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20U - 발목 타격장치 - Google Patents

발목 타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20U
KR20100001720U KR2020080010557U KR20080010557U KR20100001720U KR 20100001720 U KR20100001720 U KR 20100001720U KR 2020080010557 U KR2020080010557 U KR 2020080010557U KR 20080010557 U KR20080010557 U KR 20080010557U KR 20100001720 U KR20100001720 U KR 201000017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triking
striking device
ma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039Y1 (ko
Inventor
정명식
Original Assignee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2020080010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03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발목의 타격에 따른 운동성을 향상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발목 타격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목 타격장치는 완충탄성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발목 타격부재; 및 상기 발목 타격부재가 결합부재를 매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매트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목 타격장치에 의하면, 발목의 타격시 발생하는 발목 타격부재의 반동에 의해 발을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는 힘을 덜 소모하게 됨으로써, 발목의 타격횟수를 용이하게 증가시켜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 타격운동에 따른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타격에 의한 발목의 고통을 없앨 수 있다.
발목, 타격

Description

발목 타격장치{APPARATUS FOR BEATING OF AN ANKLE}
본 고안은 발목 타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목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마사지 운동시 반동에 의한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의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발목 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을 움직이게 되면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발바닥을 자극하게 되면 혈액순환뿐만 아니라 신진대사가 좋아지며 피로가 풀리고 막힌 혈이 통한다고 알려지면서 발목이나 발바닥을 자극하거나 운동시키는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발목을 운동시키는“발목펌프”로 불리는 발목(아킬레스건) 타격장치는 일본국 이나카키 아니사쿠(1939년생)씨가 처음 고안하여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목 타격장치는 발목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으로서 종아리의 근육이 퍼졌다 수축했다 하며 펌프의 역할을 다하여 정맥이 갖춰져 있는 판이 역류를 막아 혈액을 심장으로 도로 보내는 것이 전신의 혈액순환에 가장 중요하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이나카키 씨의 임상치료 결과 간경변, 고혈압, 파킨스씨병, 뇌종양, 뇌 경색, 당뇨병, 신장병 등의 심신 질환으로 효과를 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발목 타격장치는 직경이 6∼10cm정도이고 길이가 30∼35cm를 갖는 원통형의 파이프, 목재, PVC 파이프, 청죽 등을 사용해 왔고, 그 운동방법으로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혹은 앉아서 양다리를 편 상태) 아킬레스건으로부터 약간 종아리 쪽으로 온 부위에 타월을 감은 통나무를 놓고 한쪽 발을 무릎에 힘을 빼고 편 채로 20∼30cm쯤 들어 그대로 떨어드려 통나무에 아킬레스건을 부딪치게 한다. 이런 방법으로 오른발과 외발을 번갈아 25회씩 실행하는 방식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기존은 발목 타격장치는 원통형의 파이프, 목재, PVC 파이프, 청죽 등의 해당부위에 타월을 감은 후 오른발과 왼발의 아칼레스건을 반복적으로 부딪치는 방법으로 발목 운동을 하였으나, 원통형의 파이프, 목재, PVC 파이프, 청죽 들은 탄성이 없기 때문에 발목을 떨어뜨린 후 다시 들어올리는 데 힘이 들어 발목 운동에 따른 운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들 소재들은 강성이 높아 발목이 부딪칠 때 고통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발목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마사지 운동시 반동에 의한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의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발목 타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완충탄성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발목 타격부재; 및
상기 발목 타격부재가 결합부재를 매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매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목 타격부재의 내부에는 발목의 타격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복원되는 탄성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발목 타격부재는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결합부재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발목 타격부재와 매트부재의 경계부에는 마감부재가 구비된 것이다.
또, 상기 매트부재의 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또, 상기 매트부재는 요가매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완충탄성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발목 타격부재; 및
상기 발목 타격부재를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 흡착부재는 발목 타격부재에 일체화되도록 하나 이상 결합되는 흡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 발목 타격부재의 내부에는 발목의 타격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복원되는 탄성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목 타격부재는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발목 타격장치는 발목의 타격시 발생하는 발목 타격부재의 반동에 의해 발을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는 힘을 덜 소모하게 됨으로써, 발목의 타격횟수를 용이하게 증가시켜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 타격운동에 따른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타격에 따른 발목의 고통을 없앨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에 대하여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탄성을 가지며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발목 타격부재(10) 및 발목 타격부재(10)가 결합부재(30)를 매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매트부재(2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목 타격부재(10)는 완충탄성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다. 발목 타격부재(10)의 내부에는 발목의 타격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공(12)은 발목의 타격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복원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발목 타격부재(10)는 완충탄성을 갖도록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포 폴리에틸렌은 폴리에틸렌층 속에 기포를 발생시켜 형성된 것으로, 완충탄성은 물론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반동이 우수하다.
이외에도 발목 타격부재(10)는 완충탄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매트부재(20)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매트부재(20)는 발목 탄성부재(10)와 동일한 소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결합부재(30)는 발목 탄성부재(10)를 매트부재(2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키 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발목 탄성부재(10)와 매트부재(20)의 대응되면 면에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결합부재(30)는 발목 탄성부재(10)의 저면과 매트부재(20)의 상면에 서로 짝을 이루어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며, 발목 탄성부재(10)는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매트부재(2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재(30)는 발목 탄성부재(10)가 매트부재(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예를 들어서, 결합부재(30)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발목 탄성부재(10)가 결합부재(30)를 매개로 매트부재(20)에 일체화되도록 결합된 후, 발목 탄성부재(10)와 매트부재(20)의 경계부에는 마감처리를 위한 마감부재(40)가 구비되어 있다. 마감부재(40)는 매트부재(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발목 탄성부재(10)와 매트부재(20)의 경계부를 따라 띠형상으로 배치되고 공지의 고정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매트부재(20)에 고정된다.
이러한 마감부재(40)에 의해 발목 탄성부재(10) 매트부재(20)의 경계부가 마감처리됨으로써,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타격운동을 하기 위해, 바로 누워 양다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혹은 앉아서 양 다리를 편 상태) 발목(아킬레스건)을 발목 탄성부재(10)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신장의 반대쪽인 오른발을 무릎에 힘을 빼고 편 채로 20∼30cm쯤 들어올린 후 발목이 타격되도록 그대로 떨어뜨리고, 왼발도 오른발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 발목이 타격되도록 떨어뜨린다. 이런 방법으로 오른발과 왼발을 번갈아 25회씩 실시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아침, 저녁 2회 정도로 양발의 합계가 200회 이상 되도록 실시하되, 1회 운동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500∼600번까지 증가시키고, 목표량 예를 들어 1회 500∼600번, 1일 총 1000∼1200번에 도달되면 매일 같은 량으로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오른발 및 왼발을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 발목이 타격되도록 발목 탄성부재(10)에 떨어뜨리고 다시 들어올릴 때, 발목 탄성부재(1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공(12)의 변형이 수반되고 떨어뜨린 발목을 들어올림에 따라 외력이 소멸되게 되면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변형된 탄성공(12)이 복원됨과 동시에 반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발을 발목 탄성부재(10)의 반동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는 발목 탄성부재(10)가 완충탄성을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발목 탄성부재(10)는 완충탄성을 구비하여 발목의 타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게 되므로, 발목의 타격시 발생하는 고통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목 타격장치는 발목의 타격시 발생하는 발목 타격부 재(10)의 반동에 의해 발을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는 힘을 덜 소모하게 됨으로써, 발목의 타격횟수를 용이하게 증가시켜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목 타격운동에 따른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타격에 의한 발목의 고통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부재(20)의 저면에 미끄럼방지 구조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매트부재(20)의 저면에는 엠보싱 구조를 갖는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 돌기(22)는 매트부재(20)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발목 타격운동시 미끄럼방지 돌기(22)에 의해 매트부재(20)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발목의 정확한 부위에 대한 타격이 이루어져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부재(20)가 요가매트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매트부재(20)는 요가에 사용되는 요가매트(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목 탄성부재(10)는 결합부재(30)를 매개로 요가매트(24)의 일측에 결합되게 된다.
또, 요가매트(24)의 저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발목 타격부재(10)와 결합부재(30)를 매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매트부재(20)를 요가매트(24)로 구성함으로써, 요가시 발목의 타격운동을 용이하게 병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타격부재(10)가 흡착부재(50)에 의해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발목 타격부재(10)에는 흡착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흡착부재(50)는 발목 타격부재(10)에 일체화되도록 하나 이상 결합되는 흡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따라서, 발목 타격부재(10)는 흡착부재(50)에 의해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발목 타격부재(10)는 흡착부재(50)에 의해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매트부재(20)는 삭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는, 발목 탄성부재(10)가 흡착부재(50)에 의해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매트부재(20) 없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장치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단 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목 타격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발목 타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목 타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목 타격부재 12 : 탄성공
20 : 매트부재 22 : 미끄럼방지 돌기
24 : 요가매트 30 : 결합부재
40 : 마감부재 50 : 흡착부재

Claims (12)

  1. 완충탄성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발목 타격부재(10); 및
    상기 발목 타격부재(10)가 결합부재(30)를 매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기 위한 매트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목 타격부재(10)의 내부에는 발목의 타격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복원되는 탄성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목 타격부재(10)는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타격부재(10)와 매트부재(20)의 경계부에는 마감부재(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재(20)의 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재(20)는 요가매트(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9. 완충탄성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발목 타격부재(10); 및
    상기 발목 타격부재(10)를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흡착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50)는 발목 타격부재(10)에 일체화되도록 하나 이상 결합되는 흡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목 타격부재(10)의 내부에는 발목의 타격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복원되는 탄성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타격부재(10)는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타격장치.
KR2020080010557U 2008-08-07 2008-08-07 발목 타격장치 KR200454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57U KR200454039Y1 (ko) 2008-08-07 2008-08-07 발목 타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57U KR200454039Y1 (ko) 2008-08-07 2008-08-07 발목 타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20U true KR20100001720U (ko) 2010-02-18
KR200454039Y1 KR200454039Y1 (ko) 2011-06-14

Family

ID=4444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557U KR200454039Y1 (ko) 2008-08-07 2008-08-07 발목 타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1034A (ja) * 2019-02-18 2020-08-31 百合子 中村 踵・つま先上げ運動補助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03Y1 (ko) * 2015-01-22 2016-09-09 김정현 3차원 매쉬원단을 이용한 발목펌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66672U (en) * 1998-12-17 2005-06-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arrangement
KR200172549Y1 (ko) * 1999-09-15 2000-03-15 김옥화 욕실청소용 브러쉬 보관함
KR20020079239A (ko) * 2001-04-14 2002-10-19 이언식 학습기
KR200279239Y1 (ko) * 2002-03-11 2002-06-24 구주완 윗몸일으키기용 발걸이구
KR100759499B1 (ko) * 2006-11-10 2007-09-18 (주)세영아이앤씨 건강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1034A (ja) * 2019-02-18 2020-08-31 百合子 中村 踵・つま先上げ運動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039Y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515B1 (ko) 왕복식 족부 안마장치
FR2865905B1 (fr) Vetement de sport destine a aider a lutter contre la cellulite
WO2005110327A3 (en) Lower extremity passive muscle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JPS59214453A (ja) 血流停止防止装置
KR200454039Y1 (ko) 발목 타격장치
JP6802557B2 (ja)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KR102270921B1 (ko)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US20140057765A1 (en) Foot and h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5561540B (zh) 一种瑜伽柱
CN211536392U (zh) 一种声波振动起立床
JP6343763B2 (ja) 下半身強化ボード
KR20070018675A (ko) 발가락 운동장치
KR101239993B1 (ko) 전신 운동기기
KR200348223Y1 (ko) 발목 운동기
JP3237487U (ja) 足首健康器具
JP2011161163A (ja) マッサージ用健康器具
KR200345739Y1 (ko) 미끄럼 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안마 봉
CN100360199C (zh) 脚踝刺激运动器具
JP3143152U (ja) 足踏み式マッサージ器
CN201192118Y (zh) 保健鞋垫
JP3106959U (ja) 健康下駄
KR200360357Y1 (ko) 지압돌기를 갖는 런닝머신용 벨트
CN204050798U (zh) 一种带有弹性按摩跑板的跑步机
CN205924445U (zh) 一种健身器材
KR200453698Y1 (ko) 스텝퍼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