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537A - 발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발목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537A
KR20040052537A KR1020040015526A KR20040015526A KR20040052537A KR 20040052537 A KR20040052537 A KR 20040052537A KR 1020040015526 A KR1020040015526 A KR 1020040015526A KR 20040015526 A KR20040015526 A KR 20040015526A KR 20040052537 A KR20040052537 A KR 2004005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triking member
striking
impact soun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345B1 (ko
Inventor
최선희
김준형
김영운
Original Assignee
김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운 filed Critical 김영운
Priority to JP2004001363U priority Critical patent/JP3104066U/ja
Publication of KR2004005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원통형상의 타격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음흡수재를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타격부재의 밑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타격부재에 타격되는 회수를 계수하여 디지털 숫자로 표시하는 LCD표시기 또는 음성으로 나타내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목이 타격되는 타격부재에 탄성수단을 부착하여 발목이 아프지 않고 운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타격회수를 LCD표시기나 스피커를 통해서 중간 중간 타격회수를 알수 있다.
사용자가 발목을 타격부재에 타격시 진동이나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게 진동과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음흡수부재를 부착하므로 마음 놓고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을 허브향으로 찜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목운동기구{Ankle Joint Exerciser}
본 발명은 발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발목(ankle joint)부위를 때려주는 "발목펌프(ankle joint pump)"를 개량하여 소음이 없고, 사용이 편리한 발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발목펌프"라 함은 사람이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로 양다리를 번갈아 들었다가 떨어뜨리면서 아킬레스건과 종아리부에 가까운 부위(이하 "발목"이라 한다)를 타격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마치 수돗물을 펌프질 하듯이 발목에 집중되어 있던 정맥의 혈액을 심장 쪽으로 강제 이송시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운동을 말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사람의 발목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타격부재를 타격하여 발목의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 운동을 "발목운동"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발목운동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미국 특허제 4,452,447호(특허일 : 1984.6.5.)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계를 사용하여 발목운동을 하는 발목운동기구(Ankle Exerciser)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0-334067호(공개일 : 2000.12.5)에서도 누워서 하는 발목운동기구가 공개되어 있고, 독일 특허공보 제 4,301,180호(공고일 : 1993.8.5)에 의하면, 혈액순환을 좋게 하기 위하여 발을 올려놓고 발목의 근육 운동을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발목펌프는 일본에서 1939년에 태어난 '이나가키 아미사쿠라'는 사람이 어릴 때부터 신장병가 당뇨병에 시달리다가 자연 속에서 몸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을 찾던 중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보고 발명하였다고 한다. 높이 수십 미터인 나무가 물을 빨아올리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식물은 아무리 애를 써도 모세관현상만으로는 몇 미터밖에는 물을 빨아올릴 수가 없다.
그런데 이나가키씨는 식물의 잎이 바람을 받기 좋은 형태로 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식물이 물을 빨아올리는 원동력은 잎이 바람으로 상하로 움직이므로 생기는 펌프작용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정맥이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지므로 혈액순환이 증진된다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여 이를 이용한 것이다.
발목펌프의 원리는 심장에서 나가는 동맥의 혈액(아래로 내려가는 혈액)과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의 혈액(위로 올라가는 혈액)이 밸런스가 맞아야 비로소 전신의 혈액 순환이 좋아지며 한 개 한 개의 세포가 건강하게 된다는 것이다. 심장에서 밀려나간 혈액은 발끝까지 오면 이미 힘이 없어져서 그대로 중력을 거슬리고 심장까지 되돌아갈 힘이 없다고 한다.
바람에 떨리는 나뭇잎처럼 사람도 발을 상하로 움직이면 전신의 혈액 순환이 바로 좋게 되어 몸이 한결 가벼워지고 병이 없어지게 된다. 발목펌프는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혈액의 흐름을 깨끗이 하여 쾌식. 쾌면. 쾌변을 자랑하게 되며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는 운동이다.
도 1은 종래의 발목펌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펌프운동 기구의 구조도이다. 종래의 펌프운동 기구는 지름이 6㎝ ∼10㎝이고, 길이는 30㎝의 통나무(1)를 수건(2)으로 감아서 만든다. 상기 통나무(1) 대신 파이프, 맥주병 또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사용하기도 하고, 상기 수건(2)은 가죽이나. 천등의 덮개를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발목운동을 할 경우에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에서 발목에 상기 통나무(1)를 오른발목과 왼쪽발목을 번갈아 들어올려서 통나무(1)에 내리치는 행위를 반복하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발목운동 과정에서,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여 다리를 들어올린 후 이를 떨어뜨릴 때 발목부위가 아프다는 문제점이 있고, 타격시마다 마음속으로 일일이 회수를 계수하여야 하고, 중간 중간 타격회수를 알기 어려워서 어느 정도 운동을 해야 하고 있는 지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발목을 통나무에 타격할 때 소음과 진동이 아파트 아래층에 들리게 되어 이웃간에 불화가 되어 펌프운동을 마음 놓고 운동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출장이나 여행을 갈 때 이 운동기구를 휴대할 수 없고, 집에서도 여기 저기 굴려 다니므로 미관을 해치고 보관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격부재에 탄성을 주는 탄성수단을 구비한 발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격회수를 액정표시기(LCD) 또는 스피커로 중간 중간 타격회수를 알려주는 표시장치를 갖는 발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격시 진동이나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게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음흡수부재를 구비한 발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휴대할 수 있는 발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목운동을 하면서 허부향으로 발을 찜질할 수 있는 발목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발목펌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발목펌프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부재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충격음흡수부재의 단면도,
도 6은 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7은 표시장치의 전기회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받침대 구조도,
도 14는 타격부재와 본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타격부재와 본체의 결합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사용되는 훈열기의 분해도.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통나무 10 : 타격부재
11: 본체 12 : 쿠션부재
20 : 받침대 25 : 완충부재
30 : 충격음흡수부재 34 : 판스프링
40 : 표시장치 50 : 훈열기
53 : 면상발열체 60 : 훈열구멍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윗면은 속이 빈 공간을 갖는반원통형상의 타격부재이고, 상기 타격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음흡수재를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타격부재의 밑면에 결합시켜서 구성한다. 상기 충격음흡수부재의 기본모재층은 폴리우레탄층이고, 그 상부면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로 이루어진 연질의 고분자재료층이고, 그 하부면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를 포함하는 경질의 고분자재료층이다.
상기 타격부재에 타격되는 회수를 계수하여 디지털 숫자로 표시하는 LCD표시기를 상기 타격부재의 한쪽면에 부착하고,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충격음흡수부재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판스프링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의 형상은 속이 빈 공간을 갖는 반원통형상이거나 속이 비어 있지 않는 반원통형상이고, 재료는 향나무, 오동나무, 미송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표시장치는 상기 타격부재에 가해지는 타격회수를 계수하여 이를 음성으로 표현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부재(10)는 길이가 30㎝내외이고, 지름은 6 ㎝ ∼ 10㎝인 원통형 또는 반원통형의 오동나무, 향나무, 미송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만든 본체(11)에 발목이 타격부재(10)를 타격할 때 나타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둘레를 폴리우레탄 스폰지층(12)을 감싼다. 필요시 발목이 부딪히는 순간 딱딱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천연가죽, 벌크로 천, 자카트 천과 같은 부드러운 마감재(13)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마감재(13)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고 때가 묻으면 세척이 가능한 재질의 가죽, 레자 또는 쿠션이 있으면서 질긴 천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부재(10)에 후술하는 충격음흡수부재(30)를 부착시킨다.
도 5는 충격음흡수부재의 단면도이다. 충격음흡수부재(30)의 실시예로 기본모재층은 폴리우레탄층(31)이고, 그 상부면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로 된 연질의 고분자재료층(32)이 접합되고, 그 하부면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를 포함하는 경질의 고분자재료층(3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충격음 흡수재(30)는 사용자가 발목을 타격부재(10)에 타격시 발생한 진동이나 소음이 아파트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성질이 다른 3개의 복합재료를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사용한다.
즉, 최상단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로 된 연질의 고분자재료층(32)으로 받침대(20)에서 내리 누르는 압력과 충격음 또는 진동을 반사· 분사시키는 역할을 하고, 중간층에 형성된 다공질성 폴리우레탄층(31)은 2차로 충격음을 흡수하고, 하단층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로 된 경질의 고분자재료층(33)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방진효과에 의한 충격소음을 막아서 충격음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로 된 연질의 고분자재료층(32)은 아스팔트층과 같은 경질의 고분자재료로 대체할 수 있다.
도 6은 표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표시장치의 전기회로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40)는 스위치(42), LCD표시기(45), 스피커(46) 및 라디오(48)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스위치(42)를 켜고, 발목을 타격부재(10)에 타격하면, 타격회수가 계수되어 LCD표시기(45)에 나타나고, 중간 중간에 음성으로 회수를 스피커(46)로 알려준다. 운동할 때 뉴스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라디오(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표시장치의 전기회로 블럭도이다. 먼저 전원(41)을 공급하고, 스위치(42)를 온(on)시키고 발목으로 타격부재(10)를 타격하면 계수 타격기(43)에 충격이 전달되어 카운터(44)에서 이를 계수하게 된다. 게수결과를 LCD표시기(45)에 타격회수가 디지털 숫자로 표시한다. 또는 스피커(46)를 통해서 카운트 되는 숫자를 음성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표시수단(40)에 시간표시(47)나 라디오(48)를 추가로 설치하면, 운동시 시간을 체크하거나 라디오의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40)는 세팅기를 별도로 두어 카운트 한 숫자를 10단위 20단위 등 원하는 단위로 표시할 수 있고, 그 단위는 임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좌우 양발의 타격수를 정하여 세팅하면 된다. 음성의 경우도 일정한 회수 단위별 예를 들어 "50회", "100회", "150회", "200회" , "500회"등으로 중간 중간 음성으로 회수를 알려주게 설계한다. 또한, 스피커(46)에 일정한 회수마다 효과음을 낼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시켜서 적절한 효과음을 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회마다 자동으로 효과음이 들리게 하여 주고 LCD표시기(45)에는 숫자만 표시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사시도이다. 상면은 속이 찬 원통형상의 타격
부재(10)의 밑면에 충격음흡수부재(30)를 접합수단(35)으로 결합한다. 여기 결합수단(35)은 본드 또는 화학접착제 등을 사용한다. 상면의 반원통형 타격부재(10)는 오동나무, 향나무 또는 미송을 주로 사용하고, 필요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옥과 같은 천연물질을 함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사시도이다. 상면은 속이 빈 공간을 갖는 반 원통형상의 타격부재(10)의 밑면에 충격음흡수재(30)를 접착수단(35)으로 결합하고, 상면의 타격부재(10)에 LCD표시기(45)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쪽에 부착하고, 쿠션부재(12)는 상기 타격부재(10)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은 속이 비어 공간을 갖는 반원통형상의 타격부재(10)이고, 하면에는 충격음흡수재(30)를 접착수단(35)으로 결합하고, 상면의 타격부재(10)에 타격회수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스피커(46)를 설치하고, 쿠션부재(12)는 상기 타격부재(10)의 상단 중앙부에 부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은 속이 빈 공간을 갖는 반원통형상의 타격부재(10)이고,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판스프링(34)을 상기 타격부재(10)의 밑면에 부착하고, 충격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음흡수부재(30)를 상기 판스프링(34)밑에 부착하고, 상기 충격음흡수재(30)와 타격부재(10)의 일부분을 지지부재(38)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34)은 탄성력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 지지부재(38)는 오동나무, 향나무, 미송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필요시 상면의 타격부재(10)에 타격회수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스피커(46)를 부착하고, 쿠션부재(12)는상기 타격부재(10)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받침대 구조도이다. 타격부재(10)를 지지하는 받침대(20)와, 타격부재(10)를 상기 받침대(20) 위에 올려놓고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20) 하부에 부착되는 충격음흡수부재(30)와;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타격회수를 계수하여 LCD표시기나 음성으로 나타내는 스피커로 된 표시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20)의 높이는 10㎝ ∼ 20㎝로 하여 사용자가 눕거나 앉아서 발목을 들어올리기 편리한 적당한 높이로 한다. 받침대(20)의 길이는 타격부재(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되 보통 30㎝ ∼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료는 오동나무, 향나무 또는 미송을 주로 사용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세라믹· 게르마늄 또는 옥가루를 수지에 혼합한 기능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표시장치(40)를 부착시키고, 상기 받침대(20)의 내부는 빈 공간을 둘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공간이 없이 만들 수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대(20) 상부에 타격부재(10)의 1/2이상 깊이로 장착될 수 있게 타격부재(10)길이 만큼 반구형의 홈(23)을 파고, 그 위에는 충격음을 흡수하는 완충재(25)를 홈(23)위에 덮고, 상기 홈(23)의 하부에 2개 내지 3개의 고정용 구멍(24)을 형성하여,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타격부재(10)와 받침대(20)가 결합되게 한다. 상기 완충재(25)는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폴리우레탄을 사용하고 접착제로 반구형 홈(23)에 접착시킨다. 본 발명의 타격부재(10)와 받침대(20)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여행이나 상품을 전달할 경우 부품을 분해하여 케이스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시 타격부재(10)만 따로 휴대할 수 있고, 이것만 가지고도 발목운동이 가능하다.
도 14는 타격부재와 본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타격부재와 본체의 결합의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상기 고정수단이 나사못(26)인 경우 반구형 홈(23)의 1/3 지점과 2/3의 지점에 고정용 구멍(24)을 형성하고, 볼트(26)의 한쪽은 타격부재(10)에 고정시키고 이를 고정용 구멍(24)에 삽입시켜서 받침대(20)안에서 너트로 고정시킨다. 한편 고정돌기(27)로 고정시킬 경우는 받침대의 반구형 홈(24)에 홈을 파서 상기 고정돌기(27)를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분해가 용이하다. 사용자가 타격부재(10)를 타격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못(26)과 고정돌기(27)의 중간에 스프링(28)을 끼우면, 탄성력이 작용되므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게 되어 사용시 발목에 진동을 덜 느끼게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면상발열체를 가열수단으로 이용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훈열기(50)는 약초함(52)안에 허브(51)를 넣고 약초함(52) 바로 밑에 면상발열체(53)를 부착하거나 약초함(52) 내부에 밑면에 바로 면상발열체(53)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face heating unit : PET필름에 탄소와 게르마늄이 도포되고 각 면상발열체가 전원에 연결된 새로운 방식의 전기히터이고, "허브(herb)"는 "한방약초 또는 한약재" 을 의미한다. "훈열(heated air)"은 허브가 익어서 뜨거운 열로 변화되어 기화되는 것을 의미하고,"허부향(aroma)"는 훈열된 허브를 말한다.
도 16에서와 같이, 윗면은 속이 빈 공간을 갖는 반원통형상의 타격부재(10)이고, 타격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판스프링(34)을 상기 타격부재(10)의 밑면에 부착하고, 충격음을 흡수하는 충격음흡수부재(30)를 상기 판스프링(34)밑에 부착하고, 상기 충격음흡수재(30)와 타격부재(10)의 일부분을 지지부재(38)로 감싸고, 상기 타격부재(10)의 둘레에 열기를 통과 시킬 수 있는 훈열구멍(60)을 다수개 형성시키고, 상기 타격부재(10)의 빈 공간내에 훈열기(50)를 수납하여 된 발목운동기구이다. 발목운동이 끝난 후 상기 훈열기(50)의 약초함(52)에 보관된 허브(51)를 달구어 허부향으로 발바닥 부위를 찜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훈열기(50)는 허브를 담는 약초함(52)과, 상기 약초함(52)밑에 뜨겁게 달구기 위한 탄소섬유로 된 면상발열체(53)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면상발열체(53)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전극부재(55)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57)와, 열을 집중시키는 열집중부재(56)와, 밑바닥은 스펀지 단열재와 보조 단열재를 깔고 바로 위에 접착되는 발열체(54)로 구성하고, 상기 전극부재(55)에 전원을 공급하면 면상발열체(53)의 발열에 의하여 약초함(52)을 가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타격회수를 계수하여 이를 숫자로 표시하는 LCD표시기(45)니 음성으로 나타내는 스피커(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51)를 훈열하기 위해서 80℃∼ 9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최근 면상발열체(53)는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고 원적외선이 나오는 건강에 좋은 히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10)의 크기에 따라 훈열기의 크기도 달라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면상발열체(53)는 PET필름에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는 탄소와 토르말린, 게르마늄과 은(silver)이 도포되고 각 발열체를 병렬로 연결한 후 필름으로 라미네이팅 처리한 탄소히터이고, 용량은 44V /100W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목이 타격되는 타격부재에 탄성수단이 부착되므로 쿠션작용으로 발목이 아프지 않고 운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타격회수를 LCD표시기나 스피커를 통해서 숫자나 음성으로 중간 중간 타격회수를 알려주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사용자가 발목을 타격부재에 타격시 진동이나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게 진동을 완화시키는 판스프링과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음흡수부재를 부착되므로 마음 놓고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휴대가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타격부재의 둘레에 훈열구멍을 다수개 형성시키고, 상기 타격부재의 빈 공간내에 훈열기를 수납하여 약초함에 보관된 허브를 달구어 허부향이 발바닥 부위를 훈열로 찜질할 수 있어서 혈액순환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Claims (16)

  1. 발목운동기구에 있어서, 윗면은 반원통형상의 타격부재(10)가 장착되고,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음흡수재(30)를 상기 타격부재(10)의 밑면에 접착수단(35)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음흡수부재(30)의 기본모재층은 폴리우레탄층(31)이고, 그 상부면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로 이루어진 연질의 고분자재료층(32)이고, 그 하부면은 클로로프렌계 발포고무를 포함하는 경질의 고분자재료층(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프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에 타격되는 회수를 계수하여 디지털 숫자로 표시하는 LCD표시기(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에 타격되는 회수를 계수하여 음성으로 나타내는 스피커(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5.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수단에는 발목운동에 필요한 음악이나 효과음을 낼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프 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의 상단 중앙부에 쿠션부재(12)를 장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는 속이 빈 공간을 갖는 반원통형상의 본체(11)와, 그 둘레를 폴리우레탄 스폰지층(12)으로 감싸고, 천연가죽으로 된 마감재(13)로 스폰지층(12)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8. 발목운동기구에 있어서, 타격부재(10)를 지지하는 받침대(20)와, 상기 타격부재(10)를 상기 받침대(20) 위에 올려놓고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20)의 밑면에 부착되는 충격음흡수부재(30)와, 상기 타격부재(10)가 상기 받침대(20)에 장착될 수 있게 타격부재(10)길이 만큼 형성되는 반구형의 홈(23과, 상기 홈(23)에는 충격을흡수하는 완충재(25)를 덮고, 상기 홈(23)의 하부에 2개 내지 3개의 고정용 구멍(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26) 또는 고정돌기(27)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고정수단에 스프링(28)이 끼워져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프 운동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25)는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폴리우레탄이고, 접착제로 반구형 홈(23)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프 운동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타격회수를 계수하여 LCD표시기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나타내는 표시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12. 발목운동기구에 있어서, 윗면에 장착되고 속이 빈 공간을 갖는 반원통형상의타격부재(10)와,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타격부재(10)의 밑면에 부착되는 판스프링(34)과,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판스프링(34)밑에 부착하는 충격음흡수부재(30) 및 상기 충격음흡수재(30)와 타격부재(10)의 일부분을 감사는 지지부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타격회수를 계수하여 이를 숫자 또는 음성으로 표현하는 표시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의 둘레에는 열기가 통과할 수 있게 훈열구멍(60)을 다수개 형성시키고, 상기 타격부재(10)의 빈 공간내에 수납되는 훈열기(5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훈열기(50)의 약초함(52)에 보관된 허브(51)를 달구어 허부향이 발을 찜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훈열기(50)는 허브를 담는 약초함(52)과 상기 약초함(52)밑에 뜨겁게 달구기 위한 탄소섬유로 된 면상발열체(53)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면상발열체(53)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전극부재(55)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57)와, 열을 집중시키는 열집중부재(56)와, 밑바닥은 스펀지 단열재와 보조 단열재를 깔고 바로 위에 접착되는 발열체(54)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재(55)에 전원을 공급하면 면상발열체(53)의 발열에 의하여 약초함(52)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10)에 가해지는 타격회수를 계수하여 이를 숫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운동기구.
KR10-2004-0015526A 2004-01-27 2004-03-08 발목운동기구 KR10045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1363U JP3104066U (ja) 2004-01-27 2004-03-17 足首運動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42 2004-01-27
KR20040005142 2004-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537A true KR20040052537A (ko) 2004-06-23
KR100455345B1 KR100455345B1 (ko) 2004-11-06

Family

ID=3734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526A KR100455345B1 (ko) 2004-01-27 2004-03-08 발목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04066U (ko)
KR (1) KR100455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97B1 (ko) * 2003-10-06 2006-02-10 육홍청 발목 자극운동기구
KR200446545Y1 (ko) * 2007-10-24 2009-11-06 조경섭 탄력식 발목 운동기구
KR20230000404U (ko) *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스포티즌 다목적 운동을 위한 구조변형이 가능한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97B1 (ko) * 2003-10-06 2006-02-10 육홍청 발목 자극운동기구
KR200446545Y1 (ko) * 2007-10-24 2009-11-06 조경섭 탄력식 발목 운동기구
KR20230000404U (ko) *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스포티즌 다목적 운동을 위한 구조변형이 가능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04066U (ja) 2004-09-02
KR100455345B1 (ko) 200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839A (en) Ball-massaging board
US8343022B1 (en) Cheerleader training device
US20160338901A1 (en) Massaging Board Assembly
CN207221197U (zh) 一种体育训练用仰卧起坐架
KR20200001546U (ko) 안마 롤러 구조
EP2544569A2 (en) Exercise chair
JP2015510430A (ja) 腹筋運動補助器具
KR100455345B1 (ko) 발목운동기구
CN201470004U (zh) 排汗排毒健身装置
EP1633300B1 (en) Fitness machine
CN101652159A (zh) 用于站立和行走的健身及治疗垫
CN211536392U (zh) 一种声波振动起立床
JP2013169457A (ja) 土踏まずで運動をする器具
JP2007000210A (ja) 健康器具
KR200367635Y1 (ko) 대나무를 이용한 발목펌프
JP2015100491A (ja) 多機能足置き台
NL1022575C2 (nl) Inrichting voor het ondersteunen van het menselijk lichaam.
KR20100001720U (ko) 발목 타격장치
KR200405255Y1 (ko) 발목 펌프 운동 기구
KR20100001495U (ko) 줄넘기용 완충매트
JP2002282390A (ja) 血行促進具
CN201431730Y (zh) 弹跳凳
KR200384421Y1 (ko) 훌라후프
JP3166472U (ja) 筋力鍛練具
JP3207044U (ja) 腰つぼスライド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