 관통공에 초관 지지구 각각의 브래킷을 각 관통공으로부터 하수도관 내에 돌출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지지판에 의해 각 관통공을 수밀 상태로 덮도록 설치되어 하수도관의 관축 방향에 따라 배치된 초관이 각 초관 지지구의 브래킷 내를 각각 끼워 관통시켜 지지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수도관 내의 상부에 통신 케이블이 끼워진 초관을 면적을 적게 점유하면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수도관 내의 상부에 초관이 지지되어지기 때문에 하수도관의 하수 유하 능력이 감소될 염려가 없고 미리 하수도관에 설치하여 둔 것으로 인해 하수도관의 배관 현장에 있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그렇지만, 정보 대응관이라고 하는 개념이 생기기 전에는 초관을 가지지 않은 통상의 관을 사용하여 하수도관이라고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것과 같은 정보 대응관으로는, 지중에 매설되어진 하수도관의 상부 외주면에 부딪히는 표층부를 파내어 하수도관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관통공을 설치하고 초관 지지구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초관을 가지지 않은 통상의 관을 파내어 철거하고 초관을 초관 지지구나 안장 등으로 설치되어진 정보 대응관에 교환해야 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초관을 가지지 않은 통상의 관을 정보 대응관으로 변경하는 상당히 대대적인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초관을 가지지 않은 통상의 관에 초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정보 대응관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하수도관의 본관에 분기되어져 있는 분기관을 이용하여 각 가정에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데에는 부설 경로가 복잡하고, 더욱이 분기관은 내경이 작고 본관에서 분기관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 등에 의해 본관 내에 직선적인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술적 어려움을 수반하기 때문에 실시되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밖에도, 분기관에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것에 있어 기술적으로 곤란한점은 라이프라인으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도록 통신 케이블을 설치해야 하는 것과 내수성, 내약품성, 내서성, 즉 쥐에 의해서 씹혀져서 단선되는 것에 견디는 성능 및 관로 점검을 위한 고압 세척에 대한 내고압 세척성 등의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중 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정보 대응관 (information-communicable underground pipe)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1a에 본 실시의 형태 예, 도1b 내지 도1h에 다른 실시 형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예의 초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텐션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텐션 장치를 나타내고, 도4a는 도3에 있어서 A-A선 단면도이고, 도4b는 도4a에 있어서 B부분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6은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초관에 가이드 관이 감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분기 텐션부가 설치된 가이드 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내지 구축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이완 방지재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내지 구축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어지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구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구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중 제1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또 다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또 다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5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과 초관이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의 초관으로의 감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7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을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이 본관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9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이 본관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0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이 본관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1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대응관 구축 구조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는 도9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3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이 본관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4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대응관 구축 방법의 제1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5는 그 밖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대응관 구축 방법의 제1 공정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2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7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내지 구축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어지는 이완 방지재의 사시도이다.
도28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내지 구축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어지는 고정 부재의 설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9는 통신 케이블이 입선된 초관을 구비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성되어져 있는 본관의 단면도이다.
도30은 통신 케이블이 입선된 초관을 구비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성되어져 있는 본관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본관에 분기관이 분기되고 있는 지중 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을 용이하게 부설하고 지중 관로를 최적의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을 입선(入線; insert)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低伸度性) 재료체를 구비한 초관을 맨홀을 이용하여 지중 관로에 끼워 관통시키고,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low-elongation) 재료체를 상기 맨홀 내벽에 장력을 가하여 고정하고 상기 초관을 지중 관로 내의 대략 윗 부분에 고정하는 정보 대응관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되어진 분기관으로 되어진 초관을 전술한 본관 내의 대략 윗 부분에 고정한 뒤 상기 초관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 (嵌合部; fitting part)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져, 상기 분기관과 상기 본관과의 접속되는 곳에서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어지는 분기 인장부(branch tensionconduit)가 분기되고 있는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 관의 상기 감합부를 상기 초관에 감합하여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분기 인장부를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된 분기관으로 이루어진 초관을 상기 본관 내의 윗 부분 부근에 고정한 뒤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져, 상기 분기관과 상기 본관이 접속되는 곳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는 분기 텐션부가 분기되고 있는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초관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의 내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분기 인장부를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 내에 미리 고강도 저신도성 간선 텐션부를 연결시켜 두고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에 설치한 뒤, 상기 간선 텐션부(trunk tension member)에 상기 본관의 양단이 각각 접속하고 있는 맨홀 사이로 장력을 더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의 대략 윗쪽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분기 텐션부 내에 미리 통신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한 부름선(pre-inserted string)을 입선하여 두고 최종 공정으로 상기 부름선과 통신 케이블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관한것이다.
또한,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된 분기관으로 되어진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한 초관이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장력을 더하고 지중 관로 내의 윗 부분 부근에 고정되어,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 관이 상기 초관의 밖에 감합되어진 것으로 상기 본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과 상기 본관과 접속하는 곳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된 분기 텐션부가 상기 가이드 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관의 내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져 있는 브래킷 (bracket)에 의해 상기 초관이 장착되어져, 상기 초관에 외감(外嵌)된 상기 가이드관은 복수개의 부위로 나누어짐과 동시에 상기 브래킷의 바깥 방향을 감싸도록 설치된 연결 부재에 의하여, 서로에게 일체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된 분기관으로 되어진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한 초관이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장력을 더하고 지중 관로 내의 대략 윗 부분에 고정되어,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 관이 상기 초관을 감싸면서상기 본관의 내면과 일체화하고, 상기 본관 내에 설치된 상기 분기관과 상기 본관과의 접속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어지는 분기 텐션부가 상기 가이드 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에는 고강도 저신도성의 간선 텐션부가 연결되어져 있고 해당 간선 텐션부는 상기 맨홀 사이로 장력을 더해 상기 초관에 외감하고 있는 상기 가이드 관을 감합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또한 상기 분기관 내에서 상기 분기 텐션부에 장력을 더할 수 있어 해당 분기 텐션부가 상기 분기관의 상부쪽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 되어진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하게 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는 고강도 저신도 특성을 가지는 실 (string)을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사용한 포백(布帛; texti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내식성 피막(anti-corrosion coating)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감합부(fitting part)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초관이 설치되어진 지중 관로에 더욱이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이고, 상기 초관의 외면에 끼우기 위한 감합부와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 해당 공간부를 상하에 구획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구분판(partition plate)에 의하여 복수의 층이 형성되어지고 이 각 층의 높이가 상기 공간부에 입선하게 되는 통신 케이블의 외경의 2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초관이 설치된 지중 관로에 더욱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이고, 상기 지중 관로의 내면에 대하여 상기 초관을 감싸도록 하여 일체로 장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지중 관로에 장착되어지고,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중 관로로서 하수도관을 가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지중 관로는 반드시하수도관으로 한정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된 관로이라면, 예를 들어 강철관을 이용한 가스관로, 주철관을 이용한 수도 관로, 빗물 관로 및 전력 케이블 관로 등 모든 지중 관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지중 관로의 구획에 맨홀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구(pit)를 형성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10을 이용하여 지중 관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에 나타낸 하수도관의 본관(17)은 맨홀 등의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공(9, 10) 사이에 배관되어져 있다. 그리고, 그 본관(17)의 상부 쪽부터 분기관구(38)에서 분기관(7)이 분기되고, 해당 분기관(7)은 각 가정(8)의 분기관(7) 단부인 분기 오수 박스 (branch sewage box; 43)까지 접속되어져 지중 관로가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본관(17)은 도로를 따라서 수십 미터의 깊이에 부설되어져 있고 본관(17)의 경사 쪽 상부에 분기관구(38)가 형성되어져 분기관(7)은 분기관구(38)로부터 분기 오수 박스(43)에 접속되어져 있다.
이어서, 정보 대응관 구축에 이용하는 초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관의 사시도이다. 이 초관(1)은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를 가진 원통 형상의 본체부(3)와 본체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부(3) 내에 일체화하여 설치되어진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로 되어 있다. 이 초관(1)의 본체부(3)의 길이는 본관(17)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고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의 길이는 본체부(3)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a의 초관의 단면도가 전술한 초관(1)에 해당하고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통 형상의 본체부(3)의 두께 내에 벨트 형태의 포백(textile)으로 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매설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매설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는 실 또는 로프 형태의 포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1b 내지 도1h에는 초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1a의 초관(1)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초관도 마찬가지로 전부 적용 가능하다. 도1b 및 도1c에 나타낸 초관(1b, 1c)은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b, 2c)를 가진 원통 형상의 본체부(3b, 3c)의 외주면(5b) 또는 내주면(5c)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b, 4c)가 본체부(3b, 3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경우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b,4c)는 벨트 형태의 포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b, 4c)를 접착제 등으로 본체부(4b, 4c)에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d 및 도1e에 나타낸 초관(1d, 1e)은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d, 2e)를 가진 원통 형상의 본체부(3d, 3e)의 바깥 둘레에 볼록형 돌기부(5d)와 오목형의 홈부(5e)로 된 감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3d, 3e)의 두께 내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d, 4e)를 본체부(3d, 3e)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경우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d, 4e)는 실 또는 로프 형태의 포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관(1d, 1e)의 외주에 감합부가 설치되어지는 것에 의해 다양성이 있는 가이드 관을 초관(1d, 1e)에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장에 따라 분기 통신 케이블의 심수(心數)를 입선할 수 있는 가이드 관을 초관(1d, 1e)에 감합시켜서 설치할 수 있다.
도1f에 나타낸 초관(1f)은 중앙부에 구분판(partition plate; 5f)으로 구분되어진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f)를 가진 사각통 형상의 본체부 (3f)로, 각 공간부(2f)의 상부 두께 내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f)를 본체부 (3f)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경우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f)는 실 또는 벨트나 로프 형태의 포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 (2f)가 복수개 있기 때문에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입선할 수 있다.
도1g에 나타낸 초관(1g)은 중심에서 내면으로 향하여 구분판(5g)이 형성되어져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g)를 가진 원통 형상의 본체부(3g)로 된 본체부(3g)의 두께 내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g)를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경우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g)는 실 또는 벨트나 로프 형태의 포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초관(1g)도 전술한 초관(1f)과 마찬가지로 공간부(2g)가 복수개이므로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h에 나타낸 초관(1h)은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h)를 가진 원통 형상의 본체부(3h)로 되어 본체부(3h) 두께의 둘레 방향에 통 형태의 포백으로 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h)를 길이 방향에 따라 매설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경우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h)는 통 형태의 포백을 사용하고 있어 도1h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부(3h)의 둘레 방향으로 매설한 것에 의해 본체부(3h) 전체가 변형이 어렵게 됨과 동시에, 본체부(3h)의 강도가 향상하여 공간부(2h)에 입선하는 통신 케이블(6)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초관의 단면 형상은 여러 가지 형상을 적용할 수 있고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을 가진 본체부와 길이 방향에 따라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일체화되어 있으면 좋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전술한 초관의 본체부는 전부 설치되어진 본관과 거의 동일한 길이이다.
전술한 초관은 본체부와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일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인해 본체부의 소재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쉽게 펴지는 소재로 되어 있더라도 늘어져서 느슨해지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는 금속제 와이어나 슈퍼 섬유라고 불리는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를 사용한 실 또는 그 실을 길이 방향으로 이용한 포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슈퍼 섬유의 일반적인 정의로서는 강도 2 기가파스칼(GPa) 이상, 탄성율 50 기가파스칼(GPa) 이상의 섬유를 가리킨다. 그 섬유의 종류로서는 유리 섬유, 파라계 아라미드(para-alamido) 섬유, 탄소 섬유, 스틸 섬유, 초고강력 폴리에틸렌 섬유, PBO(poly-p-phenylenebenzo-bis-oxazole) 섬유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섬유 등이 있고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사용하는 실이 용도에 따라서 내약품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내식성의 피막으로 씌우고 나서 초관의 본체부와 일체화하는 것이 좋다. 내식성의 피막으로 통상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대표적이지만 사용관 종류에 적당한 내약품성을 가진 소재를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내마모성, 내절창성(耐切創性; anti-cut property)이 부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식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폭넓은 종류 중에서 비용을 비교하여 효과가 가장 크고 고강도 저신도 특성을 가진 실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포백으로서는 직물, 편물, 조물(組物) 및 부직포로 된 벨트 형태의 것이나 로프 형태의 것 등 여러 가지 종류의 형태가 사용 가능하지만 적어도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를 사용한 실을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그 실의 고강도 저신도성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직물의 경우에는 씨실(weft)에 가는 실을 사용하여 경사에 사용하고 있는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의 실을 세게 구부러뜨리지 않도록 하고 조직 상에서 생기는 늘어짐을 감소하는 조치를 강구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는 초관의 본체부에 매설하거나 또는 접착하는 것에 의해 본체부와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로 일체화된 초관을 본관 내에 끌어 넣어 설치할 때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는 본체부에 대하여 뒤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르게 본관(17)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는 도1a에 나타낸 초관(1)의 제조 방법에 관한 예를 나타내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초관(1)의 본체부(3)와 일체화하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의 필라멘트군처럼 된 1500d를 7개로 맞추어 꼰 것 10개를 경사(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이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필라멘트군처럼 된 500d의 한 가닥으로 꼬기를 137회/100mm 한 것을 씨실에 이용하고, 평직물으로 된 폭 17mm, 두께 1.8mm의 벨트 형태의 포백을 이용한다. 이 포백을 이용함으로써 제조시 및 관내작업 시에 취급하기 쉽고 또한 손상도 일어나기 어렵다.
전술한 폴리아릴레이트 섬유는 내산(耐酸)이나 내수(耐水) 등의 내약품성이 양호하고 또한, 구부림(creep) 특성도 좋기 때문에 하수도관과 같은 환경 하에서 평상시 하중이 작용하는 용도에 최적이다. 또한, 내마모성 및 내절창성(anti-cut property)도 좋은 것으로 본관(17)에서 맨홀(9, 10)에 걸쳐 굴곡시켜서 텐션 기구 (mechanism)에 설치할 때에도 상처가 나지 않고 강도 저하가 생기기 어렵다.
이어서, 초관(1)의 본체부(3)에는 밀도 0.919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초관(1)을 제조한다. 이 초관(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본체부(3)의 파이프 성형에 사용하는 안쪽 립(lip)에 슬릿(slit)을 넣고 그 슬릿으로부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끌어내어 내외(內外) 립 사이에 위치시켜, 외형 성형에 의해서 외경 Ф34mm, 내경 Ф28mm(도1a 참조)의 원통 형상의 본체부(3)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가 일체화한 초관(1)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이하게 또한 값싼 초관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초관 중에 초관(1)을 이용하여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구축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따른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구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에 나타낸 지중 관로 본관(17)의 정보 대응관 구축 구조는 통신 케이블(6)이 입선 가능한 공간부(2)를 형성한 본체부(3)와 본체부 (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부(3)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 (4)가 구비되어진 초관(1)을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맨홀(9, 10)을 이용하여 본관(17)에 연결시키고,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맨홀(9, 10)의 내벽에 설치된 텐션 기구(tension mechanism)(22)(후술한다)에 의해 장력이 가하게 되고 본관(17)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하여 구축된다.
더욱이, 본관(17)은 맨홀 등의 사람 출입구(9, 10)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되어 있고, 맨홀(9) 등에는 접속 분기 박스(11)가 설치되어 이 접속 분기 박스(11)로 본관(17)의 대략 상부에 설치한 초관(1) 내부에 연결시킨 통신 케이블(6)(이하,「간선 통신 케이블(6)」이라고 한다)끼리 접속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초관(1)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는 본체부(3)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맨홀(9, 10) 내에 설치된 텐션 장치(22) 내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 (4)를 감아 넣을 수 있고,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장력을 더할 수 있기 때문에 본관(17) 내의 상부 부근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초관 자체에 장력을 더하여 초관을 기설관 내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텐션 기구나 초관 단부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초관(1)을 본관(17)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텐션 장치(22)에 관하여 도3, 도4a 및 도4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 도4a 및 도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맨홀(9, 10) 안의 내벽에 텐션 장치(22)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 텐션 장치(22)는 초관(1)을 본관(17) 내의 상부 부근으로 설치하는 위치에 앵커 볼트 (anchor bolt; 29)로 고정되어 있다.
이 텐션 장치(22)에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감아 넣어 고정하기 위한 권회(卷回; winding) 드럼(24)이 브래킷(28)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권회드럼(winding drum; 24)의 양 단부에는 도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볼트(32)의 선단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요부(33)가 형성되어져 있고, 양단면에 너트(25)가 용접에 의해 장착되어져 있다. 또한, 한 쪽(편)의 너트(25)에는 너트(25)에 적합한 관통공(貫通孔)을 가진 스토퍼(30)가 끼워져 너트(25)를 회전 불가능하게 하고, 왓샤 (washer; 31)를 이용하여 볼트(32)로 스토퍼(stopper; 30)를 탈락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맨홀(9)로 권회 드럼(24)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감아 넣을 때에 권회 드럼(24)의 일 단부의 너트(25)에 장착되어져 있는 볼트(32)와 스토퍼 (30)를 분해하고,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권회 드럼(24)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공간부(孔部; hole part; 24a)에 벨트 형태의 포백으로 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 (4)을 통하여 그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의 단부를 권회 드럼(24)에 휘감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의 권(卷) 방향에서 권회 드럼(24)에 따라 공간부(24a) 입구 부근까지 되돌아온 뒤,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감는 방향으로 권회 드럼 (24)을 회전시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텐션 장치(22) 내에 감아 초관(1)의 단부를 소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권회 드럼(24)이 회전하지 않도록 분리된 스토퍼(30)를 너트(25)에 끼우고 볼트(32)를 죄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타단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맨홀(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텐션 장치(22) 내에 세트하고 권회 드럼(24)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감고, 권회 드럼(24)을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장력을 더한 상태로 본관(17) 내의 대략 상부에 초관(1)을 고정할 수있다.
또한, 도3 및 도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초관(1)로부터 텐션 장치(22)까지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 굴곡부에는 받침 롤러(26)가 텐션 장치(22)에 부속되어져 있다. 이처럼 받침 롤러(26)가 부속되어져 있는 것에 의해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장력이 더해진 때에는 본관(17)의 단부와 마찰하여 끊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텐션 장치(22)에는 커버(27)가 장착되어져 있고 장력이 더해져 있는 상태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와 본체부(3)가 일체화한 초관(1)을 본관(17)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정보 대응관이 구축되어져 초관(1) 내부에 간선 통신 케이블(6)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지중 관로의 본관(17) 내에 초관(1)을 설치하고 초관(1) 내에 간선 통신 케이블(6)을 연결시킨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본관(17)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분기관(7)의 단부에 위치하는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부설하고 지중 관로 전체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는 구축 구조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관(17)에 분기관(7)이 접속하고 있는 지중 관로에 있어서, 본관(17) 내의 대략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초관(1)에 분기 텐션부(37)가 설치되어져 있는 가이드 관(12)을 끼우고 본관(17)에 접속하여 각 가정(8)에 도달하여 있는 분기관(7)에 분기 텐션부(37)를 설치하고,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분기관(7) 단부에 위치하는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부설하고 분기관(7)도 포함하여지중 관로 전체를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고 있다.
도5에 도시한 가이드 관(12)은, 초관(1)에 끼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5에 도시한 형상이 특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 적합하고, 초관(1)에 대한 가이드 관(12)의 감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가이드 관(12)의 감합부(13)를 죄어서 성형하고 있다. 가이드 관(12)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제로 된 것이 중량과 동시에 내약품성 면에서 좋지만, 그 밖의 소재라도 지중 관로의 종별에 따라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5에 도시한 가이드 관(12)은 본관(17) 내에 통신 케이블을 더욱 입선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가이드 관(12)은 초관(1)을 따라 길이 방향(직사각형 방향)을 가지며, 초관(1)의 외면에 끼우기 위한 감합부(13)와 주로 분기 통신 케이블(21)(일반적으로 말하는「인입선」을 가리킨다)을 연결시키기 위해 내부에 형성되어진 공간부(14)를 긴 쪽 방향(직사각형 방향)에 따라 갖고 있다.
공간부(14)는 감합부(13) 주위에 형성되어진 구분판(15)에 의해서 복수의 층 (14a, 14b, …)을 형성하도록 상·하에 구획되어져 있고, 이 각 층(14a, 14b, …)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입선되어진다. 더욱이, 가이드 관(12)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관(17) 내에 설치할 때에 미리 분기 통신 케이블(21)과 교체하기 위한 부름선(pre-inserted string; 41)을 연결시켜 두는 것이 좋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따른 초관에 가이드 관이 끼워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초관(1)은 본관(17)의 대략 상부에 설치되어져 있고 내부에 간선 통신 케이블(6)이 관통되어져 있다. 그리고, 초관(1)의 외면에 가이드 관(12)이 감합부(13)로서 외감되어 있다. 가이드 관(12)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제이고 감합부 (13)가 일단 휘도록 변형한 뒤, 신속히 탄성을 회복하기 때문에 초관(1)의 외면에 용이하게 외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중 관로 내에 설치한 초관(1) 및 가이드 관(12) 등의 중량을 초관 (1)의 본체부(3)와 일체화하고 있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부담시키는 구조이므로 다른 부재는 강도적인 보강을 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가이드 관(12)에 끼워진 분기 통신 케이블(21)은 맨홀(9) 등에 설치되어진 분기 접속 박스(11)에 간선 통신 케이블(6)로부터 분기되어진 통신 케이블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가정(8)에 부설되어진다. 이 간선 통신 케이블(6)은 부설이 필요한 가정(8)의 호수(戶數) 등에 따라 필요 개수 분만 간선 통신 케이블 (6)로부터 분기되어진다.
또한, 가이드 관(12)의 공간부(14)의 각 층의 높이는 분기 통신 케이블(21) 외경의 2배보다 작아지도록 구획하게 되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층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복수개 연결시켜도 분기 통신 케이블(21)은 서로 이웃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타고 넘지 않고, 계층 내의 배치가 교체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져 있다. 따라서,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얽히거나 각 가정에서의 배선 장애가 생기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가이드 관(12)을 초관(1)에 끼워서 설치한 뒤에, 도8에 도시한 중앙부에 요부(52)를 가진 C형 고정부(51)로 된 이완 방지재(50)를 도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관(17) 내에 적절한 간격을 잡아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가이드관(12)이 본관(17)의 내경 방향에서 느슨해지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로 유지 관리 작업에 있어서 고압 세척 작업 등의 경우에 가이드 관 (12)이 초관(1)으로부터 벗어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이완 방지재 (50)의 C형 고정부(51)는 그 요부(52)로 가이드 관(12)을 수용하면서 본관(17)의 내벽에 고정되어져 있다.
이어서,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기 텐션부(37)가 가이드 관(12)에 분기구 (39)를 이용하여 장착되어져 있다. 이 분기구(39)는 도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이드 관(12)의 외면에 끼우는 결합 부재(39a)에 의해서 유지 고정되어져 있다. 또한, 가이드 관(12)에는 분기구(39)가 설치되는 위치에 가이드 관(12)에서부터 분기 통신 케이블(21)과 부름선(41)을 꺼내기 위한 연통공(40)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가이드 관(12)에 분기구(39)가 설치되어지는 위치로는 본관(17)으로부터 분기관(7)이 접속하고 있는 분기관구(38) 부근에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은 분기구(39)에 분기 텐션부(37)가 도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착되어져 있고, 가이드 관(12)의 공간부(14)에 끼워진 분기 통신 케이블(21) 또는 부름선(41)을 가이드 관 (12)에서 분기구(39)를 이용하여 분기 텐션부(37)에 연결되어진다.
전술한 분기 통신 케이블(21)은 스테인레스 관 중에 4심의 광 파이프가 통과되어져 있고 외면이 폴리에틸렌으로 씌워진 두께가 5mm 전후의 케이블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적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부름선(41)으로서는 분기 통신 케이블의 외경과 대략 같은 외경을 가지는 우레탄제의 튜브 형태의 것이나 끈모양으로 되어진 것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분기 통신 케이블에는 4심 형태의 것 이외에 2심 형태나 그 밖의 형식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분기 텐션부(37)는 스테인레스제나 플라스틱제의 구부림 가능한 파이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최종적으로 내부에는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끼워진다. 이 분기 텐션부(37)에 의해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외상이나 열화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장력을 더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분기관(7) 내에 설치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 분기 텐션부(37)는 내부에 연결시켜진 분기 통신 케이블(21)의 최소 굴곡 반경(허용 굴곡 반경) 미만까지 굴곡하지 않도록 분기 통신 케이블(21)의 허용 굴곡 반경 이상의 굴곡 반경 특성을 가진 것을 사용하게 된다. 분기 텐션부(37)의 내부에 입선되어져 있는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허용 굴곡 반경 이하에 극단적으로 굴곡하고 파손되어 버리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내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입선된 분기 텐션부(37)는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기관(7)의 상부 쪽을 따라 분기관(7) 단부의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배설 되어져 있다. 이 분기 오수 박스(43)로 분기 텐션부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신속히 조이는 것이 가능한 텐션 기구(45)가 설치되어져 이 텐션 기구(45)에 의해 분기 텐션부로 장력이 부여되어 진다.
더욱이, 분기관(7)이 만곡(灣曲) 부분을 갖고 있어도 분기 텐션부(37)가 분기관(7)의 상부 쪽에 확실하게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것과 같은 중앙부에 요부(57)를 가지는 대략 C형 고정부(56)로 되어진 고정 부재(5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55) 등을 이용한 것에 의해 장력을 부여한 분기 텐션부(37)는 분기관(7)의 상부 쪽에 확실하게 설치되어지게 된다(도11 참조). 이와 같이, 분기 텐션부(37)가 분기관(7)의 상부 쪽에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오수 등의 흐름을 저지하고 라이프 라인으로서의 기능을 저해하거나, 쥐에게 베어 먹혀서 단선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분기 통신 케이블(21)은 상기와 같이 분기 텐션부(37)가 분기관(7)의 상부 쪽에 따라 배설되어진 것으로 가이드 관(12)으로부터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부설되어지게 된다. 분기 오수 박스(43)는 각 가정(8)에서 도시 근교 마을과 열려져 있고,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안내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21)은 지상으로 인출된 뒤 각 가정(8)에 설치된 성단상(cable-termination box; 44)으로 인입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21)은 먼저 가이드 관(12) 내에 부설되어지고 다음으로 각 가정(8)에 대응하는 분기 오수 박스(43)에 이르는 분기관(7) 내를 각각 대응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분기 텐션부(37)로 보호받아 부설되어지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정보 대응관인 본관(17)과 이 본관(17)에 접속한 분기관 (7)으로부터 구성되어져 있는 지중 관로를 전체로 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분기관(7) 내에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되어진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하면 분기 통신 케이블 (21)은 분기 텐션부(37) 내에 끼워져 분기관(7) 내에 설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분기통신 케이블(21)의 부설 경로가 복잡하게 되어 있어도 분기관(7)을 정보 대응관으로 하여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고, 분기관(7)의 본관(17)으로의 접속 각도에 제한이 없는 것이나 라이프 라인으로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것, 내수성, 내약품성, 내서성 및 내고압 세척성 등의 기능을 구비할 것이라고 하는 요구도 달성되어진다.
더욱이, 분기 텐션부(37)의 선단부에는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호루라기 (Hock-end)라고 불리는 분기 텐션부(37)를 본관(17) 내에서 분기관(7)의 단부에 위치하는 분기 오수 박스(43)를 통해 끌어 당겨내는 부재(42)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호루라기(42)는 외경이 분기관(7) 내경의 80%정도의 공동구(空洞球)와 같은 것이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링 형태 등의 형상이라도 좋고 걸거나 잡거나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분기 텐션부(37)를 직접 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관(12) 내의 복수의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21)의 가이드 관(12) 내로의 배치 장소가 각 가정(8)에서와 늘어나는 분기관(7)의 위치와 관계되어 있어 규칙적인 배치 법칙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맨홀(9)에서 본관(17) 내부를 향하여(도11 참조) 순차적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관(12)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폭 방향에 병렬하도록 배치 법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더욱이,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교체하려고 부름선(41)을 끼운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행하는 것이 좋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관하여 전술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와 설명이 중복하는 부분을 적절히 함께 설명한다.
먼저,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부설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고 싶은 지중 관로의 본관(17) 내에 대하여 TV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맨홀(9,10) 사이의 거리, 맨홀(9)에서부터 본관(17) 내 각 분기관(7)의 분기관구(38)까지의 거리, 분기관(7)으로부터 분기 오수 박스(43)까지의 거리 및 분기 오수 박스(43)의 깊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한다(도11 참조).
이상과 같은 지중 관로의 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초관(1), 가이드 관(12)의 길이나 분기구(39)의 설치 위치, 분기 텐션부(37)의 길이를 정하고 초관(1) 이외의 것을 조립하여 둔다. 또한, 조립할 때에 가이드 관(12)에 각 분기관구(38)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통공(40)을 설치하고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해당 연통공(40)에서 꺼냄과 동시에, 가이드 관(12)에서 분기구(39)을 이용하여 분기시킨 분기 텐션부(37) 내에 연결시켜 둔다. 이 때에, 분기 텐션부(37)의 선단에는 전술한 호루라기(42)를 마련해 둔다.
이상의 준비 작업에 의해 준비된 초관(1)과 조립된 가이드 관(12)은 릴 드럼 등에 감겨져 시공 현장에 반입되어진다. 또한, 분기 텐션부(37), 호루라기(42) 등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본관(17) 내를 이동시킬 때에 본관(17) 내벽과의 마찰로 상처를 입거나 지중 관로의 단차 등에 걸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관(17) 내를 이동 가능한 받침(높은) 수레나 간단한 배(船) 위에 분기 텐션부(37) 등을 묶은 상태로 실어서 이동시키고 후술하는 견인색(牽引索; pull member)과 함께 본관(17) 내에 끌어넣는 것이 좋다.
시공 현장에 있어서는 우선 맨홀(9, 10) 사이에 견인색을 통선한다. 견인색을 맨홀(9,10) 사이에 통선하는 방법으로서는 와이어 등의 강직체를 억지로 밀어 넣는 방법, 파라슈트(parachute) 형태의 통선구를 공기압으로 날려 버리는 방법 및 자주형 관 내 이동차에 접속해 두는 방법 등 이미 알고 있는 방법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로 맨홀(9, 10) 및 분기 오수 박스(43)에 텐션 장치(22) 및 텐션 기구(45)를 설치하여 둔다(도11 참조).
다음으로 견인색의 한 끝과 초관(1)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를 본관 (17)의 한 단부, 예를 들어 맨홀(9)에 접속하여 견인색을 다른 쪽의 맨홀(10)로부터 끌어당기고 본관(17) 내에 초관(1)을 연결시킨다. 또한, 초관(1)은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와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장력이 더해지는 것과 같이 후방 텐션(back-tension)을 걸면서 초관(1)을 본관(17) 내에 끌어넣는 것으로, 후술하는 뒤틀림 방지구를 사용하지 않고 본관(17) 내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뒤이어, 초관(1)의 본체부(3)와 일체화되어져 있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 (4)의 한 끝을 맨홀(9)의 내벽에 설치된 텐션 장치(22)의 권회 드럼(24)으로 감아서 고정하고 초관(1) 단부의 위치를 정한 위치에 맞춘다. 다음에 맨홀(10)에서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의 다른 한 단을 맨홀(10)의 내벽에 설치된 텐션 장치(22)의 권회 드럼(24)으로 감고,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4)에 장력을 더한 것으로 초관(1)이 본관(17)의 대략 상부에 고정되어지고 간선 통신 케이블(6)을 초관(1) 내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중 관로의 본관 (17)을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할 수 있다. 더욱이, 후술하는 가이드 관(12)을 적용하지않은 경우에 있어서, 본관(17)의 대략 상부에 설치한 초관(1)이 느슨해져 있으면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고정 부재(55)와 같은 형상의 것을 사용하여 초관(1)이 느슨해져 있는 곳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지중 관로의 본관(17)을 정보 대응관으로 한 뒤, 분기관(7)을 포함하는 지중 관로 전체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기 위한 구축 방법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관(17) 내에 통선된 견인색(pull member)의 한 끝과 가이드 관을 본관(17)의 한 단부, 예를 들어 맨홀(9)로 접속하고 견인색을 다른쪽의 맨홀(10)로부터 끌어 당겨 본관(17) 내에 가이드 관(12)을 연결시킨다. 이 단계에서 가이드 관(guide conduit; 12)에 설치한 연통공(opening; 40) 각각이 각각 대응하는 분기관구(38)에 거의 일치한 상태가 된다. 가이드 관(12)을 한편의 맨홀(9)로부터 다른 한편의 맨홀(10)에 끌어 당길 때에는 가이드 관(12)이 비뚤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비뚤어짐 방지구를 견인색과 가이드 관(12)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두는 것이 좋다. 비뚤어짐 방지구를 이용한 경우는 가이드 관(12)의 전체 길이를 본관(17) 내에 배치한 뒤에 꺼낸다.
다음으로 분기 텐션부(37)를 분기관(7) 내에 끌어 넣는다. 이 작업에 있어서는 우선, 본관(17) 내의 가이드 관(12)을 전후로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분기 텐션부(37)의 선단에 있는 호루라기(42)을 분기관(7)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분기 오수 박스(43)로부터 팔걸이 형태(arm-like)의 붙잡는 기구 지그(治具) 등을 삽입하고 TV 카메라로 확인하면서 분기관구(38) 부근에 위치하는 분기 텐션부(37)의 한 끝에 설치되어져 있는 호루라기(42)를 잡고 분기 오수 박스(43)에서 꺼낸다.
또는, 분기 오수 박스(43)에서 분기관(7)과 본관(17)을 이용하여 본관(17)의 한 끝부, 예를 들어 맨홀(9)까지 견인색을 통선하여 두고, 분기 텐션부(37)와 해당 견인색을 접속하여 해당 견인색을 분기 오수 박스(43)에서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분기관(7) 내에 분기 텐션부(37)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가이드 관(12)을 초관(1)에 끼우게 한다. 도12는 가이드 관(12)을 초관(1)에 끼우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12에 있어서 가이드 관(12)의 한 끝을(도면 중간의 좌측) 맨홀(9) 내에서 손으로 감합하고 감합 장치(58)를 본관(17) 내에 도입한다. 감합 장치(58)는 미리 본관(17) 내에 통선하여 둔 인수선(59)을 맨홀(10) 측에서부터 끌어 당겨 본관(17) 내를 이동한다.
그리고, 감합 장치(58)에 설치된 부세 수단(60)에 의하여 압박부(pressing part; 61)가 가이드 관(12)을 초관(1)에 압박하고 이동하면서 감합을 해 간다. 또한, 감합 장치(58)와 같은 것이 아니라도 가이드 관(12)을 압박하면서 이동하여 초관(1)에 감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것라도 좋다. 예를 들어, 가이드 관(12)을 초관(1)에 압박 가능한 외경을 가지는 구슬(공)과 같은 것을 이동시켜 감합을 하여도 좋다.
이어서,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배설한 분기 텐션부(37)에 장력을 더한 상태로 텐션 기구(45)에 끼워넣고, 신속히 죄어서 분기 텐션부(37)를 분기관(7)의 상부쪽에 강하게 고정한다.
또한, 분기관(7)의 각도가 변하는 곡선 부분이 있는 경우 텐션 기구(45)에서 장력을 더하는 것만으로는 분기관(7) 내의 내벽 상부에 따라 분기 텐션부(37)를 부설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고정 부재(55)를 분기관(7) 내의 분기관구(38) 및 곡선 부분 주변에 적절하게 설치한 것에 의해서 곡선 부분을 가진 분기관(7)이라도 분기 텐션부(37)를 분기관(7)의 대략 상부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 관(12)을 본관(17)의 내면 상부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도8에 나타낸 이완 방지재(50)를 본관(17) 내에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11 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본관(17)의 대략 상부에 설치된 초관(1)에 분기 텐션부 (37)가 설치되어져 있는 가이드 관(12)을 감합시키고, 가이드 관(12) 내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병렬로 배선함과 동시에 본관(17)에 접속하는 각 분기관(7) 내의 대략 상부에 설치된 분기 텐션부(37)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분기 오수 박스(43)까지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부설하여 각 가정(8)으로 인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21) 대용으로 부름선(41)을 사용한 경우는 최후에 이 부름선(41)과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교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의한 시공이 종료된다. 이것에 의해, 최종 공정에 이르기까지는 가이드 관(12)의 공간부(14) 속 및 분기 텐션부(37) 내에는 부름선(41)이 입선되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 관(12)의 설치 작업 시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파손되어 버리는 일이 없게 되고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부름선(41)과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교체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먼저 부름선(41)의 한 끝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접속한다. 이 접속 방법으로서, 깊이 파고 들어가 금속 링 등으로 죄어도 좋고, 분기 통신 케이블(21)의 피막과 부름선(41)의 재질이 플라스틱제로, 또한 부름선(41)이 튜브 형태라면 부름선(41) 내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21)의 선단을 적당한 길이로 삽입하여 중복 부분을 형성하고, 그 중복 부분을 외면에서 열 압착(壓着)이나 유전(誘電)에 의하여 압착하여 중복 부분 플라스틱을 녹이면서 우그러뜨리고 거의 단차가 생기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름선(41)과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거의 같은 외경(外徑)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분기 통신 케이블(21)을 끌어 넣음과 동시에 무리하게 인입력이 단차 부분 등에 작용하여 응력(應力) 집중이 생겨 분기 통신 케이블(21)이 단선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름선(41)과 분기 통신 케이블(21)의 접속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름선을 이용하여 다른 방법에 의해 접속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관(17)에 접속한 분기관(7)을 포함하는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하수도관 등의 지중 관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는 통신 케이블(106)을 입선하기 위한 초관(103)을 구비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성되어져 있는 본관(105)과(도29 참조)본관(105)에 접속하여 각 가정(108)에 도달하여 있는 비정보 대응관인 분기관(107)으로 되어진 지중 관로에 대하여 분기관(107)에도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부설하고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관(107)도 포함하여 지중 관로 전체를 정보 대응관으로 하기 위하여 적용되어진다. 또한, 본관(105)은 맨홀 등의 출입공(109,110) 등을 이용하여 접속되어져 있고, 맨홀(109) 등에는 접속 분기 박스(111)가 설치하게 되어져, 이 접속 분기 박스(111)에서 본관(105)의 상부로 설치되어져 있는 초관(103) 내부에 연결되어진 통신 케이블(이하,「간선 통신 케이블; 106)」이라고도 말한다)끼리 접속되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3은 그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관(112)(가이드 관 실시예Ⅰ)을 나타낸다. 이 가이드 관(112)은 초관(103)을 구비한 본관(105)(도29 참조) 내에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도13에 도시한 가이드 관(112)은 초관(103)에 따른 길이 방향을 가지고 초관(103)의 외면에 갑합하기 위한 감합부(113)와 주로 분기 통신 케이블(일반적으로 말하는「인입선」을 가리킨다)을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형성되어진 공간부(114)를 길이 방향을 따라 갖고 있다.
공간부(114)는 감합부(113)의 주위에 형성되어져 구분판(115)에 의해 복수 층(114a, 114b, …)을 형성하도록 상하에 구획되어져 있고, 이 각 층(114a, 114b, …)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어진다. 공간부(114) 내에는, 후술하는 간선 텐션부나 간선 통신 케이블(일반적으로 말하는「간선 케이블(trunk cable)」또는「분기 케이블(branch cable)」을 가리킨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관(112)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관(105) 내에 설치할 때에 미리 통신 케이블과 교체하기 위한 부름선을 연결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인 가이드 관(116)(가이드 관 실시예Ⅱ)을 나타낸다. 가이드 관(116)도 가이드 관(112)과 마찬가지로 감합부(117)를 가지고 있고 공간부(118)는 구분판(119)에 의하여 상하 방향에 4단으로 된 각 층(118a, 118b, …)을 형성하도록 구획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관의 구조로서는 초관(103)의 외면에 끼워지는 감합부와 통신 케이블이 길이 방향으로 입선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 되어 있으면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관(112,116)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제(樹脂製)로 경량이면서 내약품성을 가지는 것이 좋지만, 그 밖의 소재라도 지중 관로의 종류에 따라서 선정 가능하다. 덧붙혀서, 이하 가이드 관(116)에 관한 설명은 가이드 관(1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30)에 도시된 본관(105)에 구비된 통신 케이블(106)을 입선하기 위한 초관(103a) 내에는 통신 케이블(106)과 함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160)가 연결되어 있다. 이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160)에 맨홀(109, 110) 내에 설치되어진 텐션 장치(122)(후술한다) 등에 의하여 맨홀(109, 110) 사이로 장력을 더하여 초관 (103a)을 본관(105) 내의 상부 쪽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맨홀(109, 110) 사이의 거리가 길고, 초관(103a)을 설치하고 있는 본관(105)의 길이가 긴 경우 등에서는 초관(103a)이 맨홀(109, 110) 사이의 중간 위치 등에서 휘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도2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브래킷(104)이 초관(103a)의 휨이 작아지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160)는 후술하는 간선 텐션부(trunk tension member; 12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관(103a) 내에 통신 케이블과 함께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 (160)가 연결한 초관(103a)은 도29에 도시한 초관(103)과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 관에 밖으로 감합되어져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로는 초관(103)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초관(103a)을 이용한 경우에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도15는 가이드 관의 일 실시예인 가이드 관(116)을 초관(103)에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초관(103)은 본관(105)의 상부에 설치되어져 있고 내부에 간선 통신 케이블(106)이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초관(103)의 외면에 가이드 관(116)이 감합부(117)로서 밖으로 갑합되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16)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제이고 감합부(117)가 일단 휘어지도록 변형한 후, 신속하게 탄성을 회복하기 때문에 초관(103)의 외면에 용이하게 밖으로 감합할 수 있다.
가이드 관(116)의 공간부(118)에 있어서 최상단 계층(118c)에는 간선 텐션부 (120) 및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연결되어져 있다. 이 각 분기 통신 케이블 (121)은 맨홀(109) 등에 설치되어진 분기 접속 박스(111)에 간선 통신 케이블(106)로부터 분기되어진 통신 케이블이고, 뒤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과 같이 각 가정 (108)에 부설되어진다(도26 참조). 이 분기 통신 케이블(121)은 부설이 필요한 가정(108)의 호수 등에 따라 필요 개수만큼 간선 통신 케이블(106)로부터 분기되어진다.
또한, 도15에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간부(118)의 각 층의 높이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의 외경의 2배보다 작아지도록 구획되어져 있고, 이것에 의해 각 층에 통신 케이블을 복수개 연결하여도 통신 케이블은 이웃하는 통신 케이블을 넘어가는 일이 없고, 층 내의 배치가 바뀌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이 감기거나 각 가정으로의 배선 장애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은 없다.
또한, 간선 텐션부(120)는 맨홀(109, 110) 사이 등에서 텐션 장치(122)에 의해서 장력을 더할 수 있고 가이드 관(116)(또는 가이드 관(112))을 본관(105) 내의 상부 쪽에 붙이는 역할을 수행한다(도26 참조). 이 간선 텐션부(120)는 금속제 와이어나 슈퍼 섬유라고 불리는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를 사용한 실 및/또는 그 실을 길이 방향으로 이용한 포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슈퍼 섬유의 일반적인 정의로서는 강도로 2 기가파스칼(GPa) 이상과 탄성율으로 50 기가파스칼(GPa) 이상의 섬유를 가리킨다. 그 섬유의 종류로서는 유리 섬유,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para-alamido), 탄소 섬유, 스틸 섬유, 초 고강력 폴리에틸렌 섬유, PBO(poly-p-phenylenebenzo-bis-oxazol)섬유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섬유 등이 있고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26에 나타내는 텐션 장치(122)는 예를 들어, 드럼형으로 감아서 꺼내는 식의 수동 윈치(winch)와 훅(hook)이 대응된 것이고 맨홀(109, 110) 등에 설치되어진 가이드 관(116) 내에 수용되어진 간선 텐션부(120)를 한쪽은 훅에 고정하고, 한편은 윈치에 의해 맨홀(109, 110) 사이에서 장력을 더하여 가이드 관(116)을 본관(105) 내의 상부 쪽 즉, 감합 방향 쪽에 부세한다.
여기서, 도16은 초관(103)을 본관(105) 내에 고정하고 있는 브래킷(104)이 설치되어져 있는 부분의 단면에 있어서 가이드 관(124)(가이드 관 실시예 Ⅲ)의 초관(103)에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이 가이드 관(124)은 공간부(125) 속이 구분판에 의해 구획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을 통해서 쉽게 이해되어지는 바와 같이, 브래킷(104)의 외경이 초관(103)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 관(124)의 감합부(126)가 약간 변형되면서 감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브래킷(104)이 설치되어져 있는 부분으로는 가이드 관(124)과 초관(103)의 감합이 느슨해져 버리지만, 간선 텐션부(120)에 맨홀(109, 110) 사이로 장력을 더한 것에 의해 감합 방향에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관(124)은 본관 (105)의 상부 쪽에 고정되어 진다.
또한, 간선 텐션부(120)는 맨홀 사이로 장력을 더할 수 있게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본관(105)의 길이 방향에 거의 직선적으로 배치되어지게 된다. 이 때, 간선 텐션부(120)가 배치되어진 초관(103)에 대한 위치는 가이드 관(124)에 있어서 브래킷(104)과 감합하는 부분, 즉 간선 텐션부(120)를 초관(103)에서 가장 떨어져 위치시킨 부분에서 구속되어진 것으로 되어 이 위치로 간선 텐션부(120)가 가이드 관(124)을 감합 방향에 부세하는 것이 된다.
거기에서, 간선 텐션부(120)를 연결하고 있는 공간부의 형상은 간선 텐션부 (120)의 초관(103)에 대한 위치가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한 가이드 관(116)(가이드 관 실시예 Ⅱ)의 경우라면 공간부(118)의 최상단 층(118c)의 윗 벽면(118d)이 수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윗 벽면(118d)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선 텐션부(120)는 브래킷 (104)의 외경에 합하여 층(118c) 내로 윗 벽면(118d)에 따라 바깥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해진다.
부가하여, 가이드 관(116)이 초관(103)에 감합하면 브래킷(104)이 설치되어져 있는 부분은 도16에 나타낸 가이드 관(124)의 경우처럼 가이드 관이 변형하고, 간선 텐션부(120)의 초관(103)에 대한 위치가 구속되어진 것으로 된다. 그러나, 브래킷(104)과 감합하지 않은 부분, 즉 도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초관(103)의 외면과 감합하고 있는 부분으로는 간선 텐션부(120)가 층(118c) 내로 윗 벽면(118d)에 따라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 관(116)의 초관(103)에 감합 상태는 대략 적정한 상태 그대로에 유지된다. 이 때의 간선 텐션부(120)의 위치를 도14에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위치 a는 브래킷(104)과 감합하고 있는 부분으로 간선 텐션부 (120)의 가이드 관(116)에 대한 위치를(실제는 가이드 관(116)은 변형하고 있다), 위치 b는 초관(103)의 외면과 감합하고 있는 부분으로 간선 텐션부 (120)의 가이드 관(116)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제는 위치 a와 위치 b는 초관 (103)에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14에 있어서는 모식적으로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브래킷(104)이 설치되어지는 부분으로 가이드 관(124)의 초관(103)에 감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초관(103)에 외감되어진 가이드 관(124)의 구조를 브래킷(104)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분단하고, 브래킷(104)의 바깥 방향을 감싸도록 설치한 연결 부재(123)에 의하여 분단한 가이드 관(124)끼리를 일체화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17은 브래킷(104)이 설치되어지는 간격에 상당하는 길이로 분단되어 있는 가이드 관(124)을 연결 부재(123)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브래킷(104)을 포함한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18은 본관(105)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부재(123)는 가이드 관(124)의 외면에 감합 가능한 내면 형상을 하고 있고, 본 도면에 있어서는 윗 방향의 대략 C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연결 부재(123)에 의하여, 초관(103)과 브래킷(104)의 외경의 차이에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분단된 가이드 관(124)끼리 일체화되어지게 된다. 또한, 브래킷(104)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분단한 가이드 관(124)끼리가 연결 부재(123)로 일체화되어지는 구조는 실시예 Ⅲ의 가이드 관(124)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Ⅰ, Ⅱ)의 가이드 관(112, 11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가이드 관(112, 116, 124)은 모두 초관(103)에 대하여 감합부로 외감 되는 구조의 것이지만 가이드 관의 구조는 반드시 초관(103)에 외감 되어진 것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 형태로서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초관(103)을 감싸게 하여 본관(105)의 내면과 일체화되어지고 본관(105) 내에 설치되어진 것이어도 좋다.
도19에 도시한 가이드 관(127)(가이드 관 실시예 Ⅳ)은 본관(105)의 내면 상부에 길이 방향을 맞추어서 설치되어진 것이고 그 단면은 C형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C형 단면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 부분에는 플랜지 (flange) 형태의 설치부(128)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C형 단면의 안쪽 둘레 쪽에는 안쪽 둘레 방향으로 개구(開口)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130)이 길이 방향으로 펴진 구분판(129)에 의해서 구획되어 형성되어져 있다.
이 가이드 관(127)은 본관(105)의 내면 상부에 밀착시킨 플랜지 형상의 설치부(128)와 본관(105)의 내면을 앵커 볼트(anchor bolt; 128a)에 의해서 결합하는 것으로 본관(105) 내면에 대하여 일체화하여 장착된다. 이 때에, 가이드 관(127)의 내주 쪽은 본관(105)의 상부에 브래킷(104)으로 장착된 초관(103)을 감쌀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 관(127)의 안쪽 둘레에 설치된 공간부인 케이블 수용 공간(130)은 각각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입선 가능하게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도20에 도시한 가이드 관(131)(가이드 관 실시예 Ⅴ)도 실시예 Ⅳ의 가이드 관(127)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C형과 비슷하게 형성되어지고, C형 단면의 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延部)에는 동일하게 플랜지 형상의 설치부(132)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C형 단면의 내주 쪽에는 내주 방향에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135)이 구분판(134)에 의해서 구획되어 형성되어져 있다.
이 가이드 관(131)은 가이드 관(127)과 마찬가지로 본관(105) 내면 상부 쪽에 초관(103)과 브래킷(104)를 감싸도록 하여 장착되지만, 앵커 볼트가 아니라 설치부(132)와 본관(105)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진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로 된 접착층(133)에 의해서 접착하여 일체화되어지고 있다. 또한, 설치부(132)가 설치되어져 있는 C형 단면의 양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진 관통구 (through-hole; 136)가 내부에 설치되어져 있고, 이 관통구(136)에 간선 텐션부 (120)가 연결되어지고 있다. 이 간선 텐션부(120)의 기능은 가이드 관(112, 116) 등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접착층(133)으로서는 반드시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도 되고, 예를 들어 설치부(132) 또는/및 본관(105) 내면을 가열에 의하여 용착(溶着)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금속판을 가이드 관에 내장하여 두고 외부로부터 고주파에 의한 유전 가열을 행하는 것으로 융착(融着)하여 일체화한 것이어도 좋다. 접착층(133)의 형태는 본관(105) 내면과 설치부(132)의 재질에 따라 접착 ·용착 ·융착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관(127, 131)의 경우는 가이드 관을 본관(105) 내에 설치할 때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거나 접착 등을 수행하는 등의 전용 장치가 필요하지만, 가이드 관을 초관(103)을 감싸도록 하여 본관(105) 내에 설치하는 위치를 정하는 기구와 앵커 볼트 설치나 접착 등의 일체화 수단을 동작하는 기구를 적어도 구비한 장치라면 어떤 것이어도 가이드 관의 설치는 가능하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가이드 관(112, 116, 124, 127, 131)을 본관(105) 내에 설치할 때에는 더욱 도27에 나타내고 있는 것 같이 중앙부에 요부(concave part; 凹部; 152)를 가진 둥근 원주 형상의 고정부(151)로 된 이완 방지재(150)를 도2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관(105) 내에 적절한 간격을 취하여 복수 배치함으로써, 가이드 관이 본관(105)의 내경(內徑) 방향에 느슨해지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로 유지 관리 작업에 있어서 고압 세척 작업 등의 때에 가이드 관이 초관(103)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본관(105)의 내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이완 방지재(150)의 둥근 기둥 형태 고정부(151)는 그 요부(152)로 가이드 관을 수용하면서 본관(105)의 내벽에 고정되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 관(112, 116, 124, 127, 131)을 이용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성된 본관(105)에 있어서 초관(103)의 주위에 병렬로 분기 통신 케이블 (121)을 부설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다음에 관련된 본관(105)에서 비정보 대응관인 분기관 (107)에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부설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1은 본관(105)과 본관(105)에 분기관구(138)로 접속된 분기관(107)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22는 그 일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18은 분기관구 (138 )(점선으로 나타낸다)의 부근에 있어서 본관(105)의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가이드 관(124)(가이드 관 (124 ) 대용으로 가이드 관(112, 116)이 사용되어져 있는 것이어도 좋다)에는 분기관 (107)과 본관(105)이 접속되는 장소(분기관구(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긴 구멍 형태의 개구부(139)가 형성되어져 있고, 가이드 관(124)의 내부의 공간부 (125)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이 개구부(139)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가이드 관(124)의 외부로 꺼내어 분기관(107) 내에 분기시킨 것이고 각 분기관구(138)에 대략 상응하는 위치에 분기관의 개수 분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그 개구부(139)를 덮도록 분기구(140)가 가이드 관(124)의 외면에 갑합하여 장착되어져 있다. 분기구(140)의 형상은 전술한 연결 부재(123)과 동일하게 가이드 관(124)의 외면에 감합 가능하도록 C형의 단면을 구비한 것이다. 이 분기구(140)에는 가이드 관(124)의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중공의 지부(枝部; 141)가 형성되어져 있고, 이 지부(141)의 중공 부분(hollow part)을 이용하여 가이드 관(124)에 설치되어진 개구부(139)와 외부가 연통되어져 있다.
외부로 돌출한 지부(141)의 선단에는 도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기 텐션부 (137)가 나사(142)에 의해서 나합(螺合)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일체화 수단으로서는 접착 및 용착 등도 채용 가능하다. 이 분기 텐션부(137)는 스테인레스제나 플라스틱제의 구부러질 수 있는 파이프나, 피막이 내면 또는/및 외면에 형성하고 있는 통 형태의 포백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이고 내부에 통신 케이블(121)이 연결되어진다. 더욱이, 분기 텐션부(137)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외상이나 열화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력을 더하고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분기관(107) 내에 설치하는 역할을 다한다.
이 분기 텐션부(137)에는 내부에 연결되어진 분기 통신 케이블(121)의 최소 굴곡 반경(허용 굴곡 반경) 미만까지 굴곡하지 않도록, 분기 통신 케이블(121)의 허용 굴곡 반경 이상의 굴곡 반경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분기 텐션부(137)의 내부에 입선되어져 있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허용 굴곡 반경 이하에 극단적으로 굴곡하여 파손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내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입선된 분기 텐션부(137)는 도2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기관(107)의 상부 쪽을 따라, 분기관(107) 단부의 분기 오수 박스 (143)까지 배설되어져 있다. 이 분기 오수 박스(143)에 분기 텐션부(137)를 연결 가능하고, 또한 나선(螺線) 가능한 텐션 기구(145)가 설치되어져 이 텐션 기구 (145)에 의하여 분기 텐션부(137)에 장력이 부여되어지고 있다.
또한, 분기관(107)이 만곡 부분을 갖고 있어도 분기 텐션부(137)가 분기관 (107)의 상부 쪽에 확실히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28에 도시된 것 과 같은 고정 부재(146)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 부재(146)는 C형 단면을 가지고 분기관(107)의 내면에 적합한 둥근 기둥 형태의 고정부(147)와 해당 둥근 기둥 형태의 고정부(147)로 지지되어지는 슬라이드 부(148)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146) 등을 이용한 것에 의해, 텐션을 부여한 분기 텐션 부(137)는 분기관(107)의 상부 쪽에 확실하게 설치되어지게 된다(도26 참조). 이와 같이, 분기 텐션부(137)가 분기관(107)의 상부 쪽에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오수 등의 흐름을 저지하고, 라이프라인으로서의 기능을 저해하거나 쥐에 의해 베어 먹혀져서 단선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121)은 상기와 같이 분기 텐션부(137)가 분기관 (107)의 상부 쪽을 따라 배설되어지는 것으로 가이드 관에서 분기 오수 박스(143)까지 부설되어지게 된다. 분기 오수 박스(143)는 각 가정(108)의 도시 근교 마을에서 개구하고 있고, 분기 오수 박스(143)까지 안내되어진 분기 통신 케이블(121)은 지상에서 꺼내어진 뒤, 각 가정(108)에 설치된 케이블 끝단(144)으로 인입되어져 있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관에서 분기 텐션부(137)가 분기되는 구성은 도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초관(103)을 감싸도록 하고, 본관(105)의 내면 상부에 일체화하여 장착되어져 있는 가이드 관(127, 13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진다. 덧붙혀서, 도23에 나타낸 실시예 Ⅳ의 가이드 관(127)에는 도18,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구부(155)가 설치되어져 있고, 이 개구부(155)를 덮도록 장착되어진 분기구(154)에도 가이드 관(127)의 공간부(130)와 외부를 연통하는 중공의 지부(156)가 설치되어지고, 이 지부(156)와 분기 텐션부(137)가 나사(142)에 의해서 일체화 되어져 있다. 이 분기 텐션부(137)의 내부에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입선되어지고 각 가정(108)으로 부설되어진다.
더욱이, 이 가이드 관(127)은 설치부(128)에 본관(105)의 내면에 대하여 스테이플(staple; 153)로 분기구(154)와 함께 일체화하여 장착되어져 있다. 이 스테이플(153)은 가열하여 고온 상태로 본관(105)을 녹이면서 억지로 밀어 넣거나 못과 같이 박아 넣는 것으로해서 설치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121)은 먼저 가이드 관(112, 116, 124, 127, 131) 내를 부설하게 되고, 뒤이어 각 가정(108)에 대응하는 분기 오수 박스(143)에 이르는 분기관(107) 속을 각각 대응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분기 텐션부(137)의 보호 하에 부설되어지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정보 대응관인 본관(105)과 비정보 대응관인 분기관(107)으로 구성되어져 있었던 지중 관로를 전체로 하여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분기관(107) 내에 용이하게 부설 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되어진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하면 분기 통신 케이블 (121)은 분기 텐션부(137) 내에 연결되어져 분기관(107) 내에 설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분기 통신 케이블(121)의 부설 경로가 복잡하여도 분기관(107)을 정보 대응관으로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고, 분기관(107)의 본관(105)으로의 접속 각도에 제한이 없는 것이나 라이프라인으로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것, 내수성, 내약품성, 내서성 및 내고압 세척성 등의 기능을 구비하여야 하는 요구도 달성되어진다.
또한, 본관(105)에 대하여 접속하는 분기관(107)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지중 관로 내에 통선하는 견인색(牽引索)(후술한다)의 수도 많아지고, 뒤얽힐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에,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의 선단에 호루라기를 착탈 불가능하게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호루라기의 형상은 훅 형상 및 링 형상 등 여러 가지의 형상이 채용 가능하지만, 적어도 호루라기의 외경은 가이드 관의 개구부 크기보다 크고, 가이드 관 외부로 꺼낸 분기 통신 케이블 (121)의 선단이 가이드 관의 내부로 돌아오지 않도록 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호루라기로서 약 직경 1mm 정도의 와이어를 직경이 약 100mm 정도의 구 모양으로 맞춘 것, 예를 들어 탁구 구슬과 같은 직경 약 20밀리미터의 수지제 공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의 선단을 직접 걸거나, 잡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두어도 좋다. 호루라기가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를 가이드 관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길이 만큼을 끌어 당기어 두고, 분기관구(138)에서 걸거나 잡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이드 관 내의 복수의 분기 통신 케이블(121)이 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가이드 관 안에 배치하는 장소가 각 가정(108)에 까지 뻗은 분기관(107)의 위치에 따라 순서 바른 배치 법칙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맨홀(109)에서 본관(105)의 내부를 향하여(도26 참조) 순차적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관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배치 법칙에 따르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관 등의 구축 부재를 사용하여 시공을 행하는 방법에 관하여 전술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와 설명이 중복하는 부분은 생략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부설하고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고 싶은 지중 관로의 본관(105) 내에 관하여, TV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맨홀(109, 110) 사이의 거리, 맨홀(109)에서 본관(105) 내의 각 분기관(107) 분기관구(138)까지의 거리, 분기관(107)에서 분기 오수 박스(143)까지의 거리, 분기 오수 박스(143)의 깊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한다(도26 참조).
이상과 같은 지중 관로의 조사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기초로 가이드 관(이하, 본실시 형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가이드 관(112, 116, 124, 127, 131)을 포함하는표현의 경우는, 「가이드 관」이라고 한다)의 길이나, 분기구(140, 154 등)의 설치 위치, 분기 텐션부(137)의 길이를 정하여 조립하여 둔다. 또한, 조립할 때에 가이드 관에 각 분기관구(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39, 155 등)을 설치하고, 분기 통신 케이블(121)을 해당 개구부에서 꺼냄과 동시에, 가이드 관에서 분기시킨 분기 텐션부(137) 안을 연결하여 둔다. 이 때,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의 선단에는 전술한 호루라기를 설치하여 둔다.
이상의 준비 작업에 의해서 조립된 가이드 관은 릴 드럼 등에 감기어 시공 현장에 반입되어진다. 또한, 분기 텐션부(137), 호루라기 등을 도입하는 경우는 본관(105) 내를 이동시킬 때에 본관(105) 내벽과의 마찰으로 상처를 입거나, 지중 관로의 단차 등에 걸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관(105) 내를 이동 가능한 받침 수레나 간단한 배 위에 분기 텐션부(137) 등을 묶은 상태로 싣고 이동시키고, 후술하는 견인색과 동시에 본관(105) 내로 끌어넣는 것이 좋다.
시공 현장에 있어서는 먼저 맨홀(109, 110) 사이에 견인색을 통선 한다. 견인색을 맨홀(109, 110) 사이에 통선 하는 방법으로서는, 와이어 등의 강직체를 억지로 밀어넣는 방법, 파라슈트(parachute) 형상의 통선구를 공기압으로 날려 버리는 방법, 자주형 관 내 이동차에 접속해 두는 방법 등 이미 알고있는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로 맨홀(109,110) 및 분기 오수 박스(143)에 텐션 기구(122,145)를 설치하여 둔다(도26 참조).
다음에 견인색의 한 끝과 가이드 관을 본관(105)의 한 끝부, 예를 들어 맨홀 (109)으로 접속하여 견인색을 다른 편의 맨홀(110)로부터 인수하고 본관(105) 내에가이드 관을 설치한다. 이 단계로 가이드 관에 설치한 개구부 각각이, 각각 대응하는 분기관구(138)에 거의 일치한 상태가 된다. 가이드 관을 한편의 맨홀(109)에서 다른 편의 맨홀(110)으로 인수할 때에는, 가이드 관이 비틀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비틀어짐 방지구를 견인색과 가이드 관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두어도 좋다. 비틀어짐 방지구를 이용한 경우는 가이드 관의 전체 길이를 본관(105) 내에 배치한 뒤에 꺼낸다.
다음으로, 분기 텐션부(137)를 분기관(107) 내에 끌어넣는다. 이 작업에 있어서는, 우선 본관(105) 내의 가이드 관을 전후로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의 선단에 있는 호루라기를 분기관(107)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분기 오수 박스(143)에서 암 형상(팔걸이 형상)의 붙잡음 지그 등을 삽입하고, TV 카메라로 확인하면서 분기관구(138) 부근에 위치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의 한 끝에 설치되어져 있는 호루라기를 잡고 분기 오수 박스(143)에서 꺼낸다.
또는 분기 오수 박스(143)에서 분기관(107)과 본관(105)을 이용하여 본관 (105)의 한 끝부, 예를 들어 맨홀(109)까지 견인색을 통선 하여 두고, 분기 통신 케이블(121) 또는 분기 텐션부(137)와 해당 견인색을 접속하고, 해당 견인색을 분기 오수 박스(143)에서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분기관(107) 내에 분기 텐션부(137)를 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속해서, 가이드 관(112, 116, 124)을 초관(103)에 감합 또는 가이드 관 (127, 131)을 본관(105)에 일체화시킨다. 도24 및 도25는 가이드 관을 초관에 감합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24에 있어서, 가이드 관의 한 끝을(도면 중간 왼쪽) 맨홀(109) 안에서부터 손으로 감합하여 감합 장치(158)을 본관(105) 내에 도입한다. 감합 장치(158)는 미리 본관(105) 내에 통선 하여 둔 인수선(57)을 맨홀(110) 쪽에서 인수해 가는 것에 의해 본관(105) 내를 이동한다. 그리고, 감합 장치(158)에 설치된 부세 수단(159)에 의하여, 압박부(160)가 가이드 관(112, 116, 124)을 초관(103)으로 압박하고 이동하면서 감합을 해 간다. 또한, 감합 장치 (158)와 같은 것이 아니라도, 가이드 관(112, 116, 124)을 압박하면서 이동하여 초관(103)에 감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가이드 관(112, 116, 124)을 초관(103)으로 압박 가능한 외경을 가진 구슬과 같은 것을 이동시켜서 감합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도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 형상의 반전 튜브(inverted tube; 161)를 유체압에 의하여 본관(105) 내로 진행시켜, 가이드 관(112, 116, 124)의 감합부를 초관(103)으로 압박하고 연속적으로 감합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초관(103)을 감싸도록 하여 가이드 관(127, 131)을 본관(105) 내면에 일체화시킨 경우는, 적어도 상하에 동작하는 가이드 관(127, 131)을 초관(103)에 압박시킨 상동(上動) 수단과 앵커 볼트 등을 본관(105) 내면으로 일체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이용하여 가이드 관(127, 131)의 본관(105)으로의 설치를 행한다.
또한, 가이드 관의 초관(103)으로의 설치 작업중에 보조적으로 가이드 관을 초관(103)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간선 텐션부(120)를 텐션 기구(122)에 설치하고본관(105) 내로 장력을 더하여 가이드 관을 일단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분기 텐션부(137)를 분기관(107) 내벽의 대략 상부에 따라 설치하기 위해 고정 부재(146)를 분기관(107) 내의 분기관구(138)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해 분기관(107) 본래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고정 부재(146)를 설치할 때에는, 우선 분기 오수 박스(143)에 도달하여 있는 분기 텐션부(137)를 고정 부재(146)의 슬라이드부(148) 내에 통과시킨다.
슬라이드부 (148)에 분기 텐션부(137)를 통하게한 상태로 축경(縮徑) 된 고정 부재(146)의 둥근 기둥 형상 고정부(147) 및 그 슬라이드 부재(148)를 분기관 (107) 내를 통하여 분기관구(138) 부근에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 및 설치 조작의 보조 수단으로서 에어 팍커(air packer) 또는 전용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에어 팍커 등을 수축한 상태로 분기 오수 박스(143)에서 분기관 (107)으로 삽입하여, 고정 부재(146)의 지름이 줄어든 실린더 형상 고정부(147)의 내측에 들어오고, 이 에어 팟카 등을 확장하여 고정 부재(146)의 실린더 형상 고정부(147)를 유지하고, 에어 팟카 및 고정 부재(146)를 분기관구(138)까지 이동시킨 뒤, 에어 팟카 등을 더욱 확장하여 줄어든 고정 부재(146)의 실린더 형상 고정부 (147)의 지름이 확장 되도록 풀고 고정 부재(146)을 분기관(107) 내벽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분기 오수 박스(143)까지 배설한 분기 텐션부(137)에 장력을 더한 상태로 텐션 기구(145)에 연결, 신속히 조임으로써 분기 텐션부(137)를 분기관 (107)의 상부 쪽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분기관(107)이 급격히 각도가 변하는 만곡 부분을 가지는 경우, 텐션 기구(145)로 장력을 더하는 것만으로는 분기관(107) 내의 내벽 상부에 따라 분기 텐션부(137)를 부설할 수 없다. 이 경우, 고정 부재(146)를 분기관(107) 내의 만곡 부분 주변에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만곡 부분을 가지는 분기관(107)이라도 분기 텐션부(137)를 분기관(107)의 상부 부근을 따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 관을 본관(105)의 내면 상부에 확실히 고정하기 위하여, 도27에 나타낸 이완 방지재(150)를 본관(105) 내의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26 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105) 상부에 설치된 초관(103)의 주위에 병렬로 배선함과 동시에, 본관(105)에 접속하는 각 분기관(107) 내의 상부 쪽에도 부설할 수 있고 각 가정(108)으로 이끌 수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 대용으로 부름선, 예를 들어 외경이 통신 케이블의 외경과 대충 같은 우레탄제의 튜브 형태의 것으로 된 부름선 등을 사용한 경우는 최후에 이 부름선과 통신 케이블을 교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에 의한 시공이 종료된다. 이것에 의해, 최종 공정에 이르기까지는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 및 분기 텐션부(137) 내에는 부름선이 입선되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 관의 설치 작업 시에 통신 케이블이 파손되어버리는 일이 없이 시공의 안정성을 늘릴 수 있다.
더욱이, 부름선과 통신 케이블을 교체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우선 부름선의 한 끝에 통신 케이블을 접속한다. 이 접속 방법으로서는 깊이 파고 든 금속 링 등으로 졸라메어도 좋고 통신 케이블의 피막과 부름선의 재질이, 브라스 코스메틱제 또는 부름선이 튜브 형태라면 부름선 내부에 통신 케이블의 선단을 적당 길이 삽입하여 중복 부분을 형성하고, 그 중복 부분을 외면으로부터 열 압착이나 유전에 의하여 압착하여 중복 부분의 플라스틱을 녹이면서 우그러 뜨리고, 거의 단차가 생기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름선과 통신 케이블을 거의 같은 외경으로 하는 것에 의해, 통신 케이블을 끌어넣을 때에 무리한 인입력이 단차 부분 등에 작용하여 응력 집중이 생겨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1) 초관(103)에 외감하는 것으로 본관(105)에 장착되어진 가이드 관 (112, 116, 124)의 형태로서는, 가이드 관 실시예Ⅰ∼Ⅲ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초관(103)의 외면에 갑합되어지는 감합부와 통신 케이블이 길이 방향으로 입선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져있는 것이어도 좋다.
(2) 또한, 초관(103)을 감싸도록 하여 본관(105)에 장착되어진 가이드 관 (127, 131)을 본관(105) 내면에 일체화하는 수단으로서는 앵커 볼트(128a), 접착층 (133), 스테이플(153)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관을 길이 방향에 걸쳐 본관 (105) 내면으로 고정 가능한 수단이라면 여러 가지 것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장력을 더하고 초관을 지중 관로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지중 관로를 정보 대응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관의 본체부가 펴지기 쉬운 소재라도 강도가 높고 펴짐이 낮은 재료인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로 일체화된 초관을 본관 내에 끌어 넣고 설치할 때에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는 본체부에 대하여 비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올바르게 지중 관로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은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에 입선되어져, 가이드 관이 그 감합부로 초관과 감합되어진 것으로 본관에 따라 부설되어지고, 또한 분기관의 해당 위치로 가이드 관의 공간부와 연통하여 있는 분기 텐션부 내에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이 분기 텐션부를 분기관 내에 설치한 것에 의해 아울러 분기 통신 케이블도 분기관 내에 부설되어진다. 이것에 의해, 본관과 분기관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지중 관로를 전체로서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에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케이블은 분기 텐션부 내에 연결되어지고 분기관 내에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경로가 복잡하여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분기관의 본관으로의 접속 각도에 제한 없는 것과 라이프라인으로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은 것이라고 하는 내수성, 내 약품성, 내서성 및 내고압 세척성 등의 기능을 구비할 것이라고 하는 요구도 달성하게 된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은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에 입선되어져, 가이드 관이 초관을 감싸도록 하여 본관이 내면과 일체화되어지는 것으로 본관에 따라 부설되어지고, 또한 분기관의 해당 위치로 가이드 관의 공간부와 연통하여 있는 분기 텐션부 내로 연결되어진다. 이 분기 텐션부를 분기관 내에 설치한 것에 의해 아울러 분기 통신 케이블도 분기관 내에 부설되어진다. 이것에 의해, 지중 관로를 전체로서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에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관을 본관의 상부 쪽에 설치하고, 미리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에 연결되어진 간선 텐션부에 본관 양단에 위치하는 맨홀 사이로 장력을 더하는 것으로 본관 내로 확실하게 가이드 관을 고정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 관이 초관에 외감 되고 있는 경우는 가이드 관과 초관의 감합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종 공정에 이르기까지는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 및 분기 텐션부 내에는 부름선이 입선되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관의 설치 작업 시에 통신 케이블이 파손되어버리는 일이 없이 시공 안정성을 늘 수 있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은 가이드 관의 공간부 내에 입선되어져 있어 가이드 관이 초관에 외감되어지는 것으로 본관에 따라 부설되어지고, 또한 분기관의 해당 위치로 가이드 관의 공간부와 연통하여 있는 분기 텐션부 속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분기 텐션부가 분기관 내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에 의해, 아울러 분기 통신 케이블도 분기관 내로 부설되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분기관도 정보 대응관으로서 구축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에 용이하게 부설 가능한 구조가 실현되어진다.
그리고, 통신 케이블은 분기 텐션부 내에 연결되어져 분기관 내에 설치하게 되어지고, 통신 케이블의 부설 경로가 복잡하여도 분기관을 정보 대응관으로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고 분기관의 본관으로의 접속 각도에 제한 없는 것과, 라이프라인으로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은 것으로 내수성, 내약품성, 내서성 및 내고압 세척성 등의 기능을 구비할 것이라고 하는 요구도 달성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관이 초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브래킷 부분으로 분단하고 연결 부재로 일체화한 상태가 되어져 있는 것으로 가이드 관은 브래킷부를 회피하여 초관에 무리없이 감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가이드 관은 본관의 상부에 또한 분기 텐션부는 분기관의 상부에 확실하게 설치되어지기 위해, 하수도관과 같은 관의 하부를 사용하는 관에 대하여 라이프라인으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이 없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 특성을 가진 실을 적어도 길이 방향에 사용한 포백을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로서 사용한 것에 의해 제조 시 및 관내 작업 시에 취급하기 쉽고 또한 손상도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장력을 더하고 기설관의 대략 상부에 고정할 때에 포백이라면 텐션 기구의 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용이하게 감아서 꺼내는 것이 가능하고, 초관에 장력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내식성 피막을 가진 것으로 내약품성이나 내마모성, 내절창성이 뒤떨어지는 실이 사용 가능하고, 폭넓은 종류 중에서 가장비용 대 효과가 크고 고강도 저신도 특성을 가지는 실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부의 외면에 감합부가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초관에 다양성이 있는 가이드 관을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현장에 따라 분기 통신 케이블의 심수를 입선할 수 있는 가이드 관을 초관에 감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본체부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초관을 지중 관로 내에 고정하는 경우에, 초관의 양단에 위치하는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이용하여 텐션 기구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초관 자체에 장력을 더하여 초관을 설치하는 경우보다 텐션 기구나 초관 단부로의 구조가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에 높이가 통신 케이블 외경의 2배보다 작은 복수의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각 층에 통신 케이블을 복수개 연결하여도 통신 케이블은 이웃하는 통신 케이블을 넘어가지 않고, 층 내의 배치가 바뀌는 일이 없는 가이드 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이 얽히거나 각 가정에 배선 장애가 생기는 일이 없다.
그리고, 가이드 관은 본관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설치부를 가지고 있고, 초관을 감싸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본관 내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부를 내부에 가지는 것과 이 공간부 내에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으로 초관의 주위에 병렬로 새로운 통신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다. 따라서, 분기관 내에 입선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용이하게 본관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되어진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한 초관을 맨홀을 이용하여 지중 관로에 연결하고,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상기 맨홀 내벽에 장력을 가하여 고정하고, 상기 초관을 지중 관로 내의 상부 부근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2. 상기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되어진 분기관으로 되어진 초관을 상기 본관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한 뒤, 상기 초관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관과 상기 본관과의 접속되어지는 곳에 대응한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어진 분기 텐션부가 분기되고 있는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 관의 상기 감합부를 상기 초관에 감합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분기 텐션부를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3. 상기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된 분기관으로 되어진 초관을 본관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한 뒤;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관과상기 본관과의 접속 개소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어지는 분기 텐션부가 분기되고 있는 가이드 관을 본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초관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 내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분기 텐션부를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4. 상기 공간부 내에 미리 고강도 저신도성의 간선 텐션부를 연결시켜 두고, 상기 가이드 관을 본관 내에 설치한 뒤;
    상기 간선 텐션부에 상기 본관의 양단이 각각 접속하고 있는 맨홀 사이로 장력을 더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상기 본관의 대략 상부 쪽에 부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기재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5.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분기 텐션부 내에 미리 통신 케이블과 교체하기 위한 부름선을 입선하고 두고, 최종 공정으로 상기 부름선과 통신 케이블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
  6.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된 분기관으로 되어지고;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한 초관이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장력을 더하고 지중 관로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되어지고;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하게 된 가이드 관이 상기 초관에 외감 되는 것으로 상기 본관 내에 설치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7. 상기 본관이 내면으로 설치되어짐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져 있는 브래킷에 의하여 상기 초관이 장착되어지고, 초관에 외감되어진 상기 가이드 관은 복수로 분단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브래킷의 바깥 방향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진 연결 부재에 의하여 서로에게 일체화되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6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8. 지중 관로가 본관과 이 본관에 접속된 분기관으로 되어진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되어진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한 초관이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에 장력을 더하여 지중 관로 내의 대략 상부에 고정되어지고;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 관이 상기 초관을 감싸면서 상기 본관이 내면과 일체화하여 상기 본관 내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분기관과 상기 본관과의 접속 개소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공간부와연통하여 상기 분기 통신 케이블이 입선되어진 분기 텐션부가, 상기 가이드 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분기관 내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9. 상기 가이드 관의 상기 공간부 내에는 고강도 저신도성의 간선 텐션부가 연결되어져 있고;
    해당 간선 텐션부는 맨홀 사이로 장력을 더할 수 있고, 상기 초관에 외감하고 있는 상기 가이드 관을 감합 방향에 부세하고, 또한 상기 분기관 내에서 상기 분기 텐션부에 장력을 더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분기 텐션부가 상기 분기관의 상부 쪽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6 내지 청구항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구조.
  10.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하여 설치된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를 구비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
  11.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는 고강도 저신도 특성을 가지는 실을 적어도 길이 방향에 사용한 포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0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
  12.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내식성 피막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0 또는 청구항11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
  13.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감합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0 내지 청구항12의 어느 한쪽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
  14. 상기 고강도 저신도성 재료체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인 청구항10 내지 청구항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초관.
  15.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초관이 설치된 지중 관로에, 다시 한번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이고;
    상기 초관의 외면에 감합하기 위한 감합부와,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형성되어진 공간부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
  16. 상기 공간부에, 해당 공간부를 상하에 구획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구분판에 의하여 복수의 계층이 형성되어지고;
    이 각 계층의 높이가, 상기 공간부에 입선되어진 통신 케이블의 외경의 2 배보다 작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5에 기재된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
  17.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초관이 설치된 지중 관로에,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중 관로의 내면에 대하여 상기 초관을 감싸게 하여 전체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지중 관로에 장착되어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대응관의 구축 부재인 가이드 관.
KR10-2003-7013523A 2001-11-22 2002-11-22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 KR20040054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6953 2001-11-22
JPJP-P-2001-00356953 2001-11-22
JP2002198850A JP4311608B2 (ja) 2002-07-08 2002-07-08 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に用いられる鞘管
JPJP-P-2002-00198861 2002-07-08
JP2002198861A JP4219627B2 (ja) 2001-11-22 2002-07-08 情報対応管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構築構造ならびにその構築部材
JPJP-P-2002-00198850 2002-07-08
PCT/JP2002/012224 WO2003044918A1 (fr) 2001-11-22 2002-11-22 Procédé de construction de passages de câbles de communication, structure construite, et module de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613A true KR20040054613A (ko) 2004-06-25

Family

ID=2734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523A KR20040054613A (ko) 2001-11-22 2002-11-22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41403B2 (ko)
EP (1) EP1447893A4 (ko)
KR (1) KR20040054613A (ko)
CN (1) CN100413162C (ko)
CA (1) CA2440939A1 (ko)
HK (1) HK1068190A1 (ko)
TW (1) TWI279055B (ko)
WO (1) WO2003044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7991B1 (en) * 2006-12-13 2008-07-0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and the performance thereof
AT506053B1 (de) * 2007-10-25 2009-08-15 Cablerunner Austria Gmbh Manschette zur kabelverlegung in rohrsystemen, anordnung mit manschette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eienr manschette
CN102124389A (zh) * 2008-06-19 2011-07-13 康宁光缆系统有限公司 光缆、组件及其性能
AU2012213938B2 (en) * 2008-06-25 2014-07-31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Duct
CA2728837C (en) 2008-06-25 2017-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rop access 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horizontal cabling in multi-dwelling unit applications
BRPI0923970A2 (pt) * 2009-03-27 2016-0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utos de sustentação para um sistema local de acesso de cabo de transmissão para cabeamento horizontal nas aplicações destinadas às unidades com moradores múltiplos
WO2010110825A1 (en) 2009-03-27 2010-09-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profile fiber drop point of entry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US20110030190A1 (en) * 2009-08-06 2011-02-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l drop in a living unit in a building
US8224140B2 (en) * 2009-12-11 2012-07-17 Corning Cable Systems Llc Cables with bend insensitive optical fibers
ES2611855T3 (es) 2010-04-14 2017-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ductos con soporte de adhesivo que puede ser retirado para cableado y un método de retirada
US8434740B2 (en) * 2010-08-30 2013-05-07 Marinus R. Logtenberg Apparatus (sheave) for guiding cable in and out of manholes and conduits
US9080691B2 (en) * 2013-09-10 2015-07-14 At Water Plumbing Co. Pipe securing apparatus
CN104405027A (zh) * 2014-11-05 2015-03-11 扬州大学 老小区雨污分流改造系统
CN106451271B (zh) * 2016-12-28 2017-12-01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迁西县供电分公司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及其安装方法
GB201712911D0 (en) * 2017-08-11 2017-09-27 Nuron Ltd Containment systems
US10948680B1 (en) * 2018-10-09 2021-03-16 Facebook,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 via duct installation
CN113972604B (zh) * 2021-10-20 2023-01-17 江苏日龙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高导热耐高压强度好的通信、电力电缆套管
CN115085113B (zh) * 2022-08-23 2022-11-08 山东博诚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耐高压电缆的外部防护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939A (en) * 1979-10-09 1983-01-04 Mcmillan Ronald R Wire holder system and method of positioning and maintaining a bundle of wires
GB2129627B (en) * 1982-09-22 1986-12-10 Water Res Centre Installation of communications cables
GB8309671D0 (en) 1982-11-08 1983-05-11 British Telecomm Optical fibre transmission lines
US4475629A (en) * 1982-11-30 1984-10-09 American Polywa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metering and spreading lubricant in a conduit
JPH0491611A (ja) 1990-08-06 1992-03-25 Nkk Corp 埋設管へのケーブル敷設方法
DE9017866U1 (de) * 1990-09-24 1992-07-30 Dipl.-Ing. Dr. Ernst Vogelsang Gmbh & Co Kg, 4352 Herten Kabelführungsrohrbündel aus einer Mehrzahl von Kunststoffrohren
JP2975104B2 (ja) 1990-11-29 1999-11-10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布設工法
JP2851169B2 (ja) * 1991-01-23 1999-01-27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下水・排水管路への光ケーブル布設方法
JPH10110868A (ja) 1996-10-04 1998-04-28 Sekisui Chem Co Ltd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通線用下水管
DE29700912U1 (de) 1997-01-20 1997-02-27 Hecht, Martin, 93167 Falkenstein Lichtwellenleiterkabelnetz
FR2758917B1 (fr) 1997-01-24 1999-04-02 Segic Ingenierie Gaine ou conduit pour la mise en place de cables et analogues dans des ouvrages souterrains
JPH11122774A (ja) * 1997-10-13 1999-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自在バンドおよび自在バンド取付工具
EP0942504A1 (de) * 1998-03-12 1999-09-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Kabeln in Kanal- oder Rohrsystemen
JPH11311369A (ja) * 1998-04-28 1999-11-09 Sekisui Chem Co Ltd 鞘管支持具および鞘管の支持構造
JP2000291744A (ja) * 1999-04-07 2000-10-20 Kurimoto Ltd ケーブル布設用鞘管の引込み治具
US6304698B1 (en) * 1999-09-22 2001-10-16 Milliken & Company Conduit insert for optical fiber cable
US7179019B2 (en) * 2000-08-07 2007-02-20 Ashimori Industry Co., Ltd. Method and structure for laying communication cable in underground line, and members used for laying
JP4471489B2 (ja) 2000-12-18 2010-06-02 三機工業株式会社 管内ケーブルのメッセンジャワイヤ緊張装置および緊張方法
US6708728B2 (en) * 2001-07-17 2004-03-23 Insituform (Netherlands) B.V. Installation of cured in place liners with air and steam and install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4918A1 (fr) 2003-05-30
HK1068190A1 (en) 2005-04-22
TW200301608A (en) 2003-07-01
US7341403B2 (en) 2008-03-11
US20040253057A1 (en) 2004-12-16
EP1447893A1 (en) 2004-08-18
EP1447893A4 (en) 2005-05-11
TWI279055B (en) 2007-04-11
CN1511364A (zh) 2004-07-07
CN100413162C (zh) 2008-08-20
CA2440939A1 (en) 200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4613A (ko) 정보 대응관의 구축 방법과 그 구축 구조 및 구축 부재
US7179019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laying communication cable in underground line, and members used for laying
CN101981772B (zh) 用于将缆索的索股牵引到管道内的方法和相应系统
JP2007507747A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用導管挿入体
US6301414B1 (en) Communication cable network in a duct or tube system used primarily for other purposes
JP4601012B2 (ja) 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方法及び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構造
US10310192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JP4311608B2 (ja) 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に用いられる鞘管
JP4417891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方法
JP4219627B2 (ja) 情報対応管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構築構造ならびにその構築部材
JP3980258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方法
JP5557369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およびケーブル敷設方法
JP3616995B2 (ja) 可撓管体の敷設方法
JP2004343824A (ja) 通信ケーブル入線用管体の引き込み治具
JP4425497B2 (ja) 通信ケーブルの地中管路内敷設構造
KR200150494Y1 (ko) 개량된 케이블 포설용 끌기고리
JP2022127245A (ja) 導管の開口端における繊維さや管の整列装置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JP4163035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接続部を固定する方法及びその固定構造
JP2003299235A (ja) 通信ケーブルの地中埋設管路配線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ガイド管
JP2005185013A (ja) 通信ケーブルの敷設方法及び通信ケーブルの支持構造
JPH0915253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S62204204A (ja) 光フアイバケ−ブルの布設方法
JPH09197227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地下配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20000047123A (ko)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