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619A -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619A
KR20040038619A KR1020030058187A KR20030058187A KR20040038619A KR 20040038619 A KR20040038619 A KR 20040038619A KR 1020030058187 A KR1020030058187 A KR 1020030058187A KR 20030058187 A KR20030058187 A KR 20030058187A KR 20040038619 A KR20040038619 A KR 2004003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tray
chassis case
tray
recording medium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520B1 (ko
Inventor
마쓰이노부끼
와타나베나카시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광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의 디스크 트레이의 진동내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커버 샤시 이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정확히 유지하도록 하여, 판독 에러, 기록 에러의 요인을 배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기록매체를 장전한 디스크 트레이(1)를 샤시 케이스(10) 내에서 전진후퇴시켜 로드/언로드하도록 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1)를 로드하였을 때, 상기 샤시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반작용점으로 하여 디스크 트레이(1)를 평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정지압이 발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스크장치{DISK DEVICE}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서 보급되어 있는 CD(Compact Disc) 또는 DVD(Digital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화에 따른 구조의 개량, 및 신뢰성,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컴퓨터(이하, 퍼스컴이라 한다) 등의 기기 본체에는, 광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가 내장되고, 일체화되어 있어, 광디스크에의 정보의 기록재생이 행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8은, 이러한 디스크장치를 내장한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통상, 이 경우의 디스크장치는, 스위치 조작 또는 퍼스컴 본체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01)가 팝아웃하고, 다시 퍼스컴의 사용자가 디스크 트레이(101)를 인출하여, 광디스크 D를 장전하도록 하고 있다.
도 19는, 특히 노트북 컴퓨터에 많이 채용되어 있는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동일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크 트레이(101)의 중앙에, 바로 아래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의 구동축으로 고정된 턴테이블(102)이 배치되고, 이 턴테이블(102)에 일체구성된 클램프기구(102a)로 광디스크 D의 중심공을 클램프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광 픽업을 주체로 구성한 헤드유니트(103)는, 디스크 트레이(101)에 형성된 슬릿(101a) 내부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광디스크 D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101)는, 가이드레일(104)에 지지되어 샤시 케이스(105)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은, 디스크 트레이(101)의 전방면에 대하는 베젤(106)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베젤(106)의 배면에는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107)가고정되어 있어, 디스크 트레이(101)가 로드되었을 때, 이 어스플레이트(107)의 개방 단부(107a)가 샤시 케이스(105)의 개구부(105a)에 접촉하여, 방전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원 2002-171604호
그런데, 최근의 노트북 컴퓨터는 가능한 한 박형화, 경량화가 요망되고 있어, 상품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그러나, 노트북 컴퓨터에 내장하도록 한 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의 구동계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있어, 가장 박형화가 곤란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장치의 현시점에서의 표준 두께는 12.7 mm 정도이지만, 더욱 요망되는 두께는 9.5 mm 정도이며,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부품이 비례적으로 작아지고, 가동부분의 클리어런스도 엄밀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설계상의 대응도 매우 곤하게 된다. 더구나, 최근과 같이 대단히 높은 기록밀도의 광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박형화를 달성하면서도, 기구적 정밀도는 더욱 향상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구조적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하에서 디스크장치를 개량하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디스크장치는 물론, 박형화된 디스크장치로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 기구적 정밀도의 향상을 실현하는 동시에, 신뢰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킨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디스크 트레이의 언로드 상태의 디스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 샤시를 떼어낸 상태의 디스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크 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디스크 트레이의 지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헤드유니트의 이송기구의 티스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헤드유니트의 티스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헤드유니트의 티스 부분의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구동기구에 있어서의 기어유니트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이젝트/로크기구의 구성 및 동작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이젝트/로크기구의 로크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이젝트/로크기구 및 사이드 아암 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로크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정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로울러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정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로울러 구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6은 로울러 구조가 기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사이드 아암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구동기구B: 이젝트/로크기구
C: 슬라이더기구1: 디스크 트레이
1a: 슬릿1b: 절결부
1c: 사이드 아암1d: 삽입공
1e: 볼록대1f: 창구멍
1g: 베어링 블록1h: 앵글
1i: 위치결정보스1j: 걸림돌기
2: 턴테이블3: 스핀들 모터
4: 헤드유니트5: 가이드레일
5a: 미세 요철6: 밀봉재
7: 프린트기판8: 베젤
8b: 통공9: 어스플레이트
10: 샤시 케이스11: 베이스 샤시
12: 커버 샤시13: 지지레일
14: 단락부재15: 바닥 커버
16: 스레드 모터17: 기어유니트
18: 가이드 시프트19: 티스(teeth)부재
19b: 티스20: 스크류 샤프트
20a: 가이드홈21: 지지부재
23: 기어프레임24: 베어링홈
25: 덮개판27: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
28: 해제 레버29: 로크 레버
29a: 수지 주체29b: 강판형재
29d: 경사면29e: 앵글부
30: 복귀 레버32: 복귀핀
33: 로크핀35: 팝아웃(pop out)기구
38: 로울러39: 로울러
40: 지지판41: 슬라이더
41b: 경사면42: 비틀림 코일스프링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장전한 디스크 트레이를 샤시 케이스 내에서 전진후퇴시켜 로드/언로드하도록 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로드하였을 때, 상기 샤시 케이스의 내벽면을 반작용점으로 하여 디스크 트레이를 평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정지압이 발생하도록 한다. 더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의 표면에서 회전운동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탄성지지된 가압로울러 및 사이드 아암의 슬라이더에 의해 정지압이 발생하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박형화를 실현하는 디스크장치에 실시하기 적합하지만, 기존의 디스크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의 대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대상인 디스크장치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체의 구성의 개요를 포함시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한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일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된 디스크 트레이이며, 중앙에 위치하는 턴테이블(2)은, 디스크 트레이(1) 내에 내장된 도 4에 나타낸 스핀들 모터(3)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이 턴테이블(2)에 일체구성된 클램프기구(2a)에 광디스크가 클램프되어, 회전한다. 또한, 광 픽업을 주체로 구성한 헤드유니트(4)는, 디스크 트레이(1)에 형성된 슬릿(1a) 내부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광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트레이(1)는, 가이드레일(5)에 지지되어 샤시 케이스(10)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1)의 안쪽 부분측의 단부에는, 샤시 케이스(10)에 배치한 프린트 기판(7)의 전자부품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b)는 필요에 따라, 밀봉재(6)에 의해 밀봉된다. 이러한 구성은, 디스크 트레이를 얇게 구성하는 경우에 유효한 수단으로, 디스크 트레이(1)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 트레이(1)는 앞단의 한쪽의 측부에 후술하는 슬라이더기구 C를 수용하는 사이드 아암(1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시 디스크 트레이(1)의 전방 단부면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젤(8)이 그것의 설편(8a)을 디스크 트레이(1)의 삽입공(1d)에 집어넣도록 하여 부착된다. 이때, 부호 8b는 디스크 트레이(1) 내의 이젝트/로크기구의 비상시에 있어서의 로크상태를 강제해제(에머전시 이젝트)하기 위해, 조작핀을 삽입하기 위한 통공이고, 부호 8c는 인디케이터 표시창, 부호 8d는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하기 위한 조작버튼이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의 전방 단부면에는 어스플레이트(9)가 그 손톱편(9a)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의 걸림돌기(1j)에 부착되어 있으며, 디스크트레이(1)가 로드되었을 때, 그것의 개방 단부(9b)가 샤시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접촉하여, 방전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어스플레이트(9)의 기능은, 상기한 것과 같은 디스크 트레이(1)의 강제해제시, 또는 언로드를 위해 조작버튼에 손끝이 접촉할 때, 인체의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이 정전기를 방전로로 흘려, 전기부품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종래는, 베젤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 구성이다.
그런데, 이 베젤은, 디스크장치의 프론트 페이스를 장식하는 것으로, 통상, 퍼스컴에 맞춘 디자인의 것이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많은 경우, 공급자는 디스크장치 단독체의 완성품을, 베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납품하고, 이 디스크장치를 받아들인 퍼스컴 제조자 등이 독자적으로 베젤을 제작하여, 디스크 트레이의 전방 단부면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베젤에 어스플레이트를 열코킹처리 등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처리비용이 비용절감의 방해가 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사정을 해결하기 위해, 어스플레이트(9)를 디스크 트레이(1)의 전방 단부면에 미리 장착해 놓는 것에 의해, 납품처에 있어서는, 어스플레이트의 일체화를 불필요하게 한 베젤만의 제작으로 대응할 수 있어, 처리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경금속으로 성형되는 샤시 케이스(1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샤시(11)와 커버 샤시(12)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샤시(11)의 개구를 커버 샤시(12)로 덮어,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 샤시(11)의 양측단에는, 합성수지제의 지지레일(13)이 고정되고, 이 지지레일(13) 내에 금속제의 가이드레일(5)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전진후퇴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가이드레일(5)은, 디스크 트레이(1)의 양측단에 형성된 볼록대(1d)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전진후퇴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1)가 샤시 케이스(10)에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이 샤시 케이스(10)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의 자기 및 정전기에 대한 실드가 주어지고, 상기 어스플레이트(9)의 개방단부(9b)가 샤시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접촉하여, 방전로가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어스플레이트(9)를 디스크 트레이(1)의 전방 단부면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베젤(8)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디스크 트레이(1) 내의 전기부품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구성, 즉, 디스크 트레이(1)의 이송기구가 되는 지지레일(13), 가이드레일(5) 및 디스크 트레이(1)의 볼록대(1e)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로서, 동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5)의 외표면에는 오돌도돌한 형태의 미세 요철(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지지레일(13)과 가이드레일(5)의 미끄럼 접촉저항을 감소하기 위한 처리이며, 디스크 트레이(1)의 전진후퇴가 보다 원활해지는 조작감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처리는, 종래의 디스크장치에는 시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지만, 디스크장치의 박형화 및 정보의 고밀도화에 따라, 특히 지지레일(13)과 가이드레일(5)의 클리어런스가 대단히 미소하게 된다. 이것은, 진동 등이 정보의기록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요하며, 클리어런스는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설계가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지지레일(13)과 가이드레일(5)이 구성되면 미끄럼 접촉 벽면의 접촉율이 높아지고, 디스크 트레이(1)의 조작에 저항감이 생겨 원활한 것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5)에 미세 요철(5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 접촉저항을 저감하여 디스크 트레이(1)의 원활한 조작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미세 요철은 가이드레일(5)의 내외 양면, 또는, 지지레일(13), 디스크 트레이(1)의 볼록대(1d)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되고, 결국, 미세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 접촉면과 이것에 대하여 접하는 미끄럼 접촉면을 평활면이 되도록 하면 된다. 이때, 도 5에 있어서, 부호 14는 단락부재로서, 지지레일(13)이 절연체이기 때문에, 가이드레일(5)과 베이스 샤시(11)를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는, 금속제의 강철구를 지지레일의 창구멍(13a)에 장전하도록 하고 있지만, 강철구 대신에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도전성 섬유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트레이(1)의 내부의 구성의 개요를 도 4에 근거하고 설명한다. 동일 도면은, 바닥 커버(15)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중앙에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스핀들 모터(3), 헤드 유니트(4), 및 이 헤드유니트(4)를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스레드 모터(16) 및 기어 유니트(17)를 주체로 구성한 구동기구 A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1)의 전방단 모서리 코너부에는 이젝트/로크기구 B가 배설되고,사이드 아암(1c) 내에는 슬라이더기구(C)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헤드 유니트(4)는, 그것의 양단이 가이드샤프트(18)에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헤드 유니트(4)에 고정된 티스부재(19)의 티스(19b)가 스크류 샤프트(20)의 가이드홈(20a)에 안내되어 이동하여, 왕복운동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이러한 구성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샤프트(18)에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된 헤드유니트(4)에 티스부재(19) 및 지지부재(21)의 주체가 동시에 나사(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티스부재(19)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체의 단부의 현수편(19a)에 스크류 샤프트(20)의 가이드홈(20a)에 맞물리는 티스(19b)가 형성되고, 중앙에 창구멍(19c)이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이 창구멍(19c)의 좌우에 창구멍(19d)이 형성되고, 이 창구멍(19d)의 안쪽 부분에 각기둥(19e)이 아래로 매달린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재(21)에는 주체의 단부에 상기 티스부재(19)의 현수편(19a)의 상승을 저지하기 위한 지지편(21b)과, 상기 현수편(19a)을 배면에서 밀면서 지지하는 가압편(2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티스부재(19) 및 지지부재(21)를 헤드유니트(4)에 일체로 고정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스부재(19)의 현수편(19a)은 지지부재(21)의 지지편(21b)으로 눌러진 상태에서 가압편(21a)에 의해 전방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현수편(19a)의 티스(19b)의 스크류샤프트(20)의 가이드홈(20a)에의 맞물림이 확실하게 되어, 현수편(19a)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크류샤프트(20)에 의해 현수편(19a)을 밀어 내리는 힘이 작용하여, 동일 도면의 가상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현수편(19a)이 변위하면, 이 현수편(19a)에 각기둥(19e)도 눌러 내려져 가이드샤프트(18)에 접촉하여, 이 위치에서 현수편(19a)의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티스부재(19)에 지지부재(21)를 조합하여 고정한 것에 의해, 현수편(19a)의 티스(19b)가 스크류 샤프트(20)의 가이드홈(20a)에서 탈락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헤드유니트(4)의 광디스크에의 액세스의 고속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광디스크의 기록밀도의 향상에 따라, 헤드유니트(4)의 왕복운동이 빈도가 높아지고, 더구나 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20)의 회전속도도 높아진다.
이러한 정황에서는, 현수편(19a)의 티스(19b)에 스크류 샤프트(20)의 가이드홈(20a)으로부터 급격한 구동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 순간,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분력이 발생하여 현수편(19a)이 올라가거나 또는 밀어내려져, 티스(19b)와 가이드홈(20a)의 맞물림상태가 얕아져, 탈락의 위험이 커진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스크류 샤프트(20)의 가이드홈(20a)의 종단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 티스(19b)가 가이드홈(20a)에서 탈락할 확률이 높은 것이었지만, 상기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완전히 이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 스크류 샤프트(2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기어유니트(17)의 구성을 설명한다. 종래, 이러한 부분의 기어유니트의 구성은, 각 기어의 기어샤프트를 기어프레임에 형성한 베어링 구멍에 삽입하는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작업에 의한 경우, 통상,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톱니열을 손상할 확률이 높아, 기어유니트에 손상된 기어가 존재하면, 소위, 탐색음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서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이르렀다. 동일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기어유니트(17)는 3개의 단체 기어 G1·G2·G3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기어 G1은 스레드 모터(16)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레드 모터(16)의 회전력의 전달대상이 되는 스크류 샤프트(20)에는 기어 G2가 고정되어 있고, 그 샤프트가 기어프레임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기어 G3의 기어샤프트를 기어프레임(23)에 형성된 베어링 홈(24)으로 떨어뜨려 넣는 것에 의해 무리없이 기어 G3를 장전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어 G3의 장전은 베어링 구멍에 기어샤프트를 삽입하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전시의 기어의 수평성을 유지할 수 없어, 치열을 손상하고 있었던 것이지만, 상기 구성에 따른 경우에는, 기어 G3의 수평성을 유지하면서 장전할 수 있고, 더구나 기어 G1·G2는 기어 G3의 장전에 따라 종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서로의 치열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고, 이에 따라 기어유니트(17)의 조립시의 손상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어유니트(17)의 구성에 의한 경우에는, 기어 G3의 기어샤프트는 베어링 홈(24)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그것의 탈락을 방지해야 하는 덮개판(25)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덮개판(25)은, 도 9에 반전상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에 나사 통공(25a)이 형성되어, 타단의 2개소에 걸림 손톱(2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판(25)의 일단을 나사(26)에 의해기어프레임(23)에 고정하였을 때, 타단의 한쪽의 걸림 손톱(25b)은 기어프레임(23)에 형성된 창구멍(23a)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쪽의 걸림 손톱(25b)은 걸림 단부(23b)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걸림 손톱(25b)이 상기 창구멍(23a) 및 걸림 단부(23b)에 걸어맞추어졌을 때, 걸림 손톱(25b)의 언더컷부의 모서리 코너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기어프레임(23)의 걸어맞춤 위치의 정상 모서리부에 도 9의 인출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덮개판(25)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스레드 모터(16), 기어유니트(17)로부터의 진동이 전파하더라도, 덮개판(25)이 여진되어 소음을 발생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서 채용하는 이젝트/로크기구 B의 구성 및 동작 형태를 설명한다. 이 이젝트/로크기구 B는, 디스크 트레이(1)가 샤시 케이스(10) 내에 로드된 상태를 고정하고, 또는 이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 가능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 해제레버(28), 로크레버(29), 복귀 레버(30)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는, 한쌍의 요크(27a·27b)의 선단이 여자코일(27c·27d)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가운데까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크(27a·27b)의 단부에는 영구자석(27e)이 장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말굽 형태의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여자코일(27c·27d)의 선단에는 자성체인 가동편(27f)이 전진후퇴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7e)에 의해 형성된 자기회로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편(27f)은 흡인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여자코일(27c·27d)의 단자로부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자장과는 반대의 자장이 발생하도록 직류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27e)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자장이 소거되어, 가동편(27f)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 가동편(27f)은 해제 레버(28)에 고정된 핀(28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편(27f)의 전진후퇴에 동기하여 해제 레버(28)도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는 디스크 트레이(1)에 나사 잠금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해제 레버(28)는 상시, 동일 도면 상에서 왼쪽 방향으로 치우쳐지도록 인장코일스프링(31)이 걸어 멈추어져 있지만, 그것의 용수철 힘은 상기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의 영구자석(27e)에 의한 자력의 구속력보다 약한 것이 조건이 된다.
부호 29는 상시, 동일 도면 상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미약한 용수철 힘으로 치우쳐 있는 로크 레버로서, 샤시 케이스(10) 내에 고정되어 있는 로크핀(32)과 걸어맞추어져, 디스크 트레이(1)의 로드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로크 레버는, 통상, 합성 수지로 일체성형한 것이 대부분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디스크장치 전체의 박형화에 따른, 이 로크 레버도 박육화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지만,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에 의한 로크 레버에서는 강성의 저하가 문제가 되고, 동작 빈도도 높기 때문에 충분한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주체(29a)가 강판형재(29b)를 내포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구성하도록 하였다. 동일 도면으로부터도 분명한 것과 같이, 강판형재(29b)는 선단부에 인서트되어, 가장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이 보강된다. 그리고, 강판형재(29b)의 단부를 합성수지 부분보다 노출시켜, 로크핀(32)과의 미끄럼 접촉저항이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로크 레버(29)의 후단부에는 기동 단부(29c) 및 강제해제를 위한 경사면(피구동면)(2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강제해제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크 트레이(1)가 로드되고, 로크핀(32)이 로크 레버(29)의 앵글부(292)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시스템의 이상 등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할 수 없게 되는 장해의 발생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동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8)의 통공(8b)으로부터 적절한 조작핀 P를 삽입하여, 그것의 선단을 로크 레버(29)의 경사면(29d)을 따라 미끄러뜨리면서 밀어넣는 것에 의해, 동일 도면 상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로크 레버(29)를 회전시켜, 로크핀(32)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디스크 트레이(1)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로크 레버(29)의 경사면(29d)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경사곡면 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적인 각도 θ1·θ2를 부여한 경사면 등 임의로 형성할 수 있고, 조작핀 P에 의한 조작감각이 가장 좋은 상태의 경사면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 (29)의 경사면(29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바닥 커버(15)에 절결부(15a)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핀 P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바닥 커버(15)의 두께 상당의 박형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절결부(15a)가 조작핀 P의 가이드홈이 되기 때문에, 강제해제시의 조작핀 P의 선단의 자유로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복귀 레버(30)는 그것의 기동 단부(30a)가 복귀핀(32)에 가압되어 기동하도록 한 것으로, 작용 단부(30b)에 의해 해제 레버(28)를 작동하여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를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이 복귀 레버(30)는 인장코일스프링(34)에 의해 원 위치(도 10b 참조)로의 복귀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복귀핀(32)은 금속소재를 원주형으로 형성하고, 그것의 단부를 베이스 샤시에 코오킹 처리하여 고정하고 있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 구성이었다. 그러나, 소재가 금속인 것과 곡면형상이 원주형인 것으로부터, 복귀 레버(30)와의 미끄럼 접촉저항이 커서, 디스크 트레이(1)를 손끝으로 로드하였을 때, 소위 클릭쇼크가 발생하여, 조작감을 감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귀핀(32)을 미끄럼 접촉저항이 작아지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으로 하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레일(13)로부터 연장설치한 상태로 일체로 성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복귀핀(32)을 임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면,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면에 테이퍼면(32a)을 형성하여, 미끄럼 접촉저항을 저감하여 클릭쇼크를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에 의한 지지레일(13)과의 일체성형에 의해 상기 테이퍼면(32a)의방향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이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없다. 이때, 이 복귀핀(32)을 지지레일(13)과 일체로 성형함에 의해, 이 복귀핀(32)을 별도제작하지 않고, 또한, 베이스 샤시(11)에의 고정작업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가공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부호 33은 로크핀으로, 베이스 샤시(11)에 코오킹처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핀(32)보다 전체 길이를 짧게 하여 복귀레버(30)의 기동 단부(30a)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때, 도 13에 있어서, 부호 35는 디스크 트레이(1)의 팝아웃기구로서, 활주부재(36)에 인장코일스프링(37)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가 동일 도면상에서 왼쪽방향으로 전진하면, 디스크 트레이(1)의 후단부가 상기 활주부재(36)의 단부(36a)와 접촉하고, 다시 디스크 트레이(1)가 전진하여 정위치로 로크되면, 인장코일스프핑(37)이 연신하여 스프링 힘이 축적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1)가 이젝트되어 로크가 해제되면, 이 인장코일스프링(37)에 축적되어 있는 스프링힘이 순간적으로 개방되는 것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를 밀어내어, 팝아웃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이젝트/로크기구 B의 동작형태는, 우선, 로드된 디스크 트레이(1)가 전진하여,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레버(30)의 기동 단부(30a)에 복귀핀(32)이 접촉하고, 복귀 레버(30)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용 단부(30b)가 해제 레버(28)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이 해제레버(28)를 오른쪽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이것에 따라, 인장코일스프링(31)을 연신하는 동시에,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의 가동편(27f)이 여자코일(27c·27d) 내부에 눌러넣어져, 영구자석(27e)에 의한 자력에 흡인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가 더 전진하면, 로크핀(33)이 로크 레버(29)의 정상부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진입하여,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핀(33)과 로크 레버(29)의 앵글부(29e)가 걸어맞추어져 디스크 트레이(1)의 로크를 완료한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하기 위해, 상기 로크상태의 해제, 즉 이젝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0b의 상태에 있어서, 자기유지형 솔레노이드(27)의 여자코일(27c·27d)에 직류전류를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생긴 자계에 의해 영구자석(27e)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자계가 소거되고, 가동편(27f)의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인장코일스프링(31)에 축적되어 있던 스프링힘이 개방되어, 해제 레버(28)가 왼쪽방향으로 평행이동하고, 이 해제 레버(28)의 하단부가 로크레버(29)의 기동 단부(29c)에 접촉하여 이 로크 레버(29)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로크핀(33)과 로크 레버(29)의 앵글부(29e)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전술한 팝아웃기구(35)의 인장코일스프링(37)의 동작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가 팝아웃한다.
다음에, 디스크 트레이(1)를 로드하여, 샤시 케이스(1) 내부에 로크한 상태에 있어서, 이 디스크 트레이(1)의 정지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디스크 트레이(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샤시 케이스(10) 내부를 전진후퇴하는 것이지만, 이것을 허용하기 위해, 그 지지기구에는 약간이라도 클리어런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 클리어런스는 디스크 트레이(1)의 진동을 허용하는 것으로도 되어,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판독 에러, 기록 에러의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또한, 디스크장치가 박형이 될수록, 클램프기구(2a)와 커버 샤시(12)의 내벽면과의 거리가 접근하여, 서로 접촉할 위험성이 커진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어떠한 외인에 의해 디스크장치의 가동중에 클램프기구(2a)가 커버 샤시(12)의 내벽면에 접촉하면, 광디스크의 회전속도는 급속히 저하하여 판독 에러, 기록 에러 등의 장해를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특히 디스크장치의 박형화, 고기록밀도화에 있어서 해결해야만 하는 중요한 과제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트레이(1)가 로크되었을 때, 상시, 디스크 트레이(1)에 정지압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는, 디스크 트레이(1)의 요소의 내부에 로울러(38·39)를 배설하고, 그것의 회전운동면의 일부를 디스크 트레이(1)의 표면에 노출시키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창구멍(1f)의 양측에 베어링 블록(1g)을 형성하고, 전후에 지지판(40)을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앵글 1h 및 위치결정 보스(1i)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울러(38·39)의 로울러 샤프트를 베어링 블록(1g)에 배치하고, 지지판(40)을 앵글(1h)에 걸어 고정시키면,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로울러(38·39)가 디스크 트레이(1)의 이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태가 된다.
도 16은, 이와 같이 하여 배치된 로울러(38·39)의 샤시 케이스(10) 내부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디스크 트레이(1)의 표면에 노출된 로울러(38·39)의 회전운동면이 커버 샤시(12)의 내벽면에 접촉한다. 이때, 로울러샤프트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판(40)이 판 스프링의 기능을 하여, 로울러(38·39)를 커버 샤시(12)에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울러(38·39)의 정지위치에 있어서 커버 샤시(12)가 반작용점이 되는 기능을 하여, 디스크 트레이(1)에 정지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로울러(38·39)를 채용하는 구성은, 디스크 트레이(1)의 한쪽의 측부의 구조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부분에 실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기준적 외형으로 되고 있는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부에는, 상기한 것과 같은 로울러에 의한 구성을 채용할 수 없다. 그렇지만, 디스크 트레이(1)의 정지안정성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트레이(1)의 양측부에서 정지압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아암에 내장하는 슬라이더기구를 개량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도 12에 있어서, 사이드 아암(1c) 내부에 내장된 슬라이더기구 C는, 일단이 축지지되어, 비틀림 코일스프링(42)에 의해 동일 도면 상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치우치며, 선단부(41a)가 요동하도록 한 슬라이더(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1)의 선단부(41a)의 측면에는 윗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는 하강 구배의 경사면(4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1)의 선단부(41a)가 미끄럼 접촉하는 베이스 샤시(11)의 측벽(11a) 및 커버 샤시(12)의 측벽(12a)은, 상기 선단부(41a)의 경사면(41b)의 경사각도와 일치하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를 샤시 케이스(10) 내에 수납하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41)의 선단부(41a)는 베이스샤시(11)의 측벽(11a)에 서로의 경사면에서 미끄럼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슬라이더(41)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2)으로 바깥방향으로 치우쳐(P1) 있기 때문에 본래의 기능인 디스크 트레이(1)의 수평방향의 안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경사면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아래방향으로의 분력(P2)이 발생하여, 이것이 정지압이 되어 디스크 트레이(1)의 평면방향의 안정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트레이의 구성에 따르면, 디스크 트레이가 샤시 케이스에 수납되었을 때, 디스크 트레이의 평면방향으로도 정지압이 발생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구적 클리어런스가 유지되어, 디스크 트레이의 정지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트레이 부분의 기구적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진동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턴테이블과 커버 샤시 이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어, 판독 에러, 기록 에러의 요인을 배제한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의 유효부분에 로울러기구를 배치하는 동시에, 슬라이더를 개량하여 사이드 아암을 구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디스크 트레이의 전체면에 정지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구조상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샤시 케이스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샤시 케이스 내의 로드위치와 샤시 케이스 밖의 언로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된 디스크 트레이와,
    샤시 케이스와 디스크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샤시 케이스를 반작용점으로 하여, 디스크 트레이를 기록매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디스크 트레이가 로드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가압수단이 디스크 트레이를 기록매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수단은,
    샤시 케이스와 디스크 트레이의 한쪽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운동면이 샤시 케이스와 디스크 트레이의 다른 쪽에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된 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수단은,
    디스크 트레이가 언로드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디스크 트레이에 대한 가압력을 발생하지 않고,
    디스크 트레이가 로드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디스크 트레이에 대한 가압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는, 기록매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가압수단은, 디스크 트레이가 언로드 위치에서 로드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서, 디스크 지지수단이 샤시 케이스 내부에 침입하기 전에, 디스크 트레이에 대한 가압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수단은, 기록매체에 대해 수직한 방향 및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의 양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접촉면과, 접촉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디스크 트레이에 대해 접촉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의 가압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는, 기록매체의 일부가 튀어나오는 치수 형상으로 된 주체부와, 주체부로부터 튀어나온 기록매체를 따라 이어지도록 연장된 사이드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고,
    샤시 케이스는, 디스크 트레이의 주체부로부터 튀어나온 기록매체와, 디스크 트레이의 사이드 아암부를 수용하는 수용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가압수단은, 디스크 트레이의 사이드 아암부와 샤시 케이스의 수용 볼록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KR1020030058187A 2002-10-31 2003-08-22 디스크장치 KR10061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8324 2002-10-31
JP2002318324A JP4122931B2 (ja) 2002-10-31 2002-10-31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19A true KR20040038619A (ko) 2004-05-08
KR100617520B1 KR100617520B1 (ko) 2006-09-01

Family

ID=3246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187A KR100617520B1 (ko) 2002-10-31 2003-08-22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9569B2 (ko)
JP (1) JP4122931B2 (ko)
KR (1) KR100617520B1 (ko)
CN (1) CN1249711C (ko)
TW (1) TWI251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8082B2 (ja) * 2002-02-15 2008-05-21 株式会社東芝 未知コンピュータウイルスの感染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570262U (en) * 2002-11-22 2004-01-01 Micro Star Int Co Ltd Optical disk drive with a tray-constrained mechanism
TWI261231B (en) * 2003-05-28 2006-09-01 Actima Technology Cororation A anti-vibration tray support structure
JP4096317B2 (ja) 2005-01-14 2008-06-04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I260002B (en) * 2005-03-30 2006-08-11 Lite On It Corp Optical disc drive
JP4589221B2 (ja) * 2005-11-25 2010-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
TWI310674B (en) * 2006-04-28 2009-06-01 Quanta Storage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in an optical disk drive
JP2008009592A (ja) * 2006-06-28 2008-01-17 Yazaki Corp 情報書込装置
JP2008210421A (ja) * 2007-02-23 2008-09-11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9054237A (ja) * 2007-08-27 2009-03-12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KR20130034933A (ko) * 2011-09-29 2013-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팝업장치
JP2016171425A (ja) 2015-03-12 2016-09-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8158B (en) * 1989-10-16 1994-02-09 Alpine Electronics Inc Disk loading device
JP2000187916A (ja) 1998-12-21 2000-07-04 Nec Home Electronics Ltd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9504A (zh) 2004-05-26
TWI251214B (en) 2006-03-11
US20040128677A1 (en) 2004-07-01
CN1249711C (zh) 2006-04-05
KR100617520B1 (ko) 2006-09-01
US7089569B2 (en) 2006-08-08
TW200406744A (en) 2004-05-01
JP2004152431A (ja) 2004-05-27
JP4122931B2 (ja)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131B1 (ko)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17520B1 (ko) 디스크장치
US6529461B1 (en) Disk apparatus having a contacting member contacting an outermost area of a disk for protecting the disk from damage due to a shock
JPH1139842A (ja) ディスク装置
JPH0944953A (ja) ディスク装置
JP4144324B2 (ja) ディスク装置
JP4085779B2 (ja) ディスク装置
JP4122933B2 (ja) ディスク装置のイジェクト/ロック機構
JPH07254199A (ja) ディスク装置
JPH07254263A (ja) ディスク装置
JP2906982B2 (ja) ディスク装置
JP3047785B2 (ja) ディスク装置
JPH07254202A (ja) ディスク装置
JP2004152434A (ja) ディスク装置
JPH1020835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3514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
JP3509595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82009B1 (ko) 디스크 장치
JP2003151256A (ja) 電子機器、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106248A (ja) ディスク装置
JP2003208748A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3586950B2 (ja) 再生装置
JP3094854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21079Y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3151200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