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738A -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738A
KR20040040738A KR1020020068939A KR20020068939A KR20040040738A KR 20040040738 A KR20040040738 A KR 20040040738A KR 1020020068939 A KR1020020068939 A KR 1020020068939A KR 20020068939 A KR20020068939 A KR 20020068939A KR 20040040738 A KR20040040738 A KR 2004004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gate
gate layer
temperature
oxide film
depos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128B1 (ko
Inventor
유영섭
임헌형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128B1/ko
Priority to US10/698,825 priority patent/US7041558B2/en
Publication of KR2004004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128B1/ko
Priority to US11/371,897 priority patent/US7524747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26Dummy metall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SA-STI)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SA-STI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한다.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인-시튜 증착한다.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한 후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인-시튜 증착함으로써,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의 표면에 자연 산화막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게이트 저항을 개선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Method of forming floating gate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self-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이하 "SA-STI"라 한다)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따라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휘발성(volatile)이면서 데이터의 입·출력이 빠른 RAM 제품과, 한번 데이터를 입력하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데이터의 입·출력이 느린 ROM(read only memory) 제품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ROM 제품 중에서,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고속으로 전기적 소거가 가능한 EEPROM의 진보된 형태로서, F-N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 또는 채널 열전자 주입(channel hot electron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구조이다.
고집적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자기 디스크 메모리(magnetic disk memory)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작은 셀 면적과 빠른 억세스 시간(access time), 그리고 적은 전력 소모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 장치가 자기 디스크 메모리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비트당 원가를 더욱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공정 횟수를 감소시키고 셀 크기를 더욱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판에 액티브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액티브 패턴과 플로팅 게이트의 패턴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비트라인 간의 이격 거리를 줄여서 메모리 셀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위, SA-STI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셀이 제안되었다.
도 1은 통상적인 SA-STI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0) 상에 산화막, 제1 다결정실리콘층 및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한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질화막, 제1 다결정실리콘층 및 산화막을 패터닝하여 질화막 패턴(16), 제1 플로팅 게이트(14) 및 터널 산화막(1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기판(10)의 노출된 부분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18)를 형성한다. 즉,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한 트렌치 형성 공정 동안 액티브 영역과 플로팅 게이트가 동시에 정의된다.
이어서, 트렌치 식각 공정 동안에 고에너지의 이온 충격으로 야기된 실리콘 손상(damage)을 큐어링하기 위하여 트렌치(18)의 노출된 부분을 산화 분위기에서 열처리한다. 그러면, 노출된 실리콘과 산화제와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바닥면과 측벽을 포함하는 내면 상에 트렌치 내벽 산화막(20)이 형성된다.
상기 산화 공정시 제1 플로팅 게이트(14)의 하부에서 터널 산화막(12)의 측면으로 산화제(oxidant)가 침투하여 터널 산화막(12)의 양단부에 버즈비크(도 2의 "a")가 형성된다. 이러한 버즈비크에 의해, 터널 산화막(12)의 양단부가 팽창하면서 제1 플로팅 게이트(14)의 바닥 에지부분이 외부로 굴곡되어 제1 플로팅게이트(14)의 측벽 하부 부분이 포지티브 기울기(도 2의 "b")를 갖게 되고, 채널의 폭(W)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측벽이 포지티브 기울기를 갖는다는 것은 에천트에 대하여 측벽이 침식되는 기울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질화막 패턴(16)의 바로 아래는 질화막 패턴(16)의 존재에 의해 산화제의 침투가 억제되어 제1 플로팅 게이트(14)의 측벽 상부가 네거티브 기울기를 갖게 되는 반면, 제1 플로팅 게이트(14) 하부의 바닥 에지부분은 외부로 굴곡되어 포지티브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메사 구조물의 측벽과 같이 기판의 상부 방향에서 도입되는 에천트에 의해 침식되거나 에천트에 대해 그 하지층의 저지막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트렌치(18)를 매립하도록 CVD-산화막을 증착한 후, 상기 질화막 패턴(16)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CVD-산화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으로 제거함으로써, 트렌치(18)의 내부에 필드 산화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인산 스트립 공정으로 상기 질화막 패턴(16)을 제거한 후, 제1 플로팅 게이트(14) 및 필드 산화막(22)의 상부에 제2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14)와 동일한 물질을 증착하여 제2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필드 산화막(22) 상의 제2 다결정실리콘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이웃하는 셀들과 분리되는 제2 플로팅 게이트(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는 제1 플로팅 게이트(1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유전막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종래 방법에 의하면, 제1 플로팅 게이트(14)의 측벽 하부가 포지티브기울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채널의 폭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필드 산화막에 보이드(void)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플로팅 게이트의 측벽이 포지티브 기울기를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형된 SA-STI 공정이 제안되었다. 즉, 제1 플로팅 게이트를 이용하여 SA-STI 구조의 필드 산화막을 형성한 후 그 측벽이 포지티브 기울기를 갖는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580℃ 이상의 고온에서 도프트 다결정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재층착한 후, 세정 공정을 진행한다. 계속해서, 530℃ 정도의 저온에서 도프트 다결정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증착 설비에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한 후, 세정 설비에서 웨이퍼(즉, 기판)를 세정하고 다시 증착 설비에서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한다. 따라서, 기판을 세정 설비에서 증착 설비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기판이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의 상부 표면에 15Å 정도의 자연 산화막이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플로팅 게이트층과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의 사이에 존재하는 자연 산화막은 게이트 저항을 증가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열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제1 플로팅 게이트층과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별도의 단계에서 증착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SA-STI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SA-STI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SA-STI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의 증착 레시피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102 : 산화막 패턴
104 : 플로팅 게이트 패턴106 : 질화막 패턴
108 : 필드 산화막110 : 터널 산화막
112 :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4 : 제2 플로팅 게이트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인-시튜 증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은 도프트 다결정실리콘 또는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도프트 비정질실리콘 또는 언도프트 비정질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은,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 내에 로딩하는 단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제1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제2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도프트 비정질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 내에 로딩하는 단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도프트 비정정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은,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 내에 로딩하는 단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언도프트 비정정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도판트를 이온주입하여 상기 제2 및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도핑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A-STI 구조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과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인-시튜 증착함으로써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의 표면에 자연 산화막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게이트 저항을 개선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SA-STI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액티브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액티브 패턴과 플로팅 게이트의 패턴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SA-STI 방법에 의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필드 산화막(108)을 형성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102는 산화막 패턴, 104는 플로팅 게이트 패턴, 106은 질화막 패턴을 각각 나타낸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플로팅 게이트 패턴(104)을 건식 식각 공정으로 제거한 후, 그 하부의 패드 산화막(102)을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거한다. 그러면, SA-STI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 측벽이 포지티브 프로파일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패턴(104)이 제거됨으로써, 채널 폭이 감소하고 필드 산화막에 보이드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필드 산화막(106) 및 기판(100) 상에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 즉 터널 산화막(108)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은 530℃ 이상의 제1 온도, 바람직하게는 530℃∼650℃의 제1 온도에서 도프트 다결정실리콘 또는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을 비정질실리콘으로 형성할 경우, 후속 열처리에 의해 비정질상에서 결정상으로 상전이되면서 박막의 부피가 축소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과 그 하부의 터널 산화막(108) 간의 계면에 매우 큰 응력이 발생하여 터널 산화막(108)의 신뢰성을 열화시키게 된다. 또한, 다결정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을 POCl3확산이나 이온주입에 의해 N형 불순물로 도핑시킬 경우, 다결정실리콘막의 결정입자 경계(grain boundary)를 따라 도판트들이 이동되어 터널 산화막(108)으로 침투함으로써 터널 산화막(108)을 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터널 산화막(108)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다결정실리콘막을 인-시튜 도핑하면서 증착하거나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막을 증착함으로써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을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 상에 인-시튜로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을 증착한다.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은 580℃ 이하의 제2 온도, 바람직하게는 55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도프트 비정질실리콘 또는 언도프트 비정질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은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유전막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은 후속 공정들을 진행하는 동안 받게 되는 열다발에 의해 결정상으로 상변이된다.
이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필드 산화막(108) 위의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0, 112)을 식각함으로써 이웃하는 메모리 셀의플로팅 게이트를 서로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결과물 상에 ONO와 같은 유전막 및 컨트롤 게이트를 차례로 증착한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컨트롤 게이트, 유전막,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 및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0)을 건식 식각함으로써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스택형 게이트를 완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의 증착 레시피를 나타낸다.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SA-STI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터널 산화막(110)을 형성한 후, 상기 기판(100)을 증착 설비의 공정 챔버에 로딩시킨다. 상기 증착 설비는 배치식 또는 매엽식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어서, 400℃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공정 챔버의 내부를 펌핑 공정을 통해 진공 상태로 유지시킨다(단계 a).
계속해서, 상기 공정 챔버의 온도를 530℃ 이상의 제1 온도, 바람직하게는 580℃ 정도의 고온으로 승온시킨 후(단계 b), 상기 공정 챔버 내에 증착 소오스 가스, 예컨대 약 500cc의 실란(SiH4) 가스와 제1 도핑 가스, 예컨대 약 200cc의 포스핀(PH3)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터널 산화막(110) 상에 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2)을 형성한다(단계 c).
도 3c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공정 챔버의 온도를 580℃ 이하의 제2 온도, 바람직하게는 520℃ 정도의 저온으로 감온시킨다(단계d). 계속해서, 상기 공정 챔버 내에 증착 소오스 가스, 예컨대 약 500cc의 실란(SiH4) 가스와 제2 도핑 가스, 예컨대 약 120cc의 포스핀(PH3)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2) 상에 도프트 비정질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4)을 형성한다(단계 e).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4)의 증착이 완료되면, 질소(N2) 또는 아르곤(Ar) 가스와 같은 불활성 퍼지 가스를 상기 공정 챔버 내로 공급하여 기판(100)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잔류 가스를 제거한다(단계 f). 그런 다음, 상기 공정 챔버의 온도를 약 400℃로 감온시키고(단계 g) 상기 기판(100)을 공정 챔버로부터 언로딩한다(단계 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 114)을 하나의 공정 챔버에서 챔버 인-시튜로 증착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2, 114)은 설비 인-시튜로 증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2)은 증착 설비의 제1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고, 진공을 유지하면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2)이 증착되어 있는 기판(100)을 상기 증착 설비의 제2 공정 챔버로 이송한 후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112) 상에 제2 플로팅 게이트층(114)을 증착한다. 이때, 제1 공정 챔버에서 제2 공정 챔버로 이동되는 동안 고진공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증착 설비의 공정 챔버로 기판을 로딩한 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기판 상의 터널 산화막 상에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공정 챔버의 온도를 580℃ 이하의 제2 온도로 감온시킨 후, PH3가스와 같은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도프트 비정정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증착 설비의 공정 챔버로 기판을 로딩한 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기판 상의 터널 산화막 상에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공정 챔버의 온도를 580℃ 이하의 제2 온도로 감온시킨 후,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언도프트 비정정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이 형성된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한 후, 상기 기판 상에 인(P) 또는 보론(B)과 같은 도판트를 이온주입하여 상기 제2 및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도핑시킨다. 이어서, 3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도판트를 활성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SA-STI 구조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과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인-시튜 증착함으로써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의 표면에 자연 산화막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게이트 저항을 개선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인-시튜 증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은 도프트 다결정실리콘 또는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도프트 비정질실리콘 또는 언도프트 비정질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530℃∼65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5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6.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 내에 로딩하는 단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제1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제2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도프트 비정질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스는 PH3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하나의 공정 챔버에서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은 상기 증착 설비의 제1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고,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상기 증착 설비의 제2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0.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 내에 로딩하는 단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도핑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도프트 비정정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 가스는 PH3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하나의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은 상기 증착 설비의 제1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고,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상기 증착 설비의 제2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4.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 내에 로딩하는 단계;
    530℃ 이상의 제1 온도에서 상기 터널 산화막 상에 언도프트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580℃ 이하의 제2 온도에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 상에 언도프트 비정정실리콘을 인-시튜 증착하여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증착 설비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도판트를 이온주입하여 상기 제2 및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도핑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판트는 인(P) 또는 보론(B)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하나의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은 상기 증착 설비의 제1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고, 상기 제2 플로팅 게이트층은 상기 증착 설비의 제2 공정 챔버에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1 플로팅 게이트층을 도핑시키는 단계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도판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300℃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2-0068939A 2002-11-07 2002-11-07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KR10046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939A KR100469128B1 (ko) 2002-11-07 2002-11-07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US10/698,825 US7041558B2 (en) 2002-11-07 2003-10-31 Floating gat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71,897 US7524747B2 (en) 2002-11-07 2006-03-08 Floating gat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939A KR100469128B1 (ko) 2002-11-07 2002-11-07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738A true KR20040040738A (ko) 2004-05-13
KR100469128B1 KR100469128B1 (ko) 2005-01-29

Family

ID=3665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939A KR100469128B1 (ko) 2002-11-07 2002-11-07 자기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041558B2 (ko)
KR (1) KR100469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707B2 (en) 2014-09-19 2017-10-03 Karen Turner Thigh dr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5266B2 (en) * 2002-12-30 2004-11-09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wall contacts for a chalcogenide memory device
US7273794B2 (en) 2003-12-11 2007-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llow trench isolation fill by liquid phase deposition of SiO2
US20070105320A1 (en) * 2005-08-31 2007-05-10 Xiao ("Charles") Yang Method and Structure of Multi-Surface Transistor Device
KR100695820B1 (ko) * 2006-02-01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2269B1 (ko) 2006-02-03 2007-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7678648B2 (en) 2006-07-14 2010-03-16 Micron Technology, Inc. Subresolution silicon featur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101587601B1 (ko) * 2009-01-14 2016-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TWI487850B (zh) * 2009-09-25 2015-06-1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用於滑移介面滑動力的公差環控制之系統、方法和裝置
CN103066006B (zh) * 2012-06-21 2015-03-11 北京芯盈速腾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浅沟渠隔离结构及其制造方法及非挥发性内存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600B2 (ja) * 1990-03-20 1998-07-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767004A (en) * 1996-04-22 1998-06-16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forming a low impurity diffusion polysilicon layer
US5834358A (en) * 1996-11-12 1998-11-10 Micron Technology, Inc. Isolation regions and methods of forming isolation regions
DE69802509T2 (de) * 1998-06-30 2002-07-18 St Microelectronics S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nichtflüchtigen Halbleiterspeicheranordnung mit Grabenisolation
US6274443B1 (en) * 1998-09-28 2001-08-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Simplified graded LDD transistor using controlled polysilicon gate profile
JP4237344B2 (ja) * 1998-09-29 2009-03-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8683B1 (ko) * 1998-12-17 2001-12-28 윤종용 산화막/질화막/산화막 유전층의 형성방법
US6221744B1 (en) * 1999-01-20 2001-04-24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a gate
KR100350055B1 (ko) * 1999-12-24 200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41480B1 (ko) * 2000-05-26 2002-06-21 윤종용 자기 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US6492227B1 (en) * 2000-07-24 2002-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using dual damascene process
JP4096507B2 (ja) * 2000-09-29 2008-06-0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57692B1 (ko) * 2000-10-27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1982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391722B1 (en) * 2001-07-13 2002-05-21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nonvolatile memory having high capacitive coupling ratio
US6696742B2 (en) * 2001-10-16 2004-02-24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30045464A (ko) * 2001-12-04 2003-06-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100590396B1 (ko) * 2002-07-04 2006-06-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665397B1 (ko) * 2002-07-06 2007-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40065937A1 (en) * 2002-10-07 2004-04-08 Chia-Shun Hsiao Floating gate memory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US6930351B2 (en) * 2003-08-14 2005-08-16 Renesas Technology Corp. Semiconductor device with dummy gate electr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707B2 (en) 2014-09-19 2017-10-03 Karen Turner Thigh d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29432A1 (en) 2004-11-18
KR100469128B1 (ko) 2005-01-29
US7041558B2 (en) 2006-05-09
US20060151811A1 (en) 2006-07-13
US7524747B2 (en)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683B1 (ko) 산화막/질화막/산화막 유전층의 형성방법
US694307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US7524747B2 (en) Floating gat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74302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セルの製造方法
US6548374B2 (en) Method for self-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711519B1 (ko) 고농도로 도핑된 실리콘 박막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3011925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cell
US7385244B2 (en) Flash memory devices with box shaped polygate structures
KR1005372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66312B1 (ko) 유전막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590396B1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US2008001475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Radical Oxidation Process
US20030181007A1 (en) Method for reducing random bit failures of flash memories
KR20070000603A (ko) 불 휘발성 메모리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US7008844B2 (en) Method of forming a gate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KR20070065482A (ko) 불 휘발성 메모리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856300B1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CN109461733B (zh) 闪存器件的制造方法
KR20030044146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20040102305A (ko) 자기정렬된 셸로우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20060125979A (ko) 불 휘발성 메모리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20020007862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20030045464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2006011626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36825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