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897B1 - 발목 자극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발목 자극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897B1
KR100550897B1 KR1020040041687A KR20040041687A KR100550897B1 KR 100550897 B1 KR100550897 B1 KR 100550897B1 KR 1020040041687 A KR1020040041687 A KR 1020040041687A KR 20040041687 A KR20040041687 A KR 20040041687A KR 100550897 B1 KR100550897 B1 KR 100550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ankle
spring
rod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761A (ko
Inventor
육홍청
Original Assignee
육홍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홍청 filed Critical 육홍청
Publication of KR2004005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6Hand percussion, i.e. Hand driv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지그재그형 탄성스프링(2a)(2b)이 전후지지봉(1a)(1b)의 좌우양단에 용접고정되고,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2a)(2b) 각각의 하부(3a)(3b)와 상기 전후지지봉 (1a)(1b)의 좌우양단 고정부(4a)(4b)는 상하케이스(6)(6')로 된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내에 내장되며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의 상부 양단부는 원호(圓弧)형 절곡부(7a)(7b)로 형성된 충격흡수용 완충부(8a)(8b)와, 상기 완충부(8a)(8b)의 상부에 형성된 원호형 절곡부(7a)(7b)와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치형고무링(9a)(9b)이 소직경의 양단(10a)(10b)에 외삽되고 상기 소직경의 양단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본체(11)로된 원통형 타격봉(12)으로 구성된 발목 자극운동기구로서, 상기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의 하부케이스(6')의 전후저면에는 결합공(22)을 통하여, 고무다리(13a) (13b)가 나사끼움되고, 상기 전후지지봉(1a)(1b)의 중앙에는 그 내부에 타격회수 신호음 저장용 PCB(15a)가 장착되고, 상기 PCB(15a)에는 타격봉 본체(11)의 타격에 의해 타격수를 감지하는 타격수 감지용 철심(26)과 스프링(27), 배터리(17)와 연결된 전원(20), 스피커(15c) 및 타격회수 신호음 확인용 ON-OFF 작동 스위치(15)가 연결된 것이 내장된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1
형 타격계수판(16)이 외삽되되, 상기 타격계수판(16)의 측면에는 ON-OFF스위치(15)가 스위치공(2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거나, 상기와는 별도로 상기 타격계수판(16)의 외측면에는 내부의 PCB와 연결된 액정표시장치(LCD)나 디지털방식에 의한 숫자표시판(31)을 설치한 것으 로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발목자극 운동기구는 발목을 원통형 타격봉(12) 본체(11)에 올려놓고 들었다 놓았다하면서 탄성에 의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목 자극운동기구{Ankle exercise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전후지지봉 2a,2b : 지그재그형 탄성스프링
3a,3b : 탄성스프링하부 4a,4b : 고정부
5a,5b : 스프링 지지케이스 6,6' : 상하케이스
7a,7b : 원호형 절곡부 8a,8b : 충격흡수용 완충부
9a,9b : 치형고무링 10a,10b : 소직경의 양단
11 : 본체 12 : 원통형 타격봉
13a,13b : 고무다리 14a,14b : 고무링
15 : 타격회수 확인용 ON-OFF 스위치 15a : PCB
15b : 배터리케이스 15c : 스피커
16 : 타격계수판 17 : 배터리
18 : 환형공
20 : 전원 21 : 목부위
22 : 결합공 23 : 고무다리의 머리
24 : 고무다리의 하체 25 : 중공부
26 : 철심 27 : 스프링
28 : 스위치공 29 : 스피커공
30 : 돌출지지턱 31 : 숫자표시판
본 발명은 발목의 아킬레스건 윗부위를 자연스럽게 자극시켜 혈류를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와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목 자극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발목을 자극하여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는 특별히 고안된 것이 없었을 뿐아니라 발목 운동을 하는 방법도 개발된 바 없었다.
다만 최근 일본인이 개발한 발목 펌프건강법을 국어로 번역하여 인터넷에 올린 예가 있으나 그 운동방법은 일정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통나무나 쇠파이프, 맥주병, 야구 방망이, 애프킬러통등과 같은 둥근 원통형태를 이용하여 그것을 일정위치에 놓고 그 위에서 발목을 자유 낙하시켜 발목의 아킬레스건 주변이 그 둥근통 형태 둘레에 떨어지면서 타격이 가해지도록하기를 수차례 반복하면서 운동을 하면 상기 각종 기구들의 타격에 의해 혈액이 펌핑되어 혈행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되어 인체의 각종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건강증진 효과를 얻게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운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운동기구가 없기 때문에 규칙적이고 효율적으로 운동을 하기가 어려운데다가 오늘날처럼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주거환경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게되면 아파트 아래층까지 운동기구의 타격 음이 울리게되어 아래층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불편하게하므로 자유로운 운동을 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목 운동기구의 결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자겸 출원인이 본원 출원전 2003. 10. 26자로 선출원한 출원번호 2003-69135로, "발목자극운동기구"가 있으나 이 역시 충격완충작용이 완벽하지 못하여 운동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소음을 완전해소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발목 아킬레스건 윗부위를 자극하여 체내 혈액을 펌핑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의 결점을 개선하여 필요한 가정에 상비하여 운동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하면서도 충격에 의한 소음이 전혀 없게하여 주변 사람들에게는 폐를 끼지지 않고 조용하면서도 규칙적으로 마음놓고 운동을 할 수 있는 발목 자극운동기구를 제공코저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그재그형 탄성스프링(2a)(2b)이 전후지지봉(1a)(1b)의 좌우양단에 용접고정되고,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2a)(2b) 각각의 하부(3a)(3b)와 상기 전후지지봉 (1a)(1b)의 좌우양단 고정부(4a)(4b)는 상하케이스(6)(6')로 된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내에 내장되며,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2a)(2b)의 상부 양단은 원호( 圓弧)형 절곡부(7a)(7b)로 형성된 충격흡수용 완충부(8a)(8b)와, 상기 충격흡수용 완충부(8a)(8b)의 상부에 형성된 원호형 절곡부(7a)(7b)와 일치하는 치형고무링 (9a)(9b)이 외삽된 소직경의 양단(10a)(10b)과 상기 소직경의 양단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본체(11)로된 원통형 타격봉(12)으로 구성된 발목 자극운동기구이다.
상기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의 하부케이스(6')의 전후 저면에는 둘레에 돌출지지턱(30)이 하향돌설되고 나사형으로 경사진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결합공을 통하여 상부에는 요홈으로 된 목부위(21)가 형성되고 머리부위(23)는 견고하며 하체(24)는 유연하고 하체의 중앙에는 수직 중공부(25)가 형성된 고무다리(13a)(13b)가 나사끼움되며, 상기 전후지지봉(1a)(1b)의 중앙에는 그 내부에 타격회수 신호음 저장용 PCB(15a)가 수직 장착되고, 상기 PCB(15a)에는 타격봉(11)의 진동에 의해 착탈되면서 타격수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용 철심(26)과 스프링(27), 배터리케이스(15b)내의 배터리(17)와 연결된 전원(20), 스피커(15c) 및 타격회수 신호음 ON-OFF용 작동 스위치(15)가 연결된 것이 내장된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2
형 타격계수판(16)이 외삽되고 상기 타격계수판(16)의 일측면에는 상기 ON-OFF스위치(15)가 스위치공(2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스피커공(29)이 그 속에 내장된 스피커(15c)와 일치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에서 타격계수판(16)은 상부를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3
형의 환형공(18)으로 하여 상기 원통형 타격봉(12)의 본체(11) 외주면에 외삽되게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와는 달리 상기 타격계수판(16)의 외측면에 내부의 PCB와 연결된 액정표시장치(LCD)나 디지털 방식에 의한 숫자표시판(31)을 설치하여 타격수를 숫자로 나타낼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발목 자극운동기구는 충격흡수용 완충부(8a) (8b)의 지그재그형 탄성스프링(2a)(2b)의 상부 원호형 절곡부(7a)(7b)에 원통형 타격봉(12)의 치형고무링(9a)(9b)이 외삽된 소직경의 양단(10a)(10b)이 얹히도록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람이 앉거나 뒤로 누운채로 발목의 뒷쪽 아킬레스건의 약간 윗쪽이 원통형 타격봉(12)의 본체(11)에 닿도록 올려놓고 발을 올렸다가 원통형 타격봉 본체(11)에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 하는 운동을 반복하면 충격흡수용 완충부 (8a)(8b)의 탄성스프링(2a)(2b)의 탄성과 원통형 타격봉(12)의 소직경의 양단(10a)(10b)에 외삽된 치형고무링(9a)(9b)의 탄성 및 스프링 지지케이스(5a) (5b)의 전후 저면에 삽입 고정되어 수직중공부(25)를 가진 고무다리(13a)(13b)들의 유연한 하체(24)의 탄성에 의한 충격완충작용으로 원통형 타격봉(12)을 발목으로 타격하더라도 소음이 적게나고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도 적어서 운동을 자유자재로 원활히 할 수 있게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a)(2b)의 상부 호형 절곡부(7a) (7b)에 고무링(14a)(14b)이 외삽되어 있으면 충격완충작용과 탄성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호형 절곡부(7a)(7b)에 고무링(14a)(14b)이 외삽되어 있을 때는 원통형 타격봉(12)의 소직경 양단(10a)(10b)에 외삽된 치형고무링(9a)(9b)은 제거하거나 그대로 둔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4
형 타격계수판(16)의 상부를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5
형의 환형공(18)으로 형성하여 상기 원통형 타격봉(12)의 본체(11)를 환형공(18)에 삽착 고정하더라도 원통형 타 격봉(12) 본체(11)의 타격에 의해 상기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6
형 타격계수판(16)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타격계수판(16)의 내부에는 배터리케이스(15b)의 배터리(17)와 전원(20)으로 연결된 타격회수 신호음 저장용 PCB(15a)와 그것과 연결되어 타격봉(11)의 진동에 의해 착탈되는 철심(26)과 스프링(27)이 내장되어 있어서 타격회수 확인용 ON-OFF 스위치(15)를 외부에서 1회 누른 후 원통형 타격봉(12)을 타격하면서 운동을 계속하게 되면, 1번 타격시마다 철심(26)과 스프링(27)이 진동에 의해 한번씩 착탈되어 일정한 전압(약 3V 전압)이 발생되면서 PCB에 전달되어 일정한 타격(진동)회수(예;25회)가 PCB에 입력된 일정회수(예;25회)와 일치하게 되면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작동되고 다시 계속되다가 또 다른 계수만큼 타격 회수(예50회)가 감지되면 또 다른 신호음이 발생되어 운동하고져 하는 타격양(회수)을 알수 있어서 운동을 계속하거나 정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그 신호음은 스피커(15c)로부터 스피커공(29)을 통하여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타격계수판(16)에 내장된 PCB와 타격계수판(16)의 외측면에 장착된 LCD나 디지털 숫자 표시판(31)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숫자표시판(31)에 의해 타격회수만큼의 숫자가 나타나게되므로 그 숫자를 육안으로 보면서 운동량을 조절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운동을 정지하고져할 때나 운동중이라도 타격회수에 무관하게 임의로 운동을 하고져할 때는 타격회수 확인용 ON-OFF 스위치(15)를 다시 누르게 되면 타 격이 되더라도 신호음이 울리지 않게된다.
상기에서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의 하부케이스(6')에 장착된 고무다리(13a)(13b)는 머리(23)부위가 견고하고 목부위(21)가 하체(24)를 하부케이스(6')와 돌출지지턱(3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어서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후 아무렇게나 밀치더라도 고무다리(13a)(13b)가 쉽게 빠지지 않게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 발목 자극운동기구는 이것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기위해 거실이나 방등 장판, 석재, 목재, 섬유등으로된 바닥에 놓아 발목운동을 하게되면 항상 일정한 운동기구에 의해 규칙적이고 계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인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운동시에 운동기구의 원통형 타격봉(12) 본체(11)상에 발목을 들었다가 자유낙하시키드라도 충격이 완전 흡수되므로 바닥에는 전혀 충격음이 미치치 않게되고 따라서 건물의 아래층 거주자에게도 충격음이 전달되지 않아 타인에게 위해를 주지 않고도 마음놓고 언제 어디서나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그재그형 탄성스프링(2a)(2b)이 전후지지봉(1a)(1b)의 좌우양단에 용접고정되고,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2a)(2b) 각각의 하부(3a)(3b)와 상기 전후지지봉 (1a)(1b)의 좌우양단 고정부(4a)(4b)는 상하케이스(6)(6')로 된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내에 내장되며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의 상부 양단부는 원호(圓弧)형 절곡부(7a)(7b)로 형성된 충격흡수용 완충부(8a)(8b)와, 상기 충격흡수용 완충부(8a)(8b)의 상부에 형성된 원호형 절곡부(7a)(7b)와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치형고무링(9a)(9b)이 소직경의 양단(10a)(10b)에 외삽되고 상기 소직경의 양단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본체(11)로된 원통형 타격봉(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5a)(5b)의 하부케이스(6')의 전후 저면에는 둘레에 돌출지지턱(30)이 하향돌설되고 나사형으로 경사진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결합공(22)을 통하여 상부에는 요홈으로 된 목부위(21)가 형성되고 머리부위(23)는 견고하며 하체(24)는 유연하고 하체의 중앙에는 수직 중공부(25)가 형성된 고무다리(13a)(13b)가 나사끼움되어 고정된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완충부(8a)(8b)의 절곡부(7a)(7b)에 고무링(14a)(14b)을 삽입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지지봉(1a)(1b)의 중앙에는 그 내부에 타격회수 신호음 저장용 PCB(15a)가 수직 장착되고 상기 PCB(15a)에는 타격봉(11)의 진동에 의해 착탈되면서 타격수를 감지하는 타격 감지용 철심(26)과 스프링(27), 배터리케이스(15b)내의 배터리(17)와 연결된 전원(20), 스피커(15c) 및 타격회수 신호음 ON-OFF용 작동 스위치(15)가 연결된 것이 내장된
    Figure 112004024655897-pat00007
    형 타격계수판(16)이 외삽되고 상기 타격계수판(16)의 일측면에는 상기 ON-OFF스위치(15)가 스위치공(2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스피커공(29)이 그 속에 내장된 스피커(15c)와 일치되게 형성된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계수판(16)은 상부가 환형공(18)으로 되어 상기 원통형 타격봉(12)의 본체(11) 외주면에 외삽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계수판(16) 외측면에 내부의 PCB와 연결된 액정표시장치나 디지털방식에 의한 숫자표시판(31)을 설치하여 타격수를 숫자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극운동기구.
KR1020040041687A 2003-10-06 2004-06-08 발목 자극운동기구 KR100550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135 2003-10-06
KR1020030069135A KR20030088001A (ko) 2003-10-06 2003-10-06 발목 자극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761A KR20040055761A (ko) 2004-06-26
KR100550897B1 true KR100550897B1 (ko) 2006-02-10

Family

ID=323889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135A KR20030088001A (ko) 2003-10-06 2003-10-06 발목 자극운동기구
KR1020040041687A KR100550897B1 (ko) 2003-10-06 2004-06-08 발목 자극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135A KR20030088001A (ko) 2003-10-06 2003-10-06 발목 자극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880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91B1 (ko) 2019-09-06 202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20210106799A (ko)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654U (ko) * 1989-04-19 1990-11-14
JPH0626920U (ja) * 1992-09-02 1994-04-12 文雄 白戸 陶器足踏み器
KR200334080Y1 (ko) 2003-09-02 2003-11-19 김재춘 발목 펌프 건강기
KR20040052537A (ko) * 2004-01-27 2004-06-23 김영운 발목운동기구
KR100469996B1 (ko) 2003-11-24 2005-02-04 박정식 발목 펌프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654U (ko) * 1989-04-19 1990-11-14
JPH0626920U (ja) * 1992-09-02 1994-04-12 文雄 白戸 陶器足踏み器
KR200334080Y1 (ko) 2003-09-02 2003-11-19 김재춘 발목 펌프 건강기
KR100469996B1 (ko) 2003-11-24 2005-02-04 박정식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040052537A (ko) * 2004-01-27 2004-06-23 김영운 발목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761A (ko) 2004-06-26
KR20030088001A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431B1 (en) Vibrating device for stretching leg muscles
US20050148447A1 (en) Pelvic muscle exercise device
KR100550897B1 (ko) 발목 자극운동기구
CN106389064A (zh) 一种谐振健身装置
CN107693300A (zh) 一种神经科康复训练床
CN206198565U (zh) 一种折叠式升降下腰训练器
KR20130064887A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KR200404007Y1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KR100725279B1 (ko) 스트레칭 교정 및 키 성장 촉진보조장치
KR100617267B1 (ko) 발목 자동 타격장치
CN211536392U (zh) 一种声波振动起立床
KR200405255Y1 (ko) 발목 펌프 운동 기구
JP3104066U (ja) 足首運動器具
KR20070037558A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CN205924860U (zh) 一种用于体育器械的康复践踏装置
KR20090087276A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20130003904U (ko) 발목 펌프 운동기구
CN109925652A (zh) 一种可按摩仰卧板
KR100662487B1 (ko) 자동 발목펌프 장치
JP6402293B1 (ja) 打撃練習用具
KR200446545Y1 (ko) 탄력식 발목 운동기구
JP2006006890A (ja) 足裏とその足指の付け根に指圧効果をもたらし足の筋を伸ばす踏み板式健康器具
KR20100001720U (ko) 발목 타격장치
JP3213146U (ja) 共振運動デバイス
KR200398359Y1 (ko) 무소음 진동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