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431A -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431A
KR20040050431A KR1020020078266A KR20020078266A KR20040050431A KR 20040050431 A KR20040050431 A KR 20040050431A KR 1020020078266 A KR1020020078266 A KR 1020020078266A KR 20020078266 A KR20020078266 A KR 20020078266A KR 20040050431 A KR20040050431 A KR 20040050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m
shell
coupled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길
전숙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바이오
Priority to KR102002007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431A/ko
Publication of KR2004005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탁수를 여과하여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20)는 수면에 부유되어 띠형상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플로트부와, 플로트부(21)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포지하는 오탁방지막(22) 및, 오탁방지막(22)에 연결되어 오탁방지막(22)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앵커부(24a~24c)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탁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다수개의 패류수하연부(26)가 오탁방지막(22)의 어느 일면에 위치하도록 플로트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은 오탁방지막(22)에서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여과하고, 오탁방지막(22)에서 여과하지 못한 오탁수의 미세한 부유물질을 패류수하연부(26)의 패류가 여과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 오탁수를 더 효율적으로 여과하여 수중의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A silt protector apparatus and method using shellfish}
본 발명은 토사 및 세립토가 함유된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패류를 이용해 오탁수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질 또한 여과할 수 있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의 자연환경은 산업이 발전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점차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해안가 또는 하천주변은 더욱 심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주로 해안을 매립하거나, 수저면에 잠긴 토사를 준설하는 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이런 공사가 행해지는 수중에는 토사 및 세립토(silt)가 발생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주변지역의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기도 한다. 그래서, 해안가 및 하천주변의 공사에는 토사, 세립토 및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한다. 이런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기술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15673호에 공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방지장치(10)는 수중에 함유된 토사 및 세립토를 오탁방지막으로 여과하여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한다. 그래서, 오탁방지장치(10)는 매립공사, 준설공사 및 항만공사를 하는 주변지역에 설치되어 주변지역 양식장 및 수중 생태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의 오탁방지장치(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플로트부(11)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여 위치하고, 그 하부에는 오탁방지막(12)이 플로트부(11)에 결합된다. 이런 오탁방지막(12)은 수중에 침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따라 임의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그 하단에 제 1앵커부(14a)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오탁방지막(12)의 정면과 배면에는 각각 제 2, 제 3앵커부(14b, 14c)가 수저면에 설치 고정되고, 이런 제 2, 제 3앵커부(14b, 14c)들은 연결로프(15)에 의해 플로트부(11) 또는 오탁방지막(12)의 상단에 연결된다. 즉, 수저면에 설치된 제 1앵커부(14a)는 오탁방지막(12)을 수중에서 수직상태로 유지하도록 잡아주고, 제 2, 제 3앵커부(14b, 14c)는 오탁방지막(12)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어 바다물의 조석차와 같은 물의 흐름에 오탁방지장치(10)가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하지만, 해안가 또는 하천주변에서 발생하는 오탁수에는 토사, 세립토 뿐만 아니라 미세한 부유물질 또한 함유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오탁방지장치(10)를 통해서는 토사 및 세립토를 어느 정도 여과할 수 있지만, 미세한 부유물질까지는 여과할 수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여과하는 오탁방지막과 더불어 패류가 서식하는 패류수하연부를 설치하여 해안가 또는 하천주변 공사에서 발생하는 오탁수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질까지 여과하는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가 서식하는 패류수하연부를 오탁방지장치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오탁방지장치에서 패류수하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일부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류가 서식하는 패류수하연부를 오탁방지장치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오탁방지장치 11, 21 : 플로트(float)부
12, 22 : 오탁방지막 14a~14c, 24a~24c : 앵커(Anchor)부
15, 25 : 연결로프 26 : 패류수하연부
27 : 연결후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되어 띠형상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부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포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어 상기 오탁방지막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앵커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오탁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다수개의 패류수하연부가 상기 오탁방지막의 어느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패류수하연부는 상기 플로트부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류수하연부는 상기 플로트부 및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오탁방지방법은 수면에 부유되어 띠형상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부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포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어 상기 오탁방지막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앵커부를 포함한 오탁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오탁방지막의 어느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패류수하연부를 이용하여 상기 오탁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가 서식하는 패류수하연부를 오탁방지장치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안가 또는 하천주변 공사에서 발생되는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오탁방지막(22)이 여과하고, 오탁방지막(22)에서 여과되지 않은 오탁수의 미세한 부유물질을 패류가 서식하는 패류수하연부(26)에서 여과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런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20)는 부력을 가진 플로트부(21)가 수면에 설치된다. 플로트부(21)는 부력체이면서 내구성이 양호한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파랑과 같은 물의 요동에도 순응성이 양호하다. 그리고, 플로트부(21)는 부력효과가 변하지 않도록 그 내부는 중공인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부는 다른 플로트부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해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플로트부(20)는 다른 플로트부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띠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플로트부(21)의 하부에는 오탁방지막(22)이 띠형상의 플로트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수중에 침수된다. 오탁방지막(22)은 폴리프로필렌 직포와 같이 토사 및 세립토를 격리하여 여과하는 포지가 그물망 형상으로 제작되고, 오탁방지막(22)의 각 모서리부에는 중첩되게 봉착되는 보강부(23)가 형성된다. 이런 오탁방지막(22)은 인접한 다른 오탁방지막과 연결되고, 이를 위해 보강부(23)에는 연결구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형성된다(도시 생략). 그리고, 오탁방지막(22)의 하단에는 제 1앵커부(24a)가 연결된다. 이런 제 1앵커부(24a)는 플로트부(21)에 의해 수중에 부유된 상태의 오탁방지막(22)이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오탁방지막(22)의 상단에는 바다의 조석차와 같은 물의 흐름에 따라 오탁방지막(22)이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로프(25)에 의해 제 2, 제 3앵커부(24b, 24c)가 연결된다. 이런 제 1, 제 2, 제 3앵커부(24a, 24b, 24c)는 석재 또는 콘크리트 블럭으로 수저면에 설치 고정된다. 또한, 연결로프(25)는 필요에 따라 오탁방지막(22)의 보강부(23)와 제 2, 제 3앵커부(24b, 24c)에 각기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패류수하연부(26)가 오탁방지장치에 연결된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오탁방지장치에서 패류수하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일부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류수하연부(26)는 오탁방지막(22)의 어느 일면에 접하여 위치하고, 그 일단은 플로트부(21)에 결합된다. 즉, 패류수하연부(26)는 연결부재인 연결후크(27)에 의해 도 3과 같이 탈부착되며, 이를 위해 플로트부(21)에는 연결후크(27)에 대응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거나 연결후크(27)가 결합되도록 로프(28)가 플로트부(21)에 묶여 있다. 또한, 패류수하연부(26)는 연결부재로서 투터치 버클을 사용하여 플로트부(21)에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패류수하연부(26)는 오탁방지막(22)의 상단 보강부(23)에 연결후크(27)를 끼워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상단 보강부(23)에 연결후크(27)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패류수하연부(26)는 플로트부(21) 및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각각 결합할 수도 있으며, 플로트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 로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패류수하연부(26)는 일반적으로 3~4m의 플라스틱 줄에 굴 껍질 또는 가리비패와 같은 패각을 20~30cm 간격으로 끼워 넣고, 그 패각에 참굴을 종묘하여 서식시킨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패류 양식장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패류수하연부(26)의 참굴은 그 특성상 해수를 입수공에서 흡입하고, 아가미에서 여과시켜, 수중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오탁수가 패류수하연부(26)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오탁수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질 등이 참굴에 의해 여과된다. 이로 인해, 오탁방지장치(20)는 오탁방지막(22)에서 토사 및 세립토를 포지하고, 패류수하연부(26)에서 나머지 정화되지 않은 미세한 부유물질 등을 여과하여 오탁수가 물의 흐름에 따라 인근 주변지역으로 확산하여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행위를 방지한다.
그리고, 패류수하연부(26)는 미세한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오탁방지막(26)의 일면에 다수개가 치밀하게 위치한다. 이를 위해, 인접한 패류수하연부(26) 간의 간격은 각기 50~70cm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류수하연부(26)에는 참굴을 이용한다고 했지만, 이외에 패각에 부착하여 서식할 수 있는 패류인 굴 종류, 담치류 및 연체동물(척삭동물)인 우렁쉥이류 등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인 오탁수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패류수하연부(26)는 바구니나 그물로 만든 채롱을 플라스틱 줄에 매달고, 상기 채롱 속에 피조개, 바지락, 꼬막, 가리비, 진주조개, 전복 등과 같은 포복 저서 생물을 양식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인 오탁수에 함유된 미세한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오탁방지장치(20)에는 패류수하연부(26)의 설치로 인한 그 자중이 증가하는 경우에 플로트부(21) 이 외의 다른 부력체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20)는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류가 서식하는 패류수하연부를 오탁방지장치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30)는 플로트부(31)의 형상을 원통형이 아닌 구형으로 제작하여, 인접한 다른 구형 플로트부(31)와 서로 결합하고, 상기 패류수하연부를 상술한 방법으로 구형 플로트부(31)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40)는 도 2a, 도 2b 및 도4에 도시된 플로트부(21, 31)와 패류수하연부(26)를 이용하되 오탁방지막을 고정하는 앵커부(44c)에 석재 또는 블럭을 대신하여 폐타이어를 사용한 것이다. 이런 폐타이어를 이용한 앵커부(44c)는 연결로프에 의해 결착되므로 풍파에 강하고, 그 중심부가 중공이기 때문에 물의 소통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앵커부(44c)는 석재 또는 블럭에 비해 가벼우므로 운반하기 편리하고, 구입하기도 용이하다. 이를 위해, 앵커부(44c)에 이용되는 폐타이어는 그 측면부를 절개하고, 수저면에 50cm 간격으로 균일하게 고정한다.
아래에서는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해안가 및 하천주변 공사에서 오탁수가 발생되는 지역을 파악하고, 오탁방지장치(20)를 설치할 위치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는 육상에서 플로트부(21)를 띠형상으로 길게 연결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탁방지막(22)을 결합시킨다. 오탁방지막(22)은 필요에 따라 인접한 다른 오탁방지막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띠형상으로 된 플로트부(21)에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류수하연부(26)를 플로트부(21) 또는 오탁방지막(22)의 상단 보강부(23)에 연결한다. 이렇게 조립된 일부의 오탁방지장치(20)를 설치할 해안 또는 하천의 위치로 옮긴다.
그 다음에는 다수개의 앵커부(24a, 24b, 24c)들을 수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앵커부(24a, 24b, 24c)들은 무거운 석재 또는 콘크리트 블럭이기 때문에 수중에 침수하는 것만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일부 조립된 오탁방지장치(20)를 수중에 부설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패류수하연부(26)가 접하는 오탁방지막(22)의 일면이 오탁수의 진행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부설한다. 그리고, 오탁방지막(22)의 하단 보강부에 제 1앵커부(24a)를 연결하여 오탁방지막(22)을 수중에서 수직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오탁방지막(22)의 상단에는 오탁방지막(22)의 전후에서 각각 수저면에 고정된 제 2, 제 3앵커부(24b, 24c)를 연결로프(25)로 연결한다. 그러면, 제 2, 제 3앵커부(24b,24c)는 바다의 조석차와 같은 물의 흐름에 따라 오탁방지막(22)이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오탁수가 확산되는 해안가 또는 하천주변에 설치된 오탁방지장치(20)는 확산되는 오탁수의 진행을 간섭하게 된다. 그러면, 오탁방지장치(20)의 오탁방지막(22)은 오탁수의 토사 또는 세립토를 포지하거나, 그 간섭으로 인해 입자간 충돌을 유발시켜 토사 및 세립토를 수저면으로 침강시킨다. 그리고, 패류수하연부(26)에 서식하는 패류는 오탁방지막(22)에서 정화하지 못한 나머지 오탁수의 미세한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이 외에도 오탁방지장치(2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패류수하연부(26)는 육상에서 조립한다고 언급했지만, 설치여건에 따라 오탁방지장치(20)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일이 플로트부(21) 또는 오탁방지막(22)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은 오탁방지막에서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여과하고, 오탁방지막에서 여과하지 못한 오탁수의 미세한 부유물질을 패류수하연부의 패류가 여과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 오탁수를 더 효율적으로 여과하여 친환경적으로 수중의 생태계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류수하연부가 오탁수를 여과하여 그 확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패류수하연부에 서식하는 패류를 식용 또는 사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수면에 부유되어 띠형상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부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포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어 상기 오탁방지막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앵커부를 포함한 오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다수개의 패류수하연부가 상기 오탁방지막의 어느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수하연부는 상기 플로트부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수하연부는 상기 플로트부 및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4. 수면에 부유되어 띠형상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부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오탁수의 토사 및 세립토를 포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어 상기 오탁방지막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앵커부를 포함한 오탁방지장치에서의 오탁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의 어느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패류수하연부를 이용하여 상기 오탁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방법.
KR1020020078266A 2002-12-10 2002-12-10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50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266A KR20040050431A (ko) 2002-12-10 2002-12-10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266A KR20040050431A (ko) 2002-12-10 2002-12-10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431A true KR20040050431A (ko) 2004-06-16

Family

ID=3734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266A KR20040050431A (ko) 2002-12-10 2002-12-10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4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06B1 (ko) * 2009-11-27 2010-09-16 이도원 플로팅 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06B1 (ko) * 2009-11-27 2010-09-16 이도원 플로팅 정화장치.
WO2011065740A2 (ko) * 2009-11-27 2011-06-03 Lee Do Won 플로팅 정화장치
WO2011065740A3 (ko) * 2009-11-27 2011-11-17 Lee Do Won 플로팅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0312B2 (en)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WO1999019570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uspended particulates or marine life
AU2015386029B2 (en) Infiltration intake system for revetment wall
KR102291227B1 (ko)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JP2000186351A (ja) 浸透式取水方法
JP4247285B2 (ja) 沈水植物群落の再生方法及びそれによる水質浄化方法
KR20040050431A (ko) 패류를 이용한 오탁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843414B1 (ko) 수중 오염물질 수거장치
JPH0296010A (ja) 連接可能なバック体
RU2505489C1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литоральной зоны морей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JPH07310311A (ja) 人工ラグーン
JP3320886B2 (ja) グラブ浚渫方法
JP2001003344A (ja) 水中多目的構造体
JP3165096U (ja) 汚濁防止フェンス
Antsulevich Artificial reefs project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enhancement of Neva Bay (St.-Petersburg County Region)
JP3926297B2 (ja) 人工漁場構築法
JP6491483B2 (ja) 水質浄化作用を有するシルトフェンス
JP7092857B2 (ja) 生物流入抑制装置、生物流入抑制システム及び生物流入抑制方法
JP4858142B2 (ja) 海水浄化システム及び海水浄化方法
JPH01182408A (ja) 汚濁水拡散防止フェンス
JPS62137312A (ja) 汚濁防止装置
JPH11319798A (ja) 水質改善用遮光部材
JPS6241812A (ja) 水中設置物用重錘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44245A (ko) 해저 침전 오물 수거기
JP4049421B2 (ja) 汚濁水拡散防止用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