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45A -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45A
KR20100003745A KR1020080063716A KR20080063716A KR20100003745A KR 20100003745 A KR20100003745 A KR 20100003745A KR 1020080063716 A KR1020080063716 A KR 1020080063716A KR 20080063716 A KR20080063716 A KR 20080063716A KR 20100003745 A KR20100003745 A KR 20100003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skin
anionic poly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611B1 (ko
Inventor
임연희
손성길
이인호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6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9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sulfur, e.g. sodium PG-propyldimethicone thiosulfat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컨디셔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이온성 폴리머로 특정 화학식을 갖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젖음시와 헹굼시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고, 컨디셔닝 성분의 피착체로의 흡착이 향상되어 마른 후에도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오랫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음이온성 폴리머, 양이온 계면활성제, 코아세르베이트

Description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Composition of transparent wash-off type essence for hair or skin}
본 발명은 컨디셔닝 효과를 얻는 방법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폴리머를 함유하는 컨디셔닝 에센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요인에 의하여 모발, 피부 등이 손상되어 거칠음 및 건조함이 증가하고, 윤기 및 탄력을 잃어 부드러움과 유연효과가 떨어지게 됨에 따라, 모발 및 피부의 손질이 어려워지고, 모발이 잘리거나 끝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정 시 혹은 세정 후 모발 또는 피부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손상을 회복시키기 위한 다양한 컨디셔너 성분 및 제형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특히 음이온성 폴리머는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점도 조절 등의 효과를 가지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콤플렉스를 형성하여 컨디셔닝제의 흡착 양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종래에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 컴플렉스인 코아세르베이트 현상을 활 용하여 컨디셔닝 효과를 개선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공개특허 평10-87441호는 1제에 음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2제에 양이온성 물질과 헤어 트리트먼트제를 배합하여 모발에 1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2제를 도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컴플렉스를 형성함으로써 모발을 컨디셔닝하는 제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 공개특허 2001-48751호는 음이온성 다당류와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1제와 양이온성 활성제와 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2제로 헤어 트리트먼트를 구성하고, 1제와 2제를 모발에 순서대로 사용하여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제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2제로 구성되어 사용이 복잡하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 공개특허 2006/0293197호와 2006/0293213호에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 폴리머 및 양쪽성 폴리머로 구성된 단일 제제(1제식의 제제)로 사용시 물로 희석됨에 따라서 형성되는 수불용성 컴플렉스인 코아세르베이트에 의해서 모발, 피부, 섬유 등에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는 물에 의해서 씻겨나가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코아세르베이트의 점착 특성이 비교적 약하고, 마른 후 음이온성 폴리머 특유의 좋지 않은 촉감을 드러내는 등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제식의 복잡한 사용상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젖음시 및 헹굼시 사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마른 후에도 모발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컨디셔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말레익산 단량체 유니트, 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메틸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 및
(b)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 유니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를 위한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1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술폰산기(SO3-H+), 포스포릭산기(PO4-H+), 포스포닉산기(PO3-H+) 또는 그것의 염임.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2
본 발명자들은 음이온성 폴리머의 일부 또는 전부로 상기에 제시된 음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음이온성 폴리머 이외에 양이온성 폴리머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질과의 점착성이 강하면서도 많은 양의 수-불용성 이온 컴플렉스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할 수 있고, 젖음시와 헹굼시 및 마른 후에도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wash-off 타입 컨디셔닝 에센스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사용시 물과의 희석에 의하여 양이온과 음이온간에 형성되는 수-불용성의 컴플렉스인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성분으로 음이온 폴리머로서 (a) 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말레익산 단량체 유니트, 메틸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 및 (b)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 유니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를 위한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3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술폰산기(SO3-H+), 포스포릭산기(PO4-H+), 포스포닉산기(PO3-H+) 또는 그것의 염임.
이러한 음이온성 폴리머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머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은 5 내지 1,000,000의 정수이며, m:n의 비율은 95:5 내지 50:50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음이온 폴리머는 수용액 상태에서 음전하를 띠므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이온 결합을 이루어서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기 용이하며, 또한 고분자 내에 술폰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져 물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용해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원할 경우 투명한 컨디셔너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분자량이 2,000 내지 2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 내지 100,000인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70,000인 것이다.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의 카르복실기와 술폰기는 모노머 비율로 95 : 5 내지 50 : 5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술폰기의 비율이 적을 경우에는 용해성 촉진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술폰기의 비율이 높을 경우에는 전체 폴리머의 색상이 진한 갈색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가 터폴리머일 경우에는 아크릴계 : 말레익계 : 술폰산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터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터폴리머는 90 : 5 : 5 내지 40 : 30 : 3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술폰기의 비율이 적거나 높을 경우에는 코폴리머의 경우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고분자의 0.1 %(w/w) 수용액의 pH가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폴리메타크릴릭애씨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릭애씨드, 설포네이트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카르복시구아, 아크릴레이트실리콘코폴리머, 카보머, 알긴익액씨드, 프로필렌글리콜알기네이트, 카라기난검, 잔탄검, 셀룰로오스검, 카라야검, 검 아카시아, 검 아 라빅, PVM/M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VA/크로토네이트 코폴리머 등과 같은 다른 음이온성 폴리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에 있어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에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등의 양이온성 물질과의 코아세르베이트 생성이 저조하여 컨디셔닝 성분의 흡착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아세르베이트의 과도한 생성으로 컨디셔닝 성분이 모발과 두피에 과도하게 흡착하여 좋지 않은 느낌을 주고 사용감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와 반응하여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는 성분으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ii) (a) 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말레익산 단량체 유니트, 메틸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와 (b) 상기 화학식 2의 단량체 유니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를 위한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양이온 계면활성제 성분으로는 사급화된 장쇄 모노/디/트리 알킬 암모늄 염, 친수기로 치환된 사급 장쇄 모노/디/트리 알킬 암모늄 염, 모노/디 알킬 아민, 염화 벤잘코늄 등과 같은 사급화된 알킬, 사급화된 알킬아미도, 사급화된 이 미다졸린, 사급화된 폴리머 형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등의 형태를 1종 이상 혼합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사급화된 장쇄 모노/디 알킬 암모늄 염에는 베헤닐트리메틸아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올레알코늄클로라이드, 수소화된 탈로우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14-18) 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탈로우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탈수소화된 탈로우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친수기로 치환된 장쇄 모노/디 알킬 암모늄 염은 디알킬아미도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디알킬아미도에틸디메틸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히드록시에틸 메틸암모늄염 및 그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1차, 2차 혹은 3차 지방족 아민들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소 12 내지 22개의 3차 아민이 선호된다. 여기에 속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팔미트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팔미트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팔미트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팔미트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베헤닐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베헤닐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아 라키드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미도에틸스테아르아마이드 등이 있다.
또한 이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총 함량은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비 0.01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폴리머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이 미미하여 목적하는 수준의 컨디셔닝 효과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에 눅눅한 느낌을 주고 침전 및 상 안정성 저해 우려가 있어 사용 시 부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또한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천연 또는 합성의 양이온성 폴리머로,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 4, 폴리쿼터늄 10, 폴리쿼터늄 24, PG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킬디암모늄 클로라이드,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주쇄 4차 암모늄 고분자; 폴리쿼터늄 2, 폴리쿼터늄 6, 폴리쿼터늄 7, 폴리쿼터늄 11, 폴리쿼터늄 16, 폴리쿼터늄 17, 폴리쿼터늄 18, 폴리쿼터늄 28, 폴리쿼터늄 32, 폴리쿼터늄 37, 폴리쿼터늄 43, 폴리쿼터늄 44, 폴리쿼터늄 46, 폴리메타실아미도프로필 트리모늄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마이드공중합체,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주쇄 4차 암모늄 고분자; 키토산, 4급화된 프로테인, 가수분해된 프로테인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천연주쇄 양쪽성 고분자; 폴리쿼터늄 22, 폴리쿼터늄 39, 폴리쿼터늄 47, 아디프산디메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삼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PVP)-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폴리아민에서 선택된 양이온성 고분자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에 있어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에서는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이 저조하여 컨디셔닝 성분의 흡착 저하로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아세르베이트의 과도한 생성으로 컨디셔닝 성분이 모발과 두피에 과도하게 흡착하여 좋지 않은 느낌을 주기 때문, 즉 사용감이 나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등과 같은 알킬디메칠 베타인, 알킬아미도 베타인, 설포베타인, 양쪽성 이미다졸린 형태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피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실리콘, 식물 또는 동물로부터 얻어진 오일 및/또는 유지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천연 오일 또는 식물성 방향 오일이나 동물에서 얻어진 유지는 모발 및 피부에 천연의 마일드한 컨디셔닝 효과 및 아로마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고, 동시에 누적 흡착에 의한 자극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으로는 수불용성 비휘발성의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아미노화 실리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비닐 실리콘 등의 실리콘으로 통칭되는 성분 및 이들의 유도체들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유성 오일 성분으로는 탄화수소 오일 및 합성 에스테르 오일, 미네랄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탄화수소 오일에는 유동파라핀(mineral oil), 이소파라핀, 수소화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등이 있고, 에스테르 오일에는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등이 있다. 또한 천연 오일 또는 식물성 방향 오일이나 유지는 통상적으로 모발 및 피부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식물성 방향 오일, 식물성 유지, 동물성 오일, 동물성 유지 등의 천연에서 유래된 오일 및/또는 유지가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식물성 오일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 오일, 알몬드 오일, 스위트알몬드 오일, 비터알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세사미(참깨) 오일, 라이스브랜 오일, 홍화 오일, 대두유, 콘 오일, 카눌라 오일, 애프리코트커넬 오일, 피치커넬 오일, 팜커넬 오일, 팜 오일, 피마자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포도씨 오일, 목화씨 오일, 코코넛 오일, 동백 오일, 복숭아씨 오일, 살구씨 오일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에 향을 부여하고 컨디셔닝 효과를 보조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 식물성 방향 오일로는, 예를 들어, 오렌지 오일, 라벤더 오일, 쟈스민 오일, 라임 오일, 버가못 오일, 레몬 오일, 로즈 오일, 샌달우드 오일, 제라늄 오일, 사이프러스 오일, 프랑킨센스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로즈마리 오일, 캐모마일 오일, 티트리 오일, 릴리 오일, 민트 오일, 파인 오일, 만다린그린 오일, 네롤리 오일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동물성 오일 또는 유지로는, 예를 들어, 우지, 돈지, 양지, 경화유, 마유, 밍크오일, 난황지방유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가용화, 용해성 개선 등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컨디셔너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통상적인 피부, 모발 및/또는 두피용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정제, pH조정제, 향료, 염료, 컨디셔닝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상품명: Kathon CG, 제조회사: 미국 롬앤하스사)을 들 수 있다. 점증제 또는 점도조정제로는 지방산 알콜, 지방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컨디셔닝제로는 동식물성 추출물, 단백질 및 단백질 변형체, 고급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너 조성물은 특정 화학구조의 아크릴릭 코폴리머 음이온 고분자를 함유하고 있어, 젖음시 및 헹굼시 사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마른 후에도 모발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컨디셔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컨디셔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증점제로 구아 검 2-하이드록시프로필 에테르를 분산 용해시킨 후,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폴리쿼터늄-10 또는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분산제로 라우릴 폴리글리콜 에테르와 통상적인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혹은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투입한 후 가온하여, 60℃에서 방부제인 메틸파라벤을 투입하고, 가열 교반하였다. 15분 이상 교반하여 메틸파라벤이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냉각시키면서 음이온성 폴리머로 화학식 1의 아크릴릭 코폴리머인 폴리아크릴릭 & 아미노에틸프로판술포닉 엑시드 혹은 비교예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상품명: Carbopol 1342, 제조사: Noveon)를 투입한 후 30분 이상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구아 검 2-히드록시프로필 에테르(1) 1 1 1 1 1 1
폴리쿼터늄-10 (2) 1 - 1 1 - 1
구아 히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4) - 1 - - 1 -
라우릴폴리글리콜 에테르 2.5 2.5 2.5 2.5 2.5 2.5
세틸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0.5 0.5 - 0.5 0.5 -
베헤닐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 - 0.5 - - 0.5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폴리아크릴릭 & 아미노에틸프로판술포닉 엑시드 (50%) (5) 0.2 0.2 0.2 - - -
아크릴레이트 &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2.44%) (6) - - - 3 3 3
상기 표 1에서, (1)은 상품명 Jaguar HP-105(Rhodia사), (2)는 상품명 Polymer JR 400(Amerchol사), (3)은 상품명 Polymer LR 400(Amerchol사), (4)는 상품명 Jaguar C-17(Rhodia사)을 이용하였다. (5)는 유효성분 농도 50%인 수용액이며, (6)은 상품명 Carbopol 1342(Noveon사)로 유효성분 농도 2.44%인 것을 사용하였다.
<컨디셔닝 효과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린스오프 타입 컨디셔너 제품을 두발 제품에 대한 관능평가 경험이 풍부한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통상의 사용 방법으로 사용하게 한 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을 각 처방 별로 10명씩 컨디셔너로 사용하게 하였다. 헹굼시와 젖음시의 모발 감촉 및 마른 후의 컨디셔닝 감촉을 평가하게 하였고, 이 두 가지 특성의 평균치를 각 처방예의 컨디셔닝 효과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매우 나쁜 경우 1점, 나쁜 경우 2점, 모발 감촉이 보통인 경우 3점, 좋은 경우 4점, 매우 좋은 경우 5점을 부여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시료명 헹굼/젖음시 감촉 마른 후 감촉 컨디셔닝 효과
실시예 1 3.6 4.2 3.8
실시예 2 3.3 3.9 3.6
실시예 3 3.8 4.1 3.9
비교예 1 3.1 3.1 3.0
비교예 2 3.2 2.7 2.9
비교예 3 3.4 2.8 3.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의 아크릴릭 코폴리머 음이온 고분자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컨디셔너 조성물들은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들에 비하여 헴굼시 및 젖음시의 모발 감촉이 우수하고, 마른 후의 컨디셔닝감도 우수하였다.

Claims (8)

  1. (a) 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말레익산 단량체 유니트, 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메틸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 및
    (b)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 유니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를 위한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5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술폰산기(SO3-H+), 포스포릭산기(PO4-H+), 포스포닉산기(PO3-H+) 또는 그것의 염임.
  2. (i)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ii) (a) 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말레익산 단량체 유니트, 메틸메스아크릴릭산 단량체 유니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와 (b)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 유니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니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를 위한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6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술폰산기(SO3-H+), 포스포릭산기(PO4-H+), 포스포닉산기(PO3-H+) 또는 그것의 염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 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47702956-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은 5 내지 1,000,000의 정수이며, m:n의 비율은 95:5 내지 50:50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조성물.
KR1020080063716A 2008-07-02 2008-07-02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KR10158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16A KR101587611B1 (ko) 2008-07-02 2008-07-02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16A KR101587611B1 (ko) 2008-07-02 2008-07-02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863A Division KR101677926B1 (ko) 2016-01-12 2016-01-12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45A true KR20100003745A (ko) 2010-01-12
KR101587611B1 KR101587611B1 (ko) 2016-01-21

Family

ID=4181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716A KR101587611B1 (ko) 2008-07-02 2008-07-02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048A (ko) * 2001-07-24 2004-03-04 코티 비. 브이 방수성, 내마모성 모발 및 화장용 화장품
KR20040038159A (ko) * 2002-10-31 200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20040074125A (ko) * 2002-01-18 2004-08-21 노베온 아이피 홀딩스 코프. 모발 셋팅용 조성물, 중합체 및 방법
KR100743813B1 (ko) * 2006-07-28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048A (ko) * 2001-07-24 2004-03-04 코티 비. 브이 방수성, 내마모성 모발 및 화장용 화장품
KR20040074125A (ko) * 2002-01-18 2004-08-21 노베온 아이피 홀딩스 코프. 모발 셋팅용 조성물, 중합체 및 방법
KR20040038159A (ko) * 2002-10-31 200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100743813B1 (ko) * 2006-07-28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611B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6129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US10561591B2 (en) Hair care regimen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moisture control materials
JP7041165B2 (ja) 毛髪を処置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方法
JP5946719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DE202016008131U1 (de) Zusammensetzung zur Haarverfestigung und deren Anwendung zum Festigen der Haare
KR101824754B1 (ko) 오래 지속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케라틴 기재에 도포되는 개인 관리 조성물 첨가제
TWI736624B (zh) 毛髮處理劑
TW200848086A (en) Hair-shape controlling composition
US1014364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ampholytic polymer association
KR100929956B1 (ko) 지속성을 갖는 이제식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TW201919562A (zh) 液狀染毛劑組合物
TW201919570A (zh) 液狀染毛劑組合物
EP3522860B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TW201919568A (zh) 液狀染毛劑組合物
WO2017036134A1 (en)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hair care containing lotus flower oil and use thereof
KR10074381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383779B1 (ko) 코아세르베이트 컨디셔너 조성물
KR101970233B1 (ko) 세정 조성물
KR101677926B1 (ko)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KR101587611B1 (ko) 투명한 워시-오프 타입의 모발 또는 피부용 에센스 조성물
KR10129169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743829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740733B1 (ko)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KR102111719B1 (ko)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JP2024017999A (ja) 染毛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