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404A -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404A
KR20040052404A KR1020020080596A KR20020080596A KR20040052404A KR 20040052404 A KR20040052404 A KR 20040052404A KR 1020020080596 A KR1020020080596 A KR 1020020080596A KR 20020080596 A KR20020080596 A KR 20020080596A KR 20040052404 A KR20040052404 A KR 2004005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door
door hinge
mounting surfac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2404A/ko
Publication of KR2004005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1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hing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전면은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배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실내측을 향하는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25)가 결합되는 필러장착면부(31)와, 차체의 전후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31)의 좌우측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과 용접결합되는 좌측플랜지부(32) 및 우측플랜지부(33)와, 차체의 상하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31)의 상하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좌,우측플랜지부(32,33)와도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상단플랜지부(34) 및 하단플랜지부(35)로 이루어져, 도어의 지지강성이 전체적으로 증대됨으로써 도어의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pillar reinforcement bracket}
본 발명은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폐시 차체의 전후방향쪽으로 작용하는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도어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도어의 지지강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도어의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도어(four door) 승용차의 경우 좌우측의 프런트필러에는 프런트도어가 도어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측의 센터필러에는 리어도어가 도어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도어힌지가 장착되는 각 필러의 장착면에는 소정형상의 필러보강브라켓트가 함께 덧대여져 필러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의 필러보강브라켓트는 도어(프런트도어, 리어도어)의 하중을 지탱하여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디귿(ㄷ)자의 모양을 가지도록 프레스성형을 통해 형성되게 된다.
즉,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는 사각평판 모양의 필러장착면부(11)와, 이 필러장착면부(11)의 좌우측면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면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가 플런트필러에 장착된 구조를 일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프런트필러아웃터패널(21)의 배면에는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의 배면에는 프런트도어힌지어퍼보강패널(23)과 프런트도어힌지로어보강패널(24)이 각각 상하측의 굴곡부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프런트도어힌지어퍼보강패널(23)과 프런트도어힌지로어보강패널(24)의 배면에는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가 각각 용접결합되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필러장착면부(11)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25)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프런트도어의 도어힌지(도시않됨)를 프런트필러아웃터패널(21) 의 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립볼트를 프런트필러아웃터패널(21)과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과 프런트도어힌지어퍼보강패널(23) 및 필러보강브라켓트(10)의 순으로 관통시켜 상기 용접너트(25)에 체결시키게 되면 프런트도어의 상단부 체결이 종료되게 되고, 또한 프런트도어의 하단부도 상단부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 체결시키게 되면 프런트도어의 조립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미설명부호 26은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과 용접결합되는 프런트필러인너패널(26)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도어힌지어퍼보강패널(23)과 프런트도어힌지로어보강패널(24)은 이후부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로 통일하여 표기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러장착면부(11)의 좌우측면에만 플랜지부(12,13)가 형성되고, 이 좌,우측플랜지부(12,13)가 각각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에 용접결합됨으로써, 차체의 전후방향쪽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이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즉 도어의 하중에 대해서는 조립볼트의 체결력에만 의존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는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는 데에 무리가 있게 되고 결국에는 도어의 처짐현상 및 개폐불량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러장착면부의 상하면에도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상단플랜지부 및 하단플랜지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차체의 전후방향쪽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좌,우측플랜지부를 이용해 지탱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상,하단플랜지부를 이용해 지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도어의 지지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도어의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러보강브라켓트는, 전면은 도어힌지보강패널의 배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실내측을 향하는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가 결합되는 필러장착면부와, 차체의 전후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의 좌우측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과 용접결합되는 좌측플랜지부 및 우측플랜지부와, 차체의 상하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의 상하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좌,우측플랜지부와도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상단플랜지부 및 하단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가 일실시예에 따라 프런트필러에 장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가 일실시예에 따라 프런트필러에 장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24 - 도어힌지보강패널 25 - 용접너트
30 - 필러보강브라켓트 31 - 필러장착면부
32 - 좌측플랜지부 33 - 상단플랜지부
34 - 하단플랜지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는 도어힌지가 장착되는 각 필러의 장착면에는 덧대여져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의 필러보강브라켓트는 도어(프런트도어, 리어도어)의 하중을 지탱하여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프레스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모양의 필러장착면부(31)와, 차체의 전후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31)의 좌우측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좌측플랜지부(32) 및 우측플랜지부(33)와, 차체의 상하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31)의 상하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좌,우측플랜지부(32,33)와도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상단플랜지부(34) 및 하단플랜지부(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러장착면부(31)는 후술하는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배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또한 실내측을 향하는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25)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좌,우측플랜지부(32,33)는 도어힌지보강패널(23,24)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굴곡 형성되며 또한 용접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 즉 필러장착면부(31)와 좌,우측플랜지부(32,33) 및 상,하단플랜지부(34,35)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또한 그 두께는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도어의 개폐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과 도어가 지닌 자체의 하중이 도어힌지보강패널(33,34)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에 더 많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의 두께를 도어힌지보강패널(23,24)보다 더 두껍게 형성시킴으로써 외력과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필러장착면부(31)는 차체의 전후방향쪽을 향하는 최소길이(L1)와 차체의 상하방향쪽을 향하는 최소길이(L2)중 적어도 어느 한 개의 길이가 이에 상응하는 도어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도어의 개폐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나 또는 도어가 지닌 자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필러장착면부(31)에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된 좌,우측플랜지부(32,33)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서 형성되고, 상기 필러장착면부(31)에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된 상,하단플랜지부(34,35)의 길이도 서로 동일한 길이로서 형성되는데, 상기 좌,우측플랜지부(32,33)의 최소길이(L3)는 상기 상,하단플랜지부(34,35)의 최소길이(L4)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좌,우측플랜지부(32,33)와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용접결합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더 길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가 플런트필러에 장착된 구조를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프런트필러아웃터패널(21)의 배면에는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의 배면에는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이 각각 상하측의 굴곡부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배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가 각각 용접결합되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은 필러의 명칭에 따라 각각 다른 고유의 명칭을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런트필러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은 프런트도어힌지어퍼보강패널(23)과 프런트도어힌지로어보강패널(24)로 병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명세서의 내용상 도어힌지보강패널(23,24)로 통일하였다.
그리고, 상기 필러장착면부(31)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25)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미설명부호 26은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과 용접결합되는 프런트필러인너패널(26)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프런트도어의 도어힌지(도시않됨)를 프런트필러아웃터패널(21) 의 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립볼트를 프런트필러아웃터패널(21)과 프런트필러아웃터보강패널(22)과 도어힌지보강패널(23) 및 필러보강브라켓트(10)의 순으로 관통시켜 상기 용접너트(25)에 체결시키게 되면 프런트도어의 상단부 체결이 종료되게 되고, 또한 프런트도어의 하단부도 상단부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 체결시키게 되면 프런트도어의 조립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힌지의 조립을 위해 필러부에 장착되는 필러보강브라켓트(30)가 본 발명에 따라 좌,우측플랜지부(32,33)와 더불어 상,하단플랜지부(34,35)를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면, 도어의 개폐시 차체의 전후방향쪽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좌,우측플랜지부(32,33)가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되고,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즉 도어의 자체하중에 대해서는 상,하단플랜지부(34,35)가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러보강브라켓트(30)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필러보강브라켓트(10)보다, 도어의 지지강성을 전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의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힌지가 조립되는 필러보강브라켓트가 좌,우측플랜지부 및 상,하단플랜지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져, 도어의 지지강성이 전체적으로 증대됨으로써 도어의 처짐현상과 개폐불량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전면은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배면에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실내측을 향하는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25)가 결합되는 필러장착면부(31)와, 차체의 전후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31)의 좌우측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과 용접결합되는 좌측플랜지부(32) 및 우측플랜지부(33)와, 차체의 상하방향쪽을 향하는 필러장착면부(31)의 상하면에서 각각의 선단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좌,우측플랜지부(32,33)와도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상단플랜지부(34) 및 하단플랜지부(35)로 이루어지는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장착면부(31)와 좌,우측플랜지부(32,33) 및 상,하단플랜지부(34,35)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상기 도어힌지보강패널(23,24)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장착면부(31)는 차체의 전후방향쪽을 향하는 최소길이(L1)와 차체의 상하방향쪽을 향하는 최소길이(L2)중 적어도 어느 한 개의 길이가 이에 상응하는 도어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장착면부(31)에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된 좌,우측플랜지부(32,33)의 최소길이(L3)는 상기 필러장착면부(31)에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된 상,하단플랜지부(34,35)의 최소길이(L4)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KR1020020080596A 2002-12-17 2002-12-17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KR20040052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96A KR20040052404A (ko) 2002-12-17 2002-12-17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96A KR20040052404A (ko) 2002-12-17 2002-12-17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404A true KR20040052404A (ko) 2004-06-23

Family

ID=3734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596A KR20040052404A (ko) 2002-12-17 2002-12-17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24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528B1 (ko) 차량의차체구조
US5042872A (en) Pillar structure for front body portion of automobile
JP4510748B2 (ja) 車両フレームの後部ピラー構造物
CN1772548A (zh) 车辆的后部车体结构
WO2010113898A1 (ja) 車両のピラー補強構造
KR100951783B1 (ko) 자동차 루프 지지구조
JP2006273296A (ja) センタピラーレス車のロッカ構造
KR20040052404A (ko) 도어힌지 장착용 필러보강브라켓트
JP2005153820A (ja) 自動車のセンタピラー構造
JP2008126982A (ja) 車両のドア構造
JP3274080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開口部の補強構造
KR20090064178A (ko) 차량의 도어 내측패널
JPH072274Y2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9104228A (ja) 車両用ドア
JPH10203172A (ja) 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JP3274079B2 (ja) 横開き式バックドアの支持構造
KR100569970B1 (ko) 차량용 도어힌지 장착구조
KR100424015B1 (ko) 필라부 도어 마운팅 보강 구조
JP3587690B2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KR100387881B1 (ko) 차량도어의 힌지 고정장치
KR100387681B1 (ko) 헤치백 차량의 리어필라 보강구조
JP3065626B2 (ja) 車両のスライドルーフ構造
KR0126072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처짐방지를 위한 브라켓 설치구조
KR960009994Y1 (ko) 자동차의 a필라 보강재
KR10183625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힌지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