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617A -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617A
KR20040047617A KR1020030083538A KR20030083538A KR20040047617A KR 20040047617 A KR20040047617 A KR 20040047617A KR 1020030083538 A KR1020030083538 A KR 1020030083538A KR 20030083538 A KR20030083538 A KR 20030083538A KR 20040047617 A KR20040047617 A KR 2004004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e
composition
extract
smoking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643B1 (ko
Inventor
박선호
Original Assignee
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호 filed Critical 박선호
Publication of KR2004004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 조성물은 흡연자의 몸속에 있는 니코틴 등의 독성물질을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켜 주며, 금연시 발생할 수 있는 금단현상 등 거부반응을 진정시키면서 니코틴 및 타르 등 유해물질의 독성분해 및 가래와 기침 등 신체의 이상징후를 완화하여 쉽게 금연할 수 있도록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초, 산사자, 고본, 오가피, 하수오, 전호, 정향, 진피, 나복자, 길경, 알로에를 일정 구성비율로 혼합하여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구성한 것으로, 흡연자의 몸속에 있는 니코틴 등의 독성물질을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켜 주며, 금연시 발생할 수 있는 금단현상 등 거부반응을 진정시키면서 니코틴 및 타르 등 유해물질의 독성분해 및 가래와 기침 등 신체의 이상징후를 완화하여 쉽게 금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THE MIXTURES FOR NICOTINE ELIMINATION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연자의 몸속에 있는 니코틴 등의 독성물질을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켜 주며, 금연시 발생할 수 있는 금단현상 등 거부반응을 진정시키면서 니코틴 및 타르 등 유해물질의 독성 및 가래와 기침 등 신체의 이상징후를 완화하여 쉽게 금연할 수 있도록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 성인 남자의 흡연율은 지난 수년간 약 74.2% 수준으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김혜련 등, 1999, 한국 갤럽, 1988).
국민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는 흡연을 줄이거나 끊는데는 여러 가지 노력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흡연으로 인한 사망은 1985년 성인 남자 사망중 17%의 원인으로 추정된바 있다(맹광호 등, 1988).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흡연으로 생성된 활성 산소종은 세포의 구성물질인 단백질, 지질, 핵산 등을 공격하여 손상시킴으로서 세포손상을 유발하고 이러한 세포와 조직의 산화적 손상과 노화 및 노화 관련 질병들 즉, 암, 십이지장궤양, 궤양성 대장염, 기관지염, 뇌혈관 질환, 폐색증 등 각종 질환을 유발시킨다(Cerutti PA, 1985). 이외에도 흡연은 수면장애, 조기폐경, 생식능력 저하, 운동기능 저하 등의 과 관련성이 보고되었다(Kannel et al., 1984). 이런 질환들은 담배 연기속에 들어있는 40여종의 독성 발암 물질에 의해 생기는데, 그 중 대표적인 유해성분으로는 타르, 니코틴 및 일산화탄소 등이 있다.
타르는 담배진이라고 하며, 각종 독성 물질과 20여종의 발암 물질이 들어 있어, 아주 적은 양으로도 곤충이나 작은 동물에 치명적이다.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감퇴시켜 신진대사에 장애를 주고 조기 노화 현상을 일으킨다. 담배 연기가 가득한 곳에 있으면 머리가 아프고 정신이 멍해지는 것도 일산화탄소 때문이며, 이 일산화탄소는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등과 같은 많은 발암 물질과 독성 물질을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흡연을 하면 이러한 유해성분 때문에 우리 몸의 모든 세포와 조직에 조기 노화가 일어나며, 흡연자는 물론 흡연자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도 간접흡연의 악영향을 미치어 건강에 해를 끼친다.
그리고 중독성이 있는 니코틴은, 말초 혈관을 수축하여 맥박을 빠르게 하며 혈압을 높이고,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 경화증을 유발시키며, 소화기 계통에 작용해서 궤양을 일으킨다. 담배의 주요 물질중 하나인 니코틴은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금연시 여러 가지 금단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Orlens(1988)의 보고에 의하면 흡연자는 평균 3.8회의 금연을 시도하였으며 대부분 금연을 희망하였으나 금연방법과 금단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금연에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니코틴 중독의 금단 현상은 신체증상과 정신증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신체증상으로는 가래, 가려움증, 오심, 두통, 변비, 설사와 식욕증대 등을 들 수 있고(Benowitz, 1988), 정신증상으로는 안절부절, 불안, 불면증, 집중력 감소, 건망증, 시간 인지력 장애와 흡연갈망 등을 들 수 있다(Covey et al. 1999).
금단현상은 흡연량과 무관하며 금연 후 2-4일에 가장 심하고 대부분 2주간 지속되며 저녁에 가장 심하다. 성공적인 금연을 위해서는 이러한 금단 증상의 극복이 가장 중요하다.
니코틴은 향정신적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저 농도에서는 각성효과가 있고 고농도에서는 신경안정효과가 있다. 니코틴은 신경마디의 세포막 상에 작용하여 혈압상승, 골격근 섬유경련 초래 및 흥분으로 인한 구강내 마비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사량은 약 60㎎ 정도이다.
니코틴은 노화촉진 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심하면 발작, 경련, 호흡 마비 및 근육경련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체내에 흡입된 니코틴의 80-90%는 주로 간에서 대사되어 뇨 대사 물질로서 대사 된다.
니코틴의 70-80%는 코티닌(cotinine)으로 전환되고 코티닌의 10-15%가 소변으로 배출되며 나머지는 4-옥소-4-(3-피리딜(pyridyl)) 부텐 산(butanoic acid) 형태로 전환된다. 이 키토 산(keto acid)의 85%는 4-히드록시(hydroxy)-4-(3-pyridyl) 부텐 산(butanoic acid)으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코티닌으로 대사되지 않은 니코틴 중 4%는 플라빈(flavin)을 함유하는 모노옥시게나이제(monooxygenase)에 의해서 니코틴-1'-N-산화물( oxide)로 전환되어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된다.
금연효과를 평가할 때 본인의 진술만으로는 신뢰도가 많이 떨어지므로(Hall SM et al, 1984) 소변중에 포함된 니코틴 대사물을 측정하거나, 일산화탄소의 농도 등을 측정하여 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니코틴 대사산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주로 니코틴, 코티닌, 티오시안산염(thiocyanate), 카르복시헤모글로빈(carboxyhemoglobin) 등을 측정하여 왔다. 니코틴은 약 30여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으나 코티닌은 15시간 이상의 반감기를 지니고 있어 니코틴의 무독화 생성물로서의 전이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코티닌 측정은 보통 Gas Chromatography (G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adioimmunoassay (RIA), Direct Barbituric Acid (DBA)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Brunnhemann, 1992). GC 및 HPLC 방법은 상당한 정확성을 갖는 대신 많은 수의 샘플을 측정하기에는 불편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있고 RIA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DBA방법(Barlow 등, 1987)은 많은 양의 시료를 빠르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흡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는 담배 파이프, 니코틴대체요법 및 식품 형태의 금연 보조제 등이 있다.
담배 파이프는 파이프 내측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인 니코틴 및 타르를 여과시키는 필터가 설치된 것으로, 이것은 여러 번 사용하면 필터의 여과 능력이 떨어져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애연가의 경우에는 담배 맛과 흡연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니코틴과 타르가 필터에 의해 여과되고 연기만 흡입하게 되므로 담배 맛을 느끼지 못해 담배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니코틴대체요법은 금단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그 의의를 둔다. 그러나 니코틴껌은 구강점막을 통한 니코틴의 흡수가 흡연보다 늦으며 심한 니코틴 중독인 사람은 금연후 장기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도 현기증, 오심, 저작근육통, 쓴맛, 구강과 인후의 따가움과 복통 등의 부작용을 지니고 있다. 니코틴 구강 분무제는 껌보다는 그 사용이 간편하지만 부작용 등으로 아직 실험 단계에 있다. 니코틴패치는 사용이 간편한 반면 피부발진과 소양증이 나타나며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심박수의 미소한 증가 및 불면증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Yoo TW, 1993). 또한 흡연을 중지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체내에 축적되어 있던 니코틴에 의하여 흡연 욕구를 불러일으키므로 다시 흡연을 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금연에 성공한다 해도 체내에 니코틴이 줄어들어 불안, 초조, 정신집중 불능, 식은땀, 불면증, 손발의 떨림과 같은 금단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금연제는 일시적인 담배의 맛, 습관을 줄이는 데 불과하며, 근본적으로 금연을 할 수 있는 제품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 금단현상 및 거부반응을 진정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한약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금연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을 완화시키고 금연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한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인체를 손상시키지 않음은 물론이고 인체에 축적되었던 독성이 제거되면서 각 한약재료의 약효성분에 의해 건강한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약재를 이용한 본 조성물을 복용시 흡연에 대한 거부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고 담배 맛이 없게 하며, 장기적인 흡연과정에서 인체 내에 축적되어 흡연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니코틴과 인체의 저항력을 떨어뜨리고 질병을 유발시키는 타르를 제거함으로서 금연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담배로 인하여 쇠약해진 인체를 건강하게 보존하도록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초, 산사자, 고본, 오가피, 하수오, 전호, 정향, 진피, 나복자, 길경, 알로에를 혼합 구성하여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완성하였다. 상기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은 흡연자의 몸속에 있는 니코틴 등의 독성물질을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켜 주며, 금연시 발생할 수 있는 금단현상 등 거부반응을 진정시키면서 니코틴 및 타르등 유해물질의 독성 및 가래와 기침 등 신체의 이상징후를 완화하여 쉽게 금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그래프.
도 2는 PLC/PRF5 세포배양 시 시간별 니코틴을 코티닌으로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한약재 추출물의 영향에 관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그래프이며 도면내의 번호는 표 1의 한약재 번호와 일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PLC/PRF5 세포배양시 시간별 니코틴을 코티닌으로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한약재 추출물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면내의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산사자, □;삼백초, △;오가피, ◇;전호, ▲;정향, ●;하수오, ■;황기.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감초20~27%, 산사자2~4%, 고본6~9%, 오가피2~4%, 하수오2~5%, 전호3~4%, 정향3~6%, 진피6~7%, 나복자3~6%, 길경11~14%, 알로에21~26%를 혼합 구성비율로 제조한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식품으로 사용되어 안전성이 확인된 각종 한약재의 금연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첫째, 항산화 효능이 높은 한약재를 선별하고, 둘째 이들 한약재에 의한 인간의 간세포에서의 니코틴 분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셋째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완성하여 이를 흡연자에게 복용시켜 금연에 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방약합편(方藥合編)에 등재되어 있는 처방전에 등장하는 각 한약재 중 처방 빈도수가 높은 약재 특히 기관지 및 폐의 기능에 관련된 약재를 선별하고 이들 한약재의 문헌상의 항산화 효능 보고를 참조하여 21종의 한약재를 하기 표 1과 같이 선별하였다.
한약재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료를 조제함에 있어서, 시료 한약재를 세절하고 이를 10g씩 정확히 취하여 80% 메탄올 500mL로 24시간 진탕 추출한 후 여과지(Toyo No.1)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회전진공농축기(EyelaNE1S,Japan)로 농축하여 각 한약재의 건조 메탄올엑기스를 만들었다. 이 엑기스를 80%메탄올에 녹여 최종 부피를 10mL로 하여 냉동보관하며 사용 전에 해동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은 불포화지방산 라디칼의 모델로서 안정한 유리 라디칼인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시료 용액과 반응에 의하여 DPPH-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Brand-Williams et al., 1995). 즉 시료 용액 0.1㎖를 취하여 DPPH용액 2.9㎖를 가하여 10분 동안 강하게 진탕한 후 23℃의 암소에서 30분 동안 방치하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DPPH용액은 DPPH 7.89mg을 200㎖의 80% 메탄올 용액에 녹인 후 여과하여 517nm에서의 흡광도값이 1.000±0.020 범위에 들도록 80% 메탄올로 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조구로서 시료 용액 대신에 같은 양의 80%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한편 항산화 활성은 DPPH의 흡광도를 50%까지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한약재의 양을 IC50(μg/mL)로 표시하였다.
한편, 항산화 표준품으로 L-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시료의 활성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을 mg VCEAC/g 한약재(hedical herb)로 나타냈다. (VCEAC;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한약재의 항산화 활성 결과는 하기 표2와 같이 총 21 종의 한약재 성분 중 IC50값이 150μg/mL 보다 작은 한약재는 정향(30μg/mL), 산사자(51μg/mL), 오가피(54μg/mL), 삼백초(53μg/mL), 승마(64μg/mL), 감초(69μg/mL), 강활(104μg/mL), 건강(84μg/mL), 택사(104μg/mL) 그리고 진피(125μg/mL)로 나타났으며, 이중 정향(30μg/mL)은 매우 높은 황산화 활성으로 적은량으로도 DPPH를 잘 흡수하였다(하기 표 2 참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이들 한약재의 VCEAC를 측정한 결과 정향이 약 38±1.1 mg/g VCEAC로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도면 1 참조). 또한 감초(16.4 mg/g VCEAC), 강활(13.2 mg/g VCEAC), 건강(13.5 mg/g VCEAC), 산사자(22 mg/g VCEAC), 삼백초(20.8 mg/g VCEAC)), 승마(15.3 mg/g VCEAC)), 오가피(21.0 mg/g VCEAC), 진피(9.3 mg/g VCEAC)), 택사(11.1 mg/g VCEAC)와 같이 황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세포배양에 의한 한약재의 니코틴 분해능력에 대한 실험은 다음과같다.
사용한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은 사람의 간세포인 PLC/PRF5 세포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약인 (-)니코틴은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0mM 스톡(stock)을 조제하여 냉암소(4℃)에서 보관하며 1주일 이내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약재 추출물은 시료의 조제 방법과 동일하나 추출물의 농축건조 후 PBS 10 mL로 용해시켜 사용한 점이 다르다. 추출된 시료는 냉암소(4℃)에서 보관하며 1주일 이내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적용 농도는 배양액 3mL에 대하여 10㎕의 추출물(건조 한약재 기준 0.33% w/v)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은 PLC/PRF5 세포의 스톡 셀(stock cell)를 제조하고 100% 컨퍼런시(confluency) 상태에서 동일하게 분획된 상태에서 세포배양을 추가로 실시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약재들이 니코틴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예비배양이 완료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니코틴 스톡(stock) 용액 10㎕을 함유한 배지 3mL에서 24시간 배양하고 각 한약재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며 전환된 코티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주요 한약재를 대상으로 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며 시간별(0, 60, 120 min)로 전환된 코티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코티닌의 정량법은 Barlow 등(1987)에 의한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즉 1000㎕의 샘플(sample) 또는 표준품(standard)에 500㎕ 4M 소듐(sodium) 초산염(acetate) 완충물(buffer)(pH4.7), 200㎕ 1.5M KCN, 200㎕ 0.4M클로나민(chloramine)T, 1000㎕ 78mM 바르비투르 산(barbituric acid)(in ACN-DW)을 순서대로 넣고 10초 동안 잘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여기에 200㎕ 1M 소듐 메타중이황산염(sodim metabisulfite)를 넣어 반응을 중지시킨 다음 49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표준(standard) 코티닌과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니코틴 분해 활성의 최적 처리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선별된 7가지 한약재의 처리시간에 따라서 니코틴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도 2참조) 시료 처리후 60분 동안 높은 니코틴 분해활성을 보인 순서는 황기, 산사자, 전호, 하수오이다. 하지만 120분이 될 때까지 전호, 산사자, 하수오, 와 황기는 점차 값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한약재의 apoptosis활성에 의한 세포의 사멸로부터 온 것으로 보인다.
코티닌 농도는 세포에서 30분 동안 직접 혼합방법과 60분 동안의 세포 배양에 의해 모두 증가되었다. 인삼추출액을 함유한 녹차 엑기스의 코티닌 형성은 단지 녹차추출액보다 효과가 대략 1.5배 빨랐다. 각 한약재는 측정시간에 따른 니코틴 분해활성 활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한약재의 니코틴 분해에 미치는 효과는 한약재추출물을 첨가하여 1시간동안 PLC/PRF5 세포를 배양한 결과 어떤 한약재들(p<0.05)은 니코틴 분해활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최고와 최저의 니코틴 분해활성은 490nm에서 처리 및 제어되 흡광도인 1.81과 1.01로 나타났다. 1.2이상의 높은 니코틴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13가지 한약재 중에서 8가지 한약재들은 IC50값이 150 μg/mL 보다 낮은 값으로 황산화활성을 가졌다. 그러나 황기, 인삼, 전호, 고본을 포함한 어떤 한약재들은 높은 니코틴 분해활성 값과 낮은 황상화 활성을 나타냈었다. 강활, 건강, 고본, 길경, 나복자, 산두근, 산사자, 승마, 알로에, 진피는 다른 한약재들이 낮은 상관관계(R2=0.27)를 나타내는 동안 황산화 활성과 니코틴 분해활성 값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R2=0.84)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약재의 황산화 활성이 니코틴 분해의 역할에 중요한 요소는 아니나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특성은 대체적으로 한약재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서 시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주요 한약재의 코티닌 생성 특성을 측정해본 결과 도 2와 같이 전호, 산사자, 하수오, 황기, 오가피, 삼백초, 정향 순으로 니코틴을 코티닌으로 전환하는 특성이 높아 이들 조성물이 금연효능에 주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표 3은 PLC/PRF5 세포 배양시 니코틴을 코티닌으로 분해시켜 배출시키는데 관여하는 한약재 추출물 영향(1시간 배양)이다.(NDA : Nicotine degradation activit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항산화 활성 및 니코틴을 코티닌으로 전환시켜 배출시키는 효과가 크게 나타난 감초, 산사자, 고본, 오가피, 하수오, 전호, 정향, 진피, 나복자, 길경과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알로에를 분쇄하여 각각의 분말을 표 4와 같이 혼합 구성하고 수분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과립은 열풍건조기에서 50℃로 건조하여 과립차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금연에 대한 효과는 본 발명의 혼합분말 과립차 조성물을 흡연 경험이 있는 학교, 관공서, 회사에 근무하는 20대∼50대 성인 남자 중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전 설명을 마친 후 각 실험군당 20명씩을 대상으로 복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피검자들에게 실험하고자하는 실시예 또는 비교예 조성물 3.5g을 물 200mL에 용해하여 하루에 3회 복용하도록 하였으며 흡연에 관한 사항은 본인의 의지에 따르도록 하였다. 실험기간은 총 4주로서 주 1회의 소변 검사와 면접을 실시하여 각 조성물 복용상황 및 금연에 의한 금단현상 발생을 조사하였다. 검사실시 한달 후 개인별 흡연량을 면담 조사하였으며 이 구술 데이터와 측정된 소변 코티닌함량을 종합하여 금연 성공여부를 판단하였다.
실험 데이타는 means±D로 표기하였으며 SPSSPC를 사용하여 실시예 또는 비교예 조성물 복용에 의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개인별 차이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실시예 또는 비교예 조성물 복용 효과에 대한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 복용에 의한 흡연량 변화에 대한 영향은 실시예 조성물을 4주 동안 복용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일 흡연량은 평균 약 1/2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이 결과는 Paired t-test 결과 0.01% 유의 수준 하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실시예 조성물이 금연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조성을 갖추지 않은 비교예의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는 금연에 전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5).
상기 표 5는 실험 전후 피검자의 하루 흡연량 변화에 대한 Paired t-test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 음용에 의한 소변중의 코티닌 함량 변화는 피검자의 소변 중 니코틴의 함량을 1주 단위로 측정한 결과 실시예 조성물 복용 초기 2주 동안은 소변중 코티닌 함량이 증가하여 세포배양과 동일한 현상을 나타냈다. 이는피검자의 흡연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니코틴의 코티닌으로 전환이 촉진되어 체내 니코틴 배출이 용이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2주후 4주까지 코티닌 함량은 격감하여 피검자들의 흡연량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조성을 갖추지 않은 비교예의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는 금연에 전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별 소변중 코티닌 배출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한 결과 4주 후 소변중 코티닌 함량은 실시예 조성에 관계 없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표 6).
상기 표 6은 실험 전후 피검자의 소변중 코티닌 함량 변화에 대한 Paired t-test 분석 결과이다.
상기 실시예 조성물의 복용에 의해 피검자들은 담배 맛에 변화를 느꼈으며 담배를 피고 싶은 욕구가 줄어들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담배를 끊거나 또는 흡연량을 줄이는데 미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의 주된 역할은 금연에 따라 발생하는 금단현상을 이들 조성물의 복용에 의하여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상기 표 7은 실시예 1-5 조성물을 4주 동안 복용후 실시한 피검자 설문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이다.
실시예6
실시예 1의 조성과 같이 한약재를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한 것에 80% 알콜 5ℓ을 취하여 100℃에서 2시간 환류 냉각하면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진공농축시키고 알콜추출 잔사에 물 10ℓ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동안 환류냉각 하면서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진공농축하고 두 농축액을 혼합하여 한약재 추출엑기스를 제조하여 한약재 시료건조 중량으로 환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추출물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완전 농축하지 않고 고형물 농도 10 브릭스(Brix) 정도까지 농축시킨후 유당을 부형제로 사용하여 최종 농도를 15-20 Brix로 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분무건조 시킨 분말을 제조하여 한약재 시료건조 중량으로 환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조성과 같이 한약재를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하여 한약재를 곱게분쇄하여 체(60mesh)로 쳐서 한약재 분말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제조 공정의 차이에 따른 금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상기 실시예에 대한 검증은 각 실시예의 시료를 조성물 원료 3.5g에 해당하는 양을 하루에 3회 복용하도록하여 4주 동안 실험하여 흡연량의 변화 및 금연에 의한 금단현상 발생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8과 같이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제조공정과 무관하게 실시예 조성물은 금연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8은 실험 전후 피검자의 하루 흡연량 변화에 대한 Paired t-test 분석 결과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약재를 이용한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은 흡연자에게 금연시 발생할 수 있는 금단현상 및 거부반응을 진정시키고, 흡연으로 인해 흡연자의 인체 내에 축적되어 있던 니코틴 및 타르 등의 독성분해 및 가래와 기침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인체 내에서 흡연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니코틴 및 타르가 제거됨으로 금연에 쉽게 성공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한약재로 제조되어 인체를 손상시키지 않음은 물론이고 인체에 축적되었던 독성이 제거되면서 각 한방재료의 약효성분에 의해 건강한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1. 감초, 산사자, 고본, 오가피, 하수오, 전호, 정향, 진피, 나복자, 길경, 알로에를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하여 곱게 분쇄하고 분쇄된 분말을 혼합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은 감초20~27%, 산사자2~4%, 고본6~9%, 오가피2~4%, 하수오2~5%, 전호3~4%, 정향3~6%, 진피6~7%, 나복자3~6%, 길경11~14%, 알로에21~26%의 원료를 분쇄하여 분말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은 3.5g을 물 200mL에 용해하여 하루에 3회 복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4. 감초20~27%, 산사자2~4%, 고본6~9%, 오가피2~4%, 하수오2~5%, 전호3~4%, 정향3~6%, 진피6~7%, 나복자3~6%, 길경11~14%, 알로에21~26%의 원료를 각각 분쇄하여 각각의 분말을 혼합 구성하고, 수분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과립을 제조하고, 제조된 과립은 열풍건조기에서 50℃로 건조하여 과립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제조방법.
  5. 감초20~27%, 산사자2~4%, 고본6~9%, 오가피2~4%, 하수오2~5%, 전호3~4%, 정향3~6%, 진피6~7%, 나복자3~6%, 길경11~14%, 알로에21~26%의 원료를 각각 분쇄하여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한 것에 80% 알콜 5ℓ을 취하여 100℃에서 2시간 환류 냉각하면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진공농축시키고 알콜추출 잔사에 물 10ℓ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동안 환류냉각 하면서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진공농축하고 두 농축액을 혼합하여 한약재 추출엑기스를 제조하여 한약재 시료건조 중량으로 환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제조 방법.
  6. 감초20~27%, 산사자2~6%, 고본6~9%, 오가피2~4%, 하수오2~5%, 전호3~4%, 정향3~6%, 진피6~7%, 나복자3~6%, 길경11~14%, 알로에21~26%의 원료를 각각 분쇄하여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한 것에 80% 알콜 5ℓ을 취하여 100℃에서 2시간 환류 냉각하면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진공농축시키고 알콜추출 잔사에 물 10ℓ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동안 환류냉각 하면서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진공농축하고, 상기추출물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완전 농축하지 않고 고형물 농도 10 브릭스 정도까지 농축시킨후 유당을 부형제로 사용하여 최종 농도를 15-20 브릭스로 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분무건조시킨 분말을 제조하여 한약재 시료건조 중량으로 환산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0030083538A 2002-11-27 2003-11-24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3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74497 2002-11-27
KR1020020074497 2002-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617A true KR20040047617A (ko) 2004-06-05
KR100553643B1 KR100553643B1 (ko) 2006-02-22

Family

ID=3734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38A KR100553643B1 (ko) 2002-11-27 2003-11-24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6032A1 (en) * 2005-03-11 2006-09-14 Sun Ho Park Antioxidant supplement composition for smokers and ex-smok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100873349B1 (ko) * 2007-05-17 2008-12-10 김명득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4974A (ko) * 2020-02-18 2021-08-2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섬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4136A (ko) * 2020-10-23 2022-05-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니코틴 중독 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603B1 (ko) * 2013-10-17 2014-12-10 홍성창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47592B1 (ko) * 2019-01-28 2020-08-24 동리 쉔 흡연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6032A1 (en) * 2005-03-11 2006-09-14 Sun Ho Park Antioxidant supplement composition for smokers and ex-smok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100626398B1 (ko) * 2005-03-11 2006-09-20 박선호 흡연자 및 흡연경력자를 위한 항산화영양소 보충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JP2006249088A (ja) * 2005-03-11 2006-09-21 Sun Ho Park 喫煙者および喫煙経験者のための抗酸化栄養素補充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3349B1 (ko) * 2007-05-17 2008-12-10 김명득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4974A (ko) * 2020-02-18 2021-08-2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섬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4136A (ko) * 2020-10-23 2022-05-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니코틴 중독 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643B1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US7338672B2 (en) Herbal supplement for cognitive related impairment due to estrogen loss
KR100382564B1 (ko) 치매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90078662A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e et al. Effects of medicinal herb tea on the smoking cessation and reducing smoking withdrawal symptoms
CN110123952A (zh) 一种解酒护肝复方制剂及其应用
KR100661132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53643B1 (ko)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4486096B2 (ja) 宿酔解消及び肝機能回復に効果がある天然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3978B1 (ko) 인체내 축적된 유해성분 제거용 허브 추출물 및 그제조방법
JPH10508880A (ja) 糖尿病用医薬組成物
WO2002066041A1 (en) Natural composition
KR100406158B1 (ko) 인체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추출물 및 제조방법
CA2606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223A (ko) 숙취해소용 음료수 조성물
KR100812968B1 (ko) 흡연으로 인한 인체 내의 유독성분 제거에 유효한 효능을 가지는 한약재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4040B1 (ko) 흡연에 의한 폐질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20000026785A (ko) 알코올대사 생약 촉진제
CN115721685A (zh) 一种彼岸花的药物组合物和用途
KR100761552B1 (ko)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3576B1 (ko)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421081B1 (ko) 나이아신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 조성물
KR102466436B1 (ko) 음료 조성물
KR100655593B1 (ko) 간장 보호 및 혈중 알코올 분해에 유효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