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976A -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976A
KR20040042976A KR1020020070933A KR20020070933A KR20040042976A KR 20040042976 A KR20040042976 A KR 20040042976A KR 1020020070933 A KR1020020070933 A KR 1020020070933A KR 20020070933 A KR20020070933 A KR 20020070933A KR 20040042976 A KR20040042976 A KR 2004004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ng bean
mixture
rice
barley
w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최신양
Original Assignee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02007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976A/ko
Publication of KR2004004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2200/00Special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두주의 제조방법은, 보리가루에 30 중량%의 물을 가하고 살균한 다음, 백국균을 접종하여 배양해서 보리누룩을 제조하고, 멥쌀과 찹쌀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 후, 증자하고, 증자한 멥쌀과 찹쌀에 보리누룩 16 ∼18 중량%, 밀가루 8 ∼ 9 중량%를 배합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를 접종하여 배양해서 주모를 제조한 다음, 멥쌀과 찹쌀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 하고 증자하여, 녹두가루 25 중량%와 물 100 중량%를 혼합하여 술덧을 제조하여, 이 술덧과 제조된 주모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녹두주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혈전용해활성이 우수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THE MUNG BEAN WINE USING THE BAILEY NURUK AND THE FERMENTATION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혈전용해활성이 강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일종인 혈전증을 치료할수 있는 녹두주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전(Fibrin)은 상처복구시 활성화된 스롬빈(Thrombin)에 의하여 피브리노겐 (Fibrinogen)이 피브린(Fibrin)으로 전환되어 서로 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된 다. 이러한 혈전이 뇌혈관에 생성되면 뇌혈전증이 일어나 반신불수가 되고, 심장혈 관이 막히면 심부전증이나 심장마비가 되어 사망의 원인이 된다. 현재 혈전증의 치료제로는 유로기나제, 스트렙토기나제, 티피에어등이 있고 일본의 전통 대두 발효식품인 나토로부터 분리된 타노키나제와 우리나라의 청국장에서 분리된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프라스미노겐 엑티베이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천연물이나 민속주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및 곡류 등으로부터 혈전용해물질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공보 특1994-0006771(녹두곡주 제조방법)에는, 녹두와 멥쌀을 이용 하여 녹두곡자(누룩)를 만들고, 밀가루, 녹두곡자, 보리쌀을 이용하여 증류소주를 만든 다음, 찹쌀과 녹두곡자, 증류소주를 이용하여 녹두곡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 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69980(기능성 약주의 제조방법)에는, 쌀을 도정 하고 물에 침지하여 증미하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균주 및 아스퍼질러스 우사미 균주에 의해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말기에 보당을 하여 추가 발효 시키고, 발효물에 천문동을 포함하는 식물약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여 자양강장, 숙취해소 및 피로회복에 효과적인 약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 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술은 혈전용해활성이 없어 혈전용해활성에 아무런 효과를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은 혈전증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혈전용해활성을 가진 술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혈전용해활성이 있으면서도 맛과 풍미가 좋은 술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녹두주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은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두주의 제조방법은, 보리가루에 30 중량%의 물을 가하고 살균한 다음, 백국균을 접종하여 배양해서 보리누룩을 제조하는 제1공정, 멥쌀과 찹쌀을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침지 후 증자하는 원료미 증자과정의 제 2 공정, 증자한 멥쌀과 찹쌀에 보리누룩 16% ∼ 18 중량%, 밀가루 8 ∼ 9 중량%를 배합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를 접종하여 배양해서 주모를 제조하는 데 3공정, 멥쌀과 찹쌀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하고 증자하여 녹두가루 25 중량%와 물 100 중량%를 혼합하여 술덧을 제조하는 제 4공정, 제 3공정과 제 4공정에서 제조한 것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제 5공정, 그리고 여과 과정을 거쳐 녹두주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의 또하나의 방법은, 캐모마일 식물을 술덧제조 공정에서 녹두가루와 함께 첨가하여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녹두주 제조과정시 곡류원료의 배합비율은 통상의 범위내에서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녹두주는 혈전증을 치료 할 수 있는 혈전용해 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누룩제조시에 사용한 백국균(Aspergillus awamori varkawachii)은 흑국균에서 변이된 누룩곰팡이로써, 생산성이 강해 술덧에서 잡균의 오염을 방지해 주며, 산도 3.2 ∼ 3.4에서 주조의 안전도를 높혀준다.
본 발명의 곡류 첨가물인 녹두는 주성분이 당질이고,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열을 내려주고, 부운 것을 삭히며, 소갈증을 멎게 하는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제 1공정 : 보리누룩의 제조
보리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고, 보리 중량의 30 중량%의 물을 가한 다음, 121℃에서 30 분간 살균한다.
여기에 백국균 0.2 중량%를 접종하여 30 ℃에서 5 일간 배양하여 보리누룩을 제조한다.
제 2공정 : 증자미 제조
멥쌀과 찹쌀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16 시간 동안 침지 한 후, 상압100 ℃에서 1 시간 동안 증자하고 20 ∼ 25 ℃로 냉각시켜 증자미를 제조한다.
제 3공정 : 주모 제조
제 2공정에서 제조한 증자미에, 제1공정에서 제조한 보리누룩을 증자미의 16 ∼ 18 중량%를 배합하고, 밀가루를 증자미의 8 ∼ 9중량%를 배합한다.
여기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를 접종하여 30 ℃에서 48 시간동안 배양해서 주모를 제조한다.
제 4공정 : 술덧의 제조
멥쌀과 찹쌀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16 시간동안 침지하고 100 ℃에서 1 시간 동안 증자하여 냉각시킨다.
여기에 녹두가루를 증자한 쌀의 25 중량%와, 물을 증자한 쌀의 100 중량%를 혼합하여 술덧을 제조한다.
제 5공정 : 주발효
제 3공정에서 제조한 주모와 제 4공정에서 제조한 술덧을 1:1 의 비율로 혼합하고 , 30 ℃에서 10 일간 발효시킨다.
제 6공정 : 여과
발효물을 압착여과기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와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혈전용해 측정실험
파엑(Fayek) 등의 방법을 일부 변형시켜 다음과 같이 혈전용해활성 측정실험을 하였다.
0.6 중량% 피브린(fibrin) 용액 3 ㎖에 시료 농축액 500 ㎕를 첨가하여 4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0.4M 트리클로로 아세틱 엑시드(Trichloacetic acid) 용액 3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 중의 타이로신(tyrosine) 량을 IN folin 시약으로 발색시켜서 정량 하였으며 이때 효소 1 Unit은 시료농축액 1 ㎖가 1분 동안 타이로신(tyrosine) 1㎍을 생산하는 활성으로 하였다.
<실험예 2>각 곡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누룩의 혈전용해활성 측정
옥수수, 수수, 밀기울, 현미, 보리의 5 종의 곡물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각 1 kg 씩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곡물을 각각 분쇄하여 분말화 한 다음, 각각 300 g의 물을 가한 후,121 ℃에서 30 분간 멸균하였다.
여기에 각각 백국균 0.2 중량%를 접종한 다음, 30 ℃에서 5 일간 발효시켜 각 곡물별 누룩을 만들었다.
대조구로 시판되고있는 밀 누룩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각 곡물별 누룩의 혈전용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1> 각 곡물별 누룩으로 제조한 술의 활성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곡물로 제조한 누룩보다 보리로 제조된 누룩에서 혈전용해활성이 20.0 U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실시예 1 >보리누룩과 녹두를 이용한 녹두주의 제조
보리, 멥쌀, 찹쌀, 녹두, 밀가루, 백국균(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는 배재대 생물공학연구실에서 보관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보리, 멥쌀, 녹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준비해놓았다.
보리가루 1 kg 에 물을 300 g 가하여 121 ℃로 30분간 멸균하였다.
여기에 백국균 0.2 중량%를 접종하고 30 ℃로 5일간 발효시킨 후, 이것을 30-35℃로 7일 동안 건조시켜 보리누룩을 제조하였다.
멥쌀과 찹쌀을 각각 2 kg 씩 16시간동안 침지 시킨 후, 상압에서 100 ℃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증자하였다.
증자한 멥쌀과 찹쌀에 제조해 놓은 보리누룩 1 kg과 밀가루 0.5 k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효모 1 ℓ를 넣고, 30℃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주모를 제조하였다.
멥쌀 2.5 kg과 찹쌀 2.5 kg을 16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100 ℃로 1시간동안 가열한 후, 25 ℃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녹두가루 1.5 kg를 넣고, 물 10 ℓ를 첨가하여 술덧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주모와 술덧을 혼합하여 30 ℃에서 10 일간 발효시켰다.
발효물을 여과하여 본 발명의 녹두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보리누룩과 각종 곡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술의 혈전용해활성실험
실시예 1 과 같은 방법으로 보리누룩을 이용하여 곡물에 따른 술을 제조하고 혈전용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술덧 제조공정에서 팥가루,녹두가루, 검정콩가루, 대두가루, 들깨가루, 땅콩가루, 율무가루 등을 사용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2> 보리누룩을 이용한 술 제조시 각 곡물의 첨가가 혈전용해활성에 미치는 영향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리누룩을 이용하여 술을 제조할 때, 녹두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술의 혈전용해활성이 24.2 U로 제일 높았다.
<실험예 4>보리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녹두주의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두주에 대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통상의 보리누룩을 이용하고, 술덧에 녹두가 첨가되지 않은 술을 사용하였다.
관능검사는 술의 향, 색, 기호도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명씩 총 40명을 선발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관능검사 결과
*관능검사 수치 (9:아주 좋음, 0:아주 나쁨)
상기의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녹두주는 미황색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의 녹두주가 대조군에 비해, 향과 기호도에서도 비교적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혈전증을 치료하는 혈전용해활성이 우수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미황색이고 기호도가 좋은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

  1. 보리가루에 30 중량%의 물을 가하고 살균한 다음, 백국균을 접종하여 배양해서 수수누룩을 제조하고,
    멥쌀과 찹쌀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 후 증자하고, 증자한 멥쌀과 찹쌀에 제조된 보리누룩 16 ∼ 18 중량%, 밀가루 8 ∼ 9 중량%를 배합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를 접종하여 배양해서 주모를 제조한 다음,
    멥쌀과 찹쌀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하고 증자한 후, 녹두가루 25 중량%와 물 100 중량%를 혼합하여 술덧을 제조하여,
    제조된 주모와 제조된 술덧을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여과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의 제조방법.
  2. 제 1항 방법으로 제조된 혈전용해활성이 우수한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
KR1020020070933A 2002-11-14 2002-11-14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KR20040042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33A KR20040042976A (ko) 2002-11-14 2002-11-14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33A KR20040042976A (ko) 2002-11-14 2002-11-14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976A true KR20040042976A (ko) 2004-05-22

Family

ID=3733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933A KR20040042976A (ko) 2002-11-14 2002-11-14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97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7227A1 (en) * 2008-07-31 2011-05-19 Coreana Cosmetic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the skin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WO2014208856A1 (ko) * 2013-06-26 2014-12-31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복합 밀 누룩, 그 제조방법
CN104804969A (zh) * 2015-05-27 2015-07-29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以黑绿豆和玉米为主料的酿酒方法
CN104804967A (zh) * 2015-05-27 2015-07-29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黑绿豆、高粱、红苕酒及其制作方法
CN104818187A (zh) * 2015-05-27 2015-08-05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黑绿豆三粮液及其制作方法
CN104830621A (zh) * 2015-05-27 2015-08-12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黑绿豆七粮液及其制作方法
KR20180119548A (ko) * 2016-06-16 2018-11-02 한국식품연구원 발효주 제조용 오메기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발효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251A (ko) * 1986-10-10 1988-06-28 이철 자연식 건강주와 자연식 약주 양조법
KR940006771A (ko) * 1992-09-17 1994-04-25 정용문 돗트 매트릭스형 에어 임팩트 프린팅 헤드
JPH11276149A (ja) * 1998-03-30 1999-10-12 Tsunetaka Yokoyama 清酒又は焼酎、酒類に緑茶、抹茶、茶エキス及び オリゴ糖、食物繊維、ビタミンcを混合した機能性 酒類の製造方法
KR20030015424A (ko) * 2001-08-14 2003-02-25 충청남도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생리기능성 발효주와 그 제조방법
KR20040037308A (ko) * 2002-10-28 2004-05-07 학교법인 배재학당 수수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251A (ko) * 1986-10-10 1988-06-28 이철 자연식 건강주와 자연식 약주 양조법
KR940006771A (ko) * 1992-09-17 1994-04-25 정용문 돗트 매트릭스형 에어 임팩트 프린팅 헤드
JPH11276149A (ja) * 1998-03-30 1999-10-12 Tsunetaka Yokoyama 清酒又は焼酎、酒類に緑茶、抹茶、茶エキス及び オリゴ糖、食物繊維、ビタミンcを混合した機能性 酒類の製造方法
KR20030015424A (ko) * 2001-08-14 2003-02-25 충청남도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생리기능성 발효주와 그 제조방법
KR20040037308A (ko) * 2002-10-28 2004-05-07 학교법인 배재학당 수수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쪽 참조] ==전통식품의 고급화 및 상품성 제고를 위한 종합적 연구 (농림부 최종보고서)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7227A1 (en) * 2008-07-31 2011-05-19 Coreana Cosmetic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the skin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JP2011529486A (ja) * 2008-07-31 2011-12-08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EP2313082A4 (en) * 2008-07-31 2016-04-27 Coreana Cosmetic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SKIN ANTI-AGING,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ATIC TREATMENT
WO2014208856A1 (ko) * 2013-06-26 2014-12-31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복합 밀 누룩, 그 제조방법
CN104804969A (zh) * 2015-05-27 2015-07-29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以黑绿豆和玉米为主料的酿酒方法
CN104804967A (zh) * 2015-05-27 2015-07-29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黑绿豆、高粱、红苕酒及其制作方法
CN104818187A (zh) * 2015-05-27 2015-08-05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黑绿豆三粮液及其制作方法
CN104830621A (zh) * 2015-05-27 2015-08-12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黑绿豆七粮液及其制作方法
KR20180119548A (ko) * 2016-06-16 2018-11-02 한국식품연구원 발효주 제조용 오메기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발효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1057B (zh) 一种快速醇化的黑茶及其加工方法
KR101439521B1 (ko) 수수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519631A (zh) 一种红枣醋的生产制备方法
KR20030039696A (ko) 전통주 양조용 누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통주제조방법
KR100700747B1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자색고구마 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CN103789140A (zh) 一种红枣莜麦复合酒的酿造方法
KR10206558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3jsrl 24-4 균주를 이용한 발효 현미 식혜의 제조방법
KR100426562B1 (ko)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생리기능성 발효주와 그 제조방법
KR101341552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더덕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1605540B1 (ko) 소나무와 매실을 이용한 향목 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2976A (ko) 보리누룩을 이용한 녹두주와 그 제조방법
KR102133721B1 (ko) 감 잎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274638B1 (ko) 막걸리용 개량 누룩의 제조방법
TWI253468B (en) Method for producing beer-like and alcohol-free fermented beverage
KR102150544B1 (ko) 엉겅퀴를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6987514A (zh) 一种富含乳酸菌的护肝果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967567B (zh) 一种小米绿豆黄酒及其酿造工艺
KR100500161B1 (ko) 상황버섯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3719A (ko) 발효흑마늘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11140A (ko) 막걸리의 제조 방법
KR20140045790A (ko) 마-홍국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마-홍국 막걸리
KR101163386B1 (ko) 불쾌취가 저감화된 청국장고추장의 제조 방법
KR102061608B1 (ko) 가바 함유량이 향상된 백미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누룽지
CN113293075A (zh) 一种紫甘薯糯米酒及其制备方法
CN104312837B (zh) 莲子糯米酒的酿造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