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401A -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401A
KR20040052401A KR1020020080593A KR20020080593A KR20040052401A KR 20040052401 A KR20040052401 A KR 20040052401A KR 1020020080593 A KR1020020080593 A KR 1020020080593A KR 20020080593 A KR20020080593 A KR 20020080593A KR 20040052401 A KR20040052401 A KR 20040052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nd brake
child
stat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899B1 (ko
Inventor
신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8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e.g. to weight or lack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8Braking system
    • B60W2710/188Parking lock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의 탑승을 확인하고, 차량 출발시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를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경사로 주차시 어린이만 차량 내에 탑승됨이 판단되면, 어린이의 장난으로 인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시 이를 경고함과 동시에 2차적인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이 이동됨을 방지할 목적으로;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차량 실내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영상처리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과; 운전자의 차량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차량 기울기 및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 등을 검출하는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과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시동 키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 탑승여부를 판단하여, 어린이 탑승시 탑승 위치의 도어를 잠김 설정하고,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온 상태에서 차량이 소정의 설정 경사로 이상의 위치에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 해제됨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의 잠김 상태로 전환시키고, 오디오를 통한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핸드 브레이크 조작 해지 방지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방지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어린이의 장난으로 발생되는 대형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 devie and the method for parking break controling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로에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어린이의 탑승을 확인한 후,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고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의 해제됨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 장치에는 주행중에 주로 사용되는 주 브레이크(서비스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가 있으며, 주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하므로 발브레이크라 하며 주차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손으로 조작되므로 핸드 브레이크라고도 한다.
브레이크 장치의 조작기구로는 코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발 브레이크에는 유압식이 사용되고, 주차 브레이크에는 기계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주차상태를 유지하는 주차 브레이크에 있어서, 예컨대, 주차상태에서 어린이를 차내에 홀로 잔류시킨 경우 등에, 어린이가 장난을 하다가 주차 브레이크를 손으로 조작하여 주차상태를 해제하는 때에는 안전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상기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많은 발명들이 도출되어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브레이크 레버의 손잡이와 레버 본체에 각각 나사부를 형성하여 체결가능한 구조로 하고, 손잡이 내측에 격판을 설치하며, 손잡이 내측의 브레이크 폴 릴리스로드에는 걸림쇠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 작동 노브가 손잡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된 주차 브레이크를 구성하여 어린이의 장난으로부터 주차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어린이가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못하도록 구성한 주차 브레이크 잠금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1998-039113호(공개일 : 1998. 09.15. 명칭 : 주차 브레이크 잠금장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안은 어린이가 장난중 회전되는 손잡이를 회전시킬 경우, 주차 브레이크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원천적으로 어린이의 장난에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방지해야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의 탑승을 확인하고, 차량 출발시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를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경사로 주차시 어린이만 차량 내에 탑승됨이 판단되면, 어린이의 장난으로 인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시 이를 경고함과 동시에 2차적인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이 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적외선 촬영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촬영된 차량 실내의 탑승자 촬영 데이터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 110 : 열적외선 카메라
120 :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 200 : 차량 상태 검출수단
210 :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검출부
220 : 차량 기울기 검출부 230 : 이그니션 스위치 검출부
300 : 엔진 제어 수단 400 : 구동수단
410 : 도어 잠김 구동부 420 : 경고부
430 : 핸드 브레이크 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차량 실내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영상처리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과;
운전자의 차량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차량 기울기 및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 등을 검출하는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과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시동 키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 탑승여부를 판단하여, 어린이 탑승시 탑승 위치의 도어를 잠김 설정하고,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온 상태에서 차량이 소정의 설정 경사로 이상의 위치에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 해제됨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의 잠김 상태로 전환시키고, 오디오를 통한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핸드 브레이크 조작 해지 방지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방지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시동 키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면, 차량 실내를 촬영하여 인가되는 영상 처리 신호에 의해 어린이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어린이 탑승여부가 판단되면, 어린이 탑승위치의 도어 잠김 유지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주차여부 및 경사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소정의 설정 경사로 이상에 차량 주차상태가 판단되면, 차량 내 어린이 혼자 탑승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어린이 혼자 탑승한 상태임이 판단되면 핸드 브레이크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핸드 브레이크 해제 상태가 판단되면 경고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 해제 방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일예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적외선 촬영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촬영된 차량 실내의 탑승자 촬영 데이터이다.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차량 실내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영상처리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 처리 장치(100)와, 운전자의 차량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차량 기울기 및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 등을 검출하는차량 조작상태 검출장치(200)와, 상기 카메라 촬영 처리 장치(100)와 차량 조작상태 검출장치(200)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시동 키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 탑승여부를 판단하여, 어린이 탑승시 탑승 위치의 도어를 잠김 설정하고,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온 상태에서 차량이 소정의 설정 경사로 이상의 위치에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 해제됨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장치(30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의 잠김 상태로 전환시키고, 오디오를 통한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핸드 브레이크 조작 해지 방지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방지하는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카메라 촬영 처리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 루프(roof : 10)에 구비되어 차량 실내 내부(20)를 열적외선으로 촬영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열적외선 카메라(110)와;
상기 열적외선 카메라(110)에서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이를 영상 처리한 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드(node)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차량 조작상태 검출장치(200)는 사용자의 핸드 브레이크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검출부(210)와;
차량의 정차 및 주차된 도로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차량 기울기 검출부(220)와;
운전자의 시동키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스위치 검출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구동장치(400)는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래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도어의 열림 및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는 도어 잠김 구동부(41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경고하기 위해 소정의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 음성을 출력하는 경고부(42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핸드 브레이크가 어린이에 의해 해제될시 잠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핸드 브레이크 구동부(4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 시동키를 조작하면,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200)는 운전자의 시동키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를 검출한다(S100).
이에, 엔진 제어 장치(3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를 검출하여 엔진 시동이 '온' 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5).
상기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가 '온' 상태로 엔진 시동이 '온'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실내 루프(roof)에 열적외선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촬영 처리부(100)로 소정의 설정 시간 주기(예 : 1sec)로 차량 실내 내부를 연속 촬영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S110).
이에, 카메라 촬영 처리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열적외선 카메라(11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실내 루프(10)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20)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주기로(예:1sec)로 촬영한다.
상기 열적외선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는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120)로 전송한다. 이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120)에는 전체 촬영된 크기를 고려하여 가로, 세로 일정 크기로 세분화한 노드(node)가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된 노드는 세분화할수록 정밀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지만, 데이터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량이 많아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가로, 세로 크기로 세분화시킨다. 이처럼 가로, 세로 일정크기로 세분화된 하나의 프레임(frame)을 만든다.
이어서, 연속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에 사람의 형상에 맞게 열감지선이 나타나는데, 어른과 어린이들을 구분한다.
이를 구분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람의 체형마다 다르긴 하지만, 어린이와 확연하게 프레임에 구분할 수 있다.
즉, 열적외선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되는 어른과 어린이는 타원형 형태의 불규칙적인 도형을 형성한다.
이 때, 촬영되는 데이터는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120)에서 가로의 가장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 및 세로의 가장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가로, 세로 평균치를 산출한 후, 이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크기 설정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성인과 어린이의 크기(Size)를 설정한 다음, 상기 설정된 크기를 성인 또는 어린이 비교 기준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판단하여 엔진 제어 장치(300)로 출력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른은 가로의 가장 넓은 부분 4프레임과 가장 좁은 부분 3.5 프레임, 세로의 가장 넓은 부분 6프레임과 가장 좁은 부분 4프레임으로 나타나고, 이의 가로 평균치는 3.75프레임, 세로 평균치는 5프레임으로 넓이가 산출된다.
어린이의 경우, 가로의 가장 넓은 부분 2.5프레임과 가장 좁은 부분 1.5 프레임, 세로의 가장 넓은 부분 3 프레임과 가장 좁은 부분 2 프레임으로 나타나고, 이의 가로 평균치는 2프레임, 세로 평균치는 2.5 프레임으로 넓이가 산출된다.
상기 산출된 값은 엔진 제어 장치(300)로 출력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300)는 카메라 촬영 처리부(100)의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노드의 넓이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성인의 체형에 나타나는 프레임에 따라 크기(Size)를 설정하는 크기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크기를 한 후, 상기 설정된 크기에 따른 성인 또는 어린이 비교 기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성인과 어린이를 비교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는 상기 비교 기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에 몇 명이 탑승하였는지 및 어린이가 탑승하였는지를 진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 장치(300)는 차량에 어린이가 탑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5).
상기에서, 어린이가 탑승함이 판단되면, 탑승한 위치가 판단 가능함으로,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가 내부에서 열리지 않도록 도어 잠기 요구신호를 구동장치(400)의 도어 잠김 구동부(410)로 출력한다(S120).
상기에서, 도어 잠김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어린이의 장난으로 차량의 도어가 열리게됨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어서, 엔진 제어 장치(300)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200)에서 인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신호와 차량의 기울기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언덕길 주차여부를 판단한다(S125,S130).
즉, 엔진 제어 장치(300)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 상태로 위치된 상태로, 소정의 경사로 이상의 도로에 차량이 주차됨이 판단되면, 연속되어 촬영되는 열적외선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어린이 혼자 차량내에 탑승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S135,S140).
상기에서,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린이 혼자 탑승하고 있음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300)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 신호를 어른이 탑승함이 판단될 때까지 계속 입력받는다.
이어서, 상기에서 입력받은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의 상태가 어린이 혼자 탑승하고 있을 때,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됨이 판단되면, 즉시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 출력 요구 신호를 구동장치(400)의 경고부(420)로 출력하고, 핸드 브레이크의 잠기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핸드 브레이크 구동부(430)에 소정의 액츄에이터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45,S150).
이에, 구동장치(4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경고음 출력 요구신호에 동기되어, 경고부(4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핸드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위험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 음성을 오디오를 통하여 어린이에게 경고한다.
그리고, 핸드 브레이크 구동부(43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액츄에이터 구동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가 조작되어 스위치 상태가 '오프' 될 지라도,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실제로 핸드 브레이크가 작동 해제됨을 방지한다.
이로서, 차량에 동승한 어른의 부재중 어린이에 의해 경사로에 주차된 차량의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경고하고, 또한 핸드 브레이크의 해제로 인한 차량의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여 줌으로, 대형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의 탑승을 확인하고, 차량 출발시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를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경사로 주차시 어린이만 차량 내에 탑승됨이 판단되면, 어린이의 장난으로 인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시 이를 경고함과 동시에 2차적인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이 이동됨을 방지함으로서, 어린이의 장난으로 발생되는 대형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차량 실내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영상처리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과;
    운전자의 차량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차량 기울기 및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 등을 검출하는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과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시동 키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열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어린이 탑승여부를 판단하여, 어린이 탑승시 탑승 위치의 도어를 잠김 설정하고,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온 상태에서 차량이 소정의 설정 경사로 이상의 위치에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 해제됨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가 탑승한 위치의 도어의 잠김 상태로 전환시키고, 오디오를 통한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핸드 브레이크 조작 해지 방지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방지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처리 수단은 차량 루프에 구비되어 차량 실내 내부를 열적외선으로 촬영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열적외선 카메라와;
    상기 열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인가되는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이를 영상 처리한 후, 노드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조작상태 검출수단은 사용자의 핸드 브레이크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검출부와;
    차량의 정차 및 주차된 도로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차량 기울기 검출부와;
    운전자의 시동키 조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이그니션 스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스위치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래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도어의 열림 및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는 도어 잠김 구동부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어린이에 의해 핸드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경고하기 위해 소정의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 음성을 출력하는 경고부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핸드 브레이크가 어린이에 의해 해제될시 잠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핸드 브레이크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5. 운전자가 시동 키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면, 차량 실내를 촬영하여 인가되는 영상 처리 신호에 의해 어린이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어린이 탑승여부가 판단되면, 어린이 탑승위치의 도어 잠김 유지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주차여부 및 경사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소정의 설정 경사로 이상에 차량 주차상태가 판단되면, 차량 내 어린이 혼자 탑승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어린이 혼자 탑승한 상태임이 판단되면 핸드 브레이크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핸드 브레이크 해제 상태가 판단되면 경고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핸드 브레이크 해제 방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어린이 탑승 여부 판단은 카메라 촬영 처리부의 이미지 및 영상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노드의 넓이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성인의 체형에 나타나는 프레임에 따라 크기를 설정하는 크기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 크기를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크기에 따른 성인 또는 어린이 비교 기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성인과 어린이를 비교 판단하여 어린이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방법.
KR10-2002-0080593A 2002-12-17 2002-12-17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7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93A KR100471899B1 (ko) 2002-12-17 2002-12-17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93A KR100471899B1 (ko) 2002-12-17 2002-12-17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401A true KR20040052401A (ko) 2004-06-23
KR100471899B1 KR100471899B1 (ko) 2005-03-09

Family

ID=3734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593A KR100471899B1 (ko) 2002-12-17 2002-12-17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8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7826A1 (en) * 2016-09-24 2018-03-2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CN110490997A (zh) * 2018-05-15 2019-11-22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辆及其基于人脸识别的儿童锁控制方法
US11161484B2 (en) 2016-09-24 2021-11-02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US11485341B2 (en) 2016-09-24 2022-11-01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7826A1 (en) * 2016-09-24 2018-03-2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US11161484B2 (en) 2016-09-24 2021-11-02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US11485341B2 (en) 2016-09-24 2022-11-01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CN110490997A (zh) * 2018-05-15 2019-11-22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辆及其基于人脸识别的儿童锁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899B1 (ko)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4320B2 (ja) ドライバモニタシステム
JP2002063668A (ja) 車内の人検出通報装置及び危険状態回避装置
US11498457B2 (en) Vehicle mounted system,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infant in a vehicle cabin
JP2019123421A5 (ko)
KR100471899B1 (ko)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1338472A2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view range of vehicular monitoring device
JP2007131252A (ja) 車載用カメラ制御装置及び車載用確認カメラ装置
JP2003301639A (ja) 車両用使用者認証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方法
JPH1049799A (ja) 運転制御装置
KR101324650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JPH10341427A (ja) 自動警報システム
JP4628666B2 (ja) 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2004179971A (ja) 監視カメラ
JP2007179096A (ja) 車両制御装置
JP3815842B2 (ja) 居眠り警報装置
KR100835803B1 (ko) 이중 차선이탈 경보 장치 및 방법
JP2004534343A (ja) 所定の領域内の人間の実際位置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方法及び/又は装置の使用
JPH11304428A (ja) 運転者監視装置及び自動車運転支援システム
KR100494897B1 (ko) 열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윈도우 작동 금지 시스템
KR100241387B1 (ko) 운전자 자동인식장치
JP2004330979A (ja) 車両の駆動制御装置
KR200432014Y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화 시스템
KR100461513B1 (ko) 열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시트벨트 해제 경고장치와 그제어방법
KR100331641B1 (ko) 차량 도난 방지 방법
CN109050246A (zh) 一种疲劳预警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