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487B1 - 자동 발목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발목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487B1
KR100662487B1 KR1020050027905A KR20050027905A KR100662487B1 KR 100662487 B1 KR100662487 B1 KR 100662487B1 KR 1020050027905 A KR1020050027905 A KR 1020050027905A KR 20050027905 A KR20050027905 A KR 20050027905A KR 100662487 B1 KR100662487 B1 KR 10066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ankle pump
user
prese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274A (ko
Inventor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신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우 filed Critical 신재우
Priority to KR102005002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4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9Brushes fitted with a razor or other shaving equip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8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동으로 발목펌프 운동을 할 수 있는 자동 발목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고, 그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그대로 원형판 형태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부재의 평면에 직각으로 다리올림부재를 결합시켜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리올림부재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승되어지게 하며, 사용자가 상기 다리올림부재의 위에 그의 다리를 올려서 자동으로 올라가게 한 다음, 자유낙하에 의해 그의 다리를 떨어뜨려서 발목받침대에 부딛히게 하고, 이러한 운동을 사용자가 설정한 횟수만큼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억지로 자신의 다리를 들어올리지 않고, 모터의 힘에 의하여 올릴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자유낙하시켜 발목펌프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목펌프 운동, 혈액순환, 다리올림부재, 발목 받침대,

Description

자동 발목펌프 장치{Apparatus of Automatic Ankle Pump}
도 1은 종래의 발목펌프 운동기구에 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동 발목펌프 장치에 몸체덮개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회전수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회로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발목펌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 발목펌프 장치(본 발명), 110 : 모터,
112 : 기어박스, 120 : 회전부재,
122 : 피동부재, 126 : 센서부,
130 : 다리올림부재, 132 : 회전축,
140 : 받침판, 142 : 발목받침대,
150 : 몸체 덮개부, 152 : 리모콘 접속부,
154 : 표시부, 160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 발목펌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다리를 위쪽으로 억지로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자신의 다리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자동적으로 자신의 다리를 자유낙하시켜 자신의 발목에 자연스럽게 타격을 가하여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동 발목펌프 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 펌프운동은 아킬레스건으로부터 약간 종아리 쪽으로 올라온 발목지점을 다리의 자유낙하의 힘으로 압박하여 혈액순환 기능을 활성화시켜주는 운동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발목펌프 운동은 일본에서 최초로 소개된 것으로서, 일본의 어떤 발명자가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보고, 수십 미터에 달하는 나무가 대지로부터 물을 빨아들이는 원리는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거리는 운동에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소박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였고, 그것을 자신의 질병(신장병,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 한 수단으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고민하였던 것이었는데, 마치 바람에 나뭇잎이 흔들거리는 것 처럼, 인간의 발목에 약간의 충격과 흔들림을 부여할 경우 혈액순환이 더욱 왕성하게 향상되어질 것이라고 믿고, 이를 실현한 것이 발목펌프의 원리인 것으로 알려지게 된 것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알려진 발목펌프의 원리는 누워있는 상태에서 한쪽 발목을 위쪽으로 약 20 내지 30 cm 정도 들어올린 다음, 그대로 자연스럽게 낙하시킴으로써, 그 낙하시에 아래쪽에 놓여진 원통형 기구에 자신의 발목이 충격을 받아 약간씩 흔들리고, 그 과정에서 발목 내부의 혈관을 흘러가는 응혈이 해소되어지기도 하고, 그 혈관을 자극하기도 하여, 혈액의 순환을 왕성하게 하므로, 각종의 질병을 예방하기도 하고, 사후적으로 치료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목펌프 운동은 그 효력이 각종의 매체를 통하여 조금씩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발목펌프 운동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발목펌프 운동방식은 순수한 발목운동 방식이다. 발목운동 방식은 바닥면 위에 맥주병과 같은 원통형 기구를 놓아두고, 누워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다리를 쭉 뻗은 다음, 상기 원통형 기구의 위쪽으로 자신의 발목 부위를 그대로 약 20~30cm 정도 들어 올린 후, 이를 자유낙하시켜서, 자연스럽게 발목 부위에 압박을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맥주병과 같은 기구는 딱딱하여 발목에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건을 감아 약간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주기도 한다. 이에 관한 대표적인 것은 대한민국 특허 제455345호 "발목운 동기구"에 의하여 잘 소개되어 있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순수한 운동방식은 발목운동을 하는 자가 직접 자신의 다리를 억지로 위쪽으로 올려야 하므로, 상당한 정도의 의지력을 소유하지 않으면 안된다. 발목운동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한쪽 다리를 좌우 각각 수백 회씩 들어올려서 실시해야만 하는데, 실제로 수백 회를 실시하는 것은 쉽지 않은 운동이다. 더구나, 이 방식은 다리를 들었다 힘을 풀었다 하는 수백 회의 반복적인 동작이 필요하므로, 상당한 인내력을 요하고, 그 과정에서 다리 근육이 매우 피로하게 되어지며, 이로 인해 발목에 압박을 가하는 운동보다는 다리의 근육운동이 되어버릴 수 있다. 또한, 발목운동은 대부분 중장년 및 노인층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는데, 하체의 힘이 부족한 이들이 수백 회의 반복 운동을 달성하기는 더더욱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발목운도의 또 다른 운동방식은 기계식 운동방식이다. 이는 상기 순수한 발목운동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발목을 위쪽으로 올려주고, 자연 낙하시키는 운동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관한 대표적인 것은 역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34080호 "발목 펌프 운동기"로 소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34080호 "발목 펌프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발목 펌프 운동기는 모터(541)에 의하여 회전판(542)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운동에 따라 승강링크(544)를 작동시키고, 승강링크의 작동에 따라 작동축(52)이 회전축(5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작동축(52)의 타단에 결합된 승강본체(31) 및 발 승강부(3)가 가이드축(4)에 의하여 수직으로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발 승강부(3)에 발꿈치를 들어올리도록 한 다음, 상기의 발 승강부(3)가 가장 놓은 위치에 이르렀을 때 운동자의 발을 아래쪽으로 떨어뜨리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의 발목에 타격을 가하고, 그로 인하여 발목펌프의 운동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 1에 의한 발목 펌프 운동기는 상기의 승강본체(31)를 수직으로 올려주기 위하여 수많은 부품들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고, 각 부품들의 작동시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작동불량을 일으키기 쉽게 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어질 염려가 있고, 또한 제품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서 제조단가가 놓아지는 단점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의한 발목 펌프 운동기는 상기 모터(541)에 의한 회전운동을 상하원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상하 원운동을 이용하여 수직 상하운동으로 전환시킨 다음, 상기 수직 상하운동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더 큰 수직 상하운동으로 확대시키며, 그 확대된 상하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본체(31)를 수직으로 상하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1에 의한 발목 펌프 운동기는 상기 모터(541)의 회전운동을 수차례의 중간 매개단계에 의한 운동을 거쳐서 최종적인 상하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의한 발목 펌프 운동기는 상기 작동축(52)과 상기의 회전축(51)이 서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는데, 상기 모터(541)에 의한 회전운동이 상기 지렛대 받침점의 위치에 따라서는 모터와 지렛대가 감당하기에는 물리적으로 역부족인 위치가 발생되어질 가능성도 있으므 로, 매우 정밀한 부품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발목펌프 장치는 그 기술적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구성부품들을 다수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그 부피가 매우 커지고 실제로 사용시에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간단하고 소량의 구성부품만을 이용하면서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발목운동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자동식 발목펌프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기의 발목펌프 운동기구를 자유롭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동식 발목펌프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동 발목펌프 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a). 전원에너지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b).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에 따라 함께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회전부재와; c). 상기 회전부재의 원형 평 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상하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를 위쪽으로 자동으로 올린다음 자유낙하시키게 되는 다리올림부재와; 위쪽으로 올려진 사용자의 다리가 자유낙하함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에 약간의 충격과 떨림운동을 제공하는 발목받침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지탱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몸체덮개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그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회전부재에는 그의 회전수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몸체덮개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각종의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리모콘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사용방법은 a). 전원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수에 의한 카운트를 설정하고 인터벌 시간을 입력시키는 준비단계와; b). 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를 1회전시킨 다음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의 모터를 OFF 시키는 회전부재의 작동단계와; c). 상기의 모터가 OFF 된 이후 상기의 인터벌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상기의 회전부재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와; d). 상기의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작동단계와 상기의 정지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설정된 카운트에 이르렀을 경우 전 과정을 정지시키는 종료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사용방법은 상기의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작동단계와 상기의 정지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설정된 카운트에 이르렀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재설정 여부를 묻고, 재설정되어지면 다시 처음부터 재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수행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몸체덮개부를 더욱 포함한 실시예에 관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의 회전수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전원에너지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모터(110)는 전원에너지가 공급되었을 경우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모터축(도시되지 않음)과 그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박스(1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의 기어박스(112)는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되어 모터(110)에 의해 발생된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 모터(11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에 따라 함께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회전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회전부재(120)는 모터(110)에 의해 발생된 회전운동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원형판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회전부재(120)는 상기 모터(110)의 회전운동을 직접 전달받아 회전되어지는데, 그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어지는 피동부재(12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피동부재(122)의 경우에도 역시 원형판의 형태를 가진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최소한 1개의 회전부재(120)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에 연동된 피동부재(12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원형 평면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리올림부재(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 기의 다리올림부재(130)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평면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그 결합부위는 회전축(132)에 의한 것이다.(도 5 참조). 예컨대, 상기 회전부재(120)와 상기 회전축(132)은 서로 베어링에 의하거나 테프론 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의 다리올림부재(130)는 상기의 회전부재(12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될 경우,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운동을 하게 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다리를 상기 다리올림부재(130)의 위에 올려놓으면,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다리올림부재(130)를 원형 막대봉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전체적인 구조를 지탱하는 받침판(1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받침판(140)은 상기의 모터(110)를 지지하거나 상기의 회전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받침판(140)은 위쪽으로 올려진 사용자의 다리가 자유낙하함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에 약간의 충격과 떨림운동을 제공하는 발목받침대(1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발목받침대(142)는 자유낙하한 다리에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충격완충성을 지닌 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그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발목받침대(142)는 상기의 받침판(140)에 대하여 그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는 이동고정체(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발목부위에 접촉되어지는 부분은 발목부위에서 점점 종아리부위에 까지 확대되어지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발목받침대(142)는 상기 받침판(140)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결합되어지도록 높이조절체(도시되지 않음)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사용자의 발목이 낙하되어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몸체덮개부(15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덮개부(150)는 회전운동을 발생하는 모터(110)와 실제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회전부재(1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들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다리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개방되어진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의 덮개부(150)는 상기의 받침판(14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회전부재(120)를 4개로 형성하고, 상기의 회전부재(120)에 결합된 다리올림부재(130)를 4각형의 널판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상기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의 기술적 구성 및 그 작동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부재(120)는 모터(110)에 결합되어 있고, 나 머지는 3개의 피동부재(122)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의 회전부재(120)의 뒤쪽에 위치한 회전부재(120')에 별도의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더 결합시키거나, 또는 기어박스에 의하여 기어결합시키거나 체인 등의 전달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그 회전동력을 전달시켜 상기 회전부재(120)와 동일한 힘으로 회전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다리올림부재(130)는 4각형의 널판지 형태로 구성되어지고, 이들은 각각 상기 회전부재(120)(120')와 상기 피동부재(122)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다리올림부재(130)를 4각형 널판지 형태로 구성할 경우, 사용자의 다리를 올려놓는 면적이 커지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발목펌프 운동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완전히 전자적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스럽다. 이를 위하여, 상기의 각종 구성요소들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의 자동제어식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에 관한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그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부(160)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입력시킨 정보 또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전수에 의한 카운트 값을 연산하는 CPU와, 전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CPU에 의해 처리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전체 시스템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체크하는 클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부재(120)는 그의 회전수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126)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센서부(126)는 상기의 회전부재(120)가 1회전할 때마다 그 1회전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발산부(126a)와 센서수신부(126b)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센서발산부(126a)는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내보내는 반면에, 상기 센서수신부(126b)는 상기의 위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의 센서발산부(126a)가 영구자석일 경우, 상기 센서발산부는 소정의 자력선을 그 위치 신호로서 외부로 내보내는 반면에, 상기의 센서수신부(126b)는 상기의 자력선을 감지할 수 있는 리드스위치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센서부(126)를 전자식으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회전수를 전자빔의 통과 여부로 감지할 수 있는 엔코더 방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기의 센서발산부(126a)는 상기의 회전부재(120)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의 센서수신부(126b)는 받침판(14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의 센서수신부(126b)는 그 감지된 신호를 상기의 제어부(160)로 보내고, 제어부(160)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6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 몸체덮개부(150)에 리모콘 접속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 접속부(152)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60)에 각종의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수단이다. 사용자는 리모콘(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고, 그 회전수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인터벌 시간을 입력시키거나 정정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리모콘 접속부(152)는 무선 리모콘을 사용할 경우를 설명한 것이므로, 상기의 리모콘을 유선으로 제조할 경우엔 리모콘이 연결되어지는 유선접속부분을 의미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표시부(154)는 상기 몸체덮개부(150)에 형성시키고, 사용자가 최초로 입력시킨 회전수와 인터벌 시간을 나타내기도 하고, 상기의 회전부재(120)가 회전되어진 회전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의 표시부(154)를 통하여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의 작동 조건을 미리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작동 중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전자식 자동 발목펌프 장치를 기준으로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원에너지를 인가하 고, 리모콘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수를 입력시켜 카운트값(N)를 설정하며, 인터벌 시간을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전수는 사용자가 실제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를 이용하여 몇번의 발목펌프 운동을 할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1회에서 1000회 까지의 범위를 설정범위로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카운트값(N)으로 10회 내지 300회 정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의 회전부재(120)가 1회전한 다음, 다시 1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약간의 휴식시간을 인터벌 시간(T)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의 인터벌 시간(T)을 전혀 갖지 않는다면, 이는 상기의 회전부재(120)가 쉴사이없이 회전하여 카운트값(N)에 이르게 될 때 비로소 처음으로 휴식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벌 시간(T)으로서 0.5초 내지 30초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초 내지 10초의 범위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카운트값 및 인터벌 시간을 입력시키면, 기본적인 준비단계를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이어서 모터(110)를 ON 시킨다. 필요한 경우, 모터(110)의 ON 이전에 시작버튼을 ON 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모터(110)는 가정용 전압(220V)을 이용할 경우 정전압기구에 의해 직류정전압원으로 전환되어 입력되어진다. 상기의 모터(110)가 회전되어지면, 그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20)가 회전되어지고, 그 회전 과정에서 상기의 센서부(126)에 의해 1회전 되어지는 여부가 감지되어진다. 상기의 센서부(126)는 그 1회전 여부를 상기 제어부(160)로 보내고, 상기 제어부(160)는 카운트값을 1 만큼 증가시킨 다음, 상기의 모터(110)를 OFF 시킨다. 상기 모터(110)의 ON 및 OFF 여부는 무접점릴레이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60)에 의하여 제어되어진다.
이때, 상기의 회전부재(120)에 결합되어 있는 다리올림부재(130)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그 위에 자신의 다리를 올려놓으면, 그 다리는 자동적으로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어지고, 상기의 다리올림부재(130)가 최상단에 이르렀을 때, 상기 사용자의 다리는 상기 다리올림부재(130)에서 이탈하여 아래쪽으로 자유낙하게 되어진다. 도 4는 이러한 관계를 잘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이어서 상기의 모터(110)를 OFF 시키고, 상기의 인터벌 시간(T)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의 회전부재(120)는 자연스럽게 상기의 인터벌 시간(T) 동안 정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회전부재(120)에 결합된 다리올림부재(130)는 다시 사용자의 발목 아래쪽에 위치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이어서 상기의 인터벌 시간(T)이 경과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작동단계와 상기의 정지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반복수행과정을 계속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센서부(126)가 최종적으로 설정된 카운트값(N)에 해당하는 회전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60)에 보내게 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전 과정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부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에게 작동이 정지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이와 같이 최초에 설정된 값에 이르렀을 경우 정지시키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용자가 다시 새로운 카운트값(N) 및 인터벌 시간(T)을 재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인터벌 시간(T)이 경과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b).작동단계와 상기의 c).정지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설정된 카운트(N)에 이르렀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재설정 여부를 묻고, 재설정되어지면 다시 처음부터 재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수행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로 진행되어지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발목운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C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발목펌프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우선 바닥 또는 의자에 앉거나 바닥에 누워서 한쪽 다리를 들어 발목의 밑 부분을 다리올림부재(130)의 위에 올려놓는다. 사용자가 카운트값(N)과 인터벌 시간(T)을 설정하면, 모터(110)가 작동하게 되고 기어박스(112)를 통해 회전부재(120)가 구동된다. 다리올림부재(130)는 원형 막대봉의 형상이거나, 4각형 널판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상기 회전부재(1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모터(110)의 회전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그 위에 올려진 다리를 들어올리게 된다. 다리올림부재(130)가 수평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대의 높이로 올라가게 되면, 사용자의 발목이 놓여있는 반대쪽으로 다리올림부재(130)가 후진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다리(발목)를 받쳐두고 있던 다리올림부재(130)가 뒷쪽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사용자의 다리는 자유낙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발목 아래 부분은 발목 받침대(142)에 충돌하면서 압박이 가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하운동을 하게 되는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디스크에 의하여 발목을 위쪽으로 자동으로 올려주게 되는 발목 올림판과 발목에 일정한 타격을 주게되는 발목 받침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충분한 정도의 발목운동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자유낙하시켜 그의 발목에 자연스럽게 타격을 가하여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건강한 사람 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환자와 같이 자신의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곤란한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누구나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가장 알맞은 속도 및 스피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1개의 발목펌프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최적의 조건으로 발목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는 그 구성부품이 매우 간단하므로, 제조단가를 낮추어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구성부품에 의한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그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전원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전수에 의한 카운트를 설정하고 인터벌 시간을 입력시키는 준비단계와;
    b). 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20)를 1회전시킨 다음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의 모터를 OFF 시키는 회전부재(120)의 작동단계와;
    c). 상기의 모터(110)가 OFF 된 이후 상기의 인터벌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상기의 회전부재(120)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와;
    d). 상기의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작동단계와 상기의 정지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설정된 카운트에 이르렀을 경우 전 과정 을 정지시키는 종료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사용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b).작동단계와 상기의 c).정지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설정된 카운트에 이르렀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재설정 여부를 묻고, 재설정되어지면 다시 처음부터 재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수행되어지도록 구성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발목펌프 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50027905A 2005-04-04 2005-04-04 자동 발목펌프 장치 KR10066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05A KR100662487B1 (ko) 2005-04-04 2005-04-04 자동 발목펌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05A KR100662487B1 (ko) 2005-04-04 2005-04-04 자동 발목펌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274A KR20060105274A (ko) 2006-10-11
KR100662487B1 true KR100662487B1 (ko) 2006-12-28

Family

ID=3763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905A KR100662487B1 (ko) 2005-04-04 2005-04-04 자동 발목펌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71B1 (ko) * 2013-06-19 2015-06-17 주식회사 생 발목펌프 운동기구 및 그를 포함하는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749A (ja) 2002-03-28 2003-10-07 Seijiro Ikeda 血行促進装置
KR200334080Y1 (ko) 2003-09-02 2003-11-19 김재춘 발목 펌프 건강기
KR100469996B1 (ko) 2003-11-24 2005-02-04 박정식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060038006A (ko) * 2004-10-29 2006-05-03 (주) 앵클맨 발목 펌프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749A (ja) 2002-03-28 2003-10-07 Seijiro Ikeda 血行促進装置
KR200334080Y1 (ko) 2003-09-02 2003-11-19 김재춘 발목 펌프 건강기
KR100469996B1 (ko) 2003-11-24 2005-02-04 박정식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060038006A (ko) * 2004-10-29 2006-05-03 (주) 앵클맨 발목 펌프 운동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69996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71B1 (ko) * 2013-06-19 2015-06-17 주식회사 생 발목펌프 운동기구 및 그를 포함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274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0393B (en)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KR100518924B1 (ko)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
CN104800051B (zh) 一种多方位智能拉伸器
US7887464B1 (en) Device for mechanically assisting human walking motion for rehabilitation purposes
KR10145807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RU2645604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двигате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KR101571637B1 (ko) 발목펌프 운동장치
KR100662487B1 (ko) 자동 발목펌프 장치
CN108403410A (zh) 一种中药熏蒸盆
CN106377397B (zh) 一种手指训练器
JP2009089872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06344324B (zh)
CN110353945A (zh) 一种多运动模式的下肢康复机器人
CN106389104B (zh) 一种医用熏蒸坐浴坐便椅
KR200483062Y1 (ko) 재활 운동 기구
JP2000308661A (ja) 腰痛加療器具
JP3400754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0404007Y1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KR20090097614A (ko) 하퇴단련 운동기구
KR200411249Y1 (ko) 성장판 자극형 발육 촉진 운동구
US20080200847A1 (en)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pinal Osteoporosis
KR20100112943A (ko) 안마의자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KR20070037558A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KR20160001422A (ko) 발끝 치기 기능을 구비하는 발 및 다리 운동기구
KR102161010B1 (ko) 서서 일하는 작업자를 위한 맞춤형 발 받침대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