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159A -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159A
KR20040038159A KR1020020067038A KR20020067038A KR20040038159A KR 20040038159 A KR20040038159 A KR 20040038159A KR 1020020067038 A KR1020020067038 A KR 1020020067038A KR 20020067038 A KR20020067038 A KR 20020067038A KR 20040038159 A KR20040038159 A KR 20040038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state
double lock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080B1 (ko
Inventor
곽경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0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모터 및 제1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1 링크를 통해서 구동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에는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도어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와 연결되는 제3 링크, 상기 제3 링크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언로킹상태에서 누름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전하는 제4 링크, 및 상기 제4 링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서 도어래치에 삽입 또는 탈피함으로써 도어를 닫거나 잠기게 하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래치부로 구성되는 도어로킹장치로서, 상기 도어래치부는, 상기 제4 링크의 하부에서 도어의 이중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에 따라 상기 제4 링크와 연결이 단속되며, 언로킹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폴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6 링크와, 상기 제4 링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중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제4 링크의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상기 제6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고, 언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제4 링크 및 제6 링크 모두를 회전시키는 이중로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Door Locking System Having Dead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키나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로킹한 경우, 반드시 키나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서만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데드록장치(Dead lock system, 이하 '이중로킹장치'라 한다.)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로킹장치(1)는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구동부(2)와 상기 구동부(2)에 의해서 연동되는 도어래치부(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축상에 워엄(2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모터(20), 상기 제1 모터(20)의 워엄(21)과 맞물리는 워엄기어 형상의 제1 기어(22), 상기 제1 기어(22)와 동축상에 고정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평기어 형상의 제2 기어(23), 상기 제2 기어(23)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3 기어(24), 그리고 상기 제3 기어(24)의 후면에 위치하며 제3 기어(24)와 동축상에 연결되어 제3 기어(24)의 회전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구동 레버(25)로 구성된다.
도어래치부(3)는 상기 구동레버(25)와 연결되어 구동레버(2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링크(31), 상기 제1 링크(31)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제1 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연동되는 제2 링크(32), 그리고 일측은 상기 제2 링크(32)에 형성된 돌기(320)를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슬롯(330)을 구비하며 타측은 도어의 외측 핸들 연결용 로드(37)와 연결되는 제3 링크(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링크(33)의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37)가 형성된 측에는 누름단(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4 링크(34)는 상기 제3 링크(33)의 측면에서 위치하며 상기 누름단(33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연결레버(340)를 구비하고 있다. 제4 링크(34)의 하부에는 폴 레버(미도시, 도 2의 도면부호 38참조)가 제4 링크(3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폴 레버는 회전에 의해서 도어래치(미도시, 도 2의 도면부호 39참조)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링크(33)는 도어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37)와 연결되며, 도어 외측 핸들 연결용 로드(37)는 도어의 내부 트림 상단면에 설치된 버튼식 로킹 노브(미도시)쪽과 연결된다. 또한 도어래치부(3)는 일측은 제3 링크(33)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 내측 핸들 연결용 레버(40)에 의해서 눌림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5 링크(35)를 포함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도어로킹장치(1)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도어는 상기 도어래치에 폴 레버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닫혀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로킹장치가 로킹상태에 있는지 언로킹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도어로킹장치의 작용에 차이를 가진다. 운전자가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눌러 도어를 로킹상태로 조작할 경우, 구동부(2)에서는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가 상기 제1 모터(2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1 모터(20)가 회전하게 되어 제1 기어(22)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제2 기어(23)를 매개로 제3 기어(24)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기어(24)의 회전에 의해서 연동되는 구동레버(25)가 X축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래치부(3)의 제1 링크(31)가 X축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에 의해서 연동되는 제2 링크(32)가 Z축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링크(3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320)가 도 1b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3 링크(33)의 일측에서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330)을 가압하게 되어, 제3 링크(33)는 Z축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링크(33)와 일체로 형성된 누름단(331)이 제4 링크(34)의 연결레버(34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도어로킹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37)가 직선 운동을 하거나 또는 도어 내측핸들 연결용 레버(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제5 링크(35)의 회전에 의해 제3 링크(33)가 Y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제3 링크(33)의 슬라이드 슬롯(330)은 상기 제2 링크(32)의 돌기(320)를 따라 슬라이딩될 뿐, 제3 링크(33)의 누름단(331)이 연결레버(340)를 밀어붙일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결레버(34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레버(340)에 의한 제4 링크(34)의 회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제4 링크(34)의 하부에 위치한 폴 레버(미도시)도 회전할 수 없게 되어 도어로킹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반대로, 도어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도어의 로킹을 해제시키면, 상기 로킹 시의 작동과 반대로 상기 제1 모터(20)가 회전하게 되어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연동하여 도 1b의 실선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3 링크(33)가 Z축에 대해서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누름단(331)이 연결레버(340)와 연동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언로킹상태가 된다. 상기 언로킹상태에서 상기 도어 트림 상단면에 설치된 버튼식 로킹 노브를 조작하여 도어 외측 핸들 연결용 로드(37)를 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거나, 또는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 내측 핸들 연결용 레버(40)를 회전시키면, 제3 링크(33)가 슬라이딩 슬롯(330)을 따라 직선운동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레버(340)를 밀게 되면 제4 링크(34)가 회전하게 되며, 이후 제4 링크(34)의 하부에 위치한 폴 레버가 회전하여 도어래치를 회전시키면서 도어를 열게 한다.
하지만, 종래의 도어로킹장치는 로킹상태에서 제4 링크(34)가 Z축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만 하면, 용이하게 언로킹상태에 이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 로킹상태에서, 강선과 같은 공구를 도어패널과 유리창 사이의 틈새로 밀어 넣어 수회 왕복시키면 어느 순간에 강선의 끝단이 로킹상태의 제4 링크(34)를 회전시키거나, 제4 링크(34)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링크들 즉, 제1 링크(31)나 제2 링크(32)를 회전시켜 도어를 로킹상태에서 언로킹상태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실내의 카오디오나 각종 귀중품을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중로킹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주로 제4 링크(34)가 로킹상태에서 외력에 의해서 언로킹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는 상기 구동부(2)의 제1 모터(20)의 회전을 억제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인 제4 링크(34)의 언로킹상태로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서 구동부의 제1 모터(2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또한 이중로킹상태에 대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동부에 내장하게 되는데, 마이크로 스위치 자체의 내구력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제4 링크(34)가 언로킹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도어를 로킹 시킬 경우 이중으로 로킹되고, 상기 이중로킹장치는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만 언로킹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킹장치의 구동부에 두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이중로킹상태를 구현함으로써 도어로킹장치의 작동에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도어로킹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도어로킹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의 중앙로킹 및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의 이중로킹 및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구동부 3 : 도어래치부
20 : 제1 모터27 : 제2 모터
38 : 폴레버41 : 도어로킹부재
342 : 제1 관통슬롯360 : 제2 관통슬롯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모터 및 제1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1 링크를 통해서 구동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에는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도어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와 연결되는 제3 링크, 상기 제3 링크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언로킹상태에서 누름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전하는 제4 링크, 및 상기 제4 링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서 도어래치에 삽입 또는 탈피함으로써 도어를 닫거나 잠기게 하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래치부로 구성되는 도어로킹장치로서, 상기 도어래치부는, 상기 제4 링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이중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에 따라 상기 제4 링크와의 연결이 단속되고, 언로킹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폴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6 링크와, 상기 제4 링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중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제4 링크의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상기 제6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고, 언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제4 링크 및 제6 링크 모두를 회전시키는 이중로킹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이중로킹부재가 제4 링크와 제6 링크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이중으로 로킹시키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4 링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레버의 반대측에는 직선부와 곡선부를 구비한 제1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 링크는 상기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 하부에 직선형의 제2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통슬롯에 의해서 제4 링크와 제6 링크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관통슬롯에는 상기 이중로킹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스톱퍼가 삽입되되, 이중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제1 관통슬롯에만 삽입되며, 언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스톱퍼가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 및 제2 관통슬롯 모두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중로킹상태에서는 제4 링크가 회전되더라도 제6 링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중로킹부재의 일단은 연결로드를 통해서 구동부의내측에 위치하는 제2 모터에 연결되며, 제2 모터는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회전되어 이중로킹부재의 스톱퍼 위치를 상기 이중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의 위치로 변경되도록 하여 이중로킹상태를 운전자가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시도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의 중앙 로킹 및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의 이중로킹 및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로킹장치는 종래의 도어로킹장치와 비교하여 크게는 제1 모터(20), 구동레버(25), 제1 링크(31), 제2 링크(32) 및 제3 링크(33) 등의 구성 및 작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성 및 작용들에 대한 설명은 종래기술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모터(20)의 회전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제2 링크(32)에 의해서 연동되는 제3 링크(33)의 중간부분에는 누름부재(332)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누름부재(332)의 타측 끝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4 링크(34)의 연결레버(340)가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4 링크(34)는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연결레버(340)의 반대편에는 제1관통슬롯(3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래와 달리 하부에서 폴 레버(3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1 관통슬롯(342)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342a)와 상기 직선부(342a)의 일단에서 곡선형으로 연장하는 곡선부(342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 링크(34)의 측면에는 도어 내측핸들 연결용 레버(40)가 설치되어 있어 도어 내측핸들 연결용 레버(4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4 링크(3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4 링크(34)의 하부에는 제4 링크(34)와 동일한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6 링크(36)가 설치된다. 상기 제6 링크(36)의 하부에는 제6 링크(36)의 회전에 의해서 연동하는 폴 레버(38)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6 링크(36)가 회전되어야만 폴 레버(38)가 회전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6 링크(36)에는 상기 제4 링크(34)의 제1 관통슬롯(34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관통슬롯(3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통슬롯(360)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태이며, 상기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342a)와 일치하게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되지 않은 51은 키가 삽입되는 키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링크(34)의 상부에는 이중로킹부재(41)가 설치되며, 상기 이중로킹부재(41)는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하는 스톱퍼(4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톱퍼(410)는 상기 제4 링크(34) 및 제6 링크(36)의 제1 및 제2 관통슬롯(342, 360)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410)는 이중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에 따라 상기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342a) 및 제2 관통슬롯(360)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는 동시에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중로킹부재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은 상기 이중로킹부재(41)의 일단에서 연결로드(50)에 의해서 제2 모터(27)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모터(27)는 구동부(2)의 내측에 위치하여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작동된다. 상기 제2 모터(27)는 제1 모터(20)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상에 워엄(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워엄(28)은 워엄기어 형상의 제4 기어(29)와 치합되며, 상기 제4 기어(29)는 연결로드(26)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모터(27)가 회전함에 따라 이중로킹부재(41)와 연결되는 연결로드(26)의 단부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중로킹부재(41)의 스톱퍼(410)가 상기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342a) 및 제2 관통슬롯(360)을 따라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410)가 Y축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A의 위치(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342a)와 곡선부(342b)가 연결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톱퍼(410)는 Z축 방향으로 약간 상승되어 제1 관통슬롯(342)에만 삽입되고 그 하부에 위치한 제2 관통슬롯(360)에는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 제4 링크(34)는 상기 스톱퍼(410)가 제1 관통슬롯의 곡선부(342b)를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반면, 제4 링크(34)와 연결되지 않은 제6 링크(36)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서 제4 링크(34)가 회전하더라도 제6 링크(36)와 연결된 폴 레버(38)가 회전할 수 없어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를 데드록상태 혹은 이중로킹상태라고 한다. 하지만, 상기 제2 모터(27))의 회전에 의해서 이중로킹부재(41)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Z축 방향으로는 하강 이동하여 B의 위치에 있게되면, 상기 스톱퍼(410)는 제1 및 제2 관통슬롯(342, 360) 모두에 삽입되며, 이 경우에는 제4 링크(34)의 회전이 상기 스톱퍼(410)를 통해서 제6 링크(36)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제4 링크(34)가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면 제6 링크(36)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폴 레버(38)가 회전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언로킹상태라고 한다.
이하, 상기 설명한 구성을 가지고 본 발명에 따른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도어를 이중로킹시키기 위해서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제1 모터(20)와 제2 모터(27)가 회전하게 된다. 제1 모터(20)의 회전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동 부재(25), 제1 링크(31), 및 제2 링크(32)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3 링크(33)가 Z축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3 링크(33)에 고정된 누름부재(332)와 제 4링크(34)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레버(340)가 마주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종래의 중앙록(central lock)상태이다. 여기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332)가 외력에 의해서 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더라도 연결부재(340)와 마주치지 않게 되므로 연결부재(340)가 회전할 수 없게 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이중로킹부재(41)의 스톱퍼(410)가 도 5의 B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4 링크(34)의 회전이 제6 링크(36)에 전달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로킹장치와 같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제3 링크(33)가 회전하여 누름부재(332)가 연결부재(340)를 가압할 수있는 위치(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4 링크(34)의 측면에 위치한 도어 내측핸들 연결용 레버(40)가 작동하거나 하면 쉽게 제4 링크(34)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6 링크(36) 및 폴 레버(38)가 회전하여 도어가 열리게 된다.
하지만,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중로킹장치는 제1 모터(20)가 작동한 이후 제2 모터(27)가 회전하여 상기 연결로드(26)의 하부 끝단을 X축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중로킹부재의 스톱퍼(410)를 A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스톱퍼(410)는 제4 링크(34)의 제1 관통슬롯(342)에만 삽입된 상태가 되고, 이때 외부의 힘에 의해서 제4 링크(34)가 회전하더라도, 제4 링크(34)만이 곡선부(342b)를 통해 스톱퍼(410)에 관계없이 공회전하게 되며, 스톱퍼(410)가 삽입되지 않은 제6 링크(36)는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로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운전자가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상기 로킹시와 반대로 먼저 제2 모터(27)가 작동하여 이중로킹부재(41)의 스톱퍼(410)가 B의 위치로 이동하고 제1 및 제2 관통슬롯(342, 360)에 모두 삽입되며, 이후 제1 모터(20)가 로킹 시와는 반대로 회전하여 제3 링크(33)의 누름부재(332)가 제4 링크(34)의 연결부재(34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어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 또는 도어 내측핸들 연결용 레버 등을 사용하여 쉽게 도어를 열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중로킹부재를 부가하여 이중로킹시 폴 레버와의 연결을 분리하도록 하여 이중로킹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실질적으로 폴 레버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중로킹상태에서의 상기 이중로킹부재의 위치 이동을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모터 및 제1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1 링크를 통해서 구동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에는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도어 외측핸들 연결용 로드와 연결되는 제3 링크, 상기 제3 링크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언로킹상태에서 누름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전하는 제4 링크, 및 상기 제4 링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서 도어래치에 삽입 또는 탈피함으로써 도어를 닫거나 잠기게 하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래치부로 구성되는 도어로킹장치로서,
    상기 도어래치부는,
    상기 제4 링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이중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에 따라 상기 제4 링크와의 연결이 단속되고, 언로킹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폴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6 링크와,
    상기 제4 링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중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제4 링크의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상기 제6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고, 언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제4 링크 및 제6 링크 모두를 회전시키는 이중로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링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레버의 반대측에는 직선부와 곡선부를 구비한 제1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 링크는 상기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 하부에 직선형의 제2 관통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슬롯에는 상기 이중로킹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스톱퍼가 삽입되되, 이중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제1 관통슬롯에만 삽입되며, 언로킹상태에서는 상기 스톱퍼가 제1 관통슬롯의 직선부 및 제2 관통슬롯 모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킹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로킹부재의 일단은 연결로드를 통해서 구동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모터에 연결되며, 제2 모터는 키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회전되어 이중로킹부재의 스톱퍼 위치를 상기 이중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의 위치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킹장치.
KR10-2002-0067038A 2002-10-31 2002-10-31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10044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038A KR100448080B1 (ko) 2002-10-31 2002-10-31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038A KR100448080B1 (ko) 2002-10-31 2002-10-31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159A true KR20040038159A (ko) 2004-05-08
KR100448080B1 KR100448080B1 (ko) 2004-09-10

Family

ID=3733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038A KR100448080B1 (ko) 2002-10-31 2002-10-31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45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KR20160010882A (ko) * 2016-01-12 2016-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KR20160054690A (ko) * 2014-11-06 2016-05-1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45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KR20160054690A (ko) * 2014-11-06 2016-05-1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KR20160010882A (ko) * 2016-01-12 2016-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080B1 (ko)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788A (en) Door locking device
EP0995635B1 (en) Rotatably closing antitheft covering for car apparatus.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5066054A (en)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feature
US20120000258A1 (en) Vehicle door locking device
JP2003090158A (ja) 車両用ゲートロック装置
GB2466165A (en) Door latch device for automobile
JP2847461B2 (ja) 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機構
JP2004143754A (ja) 電気錠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JP3338950B2 (ja) ドアロック装置
GB2453017A (e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ing
JP2002322837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3628872B2 (ja) 電動式ドア錠の駆動装置
EP1160403B1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KR100336468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잠금 장치
KR100901607B1 (ko)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JP3364566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JPH1054164A (ja) ドアクローザ装置
EP3663491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0494753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0203955Y1 (ko) 무선 도어 보조 자물쇠 잠금 스위치 작동 장치
GB2415740A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JP4126180B2 (ja) 電気錠の切換え装置
KR100223089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