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419A -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회수 및 매설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회수 및 매설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419A
KR20040048419A KR10-2004-7004945A KR20047004945A KR20040048419A KR 20040048419 A KR20040048419 A KR 20040048419A KR 20047004945 A KR20047004945 A KR 20047004945A KR 20040048419 A KR20040048419 A KR 2004004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bed material
cable
seabed
pipe
predetermined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 하트
케이트 딕커
아드리안 윈도우즈
Original Assignee
글로발 마린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발 마린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로발 마린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4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3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uncover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E02F5/101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forming during digging, e.g. underground canalisations or conduits, by bending or twisting a strip of pliable material; by 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E02F5/1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operatively associated with mole-ploughs, cou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E02F5/104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for burying conduits or cables in trenches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E02F5/104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for burying conduits or cables in trenches under water
    • E02F5/1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for burying conduits or cables in trenches under water using ploughs, coulters, ri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4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3Devices for the protection of pipes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16L1/166Reclaim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물질 속에 매설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표면을 갖춘 본체(2)와 제2표면을 갖춘 미늘부재(5)를 구비하며, 이 장치가 견인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 본체(2)와 미늘부재(5)는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데에 적당한 예정된 깊이로 해저물질에 잠기게 되고, 제1표면과 제2표면은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적어도 제1표면 및 제2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이 이들 표면에서 대향하는 힘들을 발생시켜서 이 장치를 실질적으로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장치는 해저물질에 케이블이나 파이프가 안내수단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고랑을 형성시킴으로써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매설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회수 및 매설장치 및 방법 {Cable of pipe retrieval and burial apparatus and methods}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지역과 국가 사이의 전력과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바다와 같은 광활한 수역 아래에 놓여 있다. 해저물질의 표면 위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단순히 놓기 보다는 이들을 해저물질 속에 물리적으로 매설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위해 더욱 안정적이면서 보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특히 상업적인 어로활동으로 가해질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손상 또는 절단을 방지한다.
해저물질의 표면 아래의 매설깊이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기능과 위치 및 해저에 형성된 해저물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통상 매설깊이는 1미터 내지 4미터 사이로 한다.
어로활동의 종류에 있어서, 트롤망의 확망판(otter board)은 통상적으로 해저의 표면에 침투되므로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그 접근범위 밖으로 매설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어로행위의 발달로 그 침투깊이가 더 깊어졌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매설깊이를 깊게 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더욱 깊어진 매설깊이로 인한 다수의 기술적 문제점이 있게 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이와 같이 깊어진 깊이에서 매설이나 접근 또는 회수를 위해 커다란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는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종래에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갈고리(grapnel)를 사용하여 그 매설위치에서 회수되었는 바, 이는 해저에 안착될 본체(shank)와 이 본체에 부착된 미늘(fluke)로 된 2개의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미늘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맞물릴 수 있는 충분한 깊이까지 해저를 침투하다. 그러므로, 본체와 미늘은 효과적으로 갈고리로서 작용하고, 본체가 해수면상의 선박에 의해 해저의 표면을 가로질러 끌어당겨질 때 미늘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접촉할 때까지 해저물질 아래를 통해 당겨진다. 갈고리의 회수를 위한 작업깊이는 미늘의 길이로 결정되며, 종래의 갈고리 구조에서는 본체의 길이가 미늘의 길이보다 대략 3배 정도 길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매설된 케이블의 회수용 갈고리는 커다랗고 무겁게 된다.
예컨대, 긴 체인(chain)의 형태로 된 견인줄은 해수면상의 선박과 본체를 연결하고 이 체인의 장력은 견인작업 중에 감지된다.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미늘에 맞물려질 때 견인줄의 장력이 증가한다. 미늘은 경사져 있어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해저의 표면으로 끌어 올려지고, 그 다음에 예컨대 수중원격조종함정(ROV)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종래의 회수작업이 수행된다.
수중케이블에서, 전력공급 또는 통신 등과 같은 기능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이 사용되는 바, 예컨대 외장 전력케이블은 전형적으로 100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반면에, 경량의 광섬유통신케이블은 단지 15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다. 케이블이 통상 견인줄의 장력 증가를 감지하도록 위치되므로, 전체적으로 약한 작은 직경의 케이블은 큰 견인력 때문에 갈고리에 의해 쉽게 절단될 우려가 있다.
이는 특히 크고 무거운 갈고리가 사용되고 이에 대응하여 견인력이 커지는 깊은 매설깊이에서 특정한 문제점을 야기하는 바, 이 경우에 케이블과의 접촉으로 생겨난 장력의 증가는 더욱 작은 전체 견인력의 마찰 때문에 감지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예컨대, 2.5미터로 매설된 케이블을 회수하도록 된 갈고리에 대한 전형적인 견인력은 40톤까지 올라가는 반면에, 전형적인 광섬유케이블은 약 30톤까지의 단축인장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면 밑의 해저물질 속에 매설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장치와 방법 및,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매설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갈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체매설용 갈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서 미늘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체매설과 회수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맞물린 후 해저에서 케이블을 들어 올리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키드판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회수장치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선회가능하면서 단단한 링크와 추가적인 날개부를 갖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날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날개부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매설 전 날개부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갈고리가 링크로 사용될 장치의 제4실시예의 매설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안내수단으로서 관을 사용하는 매설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안내수단으로서 고리를 사용하는 매설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르면 회수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는 제1표면을 갖춘 본체와 제2표면을 갖춘 미늘부재를 구비하고,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장치가 견인방향으로 미늘부재를 끌어당기고,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해저물질에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데에 적당한 예정된 깊이로 잠기게 되며,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적어도 제1표면 및 제2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이 제1표면과 제2표면에서 대향하는 힘들을 발생시켜서, 이 장치를 실제로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한다.
종래 기술의 많은 문제점들은, 해저물질의 표면을 따라 나아가는 본체가 없는 회수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수장치에서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시 매설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본체와 미늘부재가 끌어당겨지는 동안 해저물질 속으로 완전히 잠기게 된다.
또한, 동일한 방법이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매설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제 2양상에 따르면, 해저물질 속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매설하는 장치는 제1표면을 갖춘 본체와 제2표면을 갖춘 미늘부재를 구비하고,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장치가 견인방향으로 미늘부재를 끌어당기고,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해저물질에서 예정된 깊이로 매설되어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매설하는 데에 적당한 고랑을 형성하며,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적어도 제1표면 및 제2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이 제1표면과 제2표면에서 대향하는 힘들을 발생시켜서, 이 장치를 실질적으로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고랑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관이나, 고리(hoop), 플랩(flap), 또는 핑거(finger)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완전히 에워쌀 필요는 없다. 해저물질은 끌어당기는 중에 본체 주위로 흐르게 되고, 이 물질은 본체가 통과한 후 일종의 선수파 효과(bow wave effect)를 야기시켜 짧은 시간동안에 그 위치를 유지하다. 이는 관련장치와 더불어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본체의 뒤를 따라 지나가면서 고랑 내로 매설되게 한다. 핑거나 플랩은 리피터(repeater)와 같은 커다란 장치의 매설을 쉽게 하기 위해 고랑을 확장하도록 수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종래에는, 회수 또는 매설작업을 위해 장치가 임의의 예정된 깊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2미터 이상의 예정된 깊이가 장치의 크기와 질량을 크게 늘릴 필요없이 성취될 수 있다. 공지된 장치와는 달리, 미늘보다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맞물리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와 질량은 알려진 갈고리보다 줄어들 수 있다. 2.5미터에서 케이블을 회수하는 데에 사용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 예에서, 장치의 전형적인 질량은 대략 1톤 정도인 반면에, 유사한 종래의 갈고리는 3톤 정도의 질량을 갖는다.
특히 깊이 매설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있어서, 대응하는 견인력이 종래의 갈고리와 쟁기보다 작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바, 회수하는 경우에 이러한 작은 직경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손상될 가능성을 줄어들게 한다.
또한, 장치의 크기와 대응하는 견인력의 감축가능성은 회수 또는 고랑작업의 전반적인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는 것보다 훨씬 더 깊은 깊이로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추가적인 회수 또는 매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종래의 장치에서는 크기가 커지면 끌어당기는 동안 감지의 용이성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크게 제약받게 된다.
장치는 그 질량과, 300KPa 이상의 전단강도를 가질 수 있는 예컨대 진흙 또는 모래와 같은 전형적인 해저물질, 구성요소의 크기와 구조 및, 특히 제1표면과 제2표면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예정된 깊이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견인속도는 장치의 작동과는 관계없으나 견인력에 직접 영향을 끼치므로, 느린 견인속도는 대략 0.5 ~ 1km/hr이다.
해저물질을 통과할 때 통상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제1표면은 아래로 경사져 있어 상향힘셩분이 본체에 생성된다. 따라서, 제2표면은 위로 경사져 있어서 해저물질을 통과할 때 하향힘성분이 미늘부재에 생성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전체 본체와 미늘부재는 예정된 깊이로 회수 또는 매설작업 중에 매설된다. 전형적으로 장치는 체인 또는 강재 케이블과 같은, 본체에 부착되는 견인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체가 완전히 매설될 때,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견인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장치가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기로 해저물질과 견인부재 사이의 상호작용이 고려된다. 선박과 같은, 장치를 끌어당기는 데에 사용되는 수단은 상향힘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견인부재는 유연하거나 단단한 부재로 될 수 있는데, 단단한 부재인 경우에 바람직하기로 본체는 사용중에 견인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견인부재는 장치가 예정된 깊이에 있을 때 사용시 해저물질의 표면 위에 남아 있도록 된 스키드(skid)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견인부재는 하나 이상의 단단한 링크(link)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링크는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링크는 하나 이상의 링크가 실제로 추가적인 본체와 미늘부재로 이루어지지만 가늘고 긴 형태를 갖는데, 이들은 서로에 대해 배치된 표면들을 갖추어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이 표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대향하는 힘들을 생성하여 사용중에 예정된 깊이에서 장치가 유지되게 한다. 이렇게 하여, 다수의 갈고리가 서로 연결되어 회수 또는 매설의 깊이를 더욱 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장치는 사용시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면을 추가로 구비하여서, 제1표면 및 제2표면과 유사한 힘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날개부 또는 작은 측면플레이트로 배치된다. 따라서, 날개부는 링크(존재한다면) 또는 예컨대 장치의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임의의 장치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날개부는 제1표면과 제2표면의 형태에 따라 상향힘 또는 하향힘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날개부는 미늘부재에 구비된 제2표면의 힘과 유사한 힘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상호작용면을 사용하면 보다 작은 미늘부재가 예정된 작업깊이로 사용되게 하는 추가적인 힘을 생성한다. 링크와 연결되어 사용될 때, 링크 또는 본체의 추가적인 회전을 제공하여 관통깊이를 깊게 한다.
상기 장치가 시작위치에 있을 때 해저물질의 표면에 대한 상호작용면 사이에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각도는 초기 매설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30°와 50°사이에 있다.
회수장치 또는 매설장치를 끌어당기는 데에 필요한 견인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정된 깊이에 있을 때 장치가 해저 상에서 끌어당겨질지라도 장치가 회전되지 않아서, 견인방향에 대한 그 프로파일은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통상 본체는 가늘고 길게 되어 있으며, 제1표면 위에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사져 있지만 끌어당기는 중에 본체의 가늘고 긴 길이부는 견인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미늘부재는 본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축을 형성하는 가늘고 긴 부분을 구비하고, 추가로 이 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위끝을 가진 분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미늘부재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맞물리는 수직범위를 증가시키도록 분리부의 원위끝에 부착된다. 분리부는 미늘부재와 본체에 대해 뒤쪽으로 위치되어 맞물리게 되면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분리부에 인접하게 보유지지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미늘부재(또는 링크로 작용하는 추가적인 미늘부재)의 제2표면은 실제적으로 본체(또는 추가적인 본체)의 제1표면보다 견인방향에 대한 단면이 넓게 되어 있다. 각각의 미늘부재는 전형적으로 평면이면서, 제2표면으로 작용하는 상부평면이 견인방향에 거의 직각인 평면을 갖추되, 이 견인방향을 향해 약간 경사져 있어 제2표면상에 힘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미늘부재의 제2표면 상에 생성된 견인방향의 성분은 견인방향에 대해서 10°이하의 각도로 되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견인방향에 대해 실제로 2°의 각도로 된다. 끌어당기는 중에 미늘부재가 도달하고 유지하는 각도는 해저물질의 종류와 장치의 크기와 같은 다수의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작은 각도는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큰 각도에 대해 작은 수직힘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기로, 제2표면을 수직하게 볼 때 각 미늘부재의 제2표면은 2개의 팁(tip)쪽으로 좁아지게 배치되는데, 이 팁은 본체의 양쪽에 배치되고 통상 견인방향으로 돌출한다. 이 팁들은 장치가 추가적인 지지부 없이 관통하기 전에 해저물질에 곧추 세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초기에 미늘부재의 넓은 부분이 해저물질을 침투하도록 하여서, 본체가 해저물질과 접촉하기 전에 더욱 큰 하향힘을 제공한다. 이는 "당기는 힘"을 증가시켜서 침투를 돕는다.
상기 본체의 제1표면은 전형적으로 미늘부재의 평면에 대해 가늘고 길며 협소하다. 그러므로, 제1표면은 견인방향으로 비교적 긴 상호작용길이부를 구비하면서, 제2표면과 상호작용하여 끌어당기는 중에 장치의 수직방위와 회전방위를 유지한다.
본체가 전형적으로 가늘고 긴 형태로 되어 있지만, 그 형태가 선형으로 될 필요가 없으며, 사실상 만곡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편자(horseshoe)형태로 될 수 있다. 본체의 형태는 적당한 제1표면이 구비된다면 이용될 수 있지만, 본체가 해저물질과 접촉하기 전에 미늘부재가 해저물질에 들어가도록 하여서 해저물질로부터 멀리 본체를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되, 이러한 접촉은 해저 침투에 대해서 작용하는 상향힘을 생성한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사용시 매설되기 전에 해저물질의 표면 상의 시작위치에 있을 때 제2표면이 해저물질의 표면에 대해 30°와 50°사이의 각도로 있도록 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 이 각도는 해저물질과 추가적인 상호작용면으로 형성된 각도와 동일하다.
분리부에서 멀리 있는 본체의 끝은, 이 끝이 견인방향에 대해 앞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견인부재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수장치 또는 매설장치는 작동하기 위해 처음에 예정된 깊이로 매설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해저물질 쪽으로 경사져 있는 미늘부재의 제2표면(및 추가적인 상호작용면)에 의해 해저물질의 표면 위에 간단히 놓일 수 있어, 장치가 먼저 끌어당겨질 때 제2표면이 해저물질내로 삽입되고 장치는 표면 아래로 당겨진다. 그러므로, 장치는 자체매설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양상에 따르면, 소정의 깊이만큼 해저물질 속에 매설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회수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른 회수장치를 견인하되,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맞물려질 때까지 장치가 소정의 깊이에서 사용되게 배치하는 단계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해수면상의 선박이 견인수단으로 구비되고 견인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방법은 견인에 앞서 해저물질의 표면 상으로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바, 견인단계가 실행되면 장치는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면서 예정된 깊이로 이동한다.
어떤 경우에는, 견인작업은 해저물질의 표면 상에서 원격조종함정의 형태로 된 견인수단으로 실행된다. 이는 특히 호수와 강과 같은 환경내에서 사용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경량일 경우에 바람직하다. 원격조종함정은 원격으로 장치를 견인하여서 작동중에 장치로부터 분리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원격조종함정은 직접적으로 걸림점(hitch)에서 장치와 결합된다.
전형적으로,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맞물리면, 이 방법은 예컨대 견인줄에 장력을 감지하도록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회수장치 사이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맞물려진 다음에, 이 방법은 전형적으로 견인작업을 종결하는 단계와 회수장치를 사용하여 해저물질의 표면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들어 올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양상에 따르면, 소정의 깊이만큼 해저물질에서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은 소정의 깊이로 고랑을 형성하도록 본 발명의 제2양상에 따른 장치를 견인하는 단계와; 상기 고랑으로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조종함정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매설하는 견인작업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되, 원격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져 장치를 견인한다. 케이블은 원격조종함정 또는 고랑형성장치에 위치된 "글루팟(glue pot)" 또는 릴(reel)로부터 공급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장점은 장치의 작동깊이가 공지된 장치보다 더욱 일정하다는 점이다.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휠 또는 스키드를 사용하여 견인력이 줄어들고, 본체가 표면의 곡면으로 인해 해저물질의 표면을 따라 견인하는 동안에 수직방향으로 편향되기 때문이다. 이는 미늘 아래에서 상응한 움직음을 취한다. 통상적으로, 본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설되고 대다수의 경우에는 해저물질 아래로 완전하게 매설되어서 본 발명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회수장치와 매설장치의 실례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공지된 장치와 비교되어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회수용 갈고리(100)를 도시하는 바, 이는 본체(101)와 이 본체의 한쪽 끝에 부착된 미늘부(102)를 갖추고 있으며, 이 본체는 미늘부(102)가 해저를 관통한 채로 해저(103)의 표면에 위치된다. 견인줄(104)은 멀리 있는 해수면상의 선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갈고리가 견인방향(105)으로 끌어당겨지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를 관통하기 위한 종래의 갈고리 구조에서는 갈고리 본체의 길이가 미늘부 길이의 대략 3배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3미터의 관통깊이를 얻기 위해서 대략 9미터의 길이를 가진 갈고리 본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갈고리의 질량은 전형적으로 3톤과 5톤 사이에 있게 되는 바, 이는 견인줄(104)을 통해 갈고리로 전달될 큰 견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갈고리의 본체 및 미늘부의 정확한 구조와 해저물질에 따라 결정되지만 40톤까지 될 수 있다.
도 2는 해저에 안착되는 최초위치와 다음의 매설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갈고리(1)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는 가늘고 긴 연장부(3)와 분리부(4)를 갖춘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의 전체 길이는 약 1미터이다. 미늘부재(5)는 본체(2)의 분리부(4) 한끝에 부착된다. 체인의 형태로 된 견인줄(8)은 해저물질(7)을 통해 견인방향(9)으로 갈고리(1)를 끌어당기는 데에 이용되는 멀리 있는 해수면상의 선박(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상기 견인줄(8)은 단단한 링크(8B)에 의해 본체(2)에 연결되는 스키드판(skid plate:8A)에 연결된다. 링크(8B)는 시스템에 임의의 비틀림강성을제공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만일 돌이나 이와 유사한 것에 부딪치게 되면 갈고리가 옆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 링크(8B)의 최적길이가 아래의 표 1에 주어진다. 보다 긴 길이의 링크에 있어서는, 차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링크를 관절이음하는 방법이 포함되는 것이 유용하게 된다. 각 링크부의 전형적인 크기는 2.5미터의 길이와, 약 20밀리미터의 폭 및, 약 150밀리미터의 너비로 된다.
상기 스키드판(8A)은 시스템에 부수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상기 연장부(3)의 하부면은 갈고리가 견인방향(9)으로 끌어당겨질 때 제1표면(10)을 해저물질(7)쪽으로 향하게 하는데, 이는 본체(2)의 연장부(3)에 작용하는 수직힘성분과 수평힘성분을 생성한다.
상기 분리부(4)의 끝에 부착된 미늘부재(5)는 확장된 상부면(13:도 3 참조)을 갖추고서 대략 편평하게 되어 있다. 이는 갈고리(1)가 견인방향(9)으로 끌어당겨질 때 해저물질(7)과 상호작용하는 제2표면을 형성한다. 이 제2표면(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방향(9)과 소정의 각도(β)를 이루게 된다. 이 각도(β)는 장치의 구조와 제2표면(13)의 상대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각도(β)는 2°이다. 해저물질(7)과의 상호작용은 미늘부재에 하향힘성분과 수평힘성분을 생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관통하기 전에는 해저에 대한 미늘팁의 각도가 경사각 또는 관통각(α)으로 형성된다. 이는 해저물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전형적으로 대략 30°와 55°사이에 놓인다. 통상 점토에서는 30°내지 35°가적당한 한편, 모래와 침전물에는 40°내지 55°가 이용된다. 부드러운 토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약 45°의 각도가 우수한 결과를 초래한다.
이 경우에, 끌어당기는 동안 갈고리(1)가 유지되는 깊이는 주로 링크(8B)의 길이와 연장부(3)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도 3에는 제2표면(13)을 수직하게 볼 때의 미늘부재(5)를 도시하고 있고, 견인방향(9)도 전술된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다. 본체(2)는 견인방향(9)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좁은 크기(16)를 가진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이는 끌어당기는 동안 본체(2)에 의해 야기되는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제2표면(13)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예시적인 크기가 아래의 표 1에 주어진다. 미늘부재(5)의 제2표면(13)이 상당한 표면적을 갖고 있지만, 이 표면은 견인방향(9)에 대해 작은 각도로 향하게 되고, 사실상 이 부재의 단면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아주 제한된다.
아래의 표 1은 1미터 내지 3미터의 매설깊이에 요구되는 갈고리의 전형적인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최대깊이(m) 링크길이(m) 판크기(mm) 본체길이(mm) 본체폭(mm)
1 9 250 X 130 300 20
2 10 700 X 350 840 25
3 12 1140 X 570 1370 25
상기 제2표면(13)은 본체(2)의 양쪽에서 동일한 표면적을 갖고 있으며, 견인방향(9)에 대해 이 표면의 앞부분에는 뾰족한 삼각형영역(17)을 갖추고 있다. 이들 각각의 삼각형영역은, 칼날로 작용하면서 관통전에 장치를 안정시킴과 더불어 해저물질(7) 안으로 미늘부재(5)가 헤쳐나가는 데에 도움이 되는 첨단부(18)에서 끝나게 된다.
이제, 전술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설된 해저케이블을 회수하는 회수작업이 도 4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회수작업은 도 4의 단계 50에서 시작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1)는 처음에 미늘부재가 각도(α)로 해저물질(7) 속에 경사진 채로 시작위치에서 해저면(6)에 안착된다. 견인줄(8)은 해수면상의 선박(20)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점선(2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1)로부터 견인방향(9)으로 얼마간 떨어져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케이블(22)이 견인방향으로 갈고리의 전방에 소정의 깊이로 매설되어 있다. 이 케이블(22)의 매설깊이를 알고 있어서, 케이블(22)의 회수에 적합한 작업깊이를 가진 갈고리가 미리 선택된다.
다음으로, 해수면상의 선박이 적당한 속도로 견인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4의 단계 51). 이로써 갈고리(1)의 미늘부재(5)가 해저물질(7) 속으로 파 들어가게 된다. 이 단계에서, 미늘부재(5)의 하향힘은 본체(3)의 제1표면(10)의 임의의 하향힘보다 훨씬 크게 되어야 하고, 견인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도 4의 단계 52에서 갈고리(1)는 잠기게 된다. 계속 잠기게 됨에 따라, 본체가 매설되기 시작하면서 갈고리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해저물질(7)은 제1표면(10)과 상호작용하기 시작한다. 이는 도 5a의 화살표(23)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갈고리(1)의 회전은 견인방향에 대해 제1표면(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제2표면(13)의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갈고리(1)가 회전할 때, 본체(3)의 상향힘성분은 증가되고 미늘부재(5)의 하향힘성분이 감소된다.
상기 갈고리(1)의 매설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링크(8A)도 매설되기 시작하고 수평힘성분과 더불어 갈고리에 수직힘성분을 생성한다. 결국 시스템이 안정화되어 제1표면(10)과 링크(8B)의 상향힘이 전체로서 갈고리와 체인의 중량과 더불어 견인방향에 대해 각도(β)를 가진 제2표면(13)의 하향힘에 대항하게 된다. 링크들과 견인줄이 연결되어 있지만, 이 견인줄은 갈고리가 단순히 앞쪽으로 파 들어가게 하는 데에 이용되고, 링크들은 다양한 깊이로 관통되게(즉 링크가 길수록 매설이 깊게 된다)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때, 갈고리에 임의의 순수 회전력 또는 수직힘이 더이상 없게 된다. 그러므로, 도 4의 단계 53에서는 갈고리가 바람직한 깊이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 끌어당김에 따라, 갈고리(1)는 도 5a에서 25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일정한 깊이로 해저물질(7)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견인줄(8)의 인장을 견인줄 자체의 저항과 더불어 수평힘성분을 포함하여 전체로서 갈고리(1)에 의해 생성된 전체 저항의 함수이다.
그 후에, 갈고리가 위치(36)에 도달하여 케이블(22)이 본체(2)의 연장부(3)와 맞물리게 된다. 이는 도 4의 단계 54에서 일어나고, 이때 견인줄(8)에서 인장이 증가되는 것이 선박(20) 내에 장착된 적당한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감지된다. 케이블(2)이 맞물리면서 이는 본체(2)의 연장부(3)를 따라 이동하고, 분리부(4)에 인접한 영역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케이블(22)은 효과적으로 걸리게 되고, 이어서 선박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의 바로 위 또는 그 앞으로 위치변경된다.
상기 견인줄(8)은 통상 선박이 갈고리에 접근할 때 인장하에 선박 위로 회수된다. 견인줄이 더욱 수직한 자세에 가까워짐에 따라 본체(2)를 갖춘 갈고리(1)는 더욱 수직한 자세로 케이블 주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케이블(22)은 미늘부재(5)와 분리부(4)에 인접한 연장부(3) 사이에 보유지지된다.
도 4의 단계 55에서, 견인줄(8)은 선박(20) 위로 감아 올려질 때 갈고리(1)는 해저물질(7)을 통해 위로 끌어당겨지고 이로써 케이블을 끌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22)이 해저면(6)의 표면으로 끌어올려진다. 일단 해저면에 끌어올려지면, 예컨대 케이블을 절단하여 그 양끝을 해수면상의 선박(20)의 갑판 위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원격조종함정(Remotely Operated Vehicle)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다른 보수유지 및 회수작업이 이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데, 이 도면에서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장치는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갈고리는 사용시 관절이음된 모듈식 링크에 맞춰지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깊이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 또는 매설하기 위해 이 갈고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에서, 이러한 갈고리(1)는 링크가 없이 도시되어 있고, 걸림점(30)에서 스키드판(8A)에 직접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해저물질(7) 속으로 갈고리가 들어가는 시작위치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경사각 또는 관통각(α)은 약 40°이며, 이 각도는 미늘부재(5)가 해저물질(7)과 작용하는 각도로 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갈고리의 작업위치가 각도(β)로 나타나 있는데, 이 각도는 수평과 미늘부재(5)의 제2표면(13) 사이에 형성된 각도이다. 이 경우에, 최소 인장을 부여하는 각도(β)는 약 2°로 된다. 이는 갈고리의 기하학적 구조와토양의 상태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며, 통상 2°내지 10°의 범위내에 있다.
전술된 구조는 상당히 얕은 깊이에 적당하다. 하지만, 보다 깊은 깊이에서는 하나 이상의 링크(8B)가 사용되는데, 이들 각각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걸림점(30)과 갈고리(2)의 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예컨대 2개 또는 3개와 같은 다수의 링크가 구비될 때 링크들과 갈고리(1)에 의해 이루어진 정상상태의 형태는 선형이 아니고, 해저물질(7)쪽 아래로 만곡된 형태로 된다. 이러한 링크시스템의 효과는 필요한 전체 견인력이 유사한 크기를 가진 단일한 큰 장치와 비교해서 감소된다는 점이다. 특히, 각 링크와 걸림점(30) 및 갈고리 사이의 선회가능한 연결은 케이블이나 파이프가 맞물렸을 때 도 5b에 도시된 위치로 갈고리를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는 장치의 부품들이 전체로 결합된 장치가 즉각 새로운 형태로 되게 하는 것보다 한번에 하나씩 개별적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장치에 요구되는 전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전술한 관절이음된 링크시스템은 아주 깊은 케이블이나 파이프의 회수에 있어서, 증대된 수의 링크가 동일한 갈고리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들 링크는 장치를 따라 여러 지점에서 선회되지 않는데, 이 장치는 전체로서 회수전후에 해수면의 선박 위로 끌어내기가 아주 어렵게 된다. 특히, 장치가 물에서부터 해수면의 선박 위로 끌어당겨질 때 통상 만곡된 표면 위로 끌어 올려진다. 이렇게 하여, 장치가 이 표면과 더욱 쉽게 적합되게 하는 여러 지점에서 선회하고,이는 차례로 승강장치가 훨씬 더 소형화되게 한다. 더구나, 선박 위에 놓이면 각각의 링크(8B)는 분리되거나 접혀질 수 있어서, 장치가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다.
사용시, 다수의 링크(8B)를 갖춘 갈고리의 최초 매설공정 동안 장치의 구성요소는 대체로 갈고리의 끝에서부터 그 배치 순서대로 매설된다. 먼저, 장치의 갈고리 부분이 해저물질 속으로 잠기고 그 작업위치 쪽으로 회전하는데, 다른 링크들은 해저면에 선형으로 배치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갈고리에 부착된 제1링크가 스키드판(8A)에 가까운 다음 링크와 함께 그 선회점 주위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남아 있는 링크들은 해저면에 머물러 있다. 점차 계속적으로 매설됨에 따라, 마지막 링크가 걸림점(30) 주위로 선회하면서 링크들이 순서대로 매설된다. 스키드판(8A)은 해저물질(7)의 표면 위에 남아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미늘부재(5)의 제2표면(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추가적인 상호작용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링크(8B)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의 통상적인 길이는 1미터와 2미터 사이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추가적인 상호작용면이 장치의 양쪽에 쌍으로 된 날개부(31)로서 갈고리(1)에 적용되는 한편, 다른 쌍으로 된 날개부(32)도 링크(8B)에 추가되어 있다.
이들 날개부는 도 8a와 도 8b 및 도 8c에 더욱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갈고리(1)의 측면에 부착된 날개부(31)의 사시도로서, 견인방향(9)도 표시되어 있다. 유사한 날개부들이 갈고리(1)의 양쪽에 구비된다. 이 경우에, 이들은 주된 미늘부재(5)의 각도와 유사한 각도(β)로 경사져 있다. 도 8b는 날개부들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이는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는 표면들(33)의 크기를 볼 수 있다. 도 8c는 각각의 갈고리의 본체(2) 또는 링크(8B)와 날개부들(31 또는 32)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이 각도는 X로 표시되고 이는 통상 날개부들이 정상상태의 매설위치에 있을 때 수평과 대략 각도(β)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상상태의 매설위치에 있을 때 링크(8B)와 갈고리(1)가 반드시 선형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각 쌍으로 된 날개부의 실제 각도(X)는 다르게 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들(31,32)은 미늘부재(5)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들은 장치가 케이블이나 파이프와 맞물리고서 회수를 위해 회전될 필요가 있을 때, 이 회전이 단일한 미늘부재(5)에 있는 상응하게 큰 제2표면(13)보다 적은 수의 개별적인 표면들(날개부들의 표면들(33)과 미늘부재(5)의 제2표면(13)으로 형성되는)을 이용함으로써 크게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장치 내의 응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한편, 승강위치로 회전되게 한다.
하지만, 링크들의 표면과 갈고리의 본체(2)가 상향힘을 제공하는 한편 날개부들과 미늘부재가 하향힘을 제공하며 이들 힘이 균형을 이루어 장치가 정상상태의 깊이에 유지되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 작동이 유사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가 해저물질의 표면을 따라 구동되는 원격조종함정 또는 해수면상의 선박으로부터 요구되는 견인력에 따라 끌어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원격조종함정은 견인줄(8)에 연결되어 장치로부터 분리된 채로 있을 수 있거나 사실상 스키드부재로서 스키드판(8A)을 대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걸림점(30)을 이용하여 원격조종함정에 부착된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제 갈고리가 링크(8B)로 사용되고서 미늘부재(34)를 갖추고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판(8A)은 걸림점(30)을 구비하고 있는데, 여기에 이전 실시예들을 따라 설명된 종류의 제1갈고리가 부착되어 있으며 링크(8B)를 형성하게 된다. 이 링크(8B)의 뒤끝에는, 갈고리(1)가 선회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전 실시예들의 날개부들이 갈고리식 링크(8B)의 미늘부재(34)에 의해 효과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바람직한 정상상태의 작용깊이에 결합된 갈고리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매설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갈고리가 각각 작동동안 제1갈고리보다 더 깊은 깊이로 매설되기 때문에 각각의 두 갈고리(8B)에 대한 각도(β)는 상이하게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회수용 갈고리를 사용하기 위해 창안된 원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용 쟁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쟁기는 도 2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본체(3)와 미늘부재(5)를 구비하는데, 이 본체는 견인줄(8)을 매개로 하여 예인선에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안내관(60)이 본체(2)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매설될 케이블(62)이 견인방향(9)으로 쟁기가 이동함으로써 생성된 고랑(64)으로 안내관(60)을 통해 안내된다.
도 11은 고리(65)가 안내수단으로 작용하도록 본체(2)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게 본체의 윗면에 위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해저물질과의 마찰이 본체(2)로부터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당길 수도 있으나, 설치작업 동안 케이블이나파이프에 있는 인장이 필요에 따라 케이블이나 파이프가 본체에 인접하여 남아 있게 한다. 케이블이나 파이프의 회수에 대해서는, 원격조종함정이 매설작업을 위한 견인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매설용 쟁기가 이전의 어떤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어서, 매설과 회수성능을 가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1)

  1. 제1표면을 갖춘 본체와 제2표면을 갖춘 미늘부재를 구비하되,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장치가 견인방향으로 미늘부재를 끌어당기고,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해저물질에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데에 적당한 예정된 깊이로 잠기게 되며,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적어도 제1표면 및 제2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이 제1표면과 제2표면에서 대향하는 힘들을 발생시켜서, 이 장치를 실질적으로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하는, 해저물질에 매설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장치.
  2. 제1표면을 갖춘 본체와 제2표면을 갖춘 미늘부재를 구비하되,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장치가 견인방향으로 미늘부재를 끌어당기고,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해저물질에서 예정된 깊이로 매설되어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매설하는 데에 적당한 고랑을 형성하며,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적어도 제1표면 및 제2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이 제1표면과 제2표면에서 대향하는 힘들을 발생시켜서, 이 장치를 실질적으로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고랑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해저물질에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매설하는 매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본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관이나 핑거 또는 플랩으로 이루어진 매설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이동가능하고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도록 되어 고랑의 폭을 제어하는 매설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는 공급수단으로부터 고랑으로 공급되는 매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이 장치상에 구비되는 매설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글루팟(glue pot)이나 릴(reel)로 된 매설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상기 제1표면은 아래로 경사져 있어, 해저물질을 통과할 때 상향힘성분이 본체에 생성되는 매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상기 제2표면은 위로 경사져 있어, 해저물질을 통과할 때 하향힘성분이 미늘부재에 생성되는 매설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늘고 긴 매설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축을 형성하는 연장부와, 이 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위끝을 가진 분리부를 갖추고 있는 매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부재는 분리부의 원위끝에서 또는 이에 인접하게 본체에 부착되는 매설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된 견인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되,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견인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이 장치가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는 매설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중 견인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된 매설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이 장치가 예정된 깊이에 있을 때 사용시 해저물질의 표면 위에 남아 있도록 된 스키드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매설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부재는 사용시 이 장치를 끌어당기도록 된 원격조종함정으로 이루어진 매설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견고한 링크로 이루어진 매설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와 본체는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매설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연결되고 분리되도록 된 매설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견고한 링크는 추가적인 본체와 미늘부재를 구비하되, 이 추가적인 본체와 미늘부재는 서로에 대해 배치된 표면들을 갖추어,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해저물질과 표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대향하는 힘들을 발생시켜서, 이 장치를 사용중에 예정된 깊이에서 유지되게 하는 매설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시 해저물질과 상호작용하도록 되어서 제1표면 또는 제2표면에 유사한 힘들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매설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힘들은 미늘부재에 의해 발생된 힘들과 유사한 매설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면들은 날개부로 배치된 매설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이 장치가 사용시 해저물질의 표면 위의 시작위치에 놓일 때 이 날개부가 해저물질의 표면에 대해 30°와 55°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매설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부재의 제2표면, 또는 제20항을 따를 때 추가적인 미늘부재의 표면은 견인방향에 대한 단면이 각 본체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넓은 매설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장치가 사용시 해저물질의표면 위의 시작위치에 놓일 때 장치가 해저물질의 종류에 따르도록 되어 있어, 제2표면이 해저물질의 표면에 대해 약 30°와 55°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된 매설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30°내지 35°의 범위 내에 있는 매설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40°내지 55°의 범위 내에 있는 매설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실질적으로 45°인 매설장치.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작업조건하에서 상기 미늘부재의 제2표면에서 생성된 견인방향의 성분이 견인방향에 대해 10°이하의 각도로 된 매설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면에서 생성된 성분이 견인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2°의 각도로 된 매설장치.
  32. 제1항에 따를 때 사용중에 케이블이나 파이프가 맞물릴 때까지 소정의 깊이로 배치되는 제1항 또는 제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수장치를 끌어당기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깊이로 해저물질 속에 매설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가 맞물릴 때 이 케이블이나 파이프와 회수장치 사이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회수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와 맞물린 후 견인작업을 끝내는 단계와,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해저물질의 표면으로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회수방법.
  35. 소정의 깊이로 고랑을 형성하도록 된 적어도 제2항에 따른 장치를 끌어당기는 단계와;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고랑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깊이로 해저물질 속에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매설하는 매설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는 장치 위에 있는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매설방법.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끌어당기기 전에 해저물질의 표면 위에 장치를 위치시켜, 끌어당기는 단계가 이행될 때 이 장치가 해저물질과상호작용하고 예정된 깊이로 이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매설방법.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끌어당기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매설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해수면의 선박인 매설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원격조종함정인 매설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35항에 따를 때 상기 케이블이나 파이프가 원격조종함정 위에 있는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매설방법.
KR10-2004-7004945A 2001-10-02 2002-10-01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회수 및 매설장치 및 방법 KR20040048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23658.7 2001-10-02
GBGB0123658.7A GB0123658D0 (en) 2001-10-02 2001-10-02 Cable or pipe retrieval and burial apparatus and methods
PCT/GB2002/004396 WO2003029568A1 (en) 2001-10-02 2002-10-01 Cable of pipe retrieval and burial apparatu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419A true KR20040048419A (ko) 2004-06-09

Family

ID=992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945A KR20040048419A (ko) 2001-10-02 2002-10-01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회수 및 매설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101116B2 (ko)
EP (1) EP1432877B1 (ko)
JP (1) JP4012147B2 (ko)
KR (1) KR20040048419A (ko)
CN (1) CN100478528C (ko)
AT (1) ATE319883T1 (ko)
AU (1) AU2002327978B2 (ko)
CA (1) CA2462678A1 (ko)
DE (1) DE60209753T2 (ko)
DK (1) DK1432877T3 (ko)
ES (1) ES2257566T3 (ko)
GB (1) GB0123658D0 (ko)
WO (1) WO2003029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8909B (en) * 2007-05-02 2010-12-15 Ecosse Subsea Systems Ltd A plough for excavating a subsea channel and sea-going vessel comprising a plough
FR2927400B1 (fr) * 2008-02-07 2013-02-15 Freyssinet Procede d'enfilage de brins d'un cable dans un conduit et systeme associe.
IT1393703B1 (it) * 2009-04-23 2012-05-08 Saipem Spa Gruppo e metodo di posa ed interramento di condotte a fondo mare
TWI453132B (zh) * 2010-10-01 2014-09-21 Fu Neng Ku 防止水滲入車子之方法及其裝置
US20120183384A1 (en) * 2011-01-17 2012-07-19 Vincent Tor G Marine debris grapple device and method
US9422690B2 (en) 2012-11-30 2016-08-23 Michael W. N. Wi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urial assessment surveys
US10323383B2 (en) * 2012-11-30 2019-06-18 Oceaneering International, Inc. Seabed plow capable of over-the-stern release and retrieval in any of boulder clearing, trenching and backfill configurations
CN103411028B (zh) * 2013-05-30 2015-12-02 中国石油集团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海底油气管线航道不封航铺管施工方法
US9671043B2 (en) * 2013-08-09 2017-06-06 Paul D Hawkins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a buried subsea tubular
US9562343B2 (en) * 2013-10-16 2017-02-07 Philip Paull Cable-laying plow attachment for a backho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LU93055B1 (fr) * 2016-05-03 2017-12-22 Js Patent S A R L Dispositif pour enterrer des éléments flexibles de grande longueur
CN106167229B (zh) * 2016-06-21 2018-06-08 中交天航港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海上起吊水下挖泥管线的施工方法
CN109492255B (zh) * 2018-10-11 2022-11-29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海底电缆埋设深度的设计方法
US20230160175A1 (en) * 2020-04-28 2023-05-25 Michael S. Yilit Pipe laying plow
CN112952637B (zh) * 2021-01-22 2022-04-0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掩埋海缆的清理探挂工具及其操作方法
CN112952655B (zh) * 2021-01-28 2022-05-31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廊坊供电公司 一种线缆铺设装置
CN114165643A (zh) * 2021-11-22 2022-03-11 深圳海油工程水下技术有限公司 深水飞线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163A (en) * 1904-03-18 1906-03-13 Samuel Proal Hatfield Apparatus for laying electric conductors.
US3319426A (en) * 1962-09-11 1967-05-16 Bell Telephone Labor Inc Equipment for and method of retrieving underwater cable
GB1228372A (ko) * 1967-05-03 1971-04-15
US3788085A (en) * 1971-12-06 1974-01-29 R Holberg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a pipe line
JPS5244122B2 (ko) * 1974-12-27 1977-11-05
US4245927A (en) * 1978-11-07 1981-01-20 Wharton Engineers (Elstree) Limited Laying of pipes or cables in a bed of material
US4312144A (en) * 1979-11-05 1982-01-26 Takuji Ezoe Multi-blade ditching machine
HU195388B (en) * 1986-03-14 1988-05-30 Ferenc Paulovits Apparatus for placing foil band and tubing
DE8709260U1 (ko) * 1987-07-04 1987-12-17 Peter Lancier Maschinenbau-Hafenhuette Gmbh & Co Kg, 4400 Muenster, De
US4844658A (en) * 1987-10-09 1989-07-04 Henkels & Mccoy, Inc. Apparatus for burying pipe under water
GB9108240D0 (en) * 1991-04-17 1991-06-05 British Telecomm Grapnel
US5456551A (en) * 1994-01-13 1995-10-10 Saxon; Saint E. Underwater trenching system
GB9618638D0 (en) * 1996-09-06 1996-10-16 Cable & Wireless Plc Improvements in underwater ploughing
US5988948A (en) * 1997-09-04 1999-11-23 Cable And Wireless Plc Underwater plough and method for varying ploughing depth
JP2001515977A (ja) * 1997-09-05 2001-09-25 ソイル マシン ダイナミックス リミテッド 海底用の鋤
EP0989651B1 (en) * 1998-09-23 2003-02-12 Tyco Submarine Systems Ltd. Plowshare
GB9922247D0 (en) * 1999-09-21 1999-11-17 Engineering Business Ltd Improvements to submarine ploug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12147B2 (ja) 2007-11-21
DE60209753T2 (de) 2006-11-02
US20050063785A1 (en) 2005-03-24
JP2005504202A (ja) 2005-02-10
CA2462678A1 (en) 2003-04-10
AU2002327978B2 (en) 2006-02-02
CN1589354A (zh) 2005-03-02
DE60209753D1 (de) 2006-05-04
ES2257566T3 (es) 2006-08-01
CN100478528C (zh) 2009-04-15
DK1432877T3 (da) 2006-07-17
ATE319883T1 (de) 2006-03-15
EP1432877A1 (en) 2004-06-30
GB0123658D0 (en) 2001-11-21
EP1432877B1 (en) 2006-03-08
US7101116B2 (en) 2006-09-05
WO2003029568A1 (en) 200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8419A (ko)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회수 및 매설장치 및 방법
US4091629A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U2002327978A1 (en) Cable of pipe retrieval and burial apparatus and methods
US107114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in a sea floor
US7520696B2 (en) Vehicle for installing a cable in a ground formation
US3347054A (en) Underwater pipe trenching device
US40417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ubmarine pipelines
JP2023503834A (ja) 海底に細長い要素を設け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アセンブリ
KR100422740B1 (ko) 침몰 물체 인양 케이블 장착 방법, 및 침몰 물체 인양케이블 장착 시스템
US3540226A (en) Method of towing a vessel on a body of water
EP0801175A2 (en) Underwater cable burial machine using single cable for towing and lifting
US5988948A (en) Underwater plough and method for varying ploughing depth
WO2008135728A2 (en) A plough for excavating a subsea channel and a sea-going vessel comprising a plough
JP2002525014A (ja) ケーブル埋設システム
KR101140789B1 (ko)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EP0828031B1 (en) Improvements in underwater ploughing
US4844658A (en) Apparatus for burying pipe under water
PT80387B (en) Marine pipeline trenching plow with progressive cutting elements for simultaneous pipe laying and entrenchment
JP3113896B2 (ja) 水中作業機用水中ライン支持装置
WO2001075236A1 (en) Submarine plough
Hill et al. Development of an improved cable trenching plowshare
SU17160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издели
Lincoln Subsea Pipeline Trenching
JPS6363693B2 (ko)
HU212685B (hu) Eljárás és eszköz cső, különösen védőcső folyó- vagy állóvíz medre alá történő beépítésé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