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354A -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46354A KR20040046354A KR1020020074267A KR20020074267A KR20040046354A KR 20040046354 A KR20040046354 A KR 20040046354A KR 1020020074267 A KR1020020074267 A KR 1020020074267A KR 20020074267 A KR20020074267 A KR 20020074267A KR 20040046354 A KR20040046354 A KR 200400463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rest
- link
- link bar
- foot rest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실린더형 구동수단과 링크형 전동수단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작동구조를 가지면서도 각도 및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착석자세에 맞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풋 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탑승시나 착석자세를 바꾸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맞춰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대퇴골 압박 및 발목 피로감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시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실린더형 구동수단과 링크형 전동수단에 의해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풋 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탑승시에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에게 대퇴골 압박 및 발목 피로감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제공하는 풋 레스트는 주로 운전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뒷좌석에 앉거나 조수석에 앉은 탑승객의 경우에는 차량의 이용과 관련하여 그만큼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국내 특허 제1995-56044호에서는 절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풋 레스트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켜주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단순히 풋 레스트를 일정각도 경사지게 세팅한 후 그 경사방향으로만 높이를 가변시켜주기 때문에 시트의 착석자세(높이)가 변하는 경우에도 풋 레스트의 각도가 함께 능동적으로 변하지 못해 발목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으며, 어린이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발을 올려놓는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이를 충분하게 수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특허 제2001-11303호에서도 풋 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위의 단점들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여기서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함에 따른 여러 문제, 예를 들면 유압라인을 차량 뒷좌석까지 연장하는데 따른 설계상의 과도한 문제, 유압계통의 경우 무겁고 가격이 비싼 문제 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린더형 구동수단과 링크형 전동수단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작동구조를 가지면서도 각도 및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착석자세에 맞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풋 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탑승시나 착석자세를 바꾸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맞춰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대퇴골 압박 및 발목 피로감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시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따른 랙과 피니언의 전동에 의해 양측의 핀 결합부위를 축으로 하여 링크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또는 독자적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제1링크바 및 제2링크바와, 상기 제1링크바 및 제2링크바에 양측이 핀 결합되어 각 링크바의 독자적인 링크운동에 의해 경사지게 세워지거나 동시의 링크운동에 의해 편평하게 높여질 수 있는 발판과, 상기 제1링크바 및 제2링크바와 발판을 포함하는 풋 레스트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랙은 서로 마주보는 안쪽으로 최대한 위치되는 상태에서 발판의 양측 단과 밀착되어 더 이상 안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주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그 양측 단부와 랙 사이를 마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저부에 설치되는 시스템 이동용 모터 및 베이스용 랙을 통해 발판을 포함하여 전체가 전후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풋 레스트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풋 레스트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모터 11a,11b : 랙
12a.12b : 피니언 13 : 제1링크바
14 : 제2링크바 15 : 발판
16 : 베이스 17a,17b : 스톱퍼
18 : 천 19 : 시스템 이동용 모터
20 : 베이스용 랙 21 : 핀
22 : 모터용 피니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풋 레스트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측 베이스(16)상에는 모터 및 피니언, 랙 및 제1링크바로 구성되는 1세트의 구동수단이 양편에 대칭 배치되고, 발편(15)은 이렇게 배치되는 양쪽의 구동수단에 양단이 지지되어 그 경사진 각도로 조절되거나 편평한 상태로 높여질 수 있게 된다.
베이스(15)상에는 축에 피니언(12a),(12b)을 갖는 모터(10a),(10b)가 고정설치되고, 그 윗쪽으로는 피니언(12a),(12b)에 치합되는 랙(11a),(11b)이 수평배치되며, 랙(11a),(11b)의 안쪽 끝에는 제1링크바(13)와 제2링크바(14)가 각각 핀(21)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각 링크바(13),(14)의 다른 한쪽 끝에는 발판(15)이 핀(21)으로 연결되므로서, 모터의 구동과 랙 및 피니언의 전동에 의해 각 링크바가 링크운동을 하게 되면 발판(15)은 어느 한쪽이 세워져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거나, 양쪽이 동시에 승강되어 편평한 자세로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랙(11a),(11b)의 윗면에는 스톱퍼(17a),(17b)가 일체식으로 구비되는데, 이때의 스톱퍼(17a),(17b)는 발판(15)이 가장 낮은 위치에서 수평 자세를 취할 때 그 양편에 맞닿아 이동시 간섭을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스톱퍼가 발판과 닿아 더 이상 랙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서, 발판(15)은 이때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평이동하는 랙(11a),(11b)은 베이스(16)상에 지지되는 별도의 가이드 부재(미도시)에 의한 안내를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판(15)을 받쳐주는 양편의 링크바 또한 평면에서 봤을 때 발판(15)의 각 모서리 4곳을 받쳐줄 수 있도록 4세는 구비하는 것이 발판(15)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모터, 랙과 피니언, 링크바로 구성되는 1세트의 구동수단은 발판의 양쪽에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구동수단은 어느 1세트만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양쪽 2세트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발판을 경사지게 만들어주고 또 수평상태로 위로 올려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작동을 위한 조작수단은 앞쪽 1세트의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방 상향버튼, 나머지 1세트의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후방 상향버튼, 후술하는 시스템 전체의 전후 이동을 위한 전후 이동버튼, 전체 시스템의 초기 복귀를 위한 온/오프 버튼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 상향버튼을 조작하면 앞쪽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발판(15)의 앞부분이 상승한다.
즉, 모터(10a)가 정회전하게 되면 랙(11a)의 이동에 의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15)의 앞부분이 상승하여 발을 편하게 놓을 수 있는 풋 레스트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랙의 초기 동작은 발판과 스톱퍼 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뒷쪽 랙을 약간 밀어서 발판이 조금 들뜨게 한 상태에서 수행한다.
후방 상향버튼을 누를 경우 모터(10b)의 구동과 랙(11b)의 이동에 의해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15)의 뒷부분도 상승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알맞은 발판의 각도와 높이를 제공한다.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발판(15)의 앞부분만 상승할 경우 대퇴골 압박이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뒷부분도 상승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오프 버튼은 전체 시스템을 가라앉게 하는 버튼으로서, 원터치 하강 작동을 하여 주차시나 탑승 후 내리는 경우 작동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풋 레스트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15)의 각도조절 및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은 위의 일 구현예와 동일한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발판(15)과 차체 바닥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전장 시스템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 즉 천(18)을 제공한다.
이때의 천(18)은 작동시 길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막을 수 있는 신축가능한 벨로우즈형 구조의 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16)에 베이스용 랙(20)을 구비하고 그 저부에는 시스템 이동용 모터(19) 및 그 축의 모터용 피니언(22)을 배치하여 전체 시스템을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 개개인 신장의 차이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착석자세에 따라 발목의 각도나 발의 높이, 다리의 길이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풋 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탑승하는 경우, 착석자세를 바꾸는 경우 등에도 적절하게 맞춰 발을 편안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대퇴골 압박 및 발목 피로감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모터(10a),(10b)의 구동에 따른 랙(11a),(11b)과 피니언(12a),(12b)의 전동에 의해 양측의 핀(21) 결합부위를 축으로 하여 링크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또는 독자적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제1링크바(13) 및 제2링크바(14)와, 상기 제1링크바(13) 및 제2링크바(14)에 양측이 핀(21) 결합되어 각 링크바의 독자적인 링크운동에 의해 경사지게 세워지거나 동시의 링크운동에 의해 편평하게 높여질 수 있는 발판(15)과, 상기 제1링크바(13) 및 제2링크바(14)와 발판(15)을 포함하는 풋 레스트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랙(11a),(11b)은 서로 마주보는 안쪽으로 최대한 위치되는 상태에서 발판(15)의 양측 단과 밀착되어 더 이상 안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주는 스톱퍼(17a),(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5)은 그 양측 단부와 랙(11a),(11b) 사이를 마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신축가능한 벨로우즈형 구조의천(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6)는 저부에 설치되는 시스템 이동용 모터(19) 및 베이스용 랙(20)을 통해 발판(15)을 포함하여 전체가 전후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4267A KR100471041B1 (ko) | 2002-11-27 | 2002-11-27 |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4267A KR100471041B1 (ko) | 2002-11-27 | 2002-11-27 |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46354A true KR20040046354A (ko) | 2004-06-05 |
KR100471041B1 KR100471041B1 (ko) | 2005-03-09 |
Family
ID=3734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74267A KR100471041B1 (ko) | 2002-11-27 | 2002-11-27 |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104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55762A (zh) * | 2017-12-14 | 2019-07-02 |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 歇脚板总成及其控制系统、控制方法以及车辆 |
KR20200054511A (ko) * | 2018-11-12 | 2020-05-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의 경추 마사지 장치 |
CN112622725A (zh) * | 2019-09-23 | 2021-04-09 |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 歇脚板总成的控制系统、控制方法和车辆 |
KR20220108333A (ko) * | 2021-01-27 | 2022-08-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 풋레스트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4417B1 (ko) * | 2005-10-20 | 2007-07-03 |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 풋 레스트 시스템 |
KR100841248B1 (ko) | 2007-02-05 | 2008-06-25 | 정해광 | 차량용 보조 쿠션 |
DE102023004160A1 (de) | 2022-10-19 | 2024-04-25 | Mercedes-Benz Group AG | Eine Fußrastenbaugruppe für ein Fahrzeug |
-
2002
- 2002-11-27 KR KR10-2002-0074267A patent/KR1004710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55762A (zh) * | 2017-12-14 | 2019-07-02 |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 歇脚板总成及其控制系统、控制方法以及车辆 |
KR20200054511A (ko) * | 2018-11-12 | 2020-05-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의 경추 마사지 장치 |
CN112622725A (zh) * | 2019-09-23 | 2021-04-09 |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 歇脚板总成的控制系统、控制方法和车辆 |
KR20220108333A (ko) * | 2021-01-27 | 2022-08-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 풋레스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71041B1 (ko) | 200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93641B1 (en) | Articulating bed frame | |
US20040227331A1 (en) | Multi-functional wheelchair | |
CN100415194C (zh) | 椅子及轮椅 | |
US20060191073A1 (en) | Nursing care bed with wheel chair facility | |
CN109907893B (zh) | 多功能轮椅和轮椅床 | |
KR101317480B1 (ko) | 병원용 다기능 전동침대 | |
KR20080066670A (ko) |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 |
KR101266497B1 (ko) | 가변 시트형 안마 의자 | |
KR100471041B1 (ko) |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 |
JP2000300611A (ja) | 起立介助椅子 | |
KR101046877B1 (ko) | 좌립을 조력하는 휠체어용 좌석의 높이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02078756A (ja) | ベッド及び車椅子 | |
JPH09121971A (ja) | 座位置調節機構付き椅子 | |
JP2010220701A (ja) | マッサージ機 | |
CN101288616B (zh) | 具有离地距离可变化的脚踏板的垂直式座椅 | |
US5046571A (en) | Vertically adjustable wheel chair | |
KR102047041B1 (ko) |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 |
KR200336152Y1 (ko) | 휠체어 | |
JP2001161752A (ja) | 分離合体型車椅子 | |
KR20180094887A (ko) | 수직화 장치를 구비하고, 로봇식의 이동성이 있는 변경 가능한 침대 | |
KR102307531B1 (ko) | 휠체어 | |
JP3020942B1 (ja) | 可動型椅子 | |
JPH0664635U (ja) | 介護ベッド | |
JP3706231B2 (ja) | 椅子 | |
CN220988179U (zh) | 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