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131B1 -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131B1
KR100560131B1 KR1020030061408A KR20030061408A KR100560131B1 KR 100560131 B1 KR100560131 B1 KR 100560131B1 KR 1020030061408 A KR1020030061408 A KR 1020030061408A KR 20030061408 A KR20030061408 A KR 20030061408A KR 100560131 B1 KR100560131 B1 KR 10056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disc tray
disk
tray
eart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631A (ko
Inventor
마쓰이노부끼
와타나베타카시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84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49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83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4324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93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shielding; grounding of static charg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로부터 장치 내부의 전자부품 등의 보호하고,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에 장착되는 베젤을 개량하기 위한 광 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 D를 장전한 디스크 트레이(1)를 섀시 케이스(10)내에서 전진후퇴시켜 로드/언로드하도록 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베젤(8)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9)를, 디스크 트레이(1)측에서 그 디스크 트레이(1)의 앞단면의 요소를 덮어 가리도록 하여 장착함으로써, 디스크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에 요소부품을 실장한 내부 베젤을 고정하도록 되고, 상기 내부 베젤의 외측에 외부 베젤을 장착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안정된 품질로 불특정 사용자에게 디스크장치를 공급 가능하게 한다.
디스크장치, 디스크 트레이, 내부 베젤, 외부 베젤, 어스플레이트

Description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의 언로드상태의 디스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커버 섀시를 제거한 상태의 디스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디스크 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디스크 트레이의 지지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헤드 유니트의 이송기구의 이빨부분의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헤드 유니트의 이빨부재 및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3의 헤드 유니트의 이빨부분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4의 구동기구에서의 기어 유니트의 조립상태를 설명한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이젝트/록기구의 구성 및 동작형태의 설명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이젝트/록기구의 록 레버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이젝트/록기구 및 사이드 아암부분의 설명도,
도 13은 도 12에서의 록 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는 도 4에서의 정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로울러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4에서의 정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로울러 구조의 조립 사시도,
도 16은 로울러 구조가 기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사이드 아암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8은 일반적인 노트형 퍼스컴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을 변형하여 구성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30은 종래의 디스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베젤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2는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베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2 : 디스크 트레이 2, 104 : 턴테이블
3, 103 : 스핀들 모터 4, 106 : 헤드 유니트
5, 107 : 가이드 레일 7 : 프린트기판
8, 117, 121 : 베젤 8b : 통공
9, 115 : 어스플레이트 10, 108 : 섀시 케이스
11 : 베이스 섀시 12 : 커버 섀시
15 : 보텀 커버 16 : 스레드 모터
19 : 이빨부재 21 : 지지부재
23 : 기어 프레임 25 : 덮개 판
27 :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 28 : 해제레버
29 : 록 레버 30 : 복귀레버
32 : 복귀 핀 33 : 록 핀
35 : 팝 아웃기구 38, 39 : 로울러
101 : 디스크장치 105 : 클램프 헤드
109 : 마이크로스위치 110 : LED 칩
112 : 푸시 버튼 118, 122 : 내부 베젤
119, 123 : 외부 베젤 120 : 투광렌즈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서 보급하고 있는 CD(Compact Disc)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 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로부터 장치 내부의 전자부품 등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제 1 구성과,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에 장착되는 베젤의 제 2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이하, 퍼스컴이라 함)등의 기기 본체에는 광 디스크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장치가 내장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광 디스크로 정보가 기록 재생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2-97122호 및 특허출원 제2002-97056호 참조). 도 18은 이러한 디스크장치를 내장한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통상, 이 경우의 디스크장치는, 스위치조작 또는 퍼스컴 본체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01')가 팝 아웃하고, 또한, 퍼스컴의 사용자가 디스크 트레이(101')를 인출하여, 광 디스크 D를 장전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상기 제 1 구성에 따른 종래 기술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는 노트형 퍼스컴에 많이 채용되어 있는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 19에 나타낸 것처럼, 이 디스크장치는, 디스크 트레이(101')의 중앙에, 바로 아래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턴테이블(102')이 배치되어, 이 턴테이블(102')에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기구(102a')에서 광 디스크 D의 중심 구멍을 클램프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광 픽업을 주체로 구성한 헤드 유니트(103')는, 디스크 트레이(101')에 형성된 슬릿(101a') 내를 반 경방향으로 이동하여,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101')는, 가이드레일(104')에 지지되어 섀시 케이스(105')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은 디스크 트레이(101')의 전방면에 대한 베젤(106')의 장착구조를 나타낸다. 베젤(106')의 배면에는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107')가 고정되어 있고, 디스크 트레이(101')가 로드되었을 때, 이 어스플레이트(107')의 개방단부(107a')가 섀시 케이스(105')의 개구부(105a')에 접촉하여, 방전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구성에 따른 종래 기술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0은 특히 노트북 컴퓨터에 대부분 채용되어 있는 디스크장치(101)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트레이(102)의 중앙에, 바로 아래에 배치한 스핀들 모터(103)의 구동축에 고정된 턴테이블(104)의 클램프 헤드(105)에 의해 광 디스크 D의 중심 구멍을 클램프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광 픽업을 주체로 구성한 헤드 유니트(106)는, 디스크 트레이(102)에 형성된 슬릿(102a) 내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 재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트레이(102)는, 가이드 레일(107)에 지지되어 섀시 케이스(108)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1은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디스크 트레이 본체의 앞단면의 중앙에 프린트 배선 시이트 100P가 접착되고, 이 프린트 배선 시이트 100P에, 디스크 트레이(102)의 전진후퇴를 관리하는 기동신호를 얻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109)와 표시기인 LED 칩(110)이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을 덮도록 나사 고정되어 디스크장치(101)의 전방면을 외장하는 베젤(111)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09)를 작동하기 위한 푸시 버튼(112)을 구비하고, LED 칩(110)의 발광을 표시하기 위한 투광렌즈(113)를 구비한다. 이때, 부호 114는 통공으로, 이 통공(114)으로부터 가느다란 핀을 꽂아, 디스크 트레이(102)의 뜻하지 않은 록(lock)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하도록 한다.
도 32는 상기 종래의 베젤(111)의 배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중앙부에 열 코킹처리 등에 의해 어스플레이트(11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어스플레이트(115)는, 디스크 트레이(102)가 로드되었을 때, 그 단부(115a)가 섀시 케이스(108)의 개구부에 닿게 설치하여, 방전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체의 정전기가 방전로로 흐르도록 하여, 전자부품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완충체가 되는 유연성을 구비한 스페이서(116)가 배치되고, 베젤(111)의 본체의 요소에는, 디스크 트레이(102)의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고정용 혀 언저리 부재(1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푸시 버튼(112)의 배면에는, 어스플레이트(115)의 단부(115b)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단부(115b)에 형성된 창문 구멍으로부터 노출된 푸시 버튼(112)의 돌기(112a)가 마이크로스위치(109)를 작동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 1 구성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베젤은, 디스크장치의 전방면을 장식하는 것으로, 통상, 퍼스컴에 맞춘 디자인의 베젤이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많은 경우, 공급자는, 디스크장치 단일 물체의 완성품을, 베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납품하고, 이 디스크장치를 받아들인 퍼스컴 제조자 등이 독자적인 베젤을 제작하여,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는 베젤에 어스플레이트를 열 코킹(caulking) 처리 등에 의해 일체화하였기 때문에, 그 처리비용 등이 비용절감의 방해가 된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크장치에서의 상기와 같은 부대처리를 매우 간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베젤의 조립에 따른 처리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디스크장치의 범용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제 1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성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의 디스크장치에서의 디스크 트레이의 베젤은, 이 베젤에 필요로 하는 요소부품, 즉, 푸시 버튼(112), 투광렌즈(113), 어스플레이트(115) 및 스페이서(116)를 구비하여, 베젤 자체가 외장체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베젤은 통상, 퍼스컴 본체와 통일된 디자인으로 되어, 같은 색, 같은 소재의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디스크장치의 간단한 물체를 제조하여, 이것을 불특정 다수의 퍼스 컴 제조자 등의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제조 판매 시스템의 경우, 퍼스컴 본체와 디스크장치의 생산자가 전혀 상이한 것 등에 의해, 디스크장치의 공급처에서 내장되는 퍼스컴 본체의 디자인, 색조, 질감을 일치시킨 베젤로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 경우의 해결책으로서, 완성된 디스크장치가 공급되어, 이것을 받은 사용자가 베젤 부분만을 제작하여, 독자적인 베젤로 교환하거나, 또는 베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장치를 공급받아, 독자적으로 제작한 베젤을 장착하는 소위 후처리로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대응에 의한 경우, 디스크장치를 받아들인 사용자는, 독자적으로 베젤 및 이 베젤에 내장한 요소부품을 설계하여, 성형 금형 등을 준비하여 제작하게 되어,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강요받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독자적인 베젤을 제작하였다고 하여도, 완성품의 베젤과는 오차를 포함하는 설계로 이루어져, 당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요소부품인 어스플레이트의 형상이 다르거나, 이 어스플레이트 자체를 내장하지 않은 경우, 디스크장치의 정전기에 대한 내성이 저하하게 되어, 전자부품 등의 파손의 위험성이 높게 된다. 그리고, 독자적으로 설계된 베젤이므로, 디스크 트레이와의 구조적 정합성이 저하하는 것에 의해 베젤 부분이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하거나, 디스크 트레이의 조작감을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크장치를 내장한 퍼스컴 등의 정보기기 본체와의 디자인, 색조, 질감의 통일을 꾀하는 후처리를 위한 베젤을 간소한 구성에 의해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베젤 의 후처리에 의한 경우에서도, 원하는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에 요하는 사양을 빠뜨리지 않고, 안정한 품질로 불특정 사용자에게 디스크장치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데 제 2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 따른 제 1 국면은, 섀시 케이스와,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부착되는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측에 부착되어,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디스크 트레이 앞측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가 어스플레이트에 유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를 지지하여 회전하는 디스크 지지회전수단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디스크장치가, 로드위치에 위치한 디스크 트레이를 언로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때에 조작되는 조작수단을 더 구비하고, 어스플레이트가, 조작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디스크장치가,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적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고, 어스플레이트가, 전기적 표시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국면은, 섀시 케이스가 도전성을 갖고, 어스플레이트는, 디 스크 트레이가 로드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섀시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크 트레이 앞측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를 섀시 케이스에 흘리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국면은, 디스크 트레이는, 어스플레이트가 부착되는 어스플레이트 부착부와, 베젤이 부착되는 베젤 부착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국면은,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베젤을 떼면,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고정된 어스플레이트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노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국면은,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와,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의 앞단에 부착되는 내부 베젤로 구성되고, 어스플레이트가,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와 내부 베젤 사이에 배치되고, 베젤은,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 베젤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부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 국면은, 판형으로 성형한 베젤을,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 베젤에 고정시켜 붙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 국면은, 얕은 접시형으로 형성한 베젤을,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 베젤에 끼워 붙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 국면은, 섀시 케이스와,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고, 앞단에 베젤이 부착 가능하게 된 베젤 부착부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측에 부착되고,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디스크 트레이 앞측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가 어스플레이트에 유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제조방법에 관계된 제 12 국면은, 섀시 케이스와,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부착되는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측에 부착되어,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로 구성된 디스크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와 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공정과, 어스플레이트가 일체화된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베젤을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국면은, 디스크 트레이는,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와,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의 앞단에 부착되는 내부 베젤로 구성되고, 디스크 트레이와 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공정은, 내부 베젤과 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부공정과, 어스플레이트가 일체화된 내부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를 일체화하는 부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박형화를 실현하는 디스크장치에 실시하여도 바람직하지만, 기존의 디스크장치에 널리 실시가능하고, 실시의 대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대상인 디스크장치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전체 구성의 개요를 포함시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한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 이 도면에서, 부호 1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디스크 트레이이고, 중앙에 위치하는 디스크 지지회전수단인 턴테이블(2)은, 디스크 트레이(1)내에 내장된 도 4에 나타낸 스핀들 모터(3)의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이 턴테이블(2)에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기구(2a)로 광 디스크가 클램프되어 회전한다. 또한, 광 픽업을 주체로 구성한 헤드 유니트(4)는, 디스크 트레이(1)에 형성된 슬릿(1a)내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광 디스크에 대해 정보를 기록 재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트레이(1)는, 가이드 레일(5)에 지지되어 섀시 케이스(10)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1)의 속부측의 단부에는, 섀시 케이스(10)에 배치한 프린트 기판(7)의 전자부품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절결부(1b)가 형성될 때, 이 절결부(1b)는 필요에 따라 밀봉재(6)에 의해 밀봉된다. 이러한 구성은, 디스크 트레이를 얇게 구성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디스크 트레이(1)의 두께 상당을 얇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 트레이(1)는, 앞단의 한쪽의 측부에 후술하는 슬라이더기구 C를 수용하는 사이드 아암(1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디스크 트레이(1)의 앞단면에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베젤(8)이 그 설편(8a)을 디스크 트레이(1)의 삽입 구멍(1d)에 꽂도록 하여 부착된다. 이때, 부호 8b는 디스크 트레이(1)내의 이젝트/록기구의 비상시에 록상태를 강제해제(비상 이젝트)하기 위해서, 조작핀을 삽입하기 위한 통공이고, 부호 8c는 표시기 표시창, 부호 8d는 디스크 트 레이(1)를 언로드하기 위한 조작수단의 하나인 조작버튼이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의 앞단면에는, 어스플레이트(9)가 그 갈고리편(9a)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의 걸림 돌기(1j)에 부착되고, 디스크 트레이(1)가 로드되었을 때, 그 개방단부(9b)가 섀시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접촉하여, 방전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어스플레이트(9)의 기능은, 상기와 같은 디스크 트레이(1)의 강제 해제시, 또는 언로드를 위해 조작버튼에 손끝이 접촉할 때, 인체의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이 정전기를 방전로로 흘려, 전기부품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경금속으로 성형되는 섀시 케이스(10)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 섀시(11)와 커버 섀시(12)로 이루어져, 베이스 섀시(11)의 개구를 커버 섀시(12)로 덮어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 섀시(11)의 양측단에는, 합성 수지제의 보유레일(13)이 고정되고, 이 보유레일(13)내에 금속제의 가이드레일(5)이 유동상태로 전진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5)은, 디스크 트레이(1)의 양측단에 형성된 볼록가지부(1e)를 유동상태에서 전진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1)가 섀시 케이스(10)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이 섀시 케이스(10)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의 자기 및 정전기에 대한 쉴드가 되어, 상기 어스플레이트(9)의 개방단부(9b)가 섀시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접촉하여 방전로가 형성된다. 이때, 본원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어스플레이트(9)를 디스크 트레이(1)의 앞단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베젤(8)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스크 트레이(1)내의 전기부품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구성, 즉, 디스크 트레이(1)의 이송기구가 되는 보유레일(13),가이드레일(5) 및 디스크 트레이(1)의 볼록가지부(1e)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 이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5)의 외표면에는 배 껍질 표면 상태의 미세 요철(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보유레일(13)과 가이드레일(5)의 미끄럼 접촉저항을 감소하기 위한 처리로, 디스크 트레이(1)의 전진후퇴가 보다 원활해지는 조작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처리는, 종래의 디스크장치에는 시행되어 있지 않은 것이지만, 디스크장치의 박형화 및 정보의 고밀도화에 따라, 특히 보유레일(13)과 가이드레일(5)의 틈새가 대단히 미소해진다. 이것은, 진동 등이 정보의 기록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요하므로, 틈새는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설계가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 보유레일(13)과 가이드레일(5)이 구성되면 미끄럼 접촉벽면의 접촉율이 높아져, 디스크 트레이(1)의 조작에 저항감이 생겨 원활하게 할 수 없다. 그래서, 상술한 것처럼, 가이드레일(5)에 미세 요철(5a)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접촉저항을 감소하여 디스크 트레이(1)의 원활한 조작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미세 요철은, 가이드레일(5)의 내외 양면 또는 보유레일(13), 디스크 트레이(1)의 볼록가지부(1e)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되고, 요컨대, 미세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 접촉면과 이것에 대하여 접하는 미끄럼 접촉면을 평활면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때, 도 5에서, 부호 14는 단락부재로, 보유레일(13)이 절연체이기 때문에, 가이드레일(5)과 베이스 섀시(11)를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는, 금속제의 강철구를 보유레일의 창문 구멍(13a)에 장전하도록 하였지만, 강철구 대신에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도전성 섬유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서의 디스크 트레이(1)의 내부 구성의 개요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은, 보텀 커버(15)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중앙에 광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3), 헤드 유니트(4) 및 이 헤드 유니트(4)를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레드 모터(16) 및 기어 유니트(17)를 주체로 구성한 구동기구 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1)의 앞단 코너에는 이젝트/록기구 B가 배치되고, 사이드 아암(1c) 내에는 슬라이더기구 C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 유니트(4)는, 그 양단이 가이드 샤프트(18)에 여유 있게 설치되어 있고, 이 헤드 유니트(4)에 고정한 이빨부재(19)의 이빨(19b)이 나사 샤프트(20)의 가이드 홈(20a)으로 안내되어 이동하여,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도 6은 이러한 구성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샤프트(18)에 여유 있게 설치된 헤드 유니트(4)에 이빨부재(19) 및 지지부재(21)의 주체가 동시에 나사(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빨부재(19)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주체의 끝부의 수직 하강편(19a)에 나사 샤프트(20)의 가이드 홈(20a)에 맞물리는 이빨(19b)이 형성되고, 중앙에 창문 구멍(19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문 구멍 19c의 좌우에 창문 구멍 19d가 형성되고, 이 창문 구멍(19d)의 속부에 다리 기둥(19e)이 수직 하강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재(21)에는, 주체의 끝부에 상기 이빨부재(19)의 수직 하강편(19a)이 밑에서 밀어 올려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지지편(21b)과, 상기 수직 하강편(19a)을 배면으로부터 힘을 가하면서 지지하는 가압편(2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빨부재(19) 및 지지부재(21)를 헤드 유니트(4)에 고정하면,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이빨부재(19)의 수직 하강편(19a)은 지지부재(21)의 지지편(21b)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가압편(21a)에 의해 전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에 따라, 수직 하강편(19a)의 이빨(19b)의 나사 샤프트(20)의 가이드 홈(20a)으로의 맞물림이 확실해지게 되어, 수직 하강편(19a)이 밑에서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나사 샤프트(20)에 의해 수직 하강편(19a)을 밀어 내리는 힘이 작용하여, 도 8의 가상선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 하강편(19a)이 변위하면, 이 수직 하강편(19a)에 다리 기둥(19e)도 밀어 내려져 가이드 샤프트(18)에 접촉하고, 이 위치로 수직 하강편(19a)의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빨부재(19)에 지지부재(21)를 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수직 하강편(19a)의 이빨(19b)이 나사 샤프트(20)의 가이드 홈(20a)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헤드 유니트(4)의 광 디스크로의 액세스의 고속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광 디스크의 기록밀도의 향상에 따라, 헤드 유니트(4)의 왕복운동이 빈도가 높아지고, 더구나 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나사 샤프트(20)의 회전속도도 높아진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수직 하강편(19a)의 이빨(19b)에 나사 샤프트(20)의 가 이드 홈(20a)으로부터 급격한 구동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 순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분력이 발생하여 수직 하강편(19a)이 밑에서 밀어 올려지고, 이빨(19b)과 가이드 홈(20a)의 맞물림 상태가 헐겁게 되어, 탈락의 위험이 커진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나사 샤프트(20)의 가이드 홈(20a)의 종단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서, 이빨(19b)이 가이드 홈(20a)으로부터 탈락할 확률이 높은 현상이었지만,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완전히 이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 나사 샤프트(2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기어 유니트(17)의 구성을 설명한다. 종래, 이러한 부분의 기어 유니트의 구성은, 각 기어의 기어 샤프트를 기어 프레임에 형성한 베어링 구멍에 삽입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에 의한 경우, 통상,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치열을 손상할 확률이 높고, 기어 유니트에 손상된 기어가 존재하면, 소위 탐색음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는, 도 9에 나타낸 것 같은 구성을 채용하게 되었다. 이 도 9에 나타낸 구성에서, 기어 유니트(17)는 3개의 간단한 물체 기어 G1·G2·G3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기어 G1은 스레드 모터(16)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레드 모터(16)의 회전력의 전달대상이 되는 나사 샤프트(20)에는 기어 G2가 고정되어 있고, 그 샤프트가 기어 프레임에 형성된 베어링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어 G3의 기어 샤프트를 기어 프레임(23)에 형성한 베어링 홈(24)으로 떨어져 넣어짐으로써 무리없이 기어 G3을 장전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어 G3의 장전은 베어링 구멍으로 기어 샤프트를 삽입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전시의 기어의 수평성을 유지할 수 없어, 치열을 손상하였지만, 상기 구성에 의한 경우는, 기어 G3의 수평성을 유지하면서 장전할 수 있고, 더구나 기어 G1·G2는 기어 G3의 장전에 따라 종방향으로 움직이며 회전하기 때문에, 서로 의 치열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고, 이에 따라 기아 유니트(17) 조립시의 손상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유니트(17)의 구성에 의한 경우는, 기어 G3의 기어 샤프트가 베어링 홈(24)에 여유 있게 끼워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탈락을 방지해야 하는 덮개 판(25)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덮개 판(25)은, 도 9에 반전상태로 나타낸 것처럼 일단에 나사 통공(25a)이 형성되고, 타단의 2곳에 걸림 갈고리(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 판(25)의 일단을 나사(26)에 의해 기어 프레임(23)에 고정하였을 때, 타단의 한쪽의 걸림 갈고리(25b)는 기아 프레임(23)에 형성한 창문 구멍(23a)에 걸어 맞추어져, 다른쪽의 걸림 갈고리(25b)는 걸림단부(23b)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걸림 갈고리(25b)가 상기 창문 구멍(23a) 및 걸림단부(23b)에 걸어 맞추어졌을 때, 걸림 갈고리(25b)의 언더컷부의 모서리부에 형성한 경사면이 기어 프레임(23)의 걸어 맞춤 위치의 정상 모서리부에 도 9의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에서처럼 접촉한다. 이에 따라, 덮개 판(25)이 유동하지 않고 확실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스레드 모터(16), 기어 유니트(17)로부터의 진동이 전파하더라도, 덮개 판(25)이 여진되어 소음을 발생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에서 채용하는 이젝트/록기구 B의 구성 및 동 작형태를 설명한다. 이 이젝트/록기구 B는, 디스크 트레이(1)가 섀시 케이스(10)내에 로드된 상태를 고정하거나, 또는 이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 해제 레버(28), 록 레버(29), 복귀 레버(30)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는, 한 쌍의 요크(27a, 27b)의 선단이 여자코일(27c, 27d)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중간 위치까지 삽입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크(27a, 27b)의 단부에는 영구자석(27e)이 장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말굽형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여자코일(27c, 27d)의 선단에는 자성체인 가동편(27f)이 전진후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7e)으로 형성된 자기회로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편(27f)은 흡인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여자코일(27c, 27d)의 단자로부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한 자장과는 반대의 자장이 발생하도록 직류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27e)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자장이 상쇄되어, 가동편(27f)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 가동편(27f)은, 해제레버(28)에 고정된 핀(28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편(27f)의 전진후퇴에 동기하여 해제레버(28)도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는 디스크 트레이(1)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에, 해제레버(28)는 상시, 도 10상에서 왼쪽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인장코일 스프링(31)이 걸려 고정되어 있지만, 그 탄성력은 상기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의 영구자석(27e)에 의한 자력의 구속력보다 약한 것이 조건이 된다.
부호 29는 상시, 도 10상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미약한 탄성력으로 힘을 받는 록 레버로, 섀시 케이스(10)내에 고정된 록 핀(32)과 걸어 맞추어져, 디스크 트레이(1)의 로드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록 레버는, 통상,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한 것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디스크장치 전체의 박형화에 따라, 이 록 레버도 얇은 두께로 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한 록 레버로는 강성의 저하가 문제가 있고, 동작빈도가 높기도 하므로 충분한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야만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수지 주체(29a)가 강판형 재료(29b)를 내포하는 인서트 성형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 도 11로부터도 분명한 것처럼, 강판형 재료(29b는 선단부에 인서트되어, 가장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이 보강된다. 그리고, 강판형 재료(29b)의 단부를 합성수지부분보다 노출시켜, 록 핀(32)과의 미끄럼 접촉저항이 낮게 되도록 한다. 한편, 록 레버(29)의 후단부에는, 기동단(29c) 및 강제해제를 위한 경사면(피구동면)(2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강제해제란,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트레이(1)가 로드되어, 록 핀(32)이 록 레버(29)의 앵글부(29e)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면, 시스템의 이상 등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할 수 없게 되는 장해의 발생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해가 발생한 경우는, 이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베젤(8)의 통공(8b)으로부터 적절하게 조작 핀 P를 꽂고, 그 앞단을 록 레버(29)의 경사면(29d)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밀어 넣음으로써 이 도 12상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록 레버(29)를 회전시키고, 록 핀(32)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디 스크 트레이(1)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록 레버(29)의 경사면(29d)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경사곡면 또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단계적인 각도 θ1, θ2를 부여한 경사면 등 임의로 형성할 수 있어, 조작 핀 P에 의한 조작감각이 가장 좋은 상태의 경사면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록 레버(29)의 경사면(29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보텀 커버(15)에 노치(notch)(15a)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 핀 P가 가라앉아 넣어질 수 있어, 보텀 커버(15)의 두께 상당의 박형화가 가능해짐과 아울러, 상기 노치(15a)가 조작 핀 P의 가이드 홈이 되기 때문에, 강제해제시의 조작 핀 P 선단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복귀 레버(30)는, 그 기동단(30a)이 복귀 핀(32)에 가압되어 기동하도록 한 것으로, 작용단(30b)에 의해 해제레버(28)를 작동하여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를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이 복귀레버(30)는, 인장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원위치(도 10b 참조)로 복귀가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복귀 핀(32)은, 금속소재를 원기둥형으로 형성하고, 그 단부를 베이스 섀시에 코킹 처리하여 고정한 것이 종래의 일반적 구성이었다. 그러나, 소재가 금속이고 단면형상이 원기둥형이므로, 복귀레버(30)와의 미끄럼 접촉저항이 크고, 디스크 트레이(1)를 손끝으로 로드하였을 때, 소위 클릭 쇼크가 발생하여, 조작감을 감퇴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복귀 핀(32)을 미끄럼 접촉저항이 작아지는 합성수지로 성형함으로써,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보유레일(13)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일 체로 성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복귀 핀(32)을 임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면, 실시예에 나타낸 것처럼 접촉면에 테이퍼(32a)를 형성하고, 미끄럼 접촉저항을 감소하여 클릭 쇼크를 감소할 수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에 의한 보유레일(13)과의 일체성형에 의해 상기 테이퍼(32a)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다. 이때, 이 복귀 핀(32)을 보유레일(13)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이 복귀 핀(32)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또한, 베이스 섀시(11)에의 고정작업도 불필요해지므로, 이 부분의 가공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이 도 13에서, 부호 33은, 록 핀으로, 베이스 섀시(11)에 코킹 처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 핀(32)보다 전장을 짧게 하여 복귀레버(30)의 기동단(30a)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때, 도 13에서, 부호 35는 디스크 트레이(1)의 팝 아웃 기구로, 활주부재(36)에 인장 코일 스프링(37)이 당겨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트레이(1)가 동일 도면상에서 왼쪽방향으로 전진하면, 디스크 트레이(1)의 후단부가 상기 활주부재(36)의 끝부(36a)와 접촉하고, 또한 디스크 트레이(1)가 전진하여 정위치에서 잠기면, 인장 코일 스프링(37)이 신장하여 탄성력이 가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1)가 이젝트되어 록이 해제되면, 이 인장 코일 스프링(37)에 가압되어 있는 탄성력이 순간적으로 개방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1)를 밀어내고, 팝 아웃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이젝트/록기구 B의 동작형태는, 우선, 로드되는 디스크 트레이(1)가 전진하여, 도 10a에 나타낸 것처럼 복귀레버(30)의 기동단(30a)에 복 귀 핀(32)이 접촉하고, 복귀레버(30)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용단(30b)이 해제레버(28)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이 해제레버(28)를 오른쪽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인장 코일 스프링(31)을 신장함과 아울러,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의 가동편(27f)이 여자코일(27c, 27d) 내에 눌려 넣어져, 영구자석(27e)에 의한 자력에 흡인되어 보유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가 더 전진하면, 록 핀(33)이 록 레버(29)의 정상부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진입하여, 도 10b에 나타낸 것처럼 록 핀(13)과 록 레버(29)의 앵글부(29e)가 걸어 맞추어져 디스크 트레이(1)의 잠금을 완료한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1)를 언로드하기 위해서, 상기 록 상태의 해제, 즉, 이젝트를 하는 경우는, 도 10b의 상태에서, 자기보유형 솔레노이드(27)의 여자코일(27c, 27d)에 직류전류를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생긴 자계에 의해 영구자석(27e)에 의해 형성된 자계가 상쇄되어, 가동편(27f)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인장 코일 스프링(31)에 가압되었던 탄성력이 개방되고, 해제레버(28)가 왼쪽방향으로 평행 이동하고, 이 해제레버(28)의 하단부가 록 레버(29)의 기동단(29c)에 접촉하여 이 록 레버(29)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록 핀(33)과 록 레버(29)의 앵글부(29e)가 걸어 맞추어진 것이 해제되어, 상술한 팝 아웃기구(35)의 인장 코일 스프링(37)의 동작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가 팝 아웃된다.
다음에, 디스크 트레이(1)를 로드하여, 섀시 케이스(10)내에 잠긴 상태에서, 이 디스크 트레이(1)의 정지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디스크 트 레이(1)는, 상술한 것처럼 섀시 케이스(10)내를 전진 후퇴하는 것이지만, 이것을 허용하기 위해, 그 지지기구에는 조금이면서도 틈새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 틈새는 디스크 트레이(1)의 진동을 허용하게도 되어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판독오류, 기록오류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디스크장치가 박형이 될수록, 클램프기구(2a)와 커버 섀시(12)의 내벽면과의 거리가 접근하여, 서로 접촉할 위험성이 커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떠한 외인에 의해 디스크장치의 가동 중에 클램프기구(2a)가 커버 섀시(12)의 내벽면에 접촉하면, 광 디스크의 회전속도는 급속히 저하하여 판독오류, 기록오류 등의 장해를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특히 디스크장치의 박형화, 고기록 밀도화에 있어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트레이(1)가 잠겼을 때, 상시, 디스크 트레이(1)에 정지압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디스크 트레이(1)의 요소의 내부에 로울러(38, 39)를 배치하고, 그 전동면의 일부를 디스크 트레이(1)의 표면에 노출시키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창문 구멍(1f)의 양측에 베어링 블록(1g)을 형성하고, 전후에 지지판(40)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앵글(1h) 및 위치결정 보스(boss)(1i)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울러(38, 39)의 로울러 샤프트를 베어링 블록(1g)에 배치하여, 지지판(40)을 앵글(1h)에 걸어 고정하면,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로울러(38, 39)가 디스크 트레이(1)의 이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가 된다.
도 16은 이와 같이 하여 배치된 로울러(38, 39)의 섀시 케이스(10)내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디스크 트레이(1)의 표면에 노출된 로울러(38, 39)의 전동면이 커버 섀시(12)의 내벽면에 접촉한다. 이때, 로울러 샤프트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판(40)이 판 스프링의 기능을 하여, 로울러(38, 39)를 커버 섀시(12)에 눌러 붙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울러(38, 39)의 정지위치에서, 커버 섀시(12)가 반작용점이 되는 기능을 하여, 디스크 트레이(1)에 정지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로울러(38, 39)를 채용하는 구성은, 디스크 트레이(1)의 한쪽 측부가 구조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부분에 실시를 가능하게 하지만, 기준적 외형으로 되어 있는 디스크장치에서 대응하는 측부에는, 상기와 같은 로울러에 의한 구성을 채용할 수 없다. 그러나, 디스크 트레이(1)의 정지 안정성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트레이(1)의 양측부에서 정지압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아암에 내장하는 슬라이더 기구를 개량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도 12에서, 사이드 아암(1c) 내에 내장된 슬라이더 기구 C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이 도 12상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힘을 받아, 선단부(41a)가 요동하도록 한 슬라이더(41)로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1)의 선단부(41a)의 측면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하강 경사면(4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1)의 선단부(41a)가 미끄러져 접촉하는 베이스 섀시(11)의 측벽 11a 및 커버 섀시(12)의 측벽 12a는, 상기 선단부(41a)의 경사면(41b)의 경사각도와 일치하는 각도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1)를 섀시 케이스(10) 내에 수납하면,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더(41)의 선단부(41a)는, 베이스 섀시(11)의 측벽(11a)에 서로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슬라이더(4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에서 바깥방향으로 힘을 받고(P1) 있기 때문에 원래의 기능인 디스크 트레이(1)의 수평방향의 안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아래방향으로의 분력(P2)이 발생하고, 이것이 정지압이 되어 디스크 트레이(1)의 평면방향의 안정상태가 유지된다.
(제 2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 이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베젤(117)은, 내부 베젤(118)과 외부 베젤(119)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일체화하여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내부 베젤(118)은, 도 22에 나타낸 것처럼 자신을 디스크 트레이(102)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 갈고리편(118a)이 요소에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는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걸림 통공(102b)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 갈고리편(118a)을 걸림 통공(102b)에 끼워 붙임으로써, 내부 베젤(118)을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 베젤(118)의 배면 중앙부에는, 어스플레이트(115)가 열 코킹처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115b)의 배면에는 부분 확대도에 나타낸 것처럼 푸시 버튼(11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베젤(118)에는, 투광렌즈(120)가 매립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강제해제용 통공(11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베젤(118)의 양측단에는 오목 절삭부 118c, 상하단 가장자리의 요소에는 오목 절삭부 118d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외부 베젤(119)을 고정시켜 붙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외부 베젤(119)은, 내부 베젤(118)의 외형을 따르는 형상인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 버튼(112)의 머리 부분이 삽입 통과하는 창문 구멍(119a) 및 투광렌즈(120)가 삽입 통과하는 창문 구멍(119b)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외부 베젤의 양측단에는, 내부 베젤(118)의 오목 절삭부(118c)에 끼워 맞추어져 고정시켜 붙인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한 볼록부(119c)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내부 베젤(118)의 오목 절삭부(118d)에 걸어 붙이는 걸림 갈고리편(119d)이 형성되고, 내부 베젤(118)의 통공 118b와 연통하는 통공 119e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의 베젤(117)을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내장한 경우는, 우선, 내부 베젤(118)의 걸림 갈고리편(118a)을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형성된 걸림 통공(102b)에 꽂아, 그 언더컷부를 걸림 통공(102b)의 내부에서 걸리게 고정한다. 다음에, 외부 베젤(119)의 양측단의 볼록부(119c)를 내부 베젤(118)의 양측단의 오목 절삭부(118c)에 끼워 맞추면서, 걸림 갈고리편(119d)의 언더컷부를 내부 베젤(118)의 오목 절삭부(118d)에 걸어, 외부 베젤(119)이 내부 베젤(118)에 고정되어 붙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베젤(117)이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장착되면, 푸시 버튼(112)의 머리 부분 및 투광렌즈(120)의 전방면이 외부 베젤(119)의 표면에 드러나 디스크 트레이(102)와 베젤(117)이 일체화된 상태 가 된다. 이때, 외부 베젤(119)의 걸림 갈고리편(119d)의 선단은, 디스크 트레이(102)에 형성한 오목 함몰부(102c)가 움푹 파이기 때문에, 디스크 트레이(102)의 표면의 평탄성을 손상하지는 않는다. 이때, 도 24는 제 2 실시예의 베젤의 장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 3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 이 실시예에서의 베젤(121)에서, 내부 베젤(122)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신을 디스크 트레이(102)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 갈고리편(122a)이 요소에 형성되어, 이것에 대응하는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걸림 통공(102b)에 꽂아 붙여서, 내부 베젤(122)을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고정한다.
상기 내부 베젤(122)의 배면 중앙에는, 도 26에 나타낸 것처럼 어스플레이트(115)가 열 코킹처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115b)의 배면에는 부분 확대도에 나타낸 것처럼 푸시 버튼(11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베젤(122)에는, 투광렌즈(120)가 매립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강제해제용 통공(1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베젤(122)의 양측단에는 걸림 오목부(122c), 상하단 가장자리의 요소에 걸림 오목부(122d)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외부 베젤(123)을 끼워 붙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외부 베젤(123)은, 내부 베젤(122)을 감싸는 얕은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푸시 버튼(112)의 머리 부분을 삽입 통과하는 창문 구멍 123a 및 투광렌즈(120)를 삽입 통과하는 창문 구멍 12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부 베젤(123)의 외주연(123c)의 내면에는, 상기 내부 베젤(122)에 형성한 걸림 오목부(122d)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갈고리(123d)가 기립 성형되어 있고, 내부 베젤(122)의 통공 122b와 연통하는 통공 123e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의 베젤(121)을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내장한 경우는, 우선, 내부 베젤(122)의 걸림 갈고리편(122a)을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형성된 걸림 통공(102b)에 꽂아, 그 언더컷부를 걸림 통공(102b)의 내부에서 걸리게 고정한다. 다음에, 외부 베젤(123)의 개구를 내부 베젤(122)에 피착하고, 또한 외부 베젤(123)을 전방면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내부 베젤(122)이 외부 베젤(123)내에 진입하여 걸림 갈고리(123d)와 걸림 오목부(122d)가 걸려 맞추어져, 외부 베젤(123)이 내부 베젤(122)에 끼워 붙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베젤(121)이 도 27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트레이(102)의 앞단면에 고정되면, 푸시 버튼(112)의 머리 부분 및 투광렌즈(120)의 전방면이 외부 베젤(123)의 표면에 드러나 디스크 트레이(102)와 베젤(121)이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28은 제 3 실시예의 베젤의 장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내부 베젤에 푸시 버튼을 부착하고, 외부 베젤에 창문 구멍을 형성하여, 이 창문 구멍으로부터 상기 푸시 버튼의 머리 부분을 외부 베젤의 표면에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도 29에 나타낸 것처럼 외부 베젤(119)에 푸시 버튼(112)을 부착하는 한편, 내부 베젤에 창문 구멍(118e)을 형성하여, 푸시 버튼(112)이 외부 베젤(118)의 상기 창문 구멍(118e)을 통해 마이크로스위치(109)를 작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내부 베젤 및 외부 베젤을 구조적 수단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나사고정 또는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외부 베젤을 내부 베젤에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외부 베젤을 디스크 트레이에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디스크 트레이의 구성에 의하면, 어스플레이트를 미리,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에 장착하여 디스크장치를 완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디스크장치를 공급 받은 사람은, 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베젤의 제작 및 이 베젤의 장착작업이 간소하게 되어, 비용의 상승을 막을 수 있음과 함께, 범용성이 높은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젤에 내장할 필요가 있는 요소부품을 내부 베젤에 부착하고, 이것을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에 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외부 베젤을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요소부품을 내부 베젤에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원하는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에 요하는 사양을 빠뜨리지 않고 불특정 사용자에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내부 베젤이 고정된 디스크장치의 공급을 받은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제작한 외부 베젤을 장착하더라도, 디스크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안정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8)

  1. 섀시 케이스와,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와,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의 앞단에 부착되는 내부 베젤로 구성되고, 기록매체를 지지하면서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 베젤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부착되는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 본체부와 내부 베젤 사이에 배치되어,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베젤과 상기 베젤은 상기 어스플레이트 앞쪽에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 앞측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가 상기 어스플레이트에 유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베젤은 베젤이 고정되는 베젤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내부 베젤의 베젤고정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섀시 케이스와,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부착되는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측에 부착되어,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는, 어스플레이트가 부착되는 어스플레이트 부착부와, 베젤이 부착되는 베젤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트레이 앞측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가 상기 어스플레이트에 유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베젤을 떼면,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고정된 어스플레이트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케이스는 도전성을 갖고,
    상기 어스플레이트는, 디스크 트레이가 로드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섀시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크 트레이 앞측 부분에 발생한 정전기를 섀시 케이스에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16. 삭제
  17. 섀시 케이스와,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부착되는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측에 부착되어,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로 구성된 디스크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와 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공정과,
    어스플레이트가 일체화된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베젤을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의 제조방법.
  18. 섀시 케이스와,
    기록매체를 지지하고, 섀시 케이스내의 로드위치와 섀시 케이스외의 언로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을 덮도록 디스크 트레이에 부착되는 베젤과,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측에 부착되어,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한 어스플레이트로 구성된 디스크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와 어스플레이트를 일체화하는 공정과,
    어스플레이트가 일체화된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베젤을 일체화하는 공정 및,
    내부 베젤과 일체화된 디스크 트레이의 앞단에, 베젤을 일체화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30061408A 2002-10-31 2003-09-03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60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8410A JP4154998B2 (ja) 2002-10-31 2002-10-31 ディスク装置
JPJP-P-2002-00318410 2002-10-31
JPJP-P-2002-00318346 2002-10-31
JP2002318346A JP4144324B2 (ja) 2002-10-31 2002-10-31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31A KR20040038631A (ko) 2004-05-08
KR100560131B1 true KR100560131B1 (ko) 2006-03-13

Family

ID=3285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408A KR100560131B1 (ko) 2002-10-31 2003-09-03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4128B2 (ko)
KR (1) KR100560131B1 (ko)
CN (1) CN100386817C (ko)
TW (1) TWI2278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371B1 (ko) * 2005-06-10 2011-12-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젝트버튼 접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288B2 (ja) * 2002-11-19 2007-09-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TW570262U (en) * 2002-11-22 2004-01-01 Micro Star Int Co Ltd Optical disk drive with a tray-constrained mechanism
KR100480642B1 (ko) * 2003-01-27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524967B1 (ko) * 2003-05-28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7503667A (ja) * 2003-08-26 2007-02-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スク状光学データ担体のためのドライブ
US7445631B2 (en) 2003-12-23 2008-11-04 Sadra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dovascularly replacing a patient's heart valve
US20120041550A1 (en) 2003-12-23 2012-02-16 Sadra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dovascular Heart Valve Replacement Comprising Tissue Grasping Elements
US8828078B2 (en) 2003-12-23 2014-09-09 Sadra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dovascular heart valve replacement comprising tissue grasping elements
US8182528B2 (en) 2003-12-23 2012-05-22 Sadra Medical, Inc. Locking heart valve anchor
US8343213B2 (en) 2003-12-23 2013-01-01 Sadra Medical, Inc. Leaflet engagement elemen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100532506B1 (ko) * 2004-03-04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TWI251820B (en) * 2004-03-23 2006-03-21 Lite On It Corp Accessing device of optical disc
TWI241529B (en) * 2004-04-14 2005-10-11 Benq Corp Optical disk device
US7318230B2 (en) * 2004-06-04 2008-01-08 Bose Corporation Media player tray bezel compliance coupling
TWI245262B (en) * 2004-06-08 2005-12-11 Lite On It Corp Self-aligning device of panel of optical disc drive
JP2006024278A (ja) * 2004-07-08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TWI271707B (en) * 2004-12-31 2007-01-21 Lite On It Corp Tray door exactly guiding mechanism for optical disk device
CN100367399C (zh) * 2005-01-10 2008-02-06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静电防护的光盘机
JP4096317B2 (ja) * 2005-01-14 2008-06-04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DE102005003632A1 (de) 2005-01-20 2006-08-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atheter für die transvaskuläre Implantation von Herzklappenprothesen
JP4277807B2 (ja) * 2005-02-08 2009-06-1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298673B2 (ja) * 2005-04-28 2009-07-22 東芝サムスン 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148237B2 (ja) * 2005-05-18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7363638B2 (en) * 2005-10-25 2008-04-22 Quanta Storage Inc. Disk driv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TWI310674B (en) * 2006-04-28 2009-06-01 Quanta Storage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in an optical disk drive
CN101101784B (zh) * 2006-07-07 2010-05-12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光驱静电防护装置
CN101202096B (zh) * 2006-12-11 2011-01-19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光驱静电防护装置
US7896915B2 (en) 2007-04-13 2011-03-01 Jenavalve Technology, Inc. Medical device for treating a heart valve insufficiency
CN101315805B (zh) * 2007-05-30 2011-03-30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光盘机静电防护装置
JP2009043100A (ja) * 2007-08-09 2009-02-26 Fujitsu Ltd 媒体ド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US9044318B2 (en) 2008-02-26 2015-06-02 Jenavalve Technology Gmbh Stent for the positioning and anchoring of a valvular prosthesis
WO2011104269A1 (en) 2008-02-26 2011-09-01 Jenavalve Technology Inc. Stent for the positioning and anchoring of a valvular prosthesis in an implantation site in the heart of a patient
JP5607639B2 (ja) 2008-10-10 2014-10-15 サドラ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用デバイス・システム
US8095943B2 (en) * 2009-04-27 2012-01-10 Hung-Chi Teng Slot-in optical disk drive
WO2010126291A2 (en) * 2009-04-28 2010-11-04 Lg Electronics Inc. Disk drive
WO2011147849A1 (en) 2010-05-25 2011-12-01 Jenavalve Technology Inc. Prosthetic heart valve and transcatheter delivered endoprosthesis comprising a prosthetic heart valve and a stent
CN102591429A (zh) * 2011-01-18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锁扣组件及使用该锁扣组件的电子装置
JP6563394B2 (ja) 2013-08-30 2019-08-21 イェーナヴァルヴ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人工弁のための径方向に折り畳み自在のフレーム及び当該フレ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4836071B (zh) * 2014-02-08 2019-07-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结构及应用该结构的电子装置
WO2016177562A1 (en) 2015-05-01 2016-11-10 Jenavalve Technology, Inc. Device and method with reduced pacemaker rate in heart valve replacement
EP4183371A1 (en) 2016-05-13 2023-05-24 JenaValve Technology, Inc. Heart valve prosthesis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heart valve prosthesis with introducer sheath and loading system
WO2018138658A1 (en) 2017-01-27 2018-08-02 Jenavalve Technology, Inc. Heart valve mimicry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5985A (ja) * 1991-04-26 1992-11-16 Sony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帯電除去機構
KR950034255U (ko) * 1994-05-30 1995-12-18 분리형 카 오디오의 정전기 방지 구조
JPH08171787A (ja) * 1994-12-19 1996-07-02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KR960024976U (ko) * 1994-12-28 1996-07-22 카 오디오의 액정디스플레이 정전기 방지장치
KR960024966U (ko) * 1994-12-27 1996-07-22 착탈식 카오디오의 콘트롤 부 정전기 방지용 시일드 플레이트
KR19980042927U (ko) * 1996-12-24 1998-09-2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패널 정전기 접지 구조
JP2002056646A (ja) * 2000-08-04 2002-02-22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2170371A (ja) * 2000-11-28 2002-06-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筐体アース取り構造
JP2002245770A (ja) * 2001-02-19 2002-08-30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レー組込み型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966A (ko) 1994-12-31 1996-07-20 구자홍 자삽기의 가동상태 감시장치
JP3582236B2 (ja) * 1996-07-05 200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
JPH1153876A (ja) * 1997-06-06 1999-02-26 Sony Corp ディスク装置とコンピュ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5985A (ja) * 1991-04-26 1992-11-16 Sony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帯電除去機構
KR950034255U (ko) * 1994-05-30 1995-12-18 분리형 카 오디오의 정전기 방지 구조
JPH08171787A (ja) * 1994-12-19 1996-07-02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KR960024966U (ko) * 1994-12-27 1996-07-22 착탈식 카오디오의 콘트롤 부 정전기 방지용 시일드 플레이트
KR960024976U (ko) * 1994-12-28 1996-07-22 카 오디오의 액정디스플레이 정전기 방지장치
KR19980042927U (ko) * 1996-12-24 1998-09-2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패널 정전기 접지 구조
JP2002056646A (ja) * 2000-08-04 2002-02-22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2170371A (ja) * 2000-11-28 2002-06-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筐体アース取り構造
JP2002245770A (ja) * 2001-02-19 2002-08-30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レー組込み型ディス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371B1 (ko) * 2005-06-10 2011-12-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젝트버튼 접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7874B (en) 2005-02-11
TW200406745A (en) 2004-05-01
US7134128B2 (en) 2006-11-07
KR20040038631A (ko) 2004-05-08
CN100386817C (zh) 2008-05-07
US20040163094A1 (en) 2004-08-19
CN1499515A (zh) 200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131B1 (ko) 디스크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305683B2 (en) Disk rotation device and disk drive device
US7428122B2 (en) Hermetically sealed disk drive with low height
JP3675346B2 (ja) ディスク装置
JP4122931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563224B1 (ko) 디스크장치
US7185346B2 (en) Low-profile disk unit
JP4144324B2 (ja) ディスク装置
JP4085779B2 (ja) ディスク装置
JP4122933B2 (ja) ディスク装置のイジェクト/ロック機構
US7784067B2 (en) Optical disk apparatus
JP4154998B2 (ja) ディスク装置
JP2922047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4152434A (ja) ディスク装置
JP4239727B2 (ja) ディスク装置
JP2558604Y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940007515B1 (ko) 기록 재생 장치
JP285197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3065056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4193573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40046653A (ko)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030026531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020048807A (ko) 디스크 드라이브
JP200324907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055649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