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213A -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213A
KR20040042213A KR1020020070388A KR20020070388A KR20040042213A KR 20040042213 A KR20040042213 A KR 20040042213A KR 1020020070388 A KR1020020070388 A KR 1020020070388A KR 20020070388 A KR20020070388 A KR 20020070388A KR 20040042213 A KR20040042213 A KR 2004004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guide rail
housing
cover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213A/ko
Publication of KR2004004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2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05Nets or elastic pockets tensioned against walls or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네트바 착탈시 네트바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으로부터 커버의 이탈 또는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헤드라이닝(300)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400)에 브라켓(500)을 통하여 고정되며 일정구간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 동시에, 네트바고정홀(12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네트바고정홀(120)에 네트바(610)를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진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측에 일정구간 수직가이드홈(160)이 직각방향으로 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0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홈(160)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수직가이드레일(220)이 추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하우징의 가이드레일 이외에 수직가이드홈이나 보조가이드레일을 추가함으로써 하우징에 안내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Luggage net fix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네트바 착탈시 네트바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으로부터 커버의 이탈 또는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하우징의 가이드레일 이외에 수직가이드홈이나 보조가이드레일을 추가함으로써 하우징에 안내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밴(Van)형의 승합차량에는 차실 내에 화물을 적재 가능하도록 일부의 좌석이 배제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 차량 주행 중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네트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화물 고정용 네트는 루프 저면에 네트바를 통하여 고정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헤드라이닝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 내부의 헤드라이닝(300) 저면에 커버(200)가 위치하게 되며, 헤드라이닝(300)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400)에 브라켓(500)을 통하여 고정되며 네트(620)를 구비한 네트바(610)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의하여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덮어주는 커버(2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네트(620)를 구비한 네트바(610)를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하우징(100)을 덮고 있는 커버(200)를 일측으로 밀어 개방시킨 후, 상기 네트바(610)의 일측 단부를 상기 하우징(100)과 브라켓(500)에 삽입 고정시켜 네트(620)를 설치하고, 이후, 상기 커버(200)를 다시 닫아 줌으로써, 화물 고정용 네트(620)를 용이하게 장착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네트바(61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네트바(610)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의 하우징과 커버를 도시하는 도 4의 B-B선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덮어주는 커버(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0)은 브라켓(500)과 체결되어 네트(620)를 구비한 네트바(610)의 일측 단부를 상기 브라켓(500)과 함께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브라켓(5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루프레일인너패널(400)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으로 고정 체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과 브라켓(500)의 중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바(610)의 일측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네트바고정홀(120, 510)이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0)과 브라켓(500)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동시에 관통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150, 520)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네트바고정홀(120)의 좌우에 각각 평행하게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200)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일정거리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우징(100)에는 스토퍼(130)가 탄성지지 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커버(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커버(200)에는 일측에 네트바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있어,상기 하우징(100) 및 브라켓(500)에 네트바(6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200)를 닫았을 때, 상기 네트바(610)가 상기 커버의 네트바관통홀(21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레일(110)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커버(200)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개폐시켜 줌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네트바고정홀(120)에 네트(620)를 구비한 네트바(610)를 선택적으로 착탈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차실 내에 화물을 적재하였을 때, 화물 고정용 네트(6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물 고정용 네트(620)를 분리시켰을 때, 차실 내부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하우징으로부터 커버를 개폐시킬 때, 스토퍼만으로는 가이드레일로부터 커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커버 개방시 가이드레일의 단면 구조상 도 4의 C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여 커버가 쉽게 이탈하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하우징의 가이드레일 이외에 수직가이드홈이나 보조가이드레일을 추가함으로써 하우징에 안내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닝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에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며 일정구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동시에, 네트바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네트바고정홀에 네트바를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일정구간 수직가이드홈이 직각방향으로 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수직가이드레일이 추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헤드라이닝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의 하우징과 커버를 도시하는
도 4의 B-B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의 하우징과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D-D선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과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E-E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110 : 가이드레일
120, 510 : 네트바고정홀130 : 스토퍼
140 : 보조가이드레일150, 520 : 체결공
160 : 수직가이드홈200 : 커버
210 : 네트바관통홀220 : 수직가이드레일
300 : 헤드라이닝400 : 루프레일인너패널
500 : 브라켓610 : 네트바
620 : 네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의 하우징과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과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E-E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도 2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헤드라이닝(300)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400)에 브라켓(500)을 통하여 고정되며 일정구간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 동시에, 네트바고정홀(12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네트바고정홀(120)에 네트바(610)를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진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측에 일정구간 수직가이드홈(160)이 직각방향으로 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0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홈(160)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수직가이드레일(220)이 추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2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라이닝(300)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400)에 브라켓(500)을 통하여 고정되며 일정구간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 동시에, 네트바고정홀(12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네트바고정홀(120)에 네트바(610)를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진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타측에 보조가이드레일(140)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 및 보조가이드레일(140)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 가능한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도 2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덮어주는 커버(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0)은 브라켓(500)과 체결되어 네트(620)를 구비한 네트바(610)의 일측 단부를 상기 브라켓(500)과 함께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네트(620)를 구비한 네트바(610)를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하우징(100)을 덮고 있는 커버(200)를 일측으로 밀어 개방시킨 후, 상기 네트바(610)의 일측 단부를 상기 하우징(100)과 브라켓(500)에 삽입 고정시키고, 상기 커버(200)를 다시 닫아 줌으로써, 화물 고정용 네트(620)를 용이하게 장착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네트바(61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네트바(610)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 상측면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가이드홈(160)이 일정구간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커버(200) 저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홈(160)에 삽입되어 안내됨으로써 일정구간 유동 가능하도록 수직가이드레일(220)이 추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200)가 일정구간 유동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개폐시킬 때,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200) 개폐시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상기 커버(200)가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 이면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을 갖는 보조가이드레일(140)이 일정구간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보조가이드레일(140)에 삽입되어 안내됨으로써 일정구간 유동 가능하여, 상기 커버(200)가 일정구간 유동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개폐시킬 때,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이 또한, 상기 커버(200) 개폐시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상기 커버(200)가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110) 상측면 또는 이면에 수직가이드홈(160)이나 보조가이드레일(140)을 추가로 적용시켜, 커버(200) 개폐시 좌우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200)의 정확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커버(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차실 내에 화물을 적재시켰을 때, 화물 고정용 네트(6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물 고정용 네트(620)를 분리시켰을 때, 차실 내부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하우징의 가이드레일 이외에 수직가이드홈이나 보조가이드레일을 추가함으로써 하우징에 안내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헤드라이닝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에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며 일정구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동시에, 네트바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네트바고정홀에 네트바를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일정구간 수직가이드홈이 직각방향으로 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수직가이드레일이 추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2. 차량의 헤드라이닝을 관통하여 루프레일인너패널에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며 일정구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동시에, 네트바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하여 상기 네트바고정홀에 네트바를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화물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보조가이드레일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레일 및 보조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일정구간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KR1020020070388A 2002-11-13 2002-11-13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KR20040042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88A KR20040042213A (ko) 2002-11-13 2002-11-13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88A KR20040042213A (ko) 2002-11-13 2002-11-13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13A true KR20040042213A (ko) 2004-05-20

Family

ID=3733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388A KR20040042213A (ko) 2002-11-13 2002-11-13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21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513A (ja) * 1988-09-17 1990-05-08 Ina Linear Technik Ohg 油圧式の支承装置
JPH05196035A (ja) * 1991-11-22 1993-08-06 Bandou Kiko Kk 可動支持装置
JPH09264323A (ja) * 1996-03-26 1997-10-07 Nippon Seiko Kk 直動案内軸受の防塵装置
JPH10297377A (ja) * 1997-04-23 1998-11-1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パーティションネット支持構造
KR19990041001U (ko) * 1998-05-12 1999-12-06 정원철 자동차의 화물칸용 네트
KR20020096703A (ko) * 2001-06-21 2002-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구획 네트 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513A (ja) * 1988-09-17 1990-05-08 Ina Linear Technik Ohg 油圧式の支承装置
JPH05196035A (ja) * 1991-11-22 1993-08-06 Bandou Kiko Kk 可動支持装置
JPH09264323A (ja) * 1996-03-26 1997-10-07 Nippon Seiko Kk 直動案内軸受の防塵装置
JPH10297377A (ja) * 1997-04-23 1998-11-1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パーティションネット支持構造
KR19990041001U (ko) * 1998-05-12 1999-12-06 정원철 자동차의 화물칸용 네트
KR20020096703A (ko) * 2001-06-21 2002-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구획 네트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084B2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JP2008126980A (ja) ドアガードバーの取付構造
US6386617B1 (en) Closure panel mounting for vehicle window openings
KR920005377B1 (ko) 차량의 앞부분의 차체구조
US7766406B2 (en) Finishing panel structure
US9562376B2 (en) Anti-rattle closure panel latch assembly
US10583725B1 (en) Vehicle wind deflector assembly
KR20040042213A (ko) 차량의 화물네트 고정장치
JP3449009B2 (ja)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防水構造
KR100535761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조립구조
JP3585740B2 (ja) 自動車におけるテールゲート用ストッパの取付構造
US6951364B2 (en) Locking device for a removable top
JP7028041B2 (ja) ルーフラック取付け構造
JP4478527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ー用遮蔽部材構造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JP3558871B2 (ja) サンルーフ装置の開口部構造
KR101926924B1 (ko) 접이식 사이드 스포일러 장치
JPH06191439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JP4131122B2 (ja) フロア収納ボックス構造
KR0157765B1 (ko) 차량용 환기장치
JPH10109601A (ja) ルーフサイドガーニッシュの固定構造
JPH0986303A (ja) クォータトリム構造
KR19990034939A (ko) 썬루프 프레임 고정브래킷 구조
KR20070042680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19980011377U (ko) 자동차 카울그릴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