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715A - 임플란트, 임플란트로 이루어진 장치 및 임플란트를골조직에 삽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임플란트로 이루어진 장치 및 임플란트를골조직에 삽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715A
KR20040036715A KR10-2004-7002299A KR20047002299A KR20040036715A KR 20040036715 A KR20040036715 A KR 20040036715A KR 20047002299 A KR20047002299 A KR 20047002299A KR 20040036715 A KR20040036715 A KR 20040036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cortical
screw
bore hole
bon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471B1 (ko
Inventor
홀멘안데르스
라스무손라르스
벤델마츠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2850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367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4003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1)에 관한 것으로서, 이 나사 임플란트(1)는 해면부(3)와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된다. 상기 피질부(2)에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이 마련되어 있고, 이 외측 표면의 외부 구조는 나사 체결 토크의 작용하에서 상기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피질부(2)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반경 방향으로의 피질 골조직의 압축 만을 증대시키도록 작용하여, 임플란트(1)의 나사 체결에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를 현저히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토크의 증대를 임플란트(1)가 보어 구멍의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및 보어 구멍을 포함하는 장치와,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임플란트로 이루어진 장치 및 임플란트를 골조직에 삽입하는 방법{IMPLANT, ARRANGEMENT COMPRISING AN IMPLANT, AND METHOD FOR INSERTING SAID IMPLANT IN BONE TISSUE}
나사 타입의 임플란트는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을 갖는 임플란트이며, 치과 및 정형외과의 보철물 등과 같은 각종 보철물에 대한 고정 부재로서 사용된다. 이 때문에, 상기 나사 타입의 임플란트는 보철물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서 골조직 구조의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보어 구멍은 임플란트의 형상에 거의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 크기는 약간 더 작다. 상기 임플란트에는 셀프 컷팅 에지가 마련되어, 임플란트의 나사 체결 동안에 하나 이상의 암나사부를 보어 구멍의 내벽에 컷팅할 수 있다. 셀프 컷팅 에지가 없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삽입 이전에 암나사부를 보어 구멍에 형성하여야 한다.
골조직은 2가지 구성 요소, 즉 해면 골조직과 피질 골조직을 구비한다. 뼈의 대부분은 대개 해면 골조직으로 형성되는데, 이 해면 골조직은 뼈의 내부에 있는 비교적 연한 조직이다. 피질 골조직은 보다 단단하며, 대개 상기 해면 골조직을 둘러싸는 비교적 얇은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최종 위치에서, 전술한 타입의 나사 임플란트는 대개 그 길이 방향으로 큰 부분이 해면 골조직과 접촉하고, 임플란트의 일단부에 있는 작은 부분에서만 피질 골조직과 접촉한다.
나사 타입의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고정된 상태인 경우, 보철 부품을 지지하는 상부 구조물이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 임플란트가 치과 보철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부 구조물은 대개 지대치 또는 경점막 요소로 이루어지며, 임플란트와 맞물려서 상악골 또는 하악골을 덮는 잇몸의 임플란트 부위에 브릿지를 형성한다. 그 후, 예컨대, 크라운, 브릿지 또는 의치 등의 보철 부품을 지대치에 고정한다. 또한, 임플란트는 잇몸 횡단 요소(transgingival component) 등의 상부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상부 구조물 상에는 예컨대 크라운이 직접 고정된다.
많은 종래의 나사 타입 임플란트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골 흡수 문제점이라 불리운다. 일단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설치된 경우에 임플란트를 둘러싸는 뼈가 퇴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골 흡수란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임플란트를 둘러싸는 뼈의 양이 줄어들면 안정성이 저하하게 되며, 보철물의 파손이 초래될 수도 있으므로, 골 흡수는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골 흡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뼈의 가장 단단한 부분인 피질골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단 골 흡수가 실제로 일어나면, 부차적인 문제점들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치과 보철물과 관련된 부차적인 문제점으로는, 예컨대 임플란트를 둘러싸는 잇몸 조직에 염증을 발생시키는 치석이 침착하는 것 또는 임플란트의 노출 단부를 따라 잇몸 조직이 하향 성장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의 미적 요소도 골조직 흡수에 의해 서서히 훼손되며, 이는 특히 임플란트가 치과 용례로 의도된 경우에는 치과 보철물이 미용 수술 분야의 일부분을 담당하므로 중요한 단점이 된다.
골 흡수의 생물학적 원인은 아직 완전히 파악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의 생각에 따르면, 골조직의 과자극 및 저자극 모두가 골 흡수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임플란트의 적절한 부하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원 발명자는 주로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축선 방향 부하가 뼈에 적절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임플란트의 개발에 관한 과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중에, 상기 부하를 인접 골 조직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 즉 큰 응력 집중 또는 피크점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O 00/03657(Astra Aktiebolag; Hansson)에는 원통형 샤프트를 구비하는 종래의 나사 타입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임플란트의 사용시 골조직에 매설되도록 되어 있고, 이 샤프트의 외측 표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거칠게가공된 부분이 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거칠게 가공된 부분은 제1 축선 방향 섹션과 제2 축선 방향 섹션을 구비하고, 이들 섹션은 각각 일련의 원주 방향 피크를 포함하며, 이들 피크는 크레스트를 갖고 축선 방향으로 트로프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제1 축선 방향 섹션에 있어서 인접 피크의 크레스트 사이의 축선 방향 간격은 제2 축선 방향 섹션에 있어서 인접 피크의 크레스트 사이의 축선 방향 간격보다 작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거칠게 가공된 부분의 제1 축선 방향 섹션과 제2 축선 방향 섹션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피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주 방향으로 거칠게 가공된 부분을 구성하는 나사부는 셀프 태핑 타입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임플란트는 골조직에 완전히 매몰되어, 임플란트의 상부와 이 임플란트가 삽입되어 있는 뼈의 외표면은 동일면 상에 있다.
전술한 임플란트에서, 원주 방향으로 거칠게 가공된 부분의 제1 축선 방향 섹션과 제2 축선 방향 섹션은, 주변에서의 골 흡수를 억제하기 위해 임플란트가 부하를 골조직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임플란트의 단점은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 설치할 때 드러날 수 있다. 상기 보어 구멍의 크기는, 보어 구멍의 벽에 나사부를 컷팅하는 임플란트의 셀프 태핑 컷팅 에지를 이용하여 임플란트가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식으로 형성된 나사부는 임플란트를 적소에 유지하는 데 유용하여,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치료 과정을 촉진시킨다. 불행하게도, 외과 의사가 임플란트를 소정 위치로, 즉 임플란트가 보어 구멍의 바닥에 닿는 위치로 나사 체결할 때, 외과 의사는 임플란트를 계속 조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본래, 임플란트는 상기 위치로부터 뼈안으로 더 조여질 수 없다. 그 대신에, 추가적인 조임은 단지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서 회전시키지만, 임플란트는 동일 높이에 유지되어, 그 결과 상기 회전은 보어 구멍에 미리 컷팅된 암나사부의 파괴를 초래한다. 암나사부가 없다면, 임플란트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안정성이 저하됨에 따라 임플란트에 대한 치료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부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증대된다. 치과 용례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이러한 부차적인 문제점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연질의 결체 조직이 임플란트 둘레에 형성된다는 것이 있다.
미국 특허 제5,427,527호(Niznick)에는 그 밖의 종래 나사 타입의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b(본 발명의 인용 특허와 관련이 있는 종래 기술 도시)에서, 원통형 임플란트는 6각 돌출 헤드가 있는 평활한 상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단 임플란트의 샤프트 부분에 있는 나사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직경까지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에는 여러 종류의 헤드부가 마련되지만, 전술한 WO 00/03657(Astra Aktiebolag, Hansson)의 임플란트와 마찬가지로 보어 구멍의 나사부가 손상되기 쉬운 것으로 보인다. 동일한 인용 문헌에는, 원추형 임플란트가 기술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임플란트의 테이퍼 각도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용 문헌의 내용에는 임플란트 길이의 적어도 50%가 원뿔형이어야 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임플란트는 직경이 임플란트의 하부보다는 크고 상부보다는 작은 골조직의 원통형 보어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원뿔형 임플란트가원통형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될 때, 뼈는 임플란트의 상부 주위로 퍼져, 그 결과 임플란트가 접하는 뼈의 양이 증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427,527호(Niznick)에서는, 뼈가 작거나 얇아서 폭이 좁은 임플란트가 먼저 사용된 경우에 사용되는 원뿔형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도 임플라트가 보어 구멍의 단부에 도달한 이후에도 외과 의사가 계속 성장 토크를 인가하기 쉬울 수 있어, 이와 같은 임플란트의 회전이 상기 보어 구멍의 미리 컷팅된 나사부를 파괴하게 된다. 따라서, 원뿔형 임플란트는 WO 00/03657(Astra Aktiebolag, Hansson)의 임플란트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다른 단점으로는 이러한 임플란트의 원뿔형 형상으로 인해 많은 양의 뼈가 퍼지게 되며, 그 결과 추가적인 부하를 받게된다는 것이 있다. 이는 원뿔형 형상이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추가적인 부하가 골조직에 과부하를 걸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골 흡수 대신에 임플란트 안정성의 열화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나사 임플란트는 해면부(海綿部)라 불리우는 해면골 결합부와 소정의 축선 방향 길이를 갖는 피질부(皮質部)를 구비하여, 상기 보어 구멍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와 상기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만 한정된다. 상기 피질부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 임플란트의 골조직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나사 임플란트 및 보어 구멍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확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의 측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의 식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확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확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제4 실시예의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확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제5 실시예의 측면도.
도 8b는 도 8a의 확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a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의 식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식립된 상태이고 상부 구조물에 치관이 설치되어 있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의 측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정확한 방식으로 설치하기가 더 용이하고, 특히 임플란트의 삽입시에 나사부가 파괴되는 문제가 줄어드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그 밖의 중요한 측면에서도, 예컨대 안정적인 기본 고정, 초기 안정성 및 골조직의 적절한 부하를 제공하면서 주변에서의 골 흡수가 일어나는 경향이 없는 측면 등에서 양호하게 기능하는 임플란트이어야한다.
전술한 목적은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로서, 해면부와 소정의 축선 방향 길이를 갖는 피질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어 구멍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와 상기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만 한정되는 나사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피질부에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표면의 외부 구조는, 임플란트가 나사 체결 토크의 작용하에서 상기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피질부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반경 방향으로의 피질 골조직의 압축 만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하여, 임플란트의 나사 체결에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를 현저히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이러한 토크의 증대를 임플란트가 보어 구멍의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피질골의 결합부"라는 용어는 임플란트가 식립된 상태에서 상기 피질 골조직층과 주로 맞물리게 되는 임플란트의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간단한 표기를 위해, 상기 용어는 이하의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피질부"라 칭한다. 이와 유사하게, "해면골 결합부"라는 용어는 "해면부"라 칭하며, 이는 해면 골조직과 주로 맞물리게 되는 임플란트의 부분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대체적 내용은 나사 체결 토크의 작용하에서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피질 조직의 압축을 거의 반경 방향으로 증대시키도록 작용하는 피질부를 구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이 증대됨으로써 임플란트를 조이는 데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가 현저히 증대되어, 이 나사체결 토크는 임플란트가 보어 구멍의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표시를 형성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임플란트를 조일 위험, 즉 과잉 회전의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 전술한 압축의 증대를 얻기 위해, 보어 구멍의 형상은 피질부의 외형을 따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이고 피질부를 갖는 경우, 보어 구멍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보어 구멍은 보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직경이 해면부보다 약간 작다.
상기 피질부의 외부 구조는 임플란트의 단위 길이당 피질부의 외부 용적이 임플란트의 단위 길이당 해면부의 외부 용적과 관련하여 증대되도록 되어 있다. 해면부가 보어 구멍에 서서히 나사 체결될 때, 해면부가 이미 피질 조직을 약간 압축하고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그러나, 피질부의 나사 체결은 피질 골조직의 압축을 증대시켜, 임플란트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가 바람직하게 증대된다.
피질 골조직은 상기 압축이 약간만 증대되는 경우에도 나사 체결 토크가 상당히 변화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단단하다. 그러나, 피질골은 압축에 민감하고 다량의 압축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은 불필요하게 커서는 안된다. 따라서, 골조직의 압축은 허용 가능한 수준 내에서 유지되면서 나사 체결 토크는 현저히 증대되도록, 근소한 압축을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골조직의 전체 압축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과도한 압축은 골 흡수로 이어져 조직을 약화시키고,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골조직의 전체 압축을 최소화하는 것이 유익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질골의 압축을 약간 증대시키는 것만으로도 나사 체결 토크를 바람직하게 현저히 증대시키는 데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골조직의 다른 부분에 대한 압축을 증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임플란트가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유용해지기 위해서는, 임플란의 삽입 과정의 최종 단계에 이르기까지, 즉 임플란트의 피질부가 피질골과 맞물릴 때까지, 토크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피질부의 축선방향 길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피질부의 결합이 전반적으로 피질 골조직층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는 것이 유익하다.
피질 골조직에 대한 압축의 증대만을 사용한다는 사실로부터 얻어지는 다른 유익으로는, 단지 종래 임플란트의 피질부의 외형을 조금 변경함으로써 전술한 압축이 얻어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안된 피질부를 마련한다고 해서, 종래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이 현저히 변화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기존 임플란트 형상이 제공하는 유익 또는 대안은 본 발명에 따른 피질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이는 골 흡수의 회피를 목적으로 부하가 임플란트 둘레에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만들어진 이전의 경험 및 구조를 이용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것이다.
다른 유익으로는, 이러한 압축의 증대가 식립 직후에 임플란트와 피질 조직 사이의 압력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인 기본 고정 및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의 증대를 초래한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요인은 임플란트 주변에서의 골조직 형성을 조장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연질 결체 조직이 임플란트 주변에 형성될 위험과 골 흡수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치료 기간을 단축시킨다.
피질부와 피질골의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피질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표면이 마련된다. "나사부가 형성된"은 해당 부분이 나사로서 기능할 수 있게된 표면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는 소정의 나선형 구성을 갖는 임의의 표면은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이라는 용어에 한정되며, 예컨대 일련의 불연속적인 돌출부, 그에 이은 리브(rib) 또는 통상의 나사부를 갖는 표면을 예로 들 수 있다. 요즈음에는, 통상의 나사부가 있는 표면이 가장 유익한 대안인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은, 피질 골조직과의 결합이 피질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피질부를 나사 체결할 때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를 현저히 상승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점이 유용하다. 이러한 효과때문에, 피질 골조직의 압축은 평활한 표면을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작게 유지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익하다. 또한, 임플란트의 나사 체결 중에,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은 피질부를 보어 구멍 안으로 하향 압박하여, 피질 골조직을 실질상 반경 방향으로 압축한다.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이 없다면, 피질부의 나사 체결을 방해하는 골조직의 힘이 피질부를 하향 압박하는 힘을 극복할 우려가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임플란트에 인가되는 나사 체결 토크는 임플란트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할뿐만 아니라, 임플란트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작용을 하여, 보어 구멍에 컷팅된 암나사부가 손상될 수 있다.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이 갖는 다른 장점으로는, 이들 표면이 골조직 성장에 유익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과, 주변 골조직에 대한 보다 적절한 부하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부하 분배 기능때문에, 상기 표면은 골조직 성장을 촉진하고 주변에서의 골 흡수를 억제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피질부의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은 임플란트의 기본 고정 및 초기 안정성에 기여한다.
이제, 임플란트의 피질부 및 해면부의 정의를 다시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식립된 나사 임플란트는 해면 골조직과 피질 골조직 모두와 접촉한다. 그러나, 피질 골조직은 뼈 주변에 비교적 얇은 층을 구성하므로, 나사 임플란트는 그 길이 방향의 대부분이 해면골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피질부의 길이는 임플란트 길이에 비해 비교적 짧은데, 이는 피질부의 길이가 주로 피질 골조직층의 두께에 상당하기 때문이다. 상기 두께는 뼈의 타입, 식립 부위 및 개개의 환자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인 두께는 대략 0.5-1 mm 내지 3 mm이다.
본원에서 피질 조직과 해면 조직을 논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골조직 구조의 일반적인 경우를 참조로 한다. 그러나, 뼈의 대부분이 피질 조직으로만 이루어지는 색다른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색다른 경우는, 특히 오랜 동안 헐거운 피개 의치(overdenture)를 사용한 환자의 아래턱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골조직의 변형 과정에 기인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주로 일반적인 경우에 유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상기 색다른 경우에 사용될 때에도 그 기능을 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임플란트에 관한 "위" 및 "아래"와 같은 방향 용어와 상부, 저부, 아래 등의 관련 용어가 언급된 부분은, "위"가 선단 또는 종단, 즉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를 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래"가 삽입 단부, 즉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를 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하부"는 보어 구멍에 먼저 도입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용어의 해석은 임플란트가 식립 및 사용될 수 있는 실제 방향과 관련하여 어떤 제한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피질부는 임플란트가 그 최종 위치에 있을 때 피질 골조직과 결합하도록 임플란트의 최상단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나사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은, 임플란트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를 나사 체결된 임플란트의 길이의 함수로서 관련지으면 보다 쉽게 설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 관한 함수에는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부분이 나타난다. 제1 부분은 대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해면부에 관한 나사 체결에 해당하고, 제2 부분은 상기 임플란트의 피질부에 관한 나사 체결에 해당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기울기 차이는, 임플란트가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 또는 곧 적소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사용되는 나사 체결 토크의 상당한 상승에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은 골조직에 마련된 원통형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거의 원통형의 나사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임플란트는 원통형 외측 표면이 마련된 해변부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에는 피질부가 마련되며, 이 피질부는 보어 구멍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와 상기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만 한정되도록 축선 방향 길이를 갖는다. 원뿔형 외측 표면이 마련된 상기피질부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뿔형 외측 표면이 해면부의 원통형 외측 표면에 관하여 5°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양태는 설치 중에 의도와는 달리 보어 구멍의 암나사부가 파괴되는 경향이 가장 많은 임플란트의 타입인 거의 원통형인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므로, 특히 유용하다.
그러므로, 원통형 보어 구멍에 삽입되는 거의 원통형의 나사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 보어 구멍은 상기 원통형 임플란트보다 직경이 약간 더 작아서, 상기 나사 임플란트와 결합하는 구멍의 내벽에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임플란트는 원뿔형 외측 표면이 마련된 피질부를 구비하며, 이 외측 표면은 임플란트의 해면부의 원통형 외측 표면에 관하여 5°미만의 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임플란트가 뼈의 원통형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될 때, 피질부도 마찬가지로 원통형 보어 구멍의 내벽에 관하여 5°미만의 각도를 형성하여, 이 피질부를 둘러싸는 피질 골조직을 거의 반경 방향으로 압축한다.
놀랍게도, 전술한 작은 각도는 나사 체결 토크의 현저한 상승을 야기하는 원추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토크의 상승은 외과 의사로 하여금 임플란트가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 또는 곧 적소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느끼고 인지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각도는 상기 피질부가 피질골을 너무 많이 압축하여 피질골을 손상시킬 정도로 크지 않다.또한,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피질부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므로, 임플란트의 해면부 주변에서 뼈를 반경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압축하는 일이 없다.
피질부와 해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피질부와 상기 원통형 보어 구멍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전술한 작은 각도가 갖는 다른 유익으로는, 이러한 피질부를 종래 임플란트에 마련하는 경우에 종래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임플란트 형상에서 제공하는 장점 또는 대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골 흡수의 회피를 목적으로 부하가 임플란트 둘레에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만들어진 이전의 경험 및 구조를 이용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것이다.
상기 피질부와 관련된 "원뿔형" 외측 표면이란 표현은, 일반적인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원추성은 보통의 원뿔이나 깔대기형 원뿔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또는 뼈가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못하게 압축될 위험이 생길 정도로 각 단의 반경 방향 연장 범위의 증대가 크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일련의 불연속적인 단에 의해서도 원추성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피질부는 상이한 원추성을 갖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피질부는 원뿔형 하부와 원뿔형 상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의 외측 표면은 해면부의 외측 표면에 대해 1°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부의 외측 표면은 해면부의 외측 표면에 대해 2°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피질부의 양 부분은 모두 상기 각도와 관련한 제한 요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이는 피질부의 전체 외측 표면이해면부의 외측 표면에 관하여 5°미만의 각도를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피질부 중에서 해면부에 관한 각도가 5°를 초과하는 부분은 없다.
이들 외측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각각 표면 프로파일의 평균값으로부터 측정되어야 한다. 예컨대,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이 산과 골로 이루어진 나사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표면 프로파일의 평균값은 산-골 높이의 절반에 있다.
피질부의 외측 표면이 해면부의 외측 표면에 관하여 형성하고 있는 각도는 5°미만이고, 3°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는 0.5 내지 5°인 것이 유익하고, 0.5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은 각도는, 나사 체결 토크 상승가 바람직하게 인지되게 하면서 피질 골조직의 압축을 허용 가능한 레벨 범위 내에서 억제하는 경우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피질부와 골조직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 한정되도록, 그리고 나사 체결 토크를 바람직하게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것 이상으로 피질부가 조직을 압축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길이는 3 mm 이하이고, 0.5 내지 1.5 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압축되는 뼈의 양과 최종 나사 체결 토크의 양은 피질부의 각도 및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면, 나사 체결 토크가 증대되는 방식이 약간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축선 방향 길이를 약간 길게 하는 동시에 각도를 약간 작게 하면, 나사 체결 토크가 비교적 완만하게 증대될 것이다. 축선 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동시에 각도를 크게 하면, 나사 체결 토크가 보다 급격히 증대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면부에도 상기 피질부의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과 통합되어 있는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이 마련되어 있어, 이들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은 모두 보어 구멍의 암나사부가 형성된 공통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어 구멍의 원뿔형 상부에 마련된 암나사부를 피질부의 삽입 동안에 유지시키는 것과, 피질골의 압축에도 불구하고 상기 암나사부가 골조직과 임플란트의 피질부 사이의 접촉을 증대시키도록 여전히 작용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은 피질부를 보어 구멍에 압박하는 데 기여하여, 피질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방해 요소로서 작용하게 되는 우려를 감소시킨다. 끝으로, 서로 통합되어 있는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2개의 외측 표면은 임플란트의 나사 체결의 원할한 진행을 보장한다.
해면부와 피질부의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이 보어 구멍의 내측 표면 상에 마련된 동일한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것을 더 보장하기 위해,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은 동일한 리드(lead)를 나타내는 것이 유익하다.
나사의 리드는 나사가 한 바퀴 회전하는 경우에 나사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진하는 거리로서 정의된다.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을 얻기 위해, 상기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선이 마련된다. 본원에서 나사선은 표면으로 하여금 나사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나선형 구조, 예컨대 예컨대 일련의 불연속적인 돌출부, 그에 이은 리브(rib) 또는 통상의 나사부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선이 마련될 수 있다. 나사선은 나사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현재, 가장 유익한 나사선은 통상의 나사선인 것으로 사료된다.
예컨대, 피질부와 피질 골조직과의 최대 결합을 얻기 위해, 제1 나사선이 상기 피질부의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의 전체 축선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나사선은 상기 피질부의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과 상기 해면부의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모두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가 형성된 2개의 표면이 서로에 대해 통합되고 동일한 리드를 가져야 한다는 상기 제안은, 나사부가 형성된 2개의 표면이 동일한 나사선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쉽게 구현된다.
또한, 임플란트에는 2개의 상이한 나사선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해면부는 해면 골조직과의 결합에 특히 적합한 나사선을 갖고, 피질부는 피질 골조직과의 결합에 특히 적합한 나사선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서, 제1 나사선과 제2 나나선은 피질부와 해면부를 나누는 바로 그 횡단 경계 평면에서 분할될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제1 나사선은 해면부의 일부와 피질부 모두에 걸쳐서 연장되는 반면에, 제2 나사선은 해면부의 나머지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단일 나사선과 다중 나사선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단일 나사선은 표면으로 하여금 나사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단일 나선형 구조, 예컨대 통상의 단일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중 나사선은 적어도 제1 나선형 구조와 제2 나선형 구조를 포함하고, 제2 나선형 구조의 턴은 제1 나선형 구조의 턴 사이에 마련된다. 다중 나사선의 예로는 통상적인 다중 나사부가 있다.
특히, 각 나사부의 턴 사이의 축선 방향 거리가 짧은 나사선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다중 나사선이 유용하다. 다중 나사선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축선 방향 거리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적정한 축선 방향 리드(즉, 임플란트가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마다 임플란트가 축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변위)를 가질 수 있다. 큰 나사선과 작은 나사선의 조합이 필요한 경우, 단일 나사선과 다중 나사선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나사선은 높이 및 축선 방향 거리가 약간 작은 다중 나사선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제2 나사선은 높이 및 축선 방향 거리가 보다 큰 단일 나사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나사선과 제2 나사선은 제1 표면의 다중 나사선이 제2 표면의 단일 나사선에 이어지도록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통상의 단일 나사부와 다중 나사부가 각각 가장 바람직한 단일 나사선과 다중 나사선인 것으로 사료된다.
나사선의 세부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높이가 0.20 mm이하,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5 mm인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선이 피질 조직과의 결합에 특히 유익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나사선이 존재함으로써 골 흡수의 위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나사선은 골 흡수를 야기할 수 있는 임의의 응력 피크점을 회피하도록 라운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딩된 나사부는 산의 반경이 대략 나사부의 높이의 0.4 배 이상인 것이 유익하다. 라운딩된 나사선의 유익한 예가 WO 97/29713호(Astra Aktiebolag, Hansson)에 기술되어 있다.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완만하게 도입되게 하는 동시에 암나사부와의 결합을최적으로 이용하도록, 상기 나사선은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가 제공되는데, 이 임플란트는 원통형의 하위 해면부와 원뿔형 외측 표면이 마련된 원뿔형의 상위 해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는 피질부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보어 구멍에 설치시 피질부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 한정되도록 규정된다. 상기 피질부에는 원뿔형 외측 표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외측 표면에는 상기 결합이 달성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질부의 외측 표면이 원뿔형의 상위 해면부의 외측 표면에 관하여 5°미만의 비(非)제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원뿔형의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태의 개념과 기능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거의 원통형의 임플란트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뼈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과 조화를 이루는 형상을 갖지만 직경이 약간 더 작은 보어 구멍을 뼈에 형성하는 단계와;
- 상기 임플란트의 피질부가 상기 보어 구멍에 닿을 때까지 임플란트에 삽입 토크를 인가하여 상기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하고, 그 결과 임플란트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의 현저한 상승이 초래되는 나사 체결 단계로서, 이러한 나사 체결 토크의 현저한 상승은 임플란트가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 또는 곧 적소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에 대한 신호인 것인 나사 체결 단계를 포함한다.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에 상응하지만 크기가 약간 더 작은 보어 구멍을 뼈에 형성하는 것은 종래 방법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개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뿔형인 것이지만, 원통형 형상 및/또는 원뿔형 형상의 조합 등과 같은 그 밖의 변형예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으로부터 조금 벗어나는 것은 대개 보어 구멍의 형성 시에 고려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해면부에 대하여 피질부가 이루는 각도는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의 일부분으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실제로, 피질부와 해면부 사이의 각도는 나안으로는 거의 인지되지 않을 정도로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나사 체결하는 데 필요한 토크는 임플란트의 해면부가 보어 구멍에 도입되는 초기에는 서서히 증대된다. 그러나, 피질부가 보어 구멍에 이를 때, 임플란트 직경의 증대로 인해 상기 토크는 빠르게 상승한다. 상기 토크의 상승을 치과 의사가 느끼게 되므로, 이러한 토크의 상승은 임플란트를 더 조여서는 안된다는 신호로서 기능한다. 또한, 의사는 임플란트가 뼈에 단단히 설치되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나사 임플란트를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른 구성이 제공되는데, 이 구성은 해면부가 마련된 나사 임플란트와, 이 임플란트의 형상에 전반적으로 상응하는형상을 갖는 보어 구멍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b, 도 5b, 도 6b, 도 7b 및 도 8b에 예시된 확대부는 개략적인 것이며, 정확한 축척으로 작성된 도면에서는 나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부분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삽입된 것이다. 서로 다른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이 WO 00/03657(Astra Aktiebolag, Hansson)에 기술된 전술한 종래의 임플란트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경우에 특히 유익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거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임플란트(1)는 보철물의 고정을 위해 상악골 또는 하악골의 골조직에 뚫어놓은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치과 임플란트이다. 임플란트(1)는 통상적으로 보어 구멍의 경계벽의 골조직과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촉진하도록, 순수 티타늄, 티타늄 합금, 다른 생체친화적 금속이나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된다.
임플란트(1)의 길이는 8 내지 19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 폭은 대략 3 내지 4 mm이다. 도 1a 내지 도 3에 도시된 임플란트(1)는 길이가 12 mm이고, 폭이 4 mm이다.
임플란트는 원통형의 외측 표면이 마련된 해면부(3)와, 골조직의 보어 구멍에 설치시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과 결합하도록 축선 방향 길이가 1.5 mm인피질부(2)를 갖는다. 피질부(2)의 외측 표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임플란트의 해면부(3)에 대하여 5°미만(이 경우에는 1°)의 각도(α)를 형성하도록 다소 원뿔형인 테이퍼가 마련된다(도 1b 참조). 피질부(2)와 해면부(3)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은 P1로 표시되어 있다.
임플란트(1)를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기 위해, 해면부(3) 아래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원뿔형인 선단부(4)가 있다. 임플란트(1)의 최상단 섹션(5)은 평활하고, 임플란트의 상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이다. 최상단 섹션(5)의 축선 방향 범위는 임플란트(1)의 총 길이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4 % 이하이거나, 1.5 내지 3.7 %일 수도 있다. 뼈의 적소에 위치할 때, 최상단 섹션(5)은 뼈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임플란트의 유일한 부분이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에는 지대치 구조물(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해 최상단 섹션(5)에 개방 단부(7)를 구비한 소켓(6)이 마련되어 있어, 보어 구멍을 덮는 잇몸에 브릿지를 형성하고 보철 부품을 지지/제공한다. 소켓(6)은 원뿔형 상위 섹션(8), 암나사부가 형성된 하위 섹션(9) 및 원통형의 중간 섹션(10)으로 이루어진다. 지대치 구조물은 임플란트 소켓(6)에 나사로 유지될 수 있는 하부 섹션을 구비하여, 임플란트(1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임플란트(1)의 외측 표면(1)에는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은 P2로 표시되어 있다. 제1 나사선(11)은 해면부(3)의 일부분과 피질부(2)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나사선(11)은 해면부(3)로부터 피질부(2)까지 끊김없이 이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제1 나사선(11)은 다중 나사부, 즉 3중 나사부로서, 높이가 0.2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 mm이다. 이와 같이 높이가 작은 나사부는 "마이크로 나사부"로도 불리우고, 치과 임플란트의 상부에 마련된 경우에 특히 유익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 경우에 이러한 마이크로 나사부가 존재함으로써 주변에서의 골 흡수가 억제된다. 높이가 0.2 mm를 초과하는 나사부는 "매크로 나사부"로 불리운다.
해면부(3)의 하부와 선단부(4)에는 제2 나사선(12)이 마련된다. 이 경우에, 제2 나사선은 단일 나사선으로서, 높이가 0.2 mm를 초과하는(이 경우, 0.3 mm) 통상의 나사산을 갖는다.
제2 나사선(12)은 제1 나사선(11)에 통합되어 있어, 제2 나사선(12)의 단일 나사부의 나선이 제1 나사선(11)의 3중 나사부의 나선에 이어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은 동일한 리드를 갖는다.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이 서로 통합되어 있고, 동일한 리드를 가지며, 제1 나사선(11)이 해면부(3)와 피질부(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1)을 가로질러 끊김없이 이어져 있다는 사실은 모두, 암나사부와의 결합이 최적화되고 암나사부의 파괴가 최소화되는 상태로 임플란트를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하는 것에 기여한다. 이는 원뿔형의 피질부(2)와 연동하는 경우에 특히 유익한데, 그 이유는 골조직의 보어 구멍에 컷팅된 암나사부와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이 연동하여 피질부(2)를 보어 구멍에 압박하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는 임플란트(1) 하단부의 외주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컷팅 리세스 또는 홈(13)이 마련되어 있어,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임플란트(1)의 셀프 태핑이 이루어진다. 임플란트(1)에 컷팅 리세스(13)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전에 보어 구멍에 암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문단에 명백히 드러난 바와 같이,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2)은 원통형의 해면부(3)와 원뿔형의 피질부(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1) 아래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경계 평면(P1, P2)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나사선(11)의 다중 나사부와 제2 나사선(12)의 단일 나사부는 주변 골조직에서 응력 피크점을 회피하도록 라운딩된 구조를 각각 갖는 것이 유익하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임플란트(1)를 삽입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임플란트(1)는 피질 골조직층(52)과 해면 골조직층(53)으로 이루어진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에 나사 체결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보어 구멍(50)은 임플란트(1)의 전체적인 형상에 상응하지만 크기는 약간 더 작도록 형성되어 있어, 임플란트에 마련된 컷팅 리세스(13)가 보어 구멍(50)의 내벽에 암나사부를 태핑할 것이다. 상기 내용에서는, 보어 구멍(50)이 원뿔형 피질부(2)를 고려하여 형성되지는 않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보어 구멍(50)은 임플란트(1)의 해면부(3)에 있는 나사부의 산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것이다.
보어 구멍(50)에 나사 체결할 때, 컷팅 리세스(13)가 있는 선단부(4)를 먼저 도입시킨다. 임플란트를 나사 체결하는 데 필요한 토크는 임플란트가 뼈안으로 계속 내려감에 따라 단지 서서히 증대된다(도 4a 참조). 이 단계에서는 보어 구멍(50)에 접촉하게 되는 임플란트 면적의 증대 및 보어 구멍(50)의 태핑 때문에 토크가 증대되어, 임플란트와 벽 사이의 전체 마찰량이 증대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면부(3)와 피질부(2) 사이의 경계 평면(P1)이 피질 골조직층(52)의 외측 표면과 일치할 때, 다음 몇번의 임플란트의 턴에 의해 원뿔형의 피질부(2)가 보어 구멍(50) 안으로 하향 압박된다. 그 후, 보어 구멍을 둘러싸는 피질 골조직(52)의 압축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보어 구멍(50)의 내벽과 피질부(2) 사이의 마찰도 현저히 증대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를 나사 체결하는 데 필요한 토크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은 임플란트가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신호로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피질 골조직에 가해지는 압축은 임플란트(1)가 양호한 초기 안정성을 획득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피질부(2)의 특정 구조로 인해 골조직이 불필요하게 압축되는 위험은 없다.
도 4c는 뼈속의 그 최종 위치에 있는 임플란트(1)를 보여준다. 임플란트(1)의 피질부(2)는 피질 골조직(52)에만 접촉해 있는 반면에, 해면부(3)는 주로 해면 골조직(53)에 접촉해 있고 일부 피질 골조직(52)에도 접촉해 있다.
마이크로 나사부가 제1 나사선(11)으로서 마련되기 때문에, 임플란트(1)는 부하를 임플란트(1)에 인접한 골조직에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골조직이 임플란트(1)와 동등한 수준으로 양호하게 재형성되는 것이 촉진된다.
끝으로, 도 10은 골조직에 식립되어 있는 임플란트(1)를 보여준다. 임플란트의 내부 소켓(6)에는 지대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지대치(20)는 피질 골조직(52) 위에 있는 잇몸 조직(56)에 브릿지를 형성한다. 치과 보철물(21)을 지대치(20) 상에 설치하여, 상실 치아를 대신하게 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임플란트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 임플란트의 변형예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임플란트는, 피질부(2)에만 마이크로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반면에 임플란트의 모든 하부에는 매크로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이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와 다르다. 다시 말해서,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 사이의 경계 평면(P2)이 피질부(2)와 해면부(3) 사이의 경계 평면(P1)과 일치한다.
상기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나사선(11)은 제2 나사선(12)에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피질부(2)의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이 해면부(3)와 동일한 암나사부에 맞물려서, 피질부(2)를 보어 구멍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임플란트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 임플란트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임플란트에 단지 하나의 나사선(11)만이 있다는 점이 도 1의 임플란트와 상이하다. 나사선(11)은 선단부(4), 해면부(3) 및 피질부(2)에 걸쳐 끊김없이 연장된다. 이 경우에, 나사선(11)은 3중 매크로 나사부이다. 이러한 매크로 나사부는 부하가 임플란트 주변에 양호하게 분배되는 데 기여하고, 특히 골 흡수를 억제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임플란트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 임플란트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임플란트의 제1 나사선(11)에 매크로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고, 제2 나사선(12)에 마이크로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반대로, 이 실시예에서는 매크로 나사부가 임플란트의 피질부(2)에 마련되어 있고 부분적으로는 해면부(3)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마이크로 나사부를 갖는 제2 나사선(2)은 해면부(3)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 모두에 셀프 태핑 컷팅 에지(13, 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는 제2 나사선(12)의 셀프 태핑 컷팅 에지(13)에 의해 컷팅되는 암나사부가 제1 나사선(11)의 매크로 나사부에 대해서는 너무 작기 때문이다. 본래, 이 경우에서는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이 결과적으로 동일한 암나사선과 맞물리지 않으므로, 이들이 서로에 대해 통합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1 나사선(11)이 피질부(2)의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과 해면부(3)의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므로, 피질부(2)의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은 해면부(3)의 나사부가 형성된 표면과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피질부(2)는 셀프 태핑 컷팅 에지(13') 또는 제1 나사선(11)에 의해 컷팅되는 암나사선에 원할하게 압박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WO 94/090717호(Astra Aktiebolag, Hansson)에 기술된 본원 발명자의 다른 종래의 임플란트를 본 발명에 따라 수정한다. WO 94/090717호(Astra Aktiebolag, Hansson)에 기술된 종래의 임플란트는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에 사용하는 인공 치근(fixture)으로서, 원통형 하부와 원뿔형으로 벌어진 상부를 구비한다. 원뿔형으로 벌어진 상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거칠게 가공된 미소 부분이 마련된다. 이 종래 임플란트가 갖는 주요 장점은 주변에서의 골 흡수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호한 효과는 임플란트로부터 주변 골조직으로의 특정한 힘 분배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힘 분배는 상기 임플란트의 기하 구조 및 거칠게 가공된 미소 부분에 의해 얻어진다.
종래의 인공 치근 중 원뿔형 부분은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 중 많은 부분에 형성되며, 해면골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피질부의 테이퍼 각도가 비교적 크다. 이와 같이 테이퍼 각도가 큰 종래의 인공 치근은, 이 인공 치근의 형상에 상응하는 특정 형상을 갖고 원통형 하부와 원뿔형 상부를 구비하는 턱에 마련된 보어 구멍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도 9a 내지 도 9e참조). 따라서, 보어 구멍에 있어서 인공 치근의 회전 가능성과 관련하여 전술한 문제점이 상기 종래 임플란트에도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배제시키고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의 원뿔형으로 벌어진 표면에 대해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이루고 있는 피질부가 마련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임플란트를 본원의 용어로 기술한다. 원통형의 하위 해면부(3')와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마련된 원뿔형의상위 해면부(3")를 구비하는 해면부(3)로 이루어진 나사 임플란트(1)가 마련된다. 임플란트(1)에는 피질부(2)가 마련되며,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보어 구멍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에 한정되도록 규정된다.
피질부(2)에는 이러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 외측 표면이 있고, 이 외측 표면은 원뿔형 해면부(3")의 외측 표면에 대해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구비한다.
제1 나사선(11)은 피질부(2)와 원뿔형 해면부(3") 모두에 걸쳐 끊김없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원뿔형 해면부(3")와 피질부(2) 사이의 원만한 전환이 보장된다. 이 경우에서, 제1 나사선(11)은 골 흡수 억제에 특히 바람직한 마이크로 나사부로 이루어진다. 원통형의 하위 해면부(3')에는 제2 나사선(12)이 마련되며, 이 경우에서는 매크로 나사부이다. 이 경우에서,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은 서로에 대해 통합되어 있지 않다. 보어 구멍의 형상을 참조하면(도 9a 내지 도 9c), 그 이유가 이해된다. 원통형 해면부(3')는 보어 구멍의 원뿔형 상부의 내벽과 결코 접촉하지 않으므로, 원통형 해면부(3')의 나사선과 원뿔형 해면부(3")의 나사선을 서로에 대해 맞출 필요가 없다.
피질부(2)의 기능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질부(2)를 WO 94/090717호(Astra Aktiebolag, Hansson)의 종래 임플란트에 적용함으로써, 골 흡수에 관한 종래 임플란트의 장점이 대부분 유지되는 동시에, 초기 안정성의 향상 및 임플란트 설치의 용이성 등과 같은 본 발명의 장점이 추가될 수 있다.
이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식립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보어 구멍(50)은 환자의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마련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보어 구멍(50)은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형상에는 상응하지만 크기가 약간 더 작게 형성되어 있어, 임플란트에 마련된 컷팅 리세스(13)가 셀프 컷팅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보어 구멍(50)의 하부는 원통형인 반면에, 상부는 원뿔형 해면부(3")의 원뿔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는 원뿔형이다. 보어 구멍(50)은 임플란트의 피질부(2)를 이용하여 형성되지는 않는다.
보어 구멍(50)에 나사 체결시, 컷팅 리세스(13)를 갖는 원통형 해면부(3')가 보어 구멍의 원통형 하부에 먼저 도입된다. 원통형 해면부(3')가 보어 구멍(50)의 내벽의 큰 영역과 성공적으로 맞물릴 때, 임플란트의 나사 체결에 필요한 토크는 매우 서서히 증대된다(도 9a 참조). 이 단계에서의 토크 증대는 상기 영역의 증대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이는 총 마찰량을 증대시킨다. 원뿔형 해면부(3")는 상기 삽입 과정이 최종 단계에 이르기까지 보어 구멍의 상부의 외벽과 맞물리지 않는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가 원뿔형 해면부(3")와 피질부(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1)까지 매설된 경우, 다음 몇번의 임플란트의 턴에 의해 피질부(2)가 보어 구멍(50)의 원뿔형 부분 안으로 하향 압박된다. 그에 따라, 피질부(2)와 보어 구멍(50)의 원뿔형 부분의 벽 사이의 마찰이 증대된다. 그결과 임플란트(1)를 나사 체결하는 데 필요한 토크가 현저히 상승되고, 이는 삽입 작업을 수행하는 치과 의사에게 인지될 정도로 충분히 크다. 이러한 표시를 통해, 치과 의사는 임플란트가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과, 곧 적소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과, 더 조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의사는 피질 골조직(52)의 근소한 압축 때문에 임플란트(1)의 피질부(2) 주변에 작용하는 강한 유지력에 의하여 임플란트가 양호한 초기 안정성을 얻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도 9c에는 턱뼈의 적소에 위치한 임플란트(1)가 도시되어 있다. 임플란트(1)의 피질부(2)는 피질 골조직(52)에만 접촉되어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는 피질 골조직을 약간 압축하도록 작용하는 피질부를 구비하여,
ⅰ) 임플란트를 더 조여서는 안된다는 신호 또는 보어 구멍에서 단지 조금 더 조여야 한다는 신호를 치과 의사에게 제공하고,
ⅱ) 골조직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 및 장기 안정성을 증진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예시되어 있고,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예시된 실시예는 치과 임플란트이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정형 외과 영역 등과 같은 다른 영역에서 동일한 용례를 갖는다. 또한, 임플란트의 요소도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나사부 대신에 비드의 라인 또는 그에 이은 돌출부 등과 같은 그 밖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피질부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지대치 부분 또는 스페이서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끝으로, 도면에 사용된 참조 번호를 청구범위에 삽입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의도이며, 청구범위의 범위에 대한 한정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Claims (47)

  1.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1)로서, 해면부(3)와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에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이 마련되어 있고, 이 외측 표면의 외부 구조는 나사 체결 토크의 작용하에서 상기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피질부(2)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반경 방향으로의 피질 골조직의 압축 만을 증대시키도록 작용하여, 임플란트(1)의 나사 체결에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를 현저히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얻어지는 토크의 증대를 임플란트(1)가 보어 구멍의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1)로서, 외측 표면이 마련된 해면부(3)와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의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해면부(3)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 골조직에 마련된 원통형 보어 구멍(50)에 삽입하는 거의 원통형의 나사 임플란트(1)로서, 원통형 외측 표면이 마련된 해면부(3)와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의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해면부(3)의 원통형 외측 표면에 대하여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4.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에 삽입하는 나사 임플란트(1)로서, 원통형의 하위 해면부(3')와 원뿔형 외측 표면이 마련된 원뿔형의 상위 해면부(3")를 포함하고, 피질부(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의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원뿔형의 상위 해면부(3")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1)의 최대 직경부는 피질부(2)에 위치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질부(2)는 보통의 절두형 원뿔 형상을 갖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0.5 내지 5°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3°미만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9.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0.5 내지 3°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10.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1 내지 2°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11.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질부(2)의 축선 방향 길이는 3 mm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질부(2)의 축선 방향 길이는3 mm미만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질부(2)의 축선 방향 길이는 0.5 내지 1.5 mm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1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면부(3)에는 피질부(2)의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과 통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들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 모두가 보어 구멍의 암나사부가 형성된 공통면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은 모두 동일한 리드가 나타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1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1)에는 적어도 제1 나사선(11)이 마련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17. 제14항 또는 제15항과 조합된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에는 모두 제1 나사선(11)이 마련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부(2)의 축선 방향 전체 길이에 제1나사선(11)이 마련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단일 나사선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다중 나사선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나사산의 높이가 0.20 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나사산의 높이가 0.02 내지 0.15 mm로 형성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라운딩된 외부 구조를 갖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11)은 대칭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나사선(12)을 더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선(11)과 상기 제2 나사선(12)은 이들 나사선(11, 12)이 공통의 암나사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통합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선(11)과 상기 제2 나사선(12)은 동일한 리드를 제공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2)이 피질부(2)와 해면부(3)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1) 아래에 마련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나사선(11)과 제2 나사선(12)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2)이 피질부(2)와 해면부(3) 사이의 횡단 경계 평면(P1)과 일치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1.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부(2)는 상부 구조물(20)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20)을 유지하기 위한 블라인드 보어(7)가 피질부(2)의 최상단부로부터 임플란트(1) 안으로 연장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보어(7)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4.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1)에는 피질부(2)의 치관부에 마련되는 상부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상부 구조물은 임플란트가 식립된 상태일 때 골조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 임플란트인 것인 나사 임플란트.
  3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부(2)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해면부(3)의 축선 방향 길이에 비해 비교적 짧은 것인 나사 임플란트.
  3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부(2)는 상기 보어 구멍(50)에나사 체결될 때 피질 골조직을 실질적으로 피질부(2)의 반경 방향으로 약간 압축하도록 작용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
  3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플란트(1)를 뼈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 임플란트(1)의 전체적인 형상과 조화를 이루는 형상을 갖지만 직경이 약간 더 작은 보어 구멍(50)을 뼈에 형성하는 단계와;
    - 상기 임플란트(1)의 피질부(2)가 상기 보어 구멍에 닿을 때까지 임플란트(1)에 삽입 토크를 인가하여 상기 임플란트(1)를 보어 구멍(50)에 나사 체결하고, 그 결과 임플란트(1)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의 현저한 상승이 초래되는 나사 체결 단계로서, 이러한 나사 체결 토크의 현저한 상승은 임플란트(1)가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 또는 곧 적소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에 대한 신호인 것인 나사 체결 단계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설치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구멍(50)의 외측 부분은 임플란트(1)의 해면부(3)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인 임플란트 설치 방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구멍(50)은 원통형인 것인 임플란트 설치 방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구멍(50)은 그 직경이 임플란트(1)보다 약간 더 작은 것인 임플란트 설치 방법.
  42.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으로의 나사 임플란트(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해면부(3)가 마련된 나사 임플란트(1)와, 임플란트(1)의 외형에 거의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보어 구멍(50)을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는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에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이 외측 표면의 외부 구조는 나사 체결 토크의 작용하에서 상기 보어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피질부(2)가 실질적으로 임플란트의 반경 방향으로의 피질 골조직의 압축을 증대시키도록 작용하여, 임플란트(1)의 나사 체결에 필요한 나사 체결 토크를 현저히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얻어지는 토크의 증대를 임플란트(1)가 보어 구멍(50)의 적소에 또는 적소 부근에 있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3.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으로의 나사 임플란트(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해면부(3)가 마련된 나사 임플란트(1)와, 임플란트(1)의 외형에 거의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보어 구멍(50)을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는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의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해면부(3)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4.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으로의 나사 임플란트(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원통형 외측 표면을 갖는 해면부(3)가 마련된 나사 임플란트와, 임플란트(1)의 외형에 거의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보어 구멍(50)을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는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의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해면부(3)의 원통형 외측 표면에 대하여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약간 원뿔형인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5.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구멍(50)으로의 나사 임플란트(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원뿔형 외측 표면을 갖는 원뿔형의 상위 해면부(3")와 원통형의 하위 해면부(3')가 마련된 나사 임플란트(1)와, 임플란트의 외형에 거의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보어 구멍(50)을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는 피질부(2)를 구비하고, 이 피질부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설치시 상기 피질부(2)와 골조직과의 결합이 대체로 피질 골조직층(52)에 한정되도록 규정되며, 상기 피질부(2)는 상기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사부가 형성된 원뿔형의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원뿔형의 상위 해면부(3")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5°미만의 비제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원뿔형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6. 제42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부(2)의 축선 방향 길이는 상기 해면부(3)의 축선 방향 길이에 비해 비교적 짧은 것인 나사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7.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부(2)는 상기 보어 구멍(50)에 나사 체결될 때 피질 골조직을 실질적으로 피질부(2)의 반경 방향으로 약간 압축하도록 작용하는 것인 나사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KR1020047002299A 2001-08-15 2002-08-14 나사 임플란트 및 나사 임플란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KR100904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102749A SE0102749D0 (sv) 2001-08-15 2001-08-15 Implant, arrangement comprising an implant, and method for inserting said implant in bone tissue
SE0102749-9 2001-08-15
PCT/SE2002/001458 WO2003015654A1 (en) 2001-08-15 2002-08-14 Implant, arrangement comprising an implant, and method for inserting said implant in bone tiss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715A true KR20040036715A (ko) 2004-04-30
KR100904471B1 KR100904471B1 (ko) 2009-06-24

Family

ID=2028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299A KR100904471B1 (ko) 2001-08-15 2002-08-14 나사 임플란트 및 나사 임플란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029285B2 (ko)
EP (1) EP1416872B2 (ko)
JP (1) JP4282479B2 (ko)
KR (1) KR100904471B1 (ko)
CN (1) CN100421631C (ko)
AT (1) ATE392861T1 (ko)
AU (1) AU2002326257B2 (ko)
BR (1) BR0211919B1 (ko)
CA (1) CA2454615C (ko)
DE (1) DE60226248T3 (ko)
ES (1) ES2302833T5 (ko)
SE (1) SE0102749D0 (ko)
WO (1) WO20030156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12B1 (ko) * 2006-02-27 2007-10-04 이부락 뼈고정용 인공볼트
KR100929258B1 (ko) * 2008-04-24 2009-12-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탭핑기구
KR20170056030A (ko) 2012-12-11 2017-05-22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압축하는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802571D0 (sv) 1998-07-17 1998-07-17 Astra Ab Implant
US20030191474A1 (en) * 2000-02-16 2003-10-09 Cragg Andrew H. Apparatus for performing a discectomy through a trans-sacral axial bore within the vertebrae of the spine
US7025787B2 (en) * 2001-11-26 2006-04-11 Sdgi Holdings, Inc. Implantable joint prosthesis and associated instrumentation
SE523395C2 (sv) 2001-12-21 2004-04-13 Nobel Biocare Ab Implantat och förfarande och system för tillhandahållande av sådant implantat
WO2004012622A1 (de) * 2002-07-26 2004-02-12 Star-Group-International Dentalimplantat mit verankerungskopf und schraubkörper
KR100487132B1 (ko) * 2003-03-26 2005-05-03 설영택 나선형 임플란트
US8651863B2 (en) * 2003-04-01 2014-02-18 Robert Schroering Band of connective tissue grooves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or a separate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IL156033A0 (en)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US8016865B2 (en) * 2003-09-29 2011-09-13 Depuy Mitek, Inc. Method of perform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biodegradable interference screw
US8052613B2 (en) * 2003-10-23 2011-11-08 Trans1 Inc. Spinal nucleus extraction tool
DE10350424B4 (de) * 2003-10-29 2006-03-30 Ulrich Gmbh & Co. Kg Knochenschraube
SE526746C2 (sv) 2003-12-11 2005-11-01 Nobel Biocare Ab Implantat applicerbart i tandben med tillhörande mjukvävnad
US7608092B1 (en) * 2004-02-20 2009-10-27 Biomet Sports Medici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niscus repair
WO2005112816A1 (de) * 2004-04-21 2005-12-01 Gebr. Brasseler Gmbh & Co. Kg Zahnimplantat
CN100450460C (zh) 2004-05-28 2009-01-14 奥苏尔公司 具有外表面周围型面的假体用或矫正用套筒
US8361113B2 (en) 2006-02-03 2013-01-29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20060189993A1 (en) * 2004-11-09 2006-08-24 Arthrotek, Inc. Soft tissue conduit device
US7905903B2 (en) * 2006-02-03 2011-03-1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8088130B2 (en) 2006-02-03 2012-01-0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7601165B2 (en) * 2006-09-29 2009-10-1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suture loop
US8137382B2 (en) 2004-11-05 2012-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atomical features
US7905904B2 (en) * 2006-02-03 2011-03-15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9017381B2 (en) 2007-04-10 2015-04-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Adjustable knotless loops
US8128658B2 (en) * 2004-11-05 2012-03-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bone
US7857830B2 (en) * 2006-02-03 2010-12-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and conduit device
US9801708B2 (en) 2004-11-05 2017-10-3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303604B2 (en) 2004-11-05 2012-11-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US8298262B2 (en) 2006-02-03 2012-10-3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7909851B2 (en) 2006-02-03 2011-03-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8118836B2 (en) 2004-11-05 2012-02-2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840645B2 (en) 2004-11-05 2014-09-2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20060190042A1 (en) * 2004-11-05 2006-08-24 Arthrotek, Inc. Tissue repair assembly
US7749250B2 (en) 2006-02-03 2010-07-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7914539B2 (en) 2004-11-09 2011-03-29 Biomet Sports Medicine, Llc Tissue fixation device
US8034090B2 (en) 2004-11-09 2011-10-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Tissue fixation device
US8998949B2 (en) 2004-11-09 2015-04-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conduit device
SE0403020D0 (sv) * 2004-12-13 2004-12-13 Rickard Braanemark Implantat
US7677891B2 (en) * 2005-02-01 2010-03-16 Implant Direct Int'l, Inc. Tapered endosseous dental implants with external multiple lead threads
US8657602B2 (en) * 2005-03-28 2014-02-25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DE102005037809A1 (de) * 2005-08-08 2007-02-15 Sieper, Achim, Dr.med.dent. Schraubenimplantat und Aufbauelement / Prothetikelement
WO2007021772A2 (en) * 2005-08-09 2007-02-22 Trans1, Inc. Exchange system for axial spinal procedures
EP1757246A1 (de) * 2005-08-22 2007-02-28 Novident SA Aufbau für ein Zahnimplantat
EP1757245B1 (de) 2005-08-22 2010-07-21 Riemser Arzneimittel AG Zahnimplantat
US20070065778A1 (en) * 2005-09-19 2007-03-22 Rainer Lippe Endosteal dental implant screwable into a human jaw bone for receiving and securing prosthetic teeth
ES2308874B1 (es) * 2005-11-16 2009-10-20 Maria Soledad Monge Fernandez Sistema de implante odontologico.
DE102005058496A1 (de) 2005-12-01 2007-06-06 Dentaurum J.P. Winkelstroeter Kg Dentalimplantat
US20090048633A1 (en) * 2006-01-27 2009-02-19 Tae-Gwan Eom Fixture
US7959650B2 (en) * 2006-09-29 2011-06-14 Biomet Sports Medicine, Llc Adjustable knotless loops
US8506597B2 (en) 2011-10-25 2013-08-1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sseous membrane reconstruction
US9149267B2 (en) 2006-02-03 2015-10-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468433B2 (en) 2006-02-03 2016-10-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8597327B2 (en) 2006-02-03 2013-12-03 Biomet Manufactu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nal closure
US10517587B2 (en) 2006-02-03 2019-12-3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11311287B2 (en) 2006-02-03 2022-04-2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8574235B2 (en) 2006-02-03 2013-11-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rochanteric reattachment
US8652172B2 (en) 2006-02-03 2014-02-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Flexible anchors for tissue fixation
US9271713B2 (en) 2006-02-03 2016-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suture
US8801783B2 (en) 2006-09-29 2014-08-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Prosthetic ligament system for knee joint
US9538998B2 (en) 2006-02-03 2017-01-1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ure fixation
US9078644B2 (en) 2006-09-29 2015-07-14 Biomet Sports Medicine, Llc Fracture fixation device
US8652171B2 (en) 2006-02-03 2014-02-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tissue fixation
US8251998B2 (en) 2006-08-16 2012-08-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Chondral defect repair
US8562645B2 (en) 2006-09-29 2013-10-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11259792B2 (en) 2006-02-03 2022-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atomical features
US8968364B2 (en) 2006-02-03 2015-03-0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ixation of an ACL graft
US8771352B2 (en) 2011-05-17 2014-07-0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ibial fixation of an ACL graft
US8562647B2 (en) 2006-09-29 2013-10-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soft tissue to bone
US8147531B2 (en) * 2006-03-17 2012-04-03 Tornier, Inc. Compression pin with opposed threaded regions
US8491302B2 (en) * 2006-03-21 2013-07-23 Uri Arni Dental implant
CA2649804A1 (en) * 2006-04-18 2007-10-25 Francisco Javier Garcia Saban Improved dental implant
WO2007140394A2 (en) * 2006-05-30 2007-12-06 Ormco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tooth replacement in a growing individual
EP1870054A3 (en) * 2006-06-12 2008-05-14 Vilardell Purti, S.A. Dental implant
US8500818B2 (en) * 2006-09-29 2013-08-06 Biomet Manufacturing, Llc Knee prosthesis assembly with ligament link
US8672969B2 (en) 2006-09-29 2014-03-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Fracture fixation device
US9918826B2 (en) 2006-09-29 2018-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Scaffold for spring ligament repair
US11259794B2 (en) 2006-09-29 2022-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implanting soft tissue
US20090198291A1 (en) * 2006-10-26 2009-08-06 Warsaw Orthopedic, Inc. Bone screw
US8083769B2 (en) * 2006-11-01 2011-12-27 Depuy Mitek, Inc. Wired sutures
ITFI20070035A1 (it) * 2007-02-09 2008-08-10 Apollonia & Fama Implant S R L Impianto dentale
US8038442B2 (en) 2007-04-23 2011-10-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US7806693B2 (en) * 2007-04-23 2010-10-0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WO2009002570A1 (en) * 2007-06-22 2008-12-31 Steven Lombardi Dental implant
US8702754B2 (en) 2007-09-14 2014-04-22 Depuy Mitek, Llc Methods for anchoring suture to bone
US8882801B2 (en) * 2007-09-14 2014-11-11 Depuy Mitek, Llc Dual thread cannulated suture anchor
WO2009054650A1 (en) * 2007-10-22 2009-04-30 Osstemimplant Co., Ltd. Dental fixture
EP2231057A2 (en) * 2007-10-26 2010-09-29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Dental implant system
FR2922750B1 (fr) * 2007-10-31 2010-10-29 Tekka Implant dentaire a connecteur tronconique femelle
FR2922751A1 (fr) * 2007-10-31 2009-05-01 Tekka Sa Implant dentaire et outil pour la preparation de la zone d'implantation.
ES2321051B1 (es) * 2007-11-30 2010-03-04 Juan Carlos Garcia Saban Implante dental.
ES2321573B1 (es) * 2007-12-07 2010-03-26 Juan Carlos Garcia Saban Implante dental post-extraccion.
CN102065752A (zh) * 2008-05-02 2011-05-18 宝洁公司 用于显示口腔中的病症的产品及方法
KR100931996B1 (ko) * 2008-05-19 2009-12-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ITMI20080967A1 (it) * 2008-05-23 2009-11-24 Salvatore Longoni Metodo di progettazione e/o selezione di un dispositivo e/o materiale impiantabile in tessuti del corpo umano o animale e dispositivo e/o materiale cosi' ottenuto
DE202008007189U1 (de) 2008-05-28 2008-09-18 Champions-Implants Gmbh Abutment für ein Schraubimplantat in einem Kieferknochen
ES2349516B1 (es) * 2008-07-10 2011-10-28 Jesus Pato Mourelo Implante dental.
US8758012B2 (en) 2008-07-14 2014-06-24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act dental implant
KR101271960B1 (ko) * 2008-08-18 2013-06-07 키옵티크 포토닉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대물렌즈 제조 방법
US8052422B2 (en) * 2008-08-29 2011-11-08 Hung William Y S Dental implant
EP2349397A4 (en) 2008-10-30 2013-07-24 Depuy Spin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BONE CEMENT TO A BONE ANCHOR
GB2479274B (en) * 2009-02-04 2013-05-15 Mid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JP2012517246A (ja) * 2009-02-04 2012-08-02 ミッド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ATE507785T1 (de) * 2009-02-16 2011-05-15 Stryker Trauma Ag Knochenschraube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FR2942952B1 (fr) * 2009-03-16 2012-05-18 Gerard Scortecci Implant dentaire a insertion axiale assurant une distraction crestale
US20100305710A1 (en) 2009-05-28 2010-12-02 Biomet Manufacturing Corp. Knee Prosthesis
WO2010148299A1 (en) 2009-06-19 2010-12-23 Us Spine, Inc. Triple lead bone screw
US8296951B2 (en) * 2009-06-25 2012-10-30 Young Keun Hyu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IT1395076B1 (it) * 2009-08-13 2012-09-05 Rebaudi Impianto dentale
US20110112373A1 (en) * 2009-11-10 2011-05-12 Trans1 Inc. Soft tissue acc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spinal surgery
US20130260339A1 (en) * 2009-11-17 2013-10-03 Uab Research Foundation High torque dental implant system
TWI414284B (zh) * 2010-02-04 2013-11-11 Metal Ind Res & Dev Ct 骨骼植入物
MX2012010157A (es) 2010-03-03 2013-03-21 Luis Mauricio Chiquillo Perez Tornillo multiconico para implantes.
US8870573B2 (en) * 2010-04-06 2014-10-28 William Y. S. Hung Dental implant
US20110250564A1 (en) * 2010-04-13 2011-10-13 Hung William Y S Dental Implant
AU2011256194A1 (en) * 2010-05-19 2013-01-10 Depuy Spine, Inc. Bone anchors
JP2012010835A (ja) * 2010-06-30 2012-01-19 Yamamoto Precious Metal Co Ltd インプラント螺子および人工歯根および人工関節固定ボルト
FR2969484B3 (fr) * 2010-12-24 2013-04-19 Zda Zirconia Dev & Applic Systeme d'implantation intra-osseux en ceramique
US20120178048A1 (en) * 2011-01-11 2012-07-12 Cottrell Richard D Dental implant with multiple thread patterns
AU2012212284B2 (en) 2011-02-02 2016-11-17 Mid Corp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mplants
DE202011100537U1 (de) 2011-02-16 2011-07-15 Hager & Meisinger Gmbh Knochenschraube
US8998612B2 (en) * 2011-03-10 2015-04-07 Megagen 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TW201238570A (en) * 2011-03-22 2012-10-01 Riemser Arzneimittel Ag Dental implant having a first conical screw part and a second cylindrical screw part
EP2510899A1 (en) *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2510900A1 (en) *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2510898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CA2832402C (en) * 2011-04-14 2018-10-09 Dentsply Ih Ab A fixture and a fixture set
EP2510901A1 (en) *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Set of fixtures
CN102755197B (zh) * 2011-04-29 2015-01-28 高雄应用科技大学 人工牙根植体、制法及其坯体的射出模具
JP5156113B2 (ja) * 2011-08-02 2013-03-06 株式会社松風 歯科用インプラント
TWI524881B (zh) * 2011-08-12 2016-03-11 王濟源 能夠收容以多種角度製作的核冠並在附著帽後用作牙齦成形器的基台和利用該基台的種植體補綴物的製作方法
US9155580B2 (en) 2011-08-25 2015-10-13 Medos International Sarl Multi-threaded cannulated bone anchors
US9357991B2 (en) 2011-11-03 2016-06-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itching tendons
US9370350B2 (en) 2011-11-10 2016-06-21 Biomet Sports Medicine, Llc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57992B2 (en) 2011-11-10 2016-06-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81013B2 (en) 2011-11-10 2016-07-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259217B2 (en) 2012-01-03 2016-02-16 Biomet Manufacturing, Llc Suture Button
EP2653131B1 (en) * 2012-04-19 2018-02-28 Dentsply IH AB A dental implant set
DE202012004519U1 (de) 2012-05-09 2012-05-30 m&k GmbH Eindrehinstrument zum Eindrehen von Dentalimplantaten
US20140093842A1 (en) * 2012-09-28 2014-04-03 Evollution Ip Holdings, Inc. Dental implant with laser-etched platform switching beveled collar surface
AT14617U1 (de) * 2012-12-10 2016-02-15 Ribaxx Ag Dentalimplantat mit einem Mikro- und einem Makrogewinde
FR3002134B1 (fr) * 2013-02-15 2016-02-19 Pierre Sabin Dispositif d'implant impacte puis visse et gabarit pour la mise en place d'un tel implant
US9757119B2 (en) 2013-03-08 2017-09-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Visual aid for identifying suture limbs arthroscopically
US9913728B2 (en) 2013-03-14 2018-03-13 Quandary Medical, Llc Spinal implants and implantation system
US9918827B2 (en) 2013-03-14 2018-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Scaffold for spring ligament repair
US20140277190A1 (en) * 2013-03-14 2014-09-18 Howmedica Osteonics Corp. Compression screw with variable pitch thread
DE202013101135U1 (de) * 2013-03-15 2014-06-17 Zimmer Gmbh Chirurgische Arretierschraube
US10136886B2 (en) 2013-12-20 2018-11-27 Biomet Sports Medicine, Llc Knotless soft tissue devices and techniques
EP3128988B1 (en) 2014-04-11 2019-12-25 Biomet 3i, LLC Implant with high primary stability and accelerated secondary stability
US9615822B2 (en) 2014-05-30 2017-04-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Insertion tools and method for soft anchor
US9700291B2 (en) 2014-06-03 2017-07-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Capsule retractor
US10039543B2 (en) 2014-08-22 2018-08-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Non-sliding soft anchor
CN105662617A (zh) * 2014-11-21 2016-06-15 厦门依柯利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牙
USD816841S1 (en) 2014-12-15 2018-05-01 Jjgc Industria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Bone implant
BR102014031426B1 (pt) 2014-12-15 2018-07-24 Jjgc Ind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implante
US20170348073A1 (en) * 2014-12-31 2017-12-07 Cortex Dental Implants Industries Ltd. Dental implants having golden ratio
US9955980B2 (en) 2015-02-24 2018-05-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Anatomic soft tissue repair
DE102015103544A1 (de) 2015-03-11 2016-09-15 Universität Basel Implantat, insbesondere Dentalimplantat
US9974534B2 (en) 2015-03-31 2018-05-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Suture anchor with soft anchor of electrospun fibers
US10146915B2 (en) 2015-09-14 2018-12-04 Salesforce.Com, Inc. Publication of collaborative file to library
CN105411697A (zh) * 2015-10-23 2016-03-23 成都普川生物医用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牙种植体
CN105963006A (zh) * 2016-04-22 2016-09-28 深圳市斯玛仪器有限公司 一种椎弓根固定器及固定系统
BR102016010184B1 (pt) 2016-05-05 2020-10-27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conjunto protético e processo para produção do mesmo
CN109475375B (zh) * 2016-06-07 2022-02-15 普罗德克斯有限公司 扭矩限制螺丝刀装置、系统和方法
US10966758B2 (en) 2017-05-03 2021-04-06 Advance Research System, Llc Reinforcement caps for spinal support systems
US11648037B2 (en) 2017-05-03 2023-05-16 Advance Research System, Llc Extension-ready spinal support system with vascular-safe pedicle screw
US11376050B2 (en) 2017-06-27 2022-07-05 Medos International Sarl Bone screw
WO2019113115A1 (en) * 2017-12-04 2019-06-13 Activortho, Inc. Active compression apparatus, methods of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0772667B2 (en) 2017-12-22 2020-09-15 Medos International Sarl Bone screw with cutting tip
US11000325B2 (en) 2018-02-27 2021-05-11 Acumed Llc Bone fastener with partially overlapping threads and a varying lead
US11311314B2 (en) 2018-07-31 2022-04-26 GetSet Surgical SA Spinal surgery systems and methods
USD926978S1 (en) 2019-06-07 2021-08-03 GetSet Surgical SA Surgical instrument handle
USD926312S1 (en) 2019-06-07 2021-07-27 GetSet Surgical SA Surgical instrument handle
USD896384S1 (en) 2019-06-07 2020-09-15 GetSet Surgical SA Spinal fusion cage
USD927687S1 (en) 2019-06-07 2021-08-10 GetSet Surgical SA Surgical instrument handle
US11786343B2 (en) 2020-07-09 2023-10-17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s with stepped threa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11446119B1 (en) * 2020-10-22 2022-09-20 Armen Karapetya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230372067A1 (en) * 2022-05-20 2023-11-23 Dustin Shi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9604A (en) 1949-02-14 1952-09-09 Boyd F Sprague Dental screw insert
US3664540A (en) 1970-06-11 1972-05-23 Nat Forge Co Variable clearance thread closure
CA1237553A (en) 1982-01-21 1988-06-07 Benjamin S. Meyer Artificial joint fixation to bone and sleeve therefor
US4547157A (en) 1983-04-20 1985-10-15 Miter, Inc. Submergible post-typ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4723913A (en) 1986-07-02 1988-02-09 Harold Bergman Dental implant
US4932868A (en) 1986-09-04 1990-06-12 Vent-Plant Corporation Submergible screw-typ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tilization
US4826434A (en) 1986-10-20 1989-05-02 Steri-Oss, Inc. Dental implant
US5078607A (en) 1987-01-08 1992-01-07 Core-Vent Corporation Dental implant including plural anchoring means
SE462669B (sv) 1988-05-20 1990-08-13 Inst Applied Biotechnology Foer implantering avsedd fixtur foer foerankring i benvaevnad, saasom kaekens benvaevnad,foer uppbaerning av en protes,saasom en tandkrona e d.
US5076788A (en) 1988-10-05 1991-12-31 Core-Vent Corporation Grooved, cylindrical dental implant anchoring means
DE58905636D1 (de) 1989-03-23 1993-10-21 Straumann Inst Ag Metallisches Implantat.
US5074790A (en) 1989-06-05 1991-12-24 Ernst Bauer Screw implant for a jawbone
IT1237496B (it) 1989-10-26 1993-06-08 Giuseppe Vrespa Dispositivo a vite per l'ancoraggio di protesi alle ossa, metodo per l'applicazione di tale dispositivo e relativa attrezzatura
DE3942326A1 (de) 1989-12-21 1991-06-27 Haerle Anton Schraube als osteosynthesehilfsmittel
US5000686A (en) 1990-01-02 1991-03-19 Implant Innovations, Inc. Dental implant fixture
JPH04231042A (ja) 1990-09-20 1992-08-19 Nikon Corp 歯科用インプラント
FR2667499A1 (fr) 1990-10-09 1992-04-10 So De Te Mo Implant dentaire.
ES2077423T3 (es) * 1991-06-25 1995-11-16 Synthes Ag Elemento de fijacion.
US5302126A (en) 1992-03-19 1994-04-12 Park Dental Research Corp. Dental implant with adjustable post
SE9203184D0 (sv) * 1992-10-28 1992-10-28 Astra Ab Dental implant
SE9303726D0 (sv) 1992-11-26 1993-11-11 Medevelop Ab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US5427527A (en) * 1993-05-25 1995-06-27 Vent Plant Corporation Dental implant method of installation
US5527183A (en) 1993-08-18 1996-06-18 Collaborative Enterprises, Inc. Endosseous implant system
US5435723A (en) 1993-08-18 1995-07-25 O'brien; Gary R. Endosseous dental implant system
CA2107262C (en) * 1993-09-29 2006-12-19 Milan Somborac Dental implant
US5376004A (en) 1993-11-18 1994-12-27 Mena; Raul Dental implant device
US5571017A (en) 1994-10-05 1996-11-05 Core-Vent Corporation Selective surface, externally-threaded endosseous dental implant
US5727943A (en) 1995-07-18 1998-03-17 Implant Innovations, Inc. Self-tapping, screw-type dental implant
US5601429A (en) 1995-08-11 1997-02-11 Blacklock; Gordon D. Dental implant anchor
SE9600517D0 (sv) 1996-02-13 1996-02-13 Astra Ab Screw thread implant
JP4112629B2 (ja) 1997-02-11 2008-07-02 デビー、エルエルシー 歯科および整形外科用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の改良
SE9702981D0 (sv) * 1997-08-19 1997-08-19 Astra Ab Dental implant systems
US6217331B1 (en) * 1997-10-03 2001-04-17 Implant Innovations, Inc. Single-stage implant system
SE9802571D0 (sv) * 1998-07-17 1998-07-17 Astra Ab Implant
SE9802572D0 (sv) 1998-07-17 1998-07-17 Astra Ab Dental implant
US6413089B1 (en) 1999-02-10 2002-07-02 Arthur Ashman Immediate post-extraction implant
ATE271361T1 (de) 1999-10-06 2004-08-15 Astra Tech Ab Implantat
AU1981301A (en) 2000-01-04 2001-07-16 Straumann Holding Ag Intraosteal dental implant and combined arrangement
US6953463B2 (en) * 2001-10-12 2005-10-11 Hs West Investments, Llc Interference screws having increased proximal diameter
US6655961B2 (en) * 2001-12-03 2003-12-02 Richard Day Cottrell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IL156033A0 (en)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12B1 (ko) * 2006-02-27 2007-10-04 이부락 뼈고정용 인공볼트
KR100929258B1 (ko) * 2008-04-24 2009-12-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탭핑기구
KR20170056030A (ko) 2012-12-11 2017-05-22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압축하는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1653A (zh) 2005-01-26
CA2454615C (en) 2010-10-26
EP1416872B1 (en) 2008-04-23
ES2302833T5 (es) 2014-08-14
US20040006346A1 (en) 2004-01-08
DE60226248T2 (de) 2009-05-14
DE60226248T3 (de) 2014-10-16
JP2004538084A (ja) 2004-12-24
US8029285B2 (en) 2011-10-04
CN100421631C (zh) 2008-10-01
WO2003015654A1 (en) 2003-02-27
BR0211919A (pt) 2004-10-19
ATE392861T1 (de) 2008-05-15
JP4282479B2 (ja) 2009-06-24
EP1416872A1 (en) 2004-05-12
BR0211919B1 (pt) 2012-03-06
ES2302833T3 (es) 2008-08-01
SE0102749D0 (sv) 2001-08-15
KR100904471B1 (ko) 2009-06-24
DE60226248D1 (de) 2008-06-05
EP1416872B2 (en) 2014-06-18
CA2454615A1 (en) 2003-02-27
AU2002326257B2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471B1 (ko) 나사 임플란트 및 나사 임플란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AU2002326257A1 (en) Implant, arrangement comprising an implant, and method for inserting said implant in bone tissue
US5967783A (en) Threaded dental implant with a core to thread ratio facilitating immediate load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5816812A (en) Dental implant fixture
EP2145600A1 (en) Improved fixture of two-piece dental implants
IL180395A (en) Pointed intra-self dental implants with multiple external ovarian threads
US11413119B2 (en) Fixture and a fixture set
WO2008144432A1 (en) Dental implant with interlocking and centering threads
EP2521510B1 (en) Dental implant with an improved structure
EP1911412B1 (en) Implant
WO2012059908A1 (en) Multi-threaded dental implant
WO2011132007A2 (en) Dental implant, dental abutment and dental kit
WO2013186765A1 (en) Modular dental implant
JP4146906B2 (ja) インプラント装置
CN111372532A (zh) 骨内牙科植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