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294A -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294A
KR20040038294A KR1020020067187A KR20020067187A KR20040038294A KR 20040038294 A KR20040038294 A KR 20040038294A KR 1020020067187 A KR1020020067187 A KR 1020020067187A KR 20020067187 A KR20020067187 A KR 20020067187A KR 20040038294 A KR20040038294 A KR 2004003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nector
lamp
housing
room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241B1 (ko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2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21L1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pable of hand-held use, e.g. inspection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 B60Q2500/30Arrangements for illuminating different zones in the vehicle, e.g. front/rear, different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야간에 자동차의 외부를 점검하기 위한 조명등으로 인하여 별도의 비용이 소모되고, 조명등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520)을 통해 루프패널(510)과 연결되고, 내면에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된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끼움공 (230)과 설치공(240)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200)과; 스프링(31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설치공(240)으로 돌출되는 걸림구(311)와 상기 걸림구(31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위치(313)로 이루어진 걸림장치(300)와;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제2접지단자(120)와 제2커넥터(110)가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각각 끼움구 (130)와 걸림홈(14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160)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과; 제3커넥터(410)와 전선(420)으로 이루어진 차량 전원용 연결구 (400)를 구성하므로서, 헤드라이닝(520)에 고정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분리시킨 다음 차량 전원용 연결구(400)를 사용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엔진룸이나 자동차 외부를 조명하면서 정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Room lamp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에 고정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필요에 따라 헤드라이닝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차 내부의 구석진 부분을 조명하거나 야간에 자동차 외부를 정비할 때의 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운행하게 되므로 상대방 자동차나 보행자에 대하여 주행중 자기의 의사를 밝히기 위하여 방향지시등, 제동등, 후진 등 외에 후미등, 차폭등, 번호판등, 비상점멸 신호등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안전기준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고 작동과 성능도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즉,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안전등의 하나로 방향지시를 운전석에서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있어야 하며, 작동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계기판을 통해 확인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점멸 주기에 변화가 없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비상 점멸 경고등(Hazard warning signal flasher)은 방향지시등을 비상시의 신호로 사용하는 것이며, 확인방법, 램프의 색, 점멸 횟수 등은 방향지시등의 안전기준과 같다.
또한 안개등(Fog lamp)은 필라멘트가 1개이고 텅스텐 전구를 사용하는 것과 할로겐전구를 사용한 것이 있으며, 황색이나 오렌지색을 내기 위하여 전구의 유리나 렌즈에 착색을 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차체에 설치할 때에는 낮은 위치로 앞범퍼의 윗면이나 아랫면에 설치하며, 이때 빛이 위로 향하면 안개등의 입자에 의해 난반사를 일으켜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기 때문에 주광축이 위로 향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배광특성은 수평방향으로 확산 각도를 넓히도록 하며 균일하게 배광되어야 한다.
그리고 후진등(Back-up lamp)은 자동차가 후진할 때 뒤쪽의 장애물의 확인과 후방에 대하여 자동차가 후진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설치는 뒤범퍼나 미등속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변속기 시프트레버를 후진 위치에 놓으면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전구의 밝기는 5∼27W 정도이며 램프색은 백색을 사용한다.
또한 미등(Tail lamp)은 야간에 주행하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 자동차가 존재를 알리는 표시등으로 구조는 미등으로만 사용하는 단독식과 제동등과 겸용으로 사용하는 겸용식이 있고, 겸용식의 전구는 하나의 전구속에 2개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미등은 5∼8W 이고 제동등은 25W 정도이며, 렌즈는 적색으로 안전기준에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등(Stop lamp)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뒤차에 제동함을 알리는 램프인데 제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며 안전기준에 정하여지고 있고, 미등처럼 단독식과 겸용식이 있으며 렌즈는 적색이고 전구는 15∼30W 정도를 많이 사용하여 미등과 겸용식인 경우에는 중심 광도가 미등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차폭등(Clearance lamp or position lamp)은 야간에 자동차의 너비를 나타내는 등으로 전면에 양쪽에 설치하며, 등의 색깔은 백색 또는 오렌지색으로 전구는 5∼10W 정도를 사용한다. 그리고 차폭등은 그 구별을 위하여 방향지시등과 겸용을 금지하고 있어 차폭등(백색)과 방향지시등(오렌지색)을 하나의 램프에 조합하여 기계적으로 분리한 컴비네이션 램프를 주로 사용하며, 전조등에 조합한 형식도 있다.
이 밖에 자동차 뒷쪽에 설치된 번호판을 조명하는 번호판등(License plate lamp)이 있으며, 차실내를 조명하는 실내 조명등(Room lamp) 등이 있다.
한편, 실내 조명등은 자동차 실내에 고정된 상태로 자동차 실내를 조명할 뿐 야간에 자동차의 외부를 조명할 수가 없으므로 야간 주행시 자동차의 이상으로 자동차의 외부를 검사하거나 또는 엔진룸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손전등과 같은 조명등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며, 구매한 조명등은 차내에 보관해야 되므로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아울러 필요에 따라 보관된 조명등을 찾을 경우 조명등의 보관장소를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어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고정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으로부터 간단히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분리된 실내 조명등을 이용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외부나 엔진룸 등을 정비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라이닝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그 상단이 루프패널과 연결된 연결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상단 내면에는 제1커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접지단자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설치브라켓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기 설치브라켓의 설치공을 통해 돌출되는 걸림구가 설치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걸림장치와; 하우징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제2접지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 일측에는 제2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의 끼움공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장치의 걸림구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램프와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과; 일단에는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는 제3커넥터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전선에 의해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되며, 차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3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보호덮개를 설치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내 조명등이 평상시에는 헤드라이닝의 설치브라켓에 고정되어 있으며, 필요시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으로부터 실내 조명등 분리시킨 다음 차량의 엔진룸에 위치한 차량 전원용 연결구에 연결시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후 야간에 자동차의 엔진룸을 검사하거나 자동차의 외부를 조명하면서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원용 연결구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과 차량 전원용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110 : 제2커넥터
120 : 제2접지단자130 : 끼움구
140 : 걸림홈150 : 램프
160 : 전원스위치200 : 설치브라켓
210 : 제1커넥터220 : 제1접지단자
230 : 끼움공240 : 설치공
300 : 걸림장치310 : 몸체
311 : 걸림구312 : 스프링
313 : 스위치400 : 차량 전원용 연결구
410 : 제3커넥터420 : 전선
510 : 루프패널511 : 연결브라켓
520 : 헤드라이닝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루프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브라켓과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브라켓과 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원용 연결구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실내 조명등과 차량 전원용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라이닝(520)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그 상부는 루프패널(510)과 연결브라켓(511)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내면에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끼움공(23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설치공(240)이 형성된 설치브라켓(200)과; 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31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몸체(310)의 일측면을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설치공(240)으로 돌출되는 걸림구(311)가 형성되고, 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311)를 몸체(310) 내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위치(313)가 형성된 걸림장치(30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220)와 연결되는 제2접지단자(120)가 설치되고, 상면 일측으로는 제2커넥터(110)가 설치되며, 하우징 (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끼움공(230)에 끼워지는 끼움구(130)가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장치(300)의 걸림구(311)가 끼워지는 걸림홈(140)이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 (160)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과; 일단에는 상기 제2커넥터(110)와 결합될 수 있는 제3커넥터(410)가 형성되고 타단은 전선(420)에 의해 차량의 전원부(도면중 미도시)와 연결된 차량 전원용 연결구(40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600)은 자동차의 엔진룸이며, (610)은 상기 엔진룸(600)에 위치한 차체이고, (611)은 상기 차체(610)에 형성된 구멍이며, (620)은 제3커넥터(410)를 보호해주는 보호덮개이고, (621)은 보호덮개(620)에 형성된 끼움클립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의 헤드라이닝(520)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이 필요에 따라 헤드라이닝(5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된 실내 조명등의 전원은 엔진룸(600)에 구비된 차량 전원용 연결구(400)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서, 야간에 자동차의 엔진룸을 정비하거나, 자동차의 외부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실내 조명등을 예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헤드라이닝(520)을 통해 루프패널(510)에 고정되는 설치브라켓(200)과, 실내 조명등과, 상기 실내 조명등을 설치브라켓(200)에 탈착시킬 수 있는 걸림장치(300)와, 분리된 실내 조명등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차량 저원용 연결구(400)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설치브라켓(200)은 헤드라이닝(520)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부가 루프패널(510)에 설치되어 있던 연결브라켓(511)과 고정되며, 상기 상부의 내면에는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1접지단자(220)는 설치브라켓 (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커넥터(210)는 자동차의 전원부와 연결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끼움공(230)과 설치공(240)이 형성되어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100)이 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240)의 바깥쪽에는 걸림장치(300)가 구비되어 있는데, 걸림장치(300)의 몸체 내부에는 스프링(3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12)에는 걸림구(311)의 일단이 감겨져 있고 걸림구(311)의 타단은 몸체(310)의 외부를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설치공(240)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몸체(310)의 저면에는 스위치(313)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치(313)는 걸림구(311)와 연결되어 있어 스위치(313)를 일측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몸체(310)의 외부를 통해 설치공 (240)에 돌출되어 있던 걸림구(311)가 몸체(31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100) 상면 중앙에는 제2접지단자(120)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하우징(100)을 설치브라켓(2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제2접지단자(120)가 제1접지단자(220)에 연결되면서 자동차의 전원이 제1커넥터(210)와 제1접지단자 (220)와 제2접지단자(120)를 통해 인가되면서 실내 조명등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며, 하우징(100)의 상면 일측에는 제2커넥터(110)가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160)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도 2 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브라켓에 실내 조명등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설치브라켓(200)이 연결브라켓(511)을 통해 루프패널(5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100)을 설치브라켓(200)의 내부로 집어넣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100)의 일측 끼움구(130)를 우선 설치브라켓(200)의 끼움공(230)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타측을 설치브라켓(200)의 내부로 밀어넣게 되면 걸림장치(300)의 걸림구(311)는 하우징(100)의 타단에 의해 눌려 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몸체(31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후 하우징(100)의 타측이 연결브라켓(511)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하우징(100)의 걸림홈(140)에 상기 걸림구(311)가 위치하게 되면서 스프링(312)의 탄성력을 받고 있던 걸림구(311)가 설치공(240)을 통해 하우징(100)의 걸림홈(140)에 끼워지게 되면서 하우징(100) 전체가 설치브라켓(200)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하우징(100)의 상면에 설치된 제2접지단자(120)는 설치브라켓(200)의 상부 내면에 위치한 제1접지단자(220)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브라켓(200)에 하우징(100)이 결합된 후 하우징 (100)의 저면에 위치한 전원스위치(160)를 작동시키면 차량의 전원이 제1커넥터 (210)와 제1접지단자(220)와 제2접지단자(120)를 통해 램프(150)에 인가되면서 램프가 점등되는 것이다.
그리고 야간에 자동차에 외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비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520)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걸림장치(300)의 스위치(313)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걸림구(311)를 몸체(310) 내부로 잡아당겨 주게 되면 걸림구(311)가 하우징(100)의 걸림홈(140)에서 빠지게 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일측이 설치브라켓 (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어서 하우징(100)의 타측 끼움구(130)를 설치브라켓(200)의 끼움공(230)으로부터 빼내게 되면 하우징(100) 전체를 설치브라켓 (2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하우징(100)의 제2접지단자 (120) 또한 제1접지단자(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분리된 하우징(100)의 제2커넥터(110)에는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엔진룸(600)에 구비된 차량 전원용 연결구(400)의 제3커넥터(410)를 연결하므로서 하우징(100)의 전원스위치(160)를 작동시켜 램프(15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면서 자동차 엔진룸(600)을 살펴보거나, 타이어의 상태 또는 자동차의 외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커넥터(410)가 엔진룸(600)에 그내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 금속성 물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3커넥터(410)의 내부로 유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덮개(620)를 구성하여 제3커넥터(4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3커넥터(410)를 보호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덮개(620)를 제3커넥터(410)와 개별적으로 구성할 경우 보호덮개(620)가 분실될 수도 있으므로 보호덮개(620)를 제3커넥터(410)와 일체형태로 구성하여 보호덮개(620)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또한 엔진룸(600)에 설치되어 있는 제3커넥터(410)가 주행중 유동될 수도 있으므로 엔진룸(600)의 일측부위 차체(610)에는 구멍(611)을 형성하고, 보호덮개 (620)의 일측에는 끼움클립(621)을 구성하므로서, 제3커넥터(410)가 결합되어 있는 보호덮개(620)의 끼움클립(621)을 상기 구멍(611)에 끼워넣어 고정시킴에 따라 제3커넥터(410)가 엔진룸(600)에서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으로부터 탈착이 될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실내 조명등을 역할 을 수행하다가 야간에 자동차의 엔진룸을 점검하거나 타이어 또는 자동차의 외부를 점검하고자 할 경우에는 헤드라이닝에서 실내 조명등을 분리시킨 다음 엔진룸에 구비된 차량 전원용 연결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라이닝(520)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그 상부는 연결브라켓(511)에 의해 루프패널(510)에 고정되고, 상부 내면에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끼움공(230)과 설치공(240)이 형성된 설치브라켓(200);
    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31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몸체(310)의 일측면을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설치공(240)으로 돌출되는 걸림구(311)가 형성되고, 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311)를 몸체(310) 내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위치(313)가 형성된 걸림장치(300);
    하우징(100)의 상면 중앙에는 제2접지단자(120)가 설치되고, 상면 일측으로는 제2커넥터(110)가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끼움구 (130)와 걸림홈(140)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 (160)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
    일단에는 제3커넥터(410)가 형성되고 타단은 전선(420)에 의해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차량 전원용 연결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전원용 연결구(400)의 제3커넥터(410) 선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보호덮개(620)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
  3. 제 2 항에 있어서, 보호덮개(620)를 제3커넥터(410)의 일측에 일체형태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620)의 일측에는 차체에 결착될 수 있는 끼움클립(621)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
KR10-2002-0067187A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10050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87A KR100501241B1 (ko)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87A KR100501241B1 (ko)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94A true KR20040038294A (ko) 2004-05-08
KR100501241B1 KR100501241B1 (ko) 2005-07-18

Family

ID=3733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87A KR100501241B1 (ko)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2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2555B2 (en) 2008-05-02 2012-02-28 Kim Yong Wook Apparatus for cleaning floor
KR20190071993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신성Atc 천정 고정형 엘이디 조명장치
WO2021112289A1 (ko) * 2019-12-05 2021-06-10 이재용 바이크용 라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2555B2 (en) 2008-05-02 2012-02-28 Kim Yong Wook Apparatus for cleaning floor
KR20190071993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신성Atc 천정 고정형 엘이디 조명장치
WO2021112289A1 (ko) * 2019-12-05 2021-06-10 이재용 바이크용 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241B1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4479A (en) Automotive, front and side brake/running/turn signal light
JPH06509768A (ja) 車両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照明装置及びこの装置の使用方法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KR100501241B1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US4791401A (en) High level rear brake lamp and alternating directional lamps
KR20090114666A (ko) 자동차용 도어램프
US20030086275A1 (en) Inclement weather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TWM609114U (zh) 機車用之日行燈結構
KR20040038295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200337164Y1 (ko) 신호 장치
KR20040038290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100501243B1 (ko)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에 설치된 주차 보조등
KR200206284Y1 (ko)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KR20010091192A (ko) Led리어램프 및 실내등
CN2480232Y (zh) 汽车转向辅助照明装置
KR100515096B1 (ko) 보조 후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범퍼가드
JP3078607U (ja) 自動車用照明装置
JP3023824U (ja) 車幅指示及び停車時側照装置
KR0149628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형 램프
KR200168343Y1 (ko)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20040023015A (ko) 안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범퍼가드
KR19980063090U (ko)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KR19980038329U (ko) 턴시그널 램프 겸용 테일 램프
KR19980074407A (ko) 자동차용 룸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