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705A -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705A
KR20040036705A KR10-2004-7002106A KR20047002106A KR20040036705A KR 20040036705 A KR20040036705 A KR 20040036705A KR 20047002106 A KR20047002106 A KR 20047002106A KR 20040036705 A KR20040036705 A KR 20040036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ocell
cellulose
molded body
antimicrobial
heavy m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353B1 (ko
Inventor
스테판 지켈리
토마스 엔들
Original Assignee
짐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짐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짐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3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8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 A24D3/10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04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8Genetic materials, DNA, RNA, genes, vectors, e.g. plas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61L2300/408Virucides, sperm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01J2220/4825Polysaccharides or cellulose materials, e.g. starch, chitin, sawdust, wood, straw,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01J2220/485Plants or land vegetals, e.g. cereals, wheat, corn, rice, sphagnum, peat mo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i.e. from the production, refining or treatment of metals, e.g. galvanic 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4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r use of photosensitiv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흡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항균성 및/또는 살진균성 성형체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그의 용도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FROM MEDIA CONTAINING HEAVY METALS BY MEANS OF A LYOCELL MOULDED BODY, CELLULOSIC MOULDED BODY COMPRISING ADSORBED HEAVY METALS, AND THE USE OF THE SAME}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묽은 폐수 또는 산업 공정수의 유출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러한 유출의 주요 원인은 공정 단계에서 종종 세척 작업에 의해 유발되는 배출물(drag-out) 때문이다.
따라서, WO 89/00444호에는 수용액으로부터 니켈 이온을 분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액은 제 1단계에서 액체막 투과법(liquid membrane permeation)에 의해 처리되고, 제 2단계에서 잔류 니켈이 용매 추출법에의해 제거된다.
최적화된 세척 개념을 이용함으로써 세척수의 양을 한정하고자 시도하였지만, 오염 물질과 함께 유용 물질 및 보조제들도 운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내부-시설(intra-plant) 물질 및 물의 순환을 폐쇄함으로써 공정 중에 발생하는 폐수를 더욱 정화할 필요가 있다.
WO 00/63470호에는 높은 흡착 용량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바, 이 방법에 의하면 이온 교환수지가 제조 중에 셀룰로오스 섬유에 첨가된다. 상기 이온 교환수지는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특히 산성 또는 알칼리성 유도된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수지 또는 아크릴산-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한다. 이렇게 얻어진 성형체는 물로부터 일시 경도(temporary hardness)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더 나아가, 미국특허 제 4,500,396호에는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금속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방법에 따르면 양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그라프트(graft)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가진 고분자계 섬유 웹(web)인 약산성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계 섬유 웹은 나일론,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테트라에틸렌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미국특허 제 4,500,396호에는 구리를 회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카르복실기가 고분자 섬유로 제조된 펠트(felt)에 방사(radiation)에 의해 그라프트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리를 폐수로부터 여과할 수 있는 양이온 교환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공지 방법들은 한편으로는 합성 이온 교환 수지가 공정에 사용되는 성형체에 첨가되므로 생분해가 불가능하게 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성형체의 내구성이 이온 교환수지의 첨가에 의해 손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작용기에 의해 개질(modification)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사용 전에, 카르복실기와 같은 이온 교환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산, 알칼리(lye) 또는 염에 의한 추가적인 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며, 그 결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항균 효과를 가진 금속을 함유하는 섬유, 섬유 웹 및 스펀지가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이온 교환이 가능한 섬유 및 이온 교환 반응을 통해 결합되는 항균 효과를 가진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성 섬유가 미국특허 제 5,496,860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섬유는 이온 교환이 가능한 기로서 술폰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고 있다.
상술한 공지된 항균성 섬유와 방법들은 이온 교환이 가능한 활성기가 통상적인 섬유 제조 공정 이후에 도입되고, 이후 추가적인 단계에서 금속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조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Zr 또는 Ag 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제올라이트를 가진 합성 섬유 또는 키토산 입자를 가진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층상(stratiform)의 항균성 섬유 웹이 미국특허 제 5,652,049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독일특허 제 31 35 410호에는 살균성이고 소변, 대변(faecal) 물질 및 혈액을 흡수하는 성형체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체는 인간 피부에 어떠한 염증이나 손상을 주지 않고, 상기 분리 산물과 최초로 접촉하여 표면에 농축시키는 수용성 구리염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성형체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은 천연 셀룰로오스(플러핑된(fluffed) 쉬트)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스 섬유 피모(fleece) 또는 충전물(wadding)이다. 이러한 천연 셀룰로오스는 소량의 오염 물질을 흡수가능하게 하기 위해 분무 및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항균성 물질의 흡착은 미약하고, 특히 그 결과 이들 물질들이 불균일하게 흡수되므로, 이들 물질의 불균일한 방출 및 불균일한 항균성 효과를 초래한다.
항균성 섬유의 제조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례가 미국특허 제 5,458,90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1가 구리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 및 탄산염, 붕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지된다. 상기 섬유는 아크릴계 섬유, 그라프트된 면, 양모, 린넨(linen) 또는 섬유 혼합물과 같은 천연 및 합성 섬유일 수 있다.
이들 항균성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들은 그 기재 산물이 "마감처리된" 직물 또는 섬유이고, 활성 항균성 물질의 흡수가 표면에서만 일어나며, 활성 물질들이 방적 공정 중에 불균일 내지는 불균질하게 결합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리오셀 성형체(Lyocell moulded body)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흡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cellulosic) 성형체, 및 항균성 및/또는 살진균성 성형체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섬유에 의한 은의 흡착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고려되는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공지의 종래의 방법과 섬유의 문제점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신뢰성이 있는 방법, 및 신뢰성있는 항균제 및/또는 제조하기 용이한 살진균성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리오셀 성형체와 접촉되어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하나 이상의 중금속이 흡착되어 있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뿐 아니라, 항균성 및/또는 살진균성 물질로서의 그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용어 "리오셀 성형체"는 아민 산화물 수화물, 바람직하게는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 1수화물에 셀룰로오스를 용해하고, 이 용액을 셀룰로오스에 대한 비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도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성형체를 의미하며, 상기 성형체는 상기 비용매 내에서 침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리오셀 성형체가 얻어지는데, 이러한 성형체를 형성하는 셀룰로오스는 추가적인 작용기, 특히 술폰산 또는 카르복실기로 개질되지 않는, 즉 비개질된 셀룰로오스이다. 상기 성형체를 형성하는 셀룰로오스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타 천연 및/또는 합성 고분자를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통상적인 후처리 공정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리오셀 성형체는 추가적인 작용기 없이도 다량의 중금속을 흡착하기 때문에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리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통해 리오셀 성형체 상에서 중금속 흡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리오셀 성형체는 재생 성형체로서 또는 개질된 결합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수용액 또는 그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내에 함유되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해 이온 교환수지, 흡착 필터 또는 여과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이온성 또는 착물 형태의 Ag, Cu, Zu, Hg, Sn, Cd, As, Pb, Sb, Zr, Ni, Fe, Au, Pd, Pt, I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금속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매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은 예를 들면 야금(metallurgical) 작업 또는 금속 재활용 공정 중에 발생하는 수성 폐기물에서 주로 배출되는데, 이들 폐기물은 환경을 훼손시키는 매질 내 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투기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예를 들면 반도체 판의 제조 중에 발생하는 구리 함유 용액과 같은 소비성 용액 및 은 함유 사진 현상조(photographic bath)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제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바람직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화학 산업:
- 특히 배터리 및 저장 배터리의 제조 및 처리 중에 중금속 제거를 위한 폐수 및 공정액의 처리 및 회수;
- 유용한 용액의 재활용, 특히 염화 알칼리 전기분해 염수(brine)로부터 Hg 및 중금속의 제거;
- 거울 금속화(mirror metallizing) 및 배터리 산업에서 Pd 회수;
- 반도체 산업에서 Ag 회수; 및
- 사진 현상조로부터 Ag 회수.
금속 추출/전기도금/금속면 처리:
- 공정액의 순환;
- 특히 전기 도금, 크롬화반응(chromatizing) 및 반도체 산업에서 탈지, 에칭, 아연도금, 양극 산화반응, 고온 용융(hot-dip) 아연도금, 도색 등의 과정에서 폐수 미세 세척;
- 특히 전기도금, 크롬화 반응 및 반도체 산업에서 회수 및 그에 의한 조(bath)의 수명 연장.
환경 공학:
- 지하수로부터 수은과 크롬과 같은 중금속의 제거;
- 중금속 함량을 줄이기 위한 매립지로부터의 유출수 처리;
- 소각장, 주로 가정용 쓰레기 소각장의 굴뚝 가스 정화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로부터 중금속 및 수은의 제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면, 새로운 개념의 공정상의 해결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막 공정(미세, 한외 및 나노 여과; 역삼투압), 액체 막 투과, 전기분해 공정, 결정화, 용매 추출, 활성탄 여과, 순환과 같은 종래의 수처리 기술은 본 발명에 따른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한 후, 유용한 물질, 예를 들면 은, 구리 또는 텅스텐은 예를 들면 여과재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오셀 성형체를 소각 또는 산 처리함으로써 간단하게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Cd와 같은 담배 연기 중의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해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즉 리오셀 성형체는 담배 내 여과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여과재 형태의 리오셀 성형체는 담배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중금속 유형, 중금속 농도, 온도, 체류(detention) 시간 및 액체-대-고체 비율, 즉 섬유 대 폐수의 비율에 따라 다르지만 약 1 내지 약 100g/l의 중금속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특별히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리오셀 성형체에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재료가 부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해양 식물 또는 해양 동물로 제조되는 재료이다.
해양 식물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조류, 켈프(kelp), 거머리 말(eel gras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특히 조류이다. 이러한 조류의 예로는, 갈조류, 녹조류, 홍조류, 청조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갈조류의 예로는 아스코필룸종(Ascophyllum spp.), 아스코필룸 노도숨(Ascophyllum nodosum), 알리아 에스쿨렌타(Alaria esculenta), 푸쿠스 세라투스(Fucus serratus), 푸쿠스 스피랄리스(Fucus spiralis), 푸쿠스 베시큘로수스(Fucus vesiculosus), 라미나리아 사카리나(Laminaria saccharina), 라미나리아 하이버보레아(Laminaria hyberborea), 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ira digitata), 라미나리아 에크롤류카(Laminaria echroleuca)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홍조류의 예로는, 아스파라곱시스 아르마타(Asparagopsis armata), 콘드루스 크리푸스(Chondrus cripus), 마에를 비케스(Maerl beaches), 마스토카르푸스 스텔라투스(Mastocarpus stellatus), 팔마리아 팔마타(Palmaria palmata)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녹쥬류의 예로는 엔테로모르파 콤프레사(Enteromorpha compressa), 울바 리지다(Ulva rigida)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청조류의 예는 데르모카르파 노스톡(Dermocarpa, Nostoc), 하파로시폰(Hapalosiphon), 호르모고네아에(Hormogoneae), 포르클로론(Porchlorone)이 있다. 이러한 조류의 분류는Botanik fur HochschuleneE. Strasburger; F. Noll; H. Schenk; A.F.W. Schimper; 33rd edition, Gustav Fisher Verlag, Stuttgart-Jena-New York; 1991.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해양 식물들로 제조되는 재료는 공지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먼저, 해양 식물들로 제조되는 재료를 수거한다. 수거된 재료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더 가공처리한다. 해양 식물의 재료는 450℃ 이하에서 건조될 수 있고, 초음파, 습식 볼 밀, 핀 밀 또는 역회전 밀을 이용하여 작은 조각들로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분류를 위해 원심분리 단계를 통해 분말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분말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리오셀 성형체에 미리 부가될 수 있다.
또한, 해양 식물 재료로 제조된 상기 분말은 예를 들면 증기, 물 또는 에틸 알코올과 같은 알코올로 추출 처리하여 액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추출물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리오셀 성형체에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수거된 해양 식물 재료는 또한 극저온(cryogenic) 공정 처리되어 작은 조각들로 분쇄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따르면, -50℃에서 약 100㎛의 크기를 갖는 작은 입자들로 분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재료를 약 6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더욱 작은 조각들로 분쇄할 수 있다.
해양 동물의 껍질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작은 조각들로 분쇄한 대양성 침전물, 새우 또는 쌍각류 조개(bivalve) 껍질, 바다가재, 갑각류 또는 참새우(prawn), 및/또는 산호로부터 선택된다.
대양성 침전물의 경우, 해양 동물 껍질 재료가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새우 또는 쌍각류 조개, 바다가재, 갑각류 및/또는 참새우의 껍질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작은 조각으로 분쇄되어야 한다.
또한, 해양 식물 재료 및 해양 동물 껍질 재료의 혼합물, 뿐 아니라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해양 식물 재료 및 해양 동물 껍질 재료의 정량적 조성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대 5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양 식물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의 입도 범위를 갖는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의 입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작은 입도를 갖는 입자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균일한 재료 또는 혼합된 입도를 갖는 상이한 조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해양 식물 재료의 일례는 5.7중량%의 단백질, 2.6중량%의 지방, 7.0중량%의 섬유성 성분, 10.7중량%의 수분, 15.4중량%의 회분 및 58.6중량%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95% < 40my의 입도를 갖는 아스코필룸 노도숨(Ascophyllum nodosum)의 분말이다. 또한, 상기 분말은 비타민, 및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케로틴(carotene), 바륨, 니아신, 비타민 K, 리보플라빈, 니켈, 바나듐, 티아민, 폴릭산(folic acid), 폴리닉산(folinic acid), 비오틴 및 비타민 B12의 미량 원소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분말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류신, 라이신, 세린, 쓰레오닌, 티로신, 발린 및 메티오닌과 같은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는 리오셀 성형체 내에서 리오셀 성형체의 중량 대비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 특히 1 내지 4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리오셀 성형체가 섬유 형태인 경우,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 특히 1 내지 5중량%이다.
WO 96/33221호, 미국특허 제 5,626,810호 및 WO 96/33934호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 및 공정에 따라, 셀룰로오스와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리오셀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셀룰로오스와 부직포와 같은 기타 물질과 조합한 3-15mm의 단섬유(short cut fibres)를사용하여 제조되는 섬유, 필라멘트, 섬유 웹, 호일, 필름, 막, 소시지 케이스, 여과지의 형태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오셀 공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를 도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작업 가능한 물질(mass)을 제조하기 위해, 셀룰로오스, NMMNO 및 물의 용액은 셀룰로오스, NMMNO 및 물의 현탁액을 먼저 형성한 다음, 회전 부재에 의해 열 교환 표면을 통해 감압하에서 1 내지 20mm 두께의 층에서 상기 현탁액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공정 중에,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물을 증발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셀룰로오스 용액 중 셀룰로오스의 양은 2 내지 30중량%이고, NMMNO의 양은 68 내지 82중량%이며, 물의 양은 2 내지 17중량%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유기 염, 유기 산화물, 미세 분산된 유기물 또는 안정화제와 같은 첨가제가 상기 셀룰로오스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셀룰로오스 용액에 분말, 분말 현탁액 또는 액체 형태의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 특히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가 추출물 또는 현탁액으로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 특히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가 예를 들면 본래 크기의 조류 재료 형태로 건조 셀룰로오스를의 연속적으로 작은 조각들로 분쇄한 후 또는 분쇄 도중에 분말 또는 고농축 분말 현탁액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분말 현탁액은 물 또는 기타 용매에서 상기 방법에서 요구되고 필요로 하는 농도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를 작은 조각들로 분쇄함과 동시에 담금(mashing)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담금 공정은 수중, 알칼리 액 중에 또는 이후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 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에,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가 고체, 분말 또는 현탁액으로서, 또는 액체 형태로서 첨가될 수 있다.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가 풍부한 고분자 조성물이 유도화제(derivation agent) 및/또는 용해 공정을 위해 알려져 있는 용매의 존재하에서 작업 가능한 압출물로 전환될 수 있다.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의 첨가를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유럽특허 제 356419호 및 US-PSen 제 5,049,690 및 5,330,5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속 용해 공정 중에 첨가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셀룰로오스 용액의 마스터뱃치(master batch)를 유지하는 동안 불연속적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가 연속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양 식물 재료 및/또는 해양 동물 껍질 재료는 성형체의 제조 공정 중 임의의 다른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된 직렬형(inline) 정련기(refiner) 또는 균질기와 같은 시스템내 포함된 정전(static) 혼합 부재 또는 교반기, 즉 Ultra Turrax 장치에 의해 상응하는 혼합 공정에 의해 배관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이 예를 들면 교반용 다단 용기(vessel cascade)를 사용하는 연속 회분식 공정에서 수행되는 경우, 고체, 분말, 현탁액 또는 액체 형태의 조류 재료는 상기 공정에 가장 최적화된 위치에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조정된 공지의 교반 부재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사용된 입도에 따라, 형성된 혼입 압출물 또는 방적물이 혼입 전후에 여과될 수 있다. 사용된 제품의 섬도(fineness)에 따라 큰 노즐 직경으로 방적 공정 중에 여과 없이 진행될 수도 있다.
방적물이 매우 민감한 경우에는, 상기 재료가 방적 노즐 또는 압출 기구 직전에서 분사점(injection point)을 통해 적절한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류 재료가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방적 공정 중에 상기 재료가 연속 방적사에 첨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셀룰로오스 용액은 종래의 공정, 예를 들면 건식-분사-습식법, 습식-방적법, 멜트-블로운(melt-blown) 공정, 원심 포트 방적법, 펀넬(funnel) 방적법 또는 건식 방적법에 의해 방적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 5,589,125호 및 제 5,939,000호, 유럽특허 제 0574870 B1호 및 WO 98/07911호의 특허 명세서에는 NMMO 방법에 따라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는 방적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 형성된 성형체가 필라멘트 또는 단섬유(staple fiber)용 화학 섬유를 위한 통상적인 후처리 공정에 의해 처리된다.
방적법 이외에, 평판형 필름, 원형 필름, 케이스(소시지 케이스) 및 막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 특히 조류 재료를 함유하는 리오셀 성형체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리오셀 성형체가 Ca, Mg 및 Na 이온을 이온 교환할 수 있고, 나아가 순수한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할 때 보다 중금속의 50%까지 결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적용 분야에서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을 처리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특히 해양 식물 재료를 함유하는 리오셀 성형체가 사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중금속이 섬유와 같은 리오셀 성형체의 전체 단면을 통해 흡수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용기를 가진 셀룰로오스 성형체가 사용될 때 보다 성형체의 중량 대비 더 많은 다량의 중금속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성, 이온성 또는 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흡착된 중금속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성형제가 제공된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재생 성형체, 비스코오스 및 리오셀 성형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리오셀 성형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상에 흡착되는 중금속의 함량은 셀룰로오스계 성형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1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mg/k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70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00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mg/kg 이상, 특히 약 1000mg/kg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금속은 Ag, Cu, Zn, Hg, Sn, Cd, As, Pb, Sb, Zr, Ni, Fe, Au, Pd, Pt, I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특히 Ag,Cu, Zn, Zr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살충 효과를 갖는 금속이다. 특히, 항균 및/또는 살진균 효과를 가진 중금속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용어 "중금속"은 중금속의 금속성, 이온성 및 착물 형태를 포함한다. 이온성 형태는 중금속의 염 및 산화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산화물은 산화은(I)이고, 특히 바람직한 염은 질산은이다.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산화물은 AgO 뿐 아니라 Ag2O3와 같은 Ag(I) 및 Ag(II) 산화물이다. 사용가능한 또 다른 염은 염화은, 황화은, 은 단백질, 탄산은, 및 아세트산은, 황산은, 구연산은, 유산은 및 피크르산 은과 같은 가용성 은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가 상기 성형체에 첨가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에서 하나 이상의 중금속이 매우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러한 성형체는 한편으로는 다량의 중금속이 상기 성형체에 도입될 수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흡착된 중금속의 매우 균일한 방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셀룰로오스 이외에도 기타 천연 및/또는 합성 고분자를 함유할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는 방적 조성물에 첨가되거나 또는 병행형(side-by-side), 해도형(island-in-the-sea) 또는 외피-핵형(sheath-core) 배열로 2-성분 및 다-성분 섬유로서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고분자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셀룰로오스 카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쿠프로(cupro), 비스코오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올레핀, 테플론, 대마(hemp), 양모, 린넨 및 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중금속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제조된 성형체를 침지시키고, 중금속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분리하고, 얻어진 리오셀 성형체를 선택적으로 세척 및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로딩(loading) 공정은 적용 분야에 따라 1분 내지 수 시간에 걸쳐 수행된다.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중금속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 약 4시간 까지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중금속을 함유하는 수용액은 그 안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에 대해 약 0.1M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공정은, 만일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가 상기 성형체에 혼입되는 경우, 먼저 조류 재료와 같은 식물 및/또는 동물 재료가 작은 조각들로 상압 또는 고압에서 건식 또는 습식으로 분쇄된 다음, 질산은 용액과 같은 중금속 용액과 접촉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혼합물이 분무 건조된다. 이후, 중금속이 제공된 상기 재료는 상기 성형체의 제조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로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재료는 제조 중에 또는 건조 전에 단독으로 또는 통상적인 결합제와 함께 기술 또는 의료 용도의 직물을 위한 섬유 웹에 분무되고 최종 산물로 가공될 수 있다. 중금속이 로딩된 분쇄되거나, 분무-건조되거나 또는 습윤된 조류 재료가 또한 셀룰로오스계 성형체의 제조를 위한 방적 용액에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항균 및/또는 살진균 재료로서 특히 사용가능하고, 특히 항균성 섬유, 항균성 섬유 웹, 위생 물품, 의료 보호 의류, 항균성 정수 필터, 부직포, 여과재 또는 항균성 스펀지로서 사용가능하다. 또 다른 가능성 있는 용도로는 화상에 대한 붕대 거즈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특히 오염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 및 가스 매질에 대한 여과재, 예를 들면 담배연기로부터 중금속 및 기타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담배 필터로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예를 들면 팔라듐 및 구리염이 로딩된 담배 필터 내 개질된 섬유의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담배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것 이외에도, 독성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또는 이산화황을 삼산화황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수용액 중 구리 및 팔라듐 염의 촉매 효과가 US-PS 3,790,662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산물이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오셀 성형체가 섬유 또는 필라멘트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평직 밀(weaving mill) 및 편직 밀(knitting mill)용 얀(yarn)이 직물 기재에 대한 여과재의 제조용으로, 또는 의류용 및 의료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항균성 직물의 제조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오셀 성형체로 제조되는 Nm1/1 내지 170/1 범위 내의 얀은 다음을 포함한다: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양모, 캐시미어, 실크,모헤어(mohair), 알파카(alpaca),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플랫 얀(flat yarn) 및 트위드 얀(tweed yarn)을 포함하는 콘덴서(condenser) 얀;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전단(shear) 양모, 캐시미어, 실크, 모헤어, 알파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Siro, 크레이프(crepe) 및 코도넷(cordonnet) 얀을 포함하는 소모사(Worsted yarn);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면, 실크, 린넨, 미세 섬유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링 방적사, 카드사(carded) 또는 코마사(combed);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면, 양모, 린넨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OE 얀;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면, 실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부클사(boucle), 테리사(terry), 온데 강연사(onde twisted yarn)을 포함하는 섬유-효과사;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비스코오스 및/또는 Trevira CS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세이블사(sable), 테리사, 샤데드사(shaded) 및 슬럽사(slub)를 포함하는 필라멘트-효과사;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플랫얀, 가공사(textured yarn) 또는 고-강연사(high-twist)를 포함하는 세사(filament yarn);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Kevlar, Preox, Nomex, Kermel, 탄소, 유리, 강, 비스코오스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예를 들면 Parafil Plyfil 또는 Corespun을 포함하는 테크니컬 얀(technical yarn); 및
순수하게 리오셀로만 제조되거나 또는 면, 전단 양모, 폴리에스테르, 린넨, 엘라스탄(elasthan) 및/또는 비스코오스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예를 들면 랩얀(wrap yarn), Siro, Plyfil 또는 Corspun을 포함하는 탄성사.
기타 섬유와의 조합물은 생성물의 착용 편리함, 위생 용도 및 의류용으로서의 특성이 혼합 성분을 사용하여 조절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항균성 또는 이온교환성은 이러한 조합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다.
이들 얀은 예를 들면 셔틀(shuttle), 레이피어(rapier), 프로젝타일(projectile) 또는 젯트기를 사용하여 직물로 가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온 교환성 및 항균성의 적용 분야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얀은 플랫 베드(flat bed), 싱글 저지(single jersey), 이중 편물(double knit) 및 경편물(warp knit)기를 사용하여 편물로 가공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온 교환성 및 항균성의 적용 분야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섬유/필라멘트 형태의 리오셀 성형체는 지붕재, 분리기, 필터, 기본 보강체, 밀봉재 및 절연재와 같은 산업용, 집진 필터, 폐기물 필터 및/또는 공정수, 소시지 케이스와 같은 특수지용, 의료용(면봉 및 거즈), 충전물, 스타킹, 신발 삽입재, 신발 내부 라이닝, 침구류, 가정용 직물,냅킨(serviettes), 행주, 종이 수건 및 기저귀와 같은 직물 용도의 부직포 제품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순수한 리오셀 제품으로 가공되거나 조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기타 섬유, 초(super) 흡수재, 활성탄 및 천연 셀룰로오스(플러프 셀룰로오스)와 조합하여 가공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초 흡수재와의 조합 사용은 물에 대한 매우 높은 흡수를 나타내고, 과립 또는 섬유 형태의 활성탄과의 조합 사용은 또한 항균성 효과 및 이온 교환 효과 이외에도 유기물 및/또는 착색 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별도의 능력을 나타낸다.
또한 라텍스 고분자, 디에틸렌, 부타디엔, 비닐아세테이트 및/또는 스티렌과 같은 천연 및 합성 결합제를 상술한 결합 직물에 부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제는 바람직하게는 1~30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또한, 증점제, 촉매, 충전재, 착색 물질, 윤활제, 광표백제 및/또는 소포제가 추가될 수 있다.
부직포 및 섬유 웹의 제조는 카딩(carding), 웨트레이드(wetlaid), 에어레이드(airlaid) 또는 압출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섬유 웹은 니들펀칭, 스티치 본드(stitch bond), 고수압직조법(hydroentanglement), 스펀본드(spun bond) 또는 멜트블로운 처리에 의해 밀집화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상응하는 결합제와의 화학적 밀집, 열적 밀집 또는 열가소성 첨가제와의 혼합으로,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함께 섬유 웹으로 밀집화된다.
마감처리 단계에서, 예를 들면, 수분 흡수 및 수분 이송을 최적화하거나 흡착능, 내화성, 전기저항, 내마찰성 및/또는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직포 생성물은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더 처리될 수 있다. .
이 중에서, 기계적 후처리는 칼렌더링, 스웨이드(suede) 마감처리, 냅 세우기(raising the nap), 연마(polishing), 전단(shearing) 및 브러슁 또는 코우밍(combing)을 포함한다. 또 다른 후처리 기술은 적층, 엠보싱 및 칼렌더 또는 크레핑(creping)을 사용하는 프로필링(profiling)이다.
이러한 부직포 제품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15 내지 500g/m2의 단위 면적 당 질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항균성 스펀지 또는 스펀지 와이프(wipe)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는 미국특허 제 3,382,303호에 기재되어 있는 비스코오스 스펀지의 연속 제조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셀룰로오스 크산테이트는 작은 조각들로 분쇄된 셀룰로오스가 형성되는 스펀지용 보강제로서 분산되어 있는 수용액으로 희석된다. 이후, 황산나트륨 또는 인산나트륨의 결정이 상기 페이스트에 첨가된다. 상기 페이스트는 상부 개방된 형태로 압출되어 약 15분 동안 95℃의 침전조를 통해 공급된다. 55 내지 75℃의 제 2조에서 최종 재생된다. 또 다른 과정으로서, 스펀지가 세척, 표백, 세척, 건조된다. 건조 전에, 스펀지가 수분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탈수(squeeze)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효과를 갖는 성형체는 금속성, 이온성 또는 착물 형태의 중금속을 예를 들면 건조 전후에 별도의 공정 중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오셀 스펀지는 WO 99/27835호에 기재한 바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기공-형성제 및 섬유 보강재가 N-옥사이드 물 셀룰로오스 용액에 혼합되고, 그 혼합물이 쉬팅 다이(sheeting die)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도포된다. 상기 기공-형성제를 액화하고 용해시키기 위해 뜨거운 방적조에서 침전시킨다. 플라스틱 네트(plastic net)에 대한 N-옥사이드 물 셀룰로오스 용액의 도포가 변수이다. 어떠한 발포제(blowing agent)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 및 그에 상응하는 스펀지 또는 스펀지 와이프의 내마모성도 달성될 수 없다. WO 99/27835호는 살생물 효과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이소티아졸론,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3차 암모니아염, 제올라이트,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물질로 스펀지를 함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오셀 스펀지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유사한 방법이 WO 97/2355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정에 따르면, 수성 아민 옥사이드의 셀룰로오스 용액이 기공 형성제(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무기산, 예를 들면 Na2SO4) 및 발포제와 함께 혼합된다. 이후, 상기 혼합물(mass)은 발포제의 분해를 유도하여 셀룰로오스 용액을 발포할 수 있는 조건에서 처리된다. 셀룰로오스를 침전시키고 기공-형성제를 세척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발포된 셀룰로오스 용액은 물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효과를 갖는 성형체는 금속성, 이온성 또는 착물 형태의 중금속을 예를 들면 건조 전후에 별도의 공정 중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르바메이트 스펀지는 일본특허 제 21172302호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는 바, 상기 방법에 따르면 중금속이 공정 중 임의의 단계에 첨가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펀지 건조 전 후에 재차 첨가된다.
이하,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3250g의 NMMMNO(60.5%), 331g의 MoDo, DP 500, 고형분 94%, 2.0g의 프로필 갈레이트(~0.63%, 셀룰로오스 함량 대비), 및 40g의 갈조류 아스코필룸 노도숨(Ascophyllum nodosum, 작은 조각들로 분쇄됨)을 혼합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혼합물을 94℃로 가열하였다. 셀룰로오스 함량 12%, 고형분 13.4% 및 점도 5,264Pa.s를 갖는 불연속적으로 제조된 방적 용액을 얻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방적 용액을 다음과 같은 방적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섬유로 방적하였다.
저장 탱크 온도 = 90℃
스핀 블록(spin block) 온도, 노즐 = 80℃
방적조 = 4℃
방적조 농도(초기) = 0% (증류수)
방적조 농도(말기) = 5% NMMNO
방적 펌프 = 0.6cm3/r
노즐 필터 = 19200M/cm2
방적 노즐 = 500 홀 90㎛; Au/Pt
최종 권취 속도(take-off) = 30m/분
상기 섬유를 40mm의 단섬유로 절단하고, 용매 부재하에서 세척하고 45℃의 10g/리터 연화 물질(50% Leomin OR-50% Leomin WG(질소 함유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Clariant GmbH사 제조))을 첨가하거나, 또는 섬유를 더욱 가공하기 위해 지방 오버레이를 도포하고 105℃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11%의 섬유 수분으로 조절하였다. 어떠한 추가적인 표백 공정을 건조전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11부
섬도, 역가 [dtex] 1.58
FB 인열 강도, 건식 [cN/tex] 40.0
FB 인열 강도, 습식 [cN/tex] 32.4
FB 인열 강도, 루프 [cN/tex] 7.1
최대 인장력 신율, 건식 [%] 10.7
최대 인장력 신율, 습식 [%] 12.3
습식 모듈 [cN/tex] 225
표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얻어진 방적 용액의 방적 특성이 양호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리오셀 셀룰로오스 섬유를 실시예 1에 따라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각 성분의 양,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공정 조건 및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하기 표 2에 나열하였다. 셀룰로오스 대비 8%의 갈조류 재료를 사용하였다.
표 2는 개질된 리오셀 섬유에 대한 섬유 데이터를 나타낸다.
연속적으로 제조된 개질된 리오셀 섬유
섬도, 역가 [dtex] 1.34
FB 인열 강도, 건식 [cN/tex] 35.9
FB 인열 강도, 습식 [cN/tex] 31.1
FB 인열 강도, 루프 [cN/tex] 11.2
최대 인장력 신율, 건식 [%] 11.9
최대 인장력 신율, 습식 [%] 13.4
습식 모듈 [cN/tex] 210
실시예 3
갈조류 재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리오셀 섬유를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섬유의 물리적 데이터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연속적으로 제조된 개질된 리오셀 섬유
섬도, 역가 [dtex] 1.44
FB 인열 강도, 건식 [cN/tex] 42.2
FB 인열 강도, 습식 [cN/tex] 36.3
FB 인열 강도, 루프 [cN/tex] 15.2
최대 인장력 신율, 건식 [%] 15.5
최대 인장력 신율, 습식 [%] 15.2
습식 모듈 [cN/tex] 202
하기 표 4로부터,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섬유의 금속 이온 함량을 분석할 수 있다.
금속이온 함량은 다음과 같은 시험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1. 전자파 분해 및
2. DIN EN ISO 11885(E22)에 따른 금속 결정
개질된 리오셀 섬유 리오셀 섬유
실시예 2 - 미처리 실시예 3 - 미처리
[mg/kg 섬유] [mmol/kg 섬유] [mg/kg 섬유] [mmol/kg 섬유]
비소 < 5 < DL < 5 < DL
< 2 < DL < 2 < DL
안티몬 < 5 < DL < 5 < DL
주석 < 5 < DL 6.1 0.05
카드뮴 < 1 < DL < 1 < DL
구리 < 5 < DL < 5 < DL
5.4 0.03 5.5 0.03
아연 < 5 < DL < 5 < DL
칼슘 115 2.87 38 0.95
마그네슘 112 4.61 95 3.91
나트륨 330 14.35 306 13.31
수은 < 1 < DL < 1 < DL
DL = 검출 한계
표 4로부터, 특히 칼슘, 마그네슘 및 나트륨 이온이 섬유에 함유되어 있다는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실시예 4
0.05M AgNO3용액 1리터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음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NaCl 용액으로 시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dry cabinet)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은 섬유를 은 함량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일부 섬유 재료에 1N 질산을 첨가하여(1시간) 은을 용해시켰다. 상기 질산 용액을 여과 분리하고 0.1N NaCl로 적정하였다. 적정 종말점을 더욱 잘 확인하기 위해, 여액을 가열하여 침전물을 응집시켰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5
0.1M CuSO4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얻은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6
0.1M ZnSO4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7
0.1M Hg(NO3)2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8
O.1M SnCl4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9
0.1M CdSO4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10
0.1M AgNO3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11
0.1M As2O3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12
0.1M Pb(NO3)2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13
0.1M SbCl5용액 1리터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섬유 30g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극미량의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순환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 30g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14
각 금속이온에 대한 실시예 4 내지 13에 따라 제조된 섬유의 최대 제거(take-up)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5에 요약되어 있다.
개질된 리오셀 섬유 리오셀 섬유
실시예 2 실시예 3
[mg/kg 섬유] [mmol/kg 섬유] [mg/kg 섬유] [mmol/kg 섬유]
실시예 4 1885 17.2 237 2.2
실시예 5 구리 899 14.2 591 9.3
실시예 6 아연 756 11.6 526 8.0
실시예 7 수은 9460 47.2 376 1.9
실시예 8 주석 1670 14.1 1030 8.7
실시예 9 카드뮴 1270 11.3 793 7.1
실시예 10 1410 13.1 207 1.9
실시예 11 비소 170 2.3 72 1.0
실시예 12 2720 13.1 1790 8.6
실시예 13 안티몬 496 4.1 267 2.2
놀라운 것은 리오셀 섬유가 고흡착 용량을 제공하고, 이러한 흡착 용량은 개질된 리오셀 섬유의 흡착 용량에 비해 추가적으로 50%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예 15
이후,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섬유의 박테리아 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직물의 항균성에 대한 일본산업표준 JIS L1902:1998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람-음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Klebsiella pneumoniae)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섬유 재료에 상기 박테리아를 적용하고,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cotton)을 동일하게 시험 처리하였다.
배양한지 18시간 후,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박테리아 성장 억제 활성 또는 박테리아 감소 활성을 박테리아 함량(집락-형성 단위의 수 - CFU)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항균 활성을 계산하기 위해,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배양한 지 각각 18시간 후 집락 형성 단위(CFU)의 수의 상용로그(base-10 logarithm) 차를 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 약한 활성, 유의적인 활성 및 강한 활성 = "제균제(bacteriostat)에 대한 활성값". 약한 활성은 대조군과 시험군 사이의 차이가 제로 로그(zero logarithm) 단계임을 의미하며, 유의적인 활성은 그 차이가 1을 넘는 차이를 의미하고, 강한 활성은 3을 넘는 차이를 의미한다.
면과 실시예 1에 따른 미처리 섬유가 어떠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실시예 4에 따른 질산은으로 처리한 섬유에서는 어떠한 박테리아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은으로 처리된 섬유가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6는, 배양한지 18시간 후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 표준 리오셀 섬유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개질된 리오셀 섬유에 대해 그 수준이 나타나 있다. 또한,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처리되고 개질된 리오셀 섬유 및 유사하게 처리된 표준 리오셀 섬유가 나타나 있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conc. 18시간 후 [log CFU]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conc. 18시간 후 [log CFU]
표준 면 5.62 7.38
리오셀 섬유, 미처리, 실시예 3 5.51 7.85
개질된 리오셀 섬유, 미처리, 실시예 1 6.25 7.92
리오셀 섬유, 처리, 실시예 4와 유사 0 0
개질된 리오셀 섬유, 처리, 실시예 4와 유사 0 0
실시예 16
고순도 은의 제조에 있어서, 원료 은의 양극(anode)을 종래의 뫼비우스(Moebius) 전지에서 전해질 정련처리하였다. 이 공정에서, 전해질로서 질산은을 40℃의 온도에서 농도 5~80g/리터의 은을 사용하였다. 보수 작업과 정지 중에도 전해질이 일정하게 재사용되었지만, 전해질에서 보다 부분적으로 적은 은 농도를 가진 폐수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리오셀 성형체에 의한 질산은의 회수를 합성 질산은 용액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2의 섬유 2kg을 지지판(backup plate)을 구비한 5리터 PP 가압 탱크에 충전하였다. 이어서, 상기 섬유를 완전 탈염수 5리터로 습윤화하였다. 약 1g Ag/리터 농도의 질산은 10리터를 PP 용기로 유입하였다. 수축된 튜브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양을 재순환하기 위해 가압 탱크로 (실시예 3에서 습윤화된 섬유와 함께) 펌프하였다. 내설되어 있는 로타미터(rotameter)를 이용하여 재순환 유량 30리터/시간을 선택하였다.
Ag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매 5분 마다 시료를 채취하였다. 하기 표 7은 액상에서의 은의 양의 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적으로 모든 은이 섬유에 의해 흡착됨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 액상 내 은의 양[g]
59.6107.8155.4204.7254.1302.9351.4401.3450.8500.6550.37600.34650.25700.26750.23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7
렌징 모달(Lenzing modal) 섬유(역가 섬도: 0.12 tex, Lenzing AG 사 제조) 30g에, 0.1M AgNO31리터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실시예 10과 유사하게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섬유 재료를 흡입 여과하고, 더 이상의 극미량의 은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NaCl 용액으로 시험함) 완전 탈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섬유를 약 105℃의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섬유의 은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섬유 재료 일부에, 은을 용해시키기 위해 1N 질산을 첨가하였다(1시간). 이 질산 용액을 여과 분리한 다음, 0.1N NaCl로 적정하였다. 적정 종말점을 더 잘 확인하기 위해, 여액을 가열하여 침전물을 응집시켰다.
개질된 모달 섬유
실시예 17
[mg/kg 섬유]
실시예 17 351
실시예 18
이후,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섬유를 박테리아 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시예 15와 유사하게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직물의 항균성에 대한 일본산업표준 JIS L1902:1998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람-양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과 그람-음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균주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7의 섬유 재료에 상기 박테리아를 적용하고,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cotton)과 셀룰로오스를 동일하게 시험 처리하였다.
배양한지 18시간 후,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박테리아 성장 억제 활성 또는 박테리아 감소 활성을 박테리아 함량(집락-형성 단위의 수 - CFU)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항균 활성을 계산하기 위해,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배양한 지 각각 18시간 후 집락 형성 단위(CFU)의 수의 상용로그차를 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 약한 활성, 유의적인 활성 및 강한 활성 = "제균제(bacteriostat)에 대한 활성값". 약한 활성은 대조군과 시험군 사이의 차이가 제로 로그(zero logarithm) 단계임을 의미하며, 유의적인 활성은 그 차이가 1을 넘는 차이를 의미하고, 강한 활성은 3을 넘는 차이를 의미한다.
면과 셀룰로오스는 어떠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실시예 17에 따른 질산은으로 처리한 섬유에서는 어떠한 박테리아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은으로 처리된 섬유가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는, 배양한지 18시간 후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 및 셀룰로오스, 및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개질된 리오셀 섬유에 대해 그 수준이 나타나 있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conc. 18시간 후 [log CFU]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conc. 18시간 후 [log CFU]
표준 면 3.32 7.52
표준 셀룰로오스 5.80 7.54
실시예 17에 따른 개질된 모달 섬유 0 0
실시예 19
실시예 10에 따라(0.1M AgNO3로) 처리된 조류 혼입물(실시예 2)을 포함하는 리오셀 섬유의 세척 특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건조된 섬유 25g을 완전 탈염수 1리터에서 준비하였다. 24시간 동안 유지한후, 물을 정성적으로 조사하였다. 샘플을 채취한 후, 섬유 재료를 탈수하고 새로운 완전 탈염수로 공급하였다. 이 공정을 4번 반복하였다(각 24시간 총 4기). 섬유의 은 함량을 일련의 시험 전후에 조사하였다. 그 실험 데이터가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20
실시예 10에 따라(0.1M AgNO3로) 처리된 실시예 3의 리오셀 섬유의 세척 특성을 실시예 19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데이터가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21
렌징 비스코오스 모달 섬유(역가 섬도: 0.12tex, Lenzing AG사 제조)의 세척 특성을 실시예 17에 따라 처리하고(0.1M AgNO3에 의해), 실시예 19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데이터가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시간 섬유의 은 함량 [mg/kg 섬유]
개시 1기 후(24시간) 2기 후(24시간) 3기 후(24시간) 4기 후(24시간)
실시예 19 - 조류 혼입된 개질 리오셀 1842 1605 1427 1278 1191
섬유의 은 함량[mg/kg 섬유] 각 세척 단계에 대한 완전 탈염수에서의정성적 은 검출
시간 개시 종료 후 1기 후(24시간) 2기 후(24시간) 3기 후(24시간) 4기 후(24시간)
실시예 19 - 조류 혼합과 함께 개질된 리오셀 1842 119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실시예 20 - 조류 혼합 없이 개질된 리오셀 216 63 양성 양성 양성 양성
실시예 21 - 조류 혼합과 함께 개질된 비스코오스 모달 351 11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실시예 22
실시예 10에서 은으로 로딩된 섬유를 실시예 3의 정상 리오셀 섬유와 혼합하여, 약 섬유 kg 당 Ag 100mg의 Ag 농도로 혼합물에 존재하도록 하였다.
카드(card) 은을 균질화를 위해 상기 혼합물로부터 제조하고, 이 카드 은을 실시예 18에 따른 항균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기 표에는, 배양한 지 18시간 후 수준을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과 셀룰로오스,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개질 리오셀 섬유에 대해 그 수준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 23
실시예 10에서 은으로 로딩된 섬유를 실시예 3의 정상 리오셀 섬유와 혼합하여, 약 섬유 kg 당 Ag 50mg의 Ag 농도로 혼합물에 존재하도록 하였다.
카드(card) 은을 균질화를 위해 상기 혼합물로부터 제조하고, 이 카드 은을 실시예 18에 따른 항균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기 표에는, 배양한 지 18시간 후수준을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과 셀룰로오스,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개질 리오셀 섬유에 대해 그 수준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 24
실시예 10에서 은으로 로딩된 섬유를 실시예 3의 정상 리오셀 섬유와 혼합하여, 약 섬유 kg 당 Ag 5mg의 Ag 농도로 혼합물에 존재하도록 하였다.
카드(card) 은을 균질화를 위해 상기 혼합물로부터 제조하고, 이 카드 은을 실시예 18에 따른 항균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기 표에는, 배양한 지 18시간 후 수준을 성장 대조군으로서 표준 면과 셀룰로오스,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개질 리오셀 섬유에 대해 그 수준이 나타나 있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conc. 18시간 후 [log CFU]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conc. 18시간 후 [log CFU]
표준 면 3.32 7.52
표준 셀룰로오스 5.80 7.54
약 섬유 kg 당 100mg Ag을 가진 카드 은 - 실시예 22 0 0
약 섬유 kg 당 50mg Ag을 가진 카드 은 - 실시예 23 0 0
약 섬유 kg 당 5mg Ag을 가진 카드 은 - 실시예 24 0 0
실시예 25
3210g의 NMMMNO(60.5%), 321g의 MoDo, DP 500, 고형분 94%, 2.0g의 프로필 갈레이트(~0.63%, 셀룰로오스 함량 대비), 및 26g의 갈조류 아스코필룸 노도숨(Ascophyllum nodosum, 작은 조각들로 분쇄됨) 및 20mg 은(I) 산화물(작은조각들로 분쇄됨-최대 크기 1.5㎛ - 공급사: Sigma Aldrich, 제품번호 10228)을 혼합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혼합물을 94℃로 가열하였다. 셀룰로오스 함량 약 11.8%, 고형분 12.7% 및 점도 5,264Pa.s를 갖는 불연속적으로 제조된 방적 용액을 얻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방적 용액을 다음과 같은 방적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섬유로 방적하였다.
저장 탱크 온도 = 90℃
스핀 블록(spin block) 온도, 노즐 = 80℃
방적조 = 4℃
방적조 농도(초기) = 0% (증류수)
방적조 농도(말기) = 5% NMMNO
방적 펌프 = 0.6cm3/r
노즐 필터 = 19200M/cm2
방적 노즐 = 500 홀 90㎛; Au/Pt
최종 권취 속도 = 30m/분
상기 섬유를 40mm의 단섬유로 절단하고, 용매 부재하에서 세척하고 45℃의 10g/리터 연화(50% Leomin OR-50% Leomin WG(질소 함유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Clariant GmbH사 제조)) 물질을 첨가하거나, 또는 섬유를 더욱 가공하기 위해 지방 오버레이를 도포하고 105℃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11%의 섬유 수분으로 조절하였다. 어떠한 추가적인 표백 공정을건조전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26
셀룰로오스 대비 32중량% 이황화탄소를 첨가함으로써 셀룰로오스 33중량%, 가성 소다 용액 17중량%, 물 50중량%의 혼합물로부터 셀룰로오스 크산테이트를 제조하였다. 이후, 묽은 가성소다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크산테이트를 셀룰로오스 6중량%, NaOH 6중량% 및 물 및 반응 생성물을 가진 방적 용액으로 전환하고, 2시간 교반하였다.
실시예 27
기공-형성(pore-forming)제로서 황산나트륨(Glauber 염) 60g과 비스코오스의 단섬유(Svensak Rayon사 제조, Swelan형, 1.0dtex, 5mm) 5g을 실시예 26으로부터 얻은 비스코오스 용액 1.5kg에 첨가하고 집중적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천공된 성형품에 충전하고, 9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탄산나트륨 10g/리터 및 황산나트륨 80g/리터를 함유한 제1침전조에 위치시켰다.
이어서, 셀룰로오스를 완전히 재생시키기 위해 미리-침전시킨 혼합물을 15분 동안 제 2조로 이송하였다; 이때 조의 온도는 60℃이고, 70g/리터 황산과 140g/리터의 황산나트륨을 함유하였다.
이후, 스펀지를 세척하고, 탈수하고 건조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27과 유사하게 작은 조각으로 미세하게 분쇄한 갈조류 분말 8g을 비스코오스 용액에 더 첨가하여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이후, 건조되고 탈황된 스펀지를 0.1N 질산은의 조로 이송하고, 약 1시간 동안 상기 조에서 유지하였다. Ag를 함유하는 스펀지를 세척하고 재차 건조하였다.
모든 다른 제조된 스펀지와 같이, 상기 스펀지의 항균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직물의 항균성에 대한 일본산업표준 JIS L1902:1998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람-양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와 그람-음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균주를 사용하였다.
상기 박테리아를 상기 스펀지에 적용하고, 성장 대조군으로서 실시예 27의 표준 스펀지를 동일하게 시험 처리하였다.
배양한지 18시간 후,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박테리아 성장 억제 활성 또는 박테리아 감소 활성을 박테리아 함량(집락-형성 단위의 수 - CFU)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실시예 27의 표준 스펀지는 어떠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실시예 28의 스펀지에서는 어떠한 박테리아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갈조류가 혼입되고 은으로 처리된 스펀지에서 혼입된 갈조류 재료에 은 이온이 부착되기 때문에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실시예 29
실시예 27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어떠한 조류 분말 및 비스코오스 단섬유의 첨가도 없었다; 대신에, 조류(WO 01/62844호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대비 조류 12%)가 혼입된 리오셀 단섬유 35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28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한 다음, 질산은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스펀지 역시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카르바메이트 스펀지
실시예 30
셀룰로오스 카르바메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화학적 셀룰로오스 Borregaard SVS로부터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가성소다 용액을 가공된 알칼리 셀룰로오스(셀룰로오스 35중량%; NaOH 15중량%; 물 50중량%)로부터 물로 세척 제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활성화시킨 셀룰로오스(70중량%)를 탈수한 후, 탈수된 활성 셀룰로오스 10kg을 반죽기(kneading machine)에서 카르바아미드(1.5kg)와 혼합하였다. 이 공정에서, 셀룰로오스 내 수중 존재하는 카르바아미드를 용해시키고, 셀룰로오스 내에 균일하게 분포시켰다.
상기 셀룰로오스 펄프를 혼합기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하고 이미 o-크실렌(35kg)을 함유하고 있는 반응기로 이송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기 내용물들을 약 2시간 동안 145℃로 가열한 다음, 여과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잔류물을 약 25kg의 물이 존재하는 상기 반응기로 반송하였다. 카르바메이트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크실렌을 88℃에서 이탈시켰다.여과 후, 카르바메이트를 온수(50℃) 및 냉수로 세척하였다. 이후, 카르바메이트를 탈수하였다. 제조된 카르바메이트는 2.6%의 질소 함량(DS 0.3에 해당) 및 DP 270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1
실시예 30에서 제조된 카르바메이트 0.2kg, 가성소다 용액 0.22kg(30중량%), 0.26kg의 물 및 미세 분쇄된 갈조류 분말(아스코필룸 노도숨(Ascophyllum nodosum)) 10g으로부터 약 0.7kg의 강한(strong) 용액을 제조하였다. 모든 반응물을 미리 냉각하고, 0℃에서 반응을 진행시켰다(강한 알칼리액 조성물: 셀룰로오스 11.0중량%, NaOH 9.5중량%). 냉각시킨 상기 강한 용액에 기공-형성제로서 황산 나트륨 65g, 발포제로서 산성 탄산나트륨 25g, 비스코오스 단섬유(Svenska Rayon사, 1.0dtex를 가진 Swelan형, 5mm) 30g 및 차가운 가성소다 용액(1%) 0.2kg을 첨가하고 집중적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보다 큰 진공 용기로 이송시키고 약 20분 동안 100℃로 유지하였다. 분해 가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셀룰로오스를 침전시키고 그 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발포된 혼합물을 황산(70g/리터)과 황산나트륨(140g/리터)으로 제조된 약 40℃의 온조(warm bath)에 위치시켰다. 완전 탈염수로 세척한 후, 상기 스펀지를 가성소다 용액(20g/리터) 및 황산나트륨(100g/리터)의 뜨거운 분해조(85℃)에서 1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상기 스펀지를 세척, 탈수 및 건조하였다.
이후, 중성 세척하고 건조시킨 스펀지를 0.1N 질산은 조로 이송시키고, 약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다음, Ag를 함유하는 스펀지를 세척하고 재차 건조하였다.
상기 카르바메이트 스펀지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2
조류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 대신에 처리된 조류 분말 약 11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미세하게 분쇄한 조류 분말 약 25g을 0.1N 질산염 용액 1리터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분말을 원심분리하고, 수세한 다음, 후속 단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스펀지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3
실시예 31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강한 용액의 제조 중에는 어떠한 조류 분말도 첨가하지 않았다. 또한, 어떠한 비스코오스 단섬유를 첨가하지 않은 대신에, 조류가 혼입된 리오셀 단섬유 45g을 첨가하였다(WO 01/62844호에 따라 제조한 셀룰로오스 대비 조류 12%).
실시예 31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고 질산염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상기 스펀지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4
실시예 33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조류가 혼입된 리오셀 단섬유를 첨가하였다(WO 01/62844호에 따라 제조한 셀룰로오스 대비 조류 12%). 상기 섬유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섬유 약 100g을 0.1N 질산염 용액 3리터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섬유를 여과 분리하고, 수세한 다음 건조하였다.
실시예 33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지만, 질산은으로 처리하지 않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상기 스펀지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리오셀 스펀지
실시예 35
2967g의 NMMMNO(49.8%), 302g의 MoDo, DP 500, 고형분 94%, 1.8g의 프로필 갈레이트(0.63%, 셀룰로오스 함량 대비), 및 23g의 작은 조각들로 분쇄된 갈조류 아스코필룸 노도숨 분말(셀룰로오스 함량 대비 약 8%)을 혼합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혼합물을 94℃로 가열하였다. 셀룰로오스 함량 약 14.2%를 갖는 불연속적으로 제조된 방적 용액을 얻었다.
보강 섬유에서 혼합을 위해 점도를 준비 또는 조절하기 위해, 가열된 반죽기(IKA-Werke HKS 10)에서 NMMO 일수화물(86%) 1550g을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유기용매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1450g과 혼합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스펀지 제조를 위한 아민 옥사이드-셀룰로오스-물 시스템에서 주로 일어나는 고점도의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미국특허 제 4,196,282호).
이후, 비스코오스 단섬유 30g(Svenska Rayon사, 1.0dtex를 가진 Swelan형, 5mm) 및 기공-형성제(90g Na2SO4)를 상기 혼합물에서 교반하였다. 필요한 경우, 발포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제조한 방적 용액에 첨가하고, 비점 153℃를 갖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진공(80mbar) 증발하여 섬유로 강화되고 약 8%의 셀룰로오스 농도를 갖도록 셀룰로오스 용액을 균질화하였다. DMF 증류 중에 셀룰로오스계 단섬유가 팽창하였지만, 완전히 용액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스펀지 보강 효과가 상응하는 성형품으로 성형된 후에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약 7mm 높이의 천공 성형품에 충전하고, 20분 동안 50℃ 침전조에 위치시켰다.
상기 스펀지를 매 15분 마다 4개의 추가적인 세척조로 통과시켜 용매가 없도록 세척하였다; 이때 각 조는 30℃의 완전 탈염수를 함유하였다. 이후, 상기 스펀지를 탈수하고 약 2시간 동안 90℃의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필요한 경우, 취성(brittleness)을 보상하기 위해 연화 물질을 상기 스펀지에 첨가할 수 있다.
이후, 건조된 스펀지를 0.1N 질산은을 함유하는 조로 이송시키고 약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다음, Ag를 함유하는 스펀지를 세척하고 재차 건조하였다.
이렇게 은으로 처리된 스펀지 역시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6
용액 제조 중에 어떠한 조류 분말도 첨가하지 않고; 대신에 처리된 조류 분말 약 25g을 기공-형성제와 단섬유 첨가와 함께 첨가한 것을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미세하게 분쇄한 조류 분말 약 25g을 0.1N 질산염 용액 1리터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분말을 원심분리하고, 수세한 다음, 후속 단계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35와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지만, 질산은으로 처리하지는 않았다.
상기 스펀지는 양호한 강직도 및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7
실시예 35와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용액 제조 중에 어떠한 조류 분말도 첨가하지 않았다. 또한 어떠한 리오셀 단섬유도 첨가하지 않았다; 대신에, 조류(WO 01/62844호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대비 조류 12%)가 혼입된 리오셀 섬유를 3배 정도 많이 첨가하였다. 실시예 35와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고 질산은으로 처리하였다.
혼입된 조류의 양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펀지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8
실시예 37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조류(WO 01/62844호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대비 조류 12%)가 혼입된 리오셀 단섬유(질산은으로 처리됨)를 첨가하였다. 상기 섬유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섬유 약 100g을 0.1N 질산염 용액 3리터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섬유를 여과 분리하고, 수세한 다음 또 다른 단계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37과 유사하게 스펀지를 제조하였지만 질산은으로 처리하지 않았다.
상기 스펀지는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균 효과 평가 정보:
직물의 항균성에 대한 일본산업표준 JIS L1902:1998 시험법에 따라 조사를 수행하였고, 그람-양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를, 그람-음성 박테리아 균주로서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를 사용하였다.
스펀지에 상기 박테리아를 적용하고, 성장 대조군으로서 셀룰로오스를 동일하게 시험 처리하였다.
배양한지 18시간 후,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박테리아 성장 억제 활성 또는 박테리아 감소 활성을 박테리아 함량(집락-형성 단위의 수 - CFU)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항균 활성을 계산하기 위해,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배양한 지 각각 18시간후 집락 형성 단위(CFU)의 수의 상용로그(base-10 logarithm) 차를 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 약한 활성, 유의적인 활성 및 강한 활성 = "제균제(bacteriostat)에 대한 활성값". 약한 활성은 대조군과 시험군 사이의 차이가 제로 로그(zero logarithm) 단계임을 의미하며, 유의적인 활성은 그 차이가 1을 넘는 차이를 의미하고, 강한 활성은 3을 넘는 차이를 의미한다.
상기 박테리아를 상기 스펀지에 적용하고, 성장 대조군으로서 실시예 27의 표준 스펀지를 동일한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배양한지 18시간 후,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박테리아 성장 억제 활성 또는 박테리아 감소 활성을 박테리아 함량(집락-형성 단위의 수 - CFU)으로부터 결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측정된 표준 면이 어떠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내지 13의 스펀지에서는 강력한 항균 효과가 검출되었다.
특이적 효능 항균 효과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약한, 유의적, 강한 효과]
표준 면 +2.09 -2.05 약한 효과
실시예 28(비스코오스) +5.51 +7.85 강한 효과
실시예 29(비스코오스) +5.51 +7.85 강한 효과
실시예 31(카르바메이트) +5.51 +7.85 강한 효과
실시예 32(카르바메이트) +5.01 +6.31 강한 효과
실시예 33(카르바메이트) +5.51 +7.85 강한 효과
실시예 34(카르바메이트) +4.65 +5.64 강한 효과
실시예 35(리오셀) +5.51 +7.85 강한 효과
실시예 36(리오셀) +5.21 +6.88 강한 효과
실시예 37(리오셀) +5.51 +7.85 강한 효과
실시예 38(리오셀) +5.01 +6.45 강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나타낸다:
⇒ 20~100℃의 온도 범위에서 물, 알칼리 및 산에서 첨가된 살균성 물질의 불용성이 있음
⇒ 강한 알칼리, 강산 및 다양한 산화제와 접촉하여도 내화학성이 있음
⇒ 생물학적 담체 물질을 통해 직접적이지 않고 간접적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방적 공정 및 성형 공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형성되는 셀룰로오스 용액과 살균 효과를 가진 물질과의 혼화성이 양호함
⇒ 섬유면 방향으로 살균 효과를 가진 물질의 확산 효과는 셀룰로오스와 조류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에 대해 자연적으로 인정됨
⇒ 한편으로는 어떠한 유기 염소 화합물이 사용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살균제가 수분과 함께 방출되기 때문에, 살균 효과와 함께 물질의 생태계 및 독성학적 상용성이 양호함

Claims (31)

  1.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을 리오셀 성형체와 접촉시켜 중금속 함유 매질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셀 성형체가 이온 교환수지 또는 여과재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 함유 매질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중금속을 함유하는 가스인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이 금속성, 이온성 및/또는 착물 형태의 Ag, Cu, Zu, Hg, Sn, Cd, As, Pb, Sb, Zr, Ni, Fe, Au, Pd, Pt, I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셀 성형체가 식물및/또는 동물 재료를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료가 조류 재료인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셀 성형체가 섬유, 필라멘트, 섬유 웹, 호일, 필름, 막, 부직포, 필터, 담배 필터 및/또는 여과지의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리오셀 성형체의 용도.
  9. 담배 필터로서 리오셀 성형체의 용도.
  10. 하나 이상의 중금속이 흡착되어 있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카르바메이트, 비스코오스 및 리오셀 성형체로부터 선택되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금속의 함량이 리오셀 성형체의 총량 대비 약 5mg/kg 이상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금속이 금속성, 이온성 및/또는 착물 형태의 Ag, Cu, Zn, Hg, Sn, Cd, As, Pb, Sb, Zr, Ni, Fe, Au, Pd, Pt, I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오셀 성형체.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금속이 금속성, 이온성 및/또는 착물 형태의 Ag, Cu, Zn, Zr, Au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오셀 성형체.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셀 성형체가 식물및/또는 동물 재료를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리오셀 성형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료가 조류 재료인 리오셀 성형체.
  17. 제 10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셀 성형체가 섬유, 필라멘트, 섬유 웹, 호일, 필름, 막, 부직포, 담배 필터 및/또는 필터의 형태로 존재하는 리오셀 성형체.
  18. 제 10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셀룰로오스 카르바메이트, 쿠프로, 비스코오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올레핀, 테플론, 대마, 양모, 린넨 및 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셀룰로오스계 성형체.
  20.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의 항균성 및/또는 살진균성 물질로서 또는 이온 교환수지 재료 또는 여과재로서의 용도.
  21. 제 20항에 있어서, 항균성 섬유, 항균성 섬유 웹, 항균막, 항균성 소시지 케이스, 위생 물품, 의료용 제품, 멸균 보호 의류 및/또는 항균성 정수 필터로서 리오셀 성형체의 용도.
  22.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항균성 섬유.
  23.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항균성 섬유 웹.
  24.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항균막.
  25.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항균성 소시지 케이스.
  26.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위생 물품.
  27.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제품.
  28.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멸균 보호 의류.
  29.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항균 정수 필터.
  30.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항균성 스펀지.
  31. 제 10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성형체를 포함하는 담배 필터.
KR1020047002106A 2001-08-20 2001-11-29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그의 용도 KR100579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0772A DE10140772A1 (de) 2001-08-20 2001-08-20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Schwermetallen aus schwermetallhaltigen Medien unter Verwendung eines Lyocell-Formkörpers sowie Lyocell-Formkörper mit adsorbierten Schwermetallen und deren Verwendung
DE10140772.6 2001-08-20
PCT/EP2001/013970 WO2003018166A1 (de) 2001-08-20 2001-11-29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schwermetallen aus schwermetallhaltigen medien unter verwendung eines lyocell-formkörpers sowie cellulosischer formkörper mit adsorbierten schwermetallen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705A true KR20040036705A (ko) 2004-04-30
KR100579353B1 KR100579353B1 (ko) 2006-05-12

Family

ID=769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106A KR100579353B1 (ko) 2001-08-20 2001-11-29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14570B2 (ko)
EP (1) EP1418996A1 (ko)
KR (1) KR100579353B1 (ko)
CN (1) CN1547499A (ko)
DE (1) DE10140772A1 (ko)
TW (1) TW574069B (ko)
WO (1) WO2003018166A1 (ko)
ZA (1) ZA20040085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64B1 (ko) * 2005-12-26 2007-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중금속 흡착 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방법
KR20200014602A (ko) 2018-08-01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용 복합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5749A1 (de) * 2003-04-04 2004-10-14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TITK)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ischen Formkörpern mit funktionaler Wirkung
GB0417477D0 (en) * 2004-08-05 2004-09-08 Tencel Ltd Anti-microbial fibres
DE202004015240U1 (de) 2004-09-27 2004-12-09 Silvertex Gmbh Fadensystem zur Installation in Trinkwassersystemen
DE102005017478A1 (de) * 2005-04-15 2006-10-19 Reemtsma Cigarettenfabriken Gmbh Tabakrauchfilter
ES2288078B1 (es) * 2005-07-19 2008-12-01 Aplicacions Biotecnologiques En Salut Alimentacio I Medi Ambient, Bionatur, S.L. Un metodo para tratar aguas residuales que contienen materia organica y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 extracto vegetal util para el metodo.
ES2273585B1 (es) * 2005-07-19 2008-03-16 Aplicacions Biotecnologiques En Salut Alimentacio I Medi Ambient, Bionatur, S.L. Composicion y metodo para tratar residuos solidos y semisolidos urbanos e industriales que contienen materia organica biodegradable.
DE102005039999A1 (de) * 2005-08-23 2007-03-08 Zimmer Ag Herstellung reiner Metalle, von Metallgemischen und/oder Metalllegierungen in Form von Nanopartikeln und -strukturen mittels Cellulosefasern
US7537695B2 (en) * 2005-10-07 2009-05-26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Water filter incorporating activated carbon particles with surface-grown carbon nanofilaments
FR2896808A1 (fr) * 2006-01-30 2007-08-03 Ofa Bamberg Gmbh Fil elastique avec un fil d'enroulement contenant des substances actives
US20070183929A1 (en) * 2006-02-09 2007-08-09 OI Analytical Total organic carbon analysis
DE102006015848B4 (de) * 2006-04-03 2010-09-30 Max Schlatterer Gmbh & Co Kg Garniturband zum Formen von Zigaretten und/oder Filtern
AT503625B1 (de) 2006-04-28 2013-10-15 Chemiefaser Lenzing Ag Wasserstrahlverfestigtes produkt enthaltend cellulosische fasern
EP2013385A1 (en) * 2006-04-28 2009-01-14 Lenzing Aktiengesellschaft Nonwoven melt-blown product
DE102006033591B4 (de) * 2006-07-18 2008-10-16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der Spinnlösung bei der Herstellung von cellulosischen Verbundformkörpern
EP1881058B1 (de) * 2006-07-21 2011-01-05 Smart Fiber AG Reinigungstuch
DE102006033934B4 (de) * 2006-07-21 2009-09-10 Smart Fiber Ag Selbstdesinfizierendes Haushaltstuch
DE102006056977B3 (de) * 2006-11-30 2008-05-08 Smart Fiber Ag Verwendung eines textilen mikrobioziden Speichers
WO2008100163A1 (en) * 2007-02-13 2008-08-21 Instytut Wlókien Naturalnych Method of manufacturing silver nanoparticles, cellulosic fibers and nanofiber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fibers and nanofiber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use of silver nanoparticles to the manufacture of cellulosic fibers and nanofibers, and wound dressing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DE102007019768A1 (de) 2007-04-25 2008-11-13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ioaktiven Cellulosefaser mit hohem Weißgrad
GB2451509B (en) * 2007-08-02 2012-03-14 Forestry Commission Charcoals
AT505621B1 (de) 2007-11-07 2009-03-15 Chemiefaser Lenzing Ag Ve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sserstrahlverfestigten produktes enthaltend cellulosische fasern
CN101367575B (zh) * 2008-10-06 2010-04-14 首都师范大学 一种资源化处理镉污染废水的方法
CA2740741A1 (en) * 2008-10-16 2010-04-22 Cornell University Regenerable removal of sulfur from gaseous or liquid mixtures
US20100210161A1 (en) * 2009-02-17 2010-08-19 Jensen Steven D Radiation resistant clothing
EP2480719A1 (en) * 2009-09-22 2012-08-01 SONOCO Development Inc. Paperboard containing a biocid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202010014723U1 (de) 2010-07-14 2011-11-10 Gebr. Becker Gmbh Textiler mikrobieller Speicher
CN102352049B (zh) * 2011-07-25 2012-10-10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纳米贵金属粒子-纤维素杂化膜的制备方法
CN102603081B (zh) * 2012-03-30 2014-03-05 浙江商达环保有限公司 水处理用纤维素基可降解填料的制备方法
DE102012210051A1 (de) 2012-06-14 2013-12-19 Christian Lauke Mikrobizider Speicher
US20140030302A1 (en) * 2012-07-30 2014-01-30 Bo Shi Algal biomass fibers laden with metal for consumer product applications
CN103801270B (zh) * 2012-11-14 2016-03-30 长沙飞达矿冶技术有限公司 用于处理含复杂重金属废水的环保材料及其生产工艺
CN103628165B (zh) * 2012-12-27 2016-03-30 青岛海芬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浒苔蛋白纤维的制备方法
CN103074699A (zh) * 2012-12-28 2013-05-01 佛山市优特医疗科技有限公司 化学改性的海丝纤维、由其制成的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
EP3072405A1 (de) * 2015-03-27 2016-09-28 Cordenka GmbH & Co. KG Zigarettenfilter
CN107963794B (zh) * 2017-09-15 2023-08-18 中国环境科学研究院 用于低透明度、高氨氮底泥的水下草坪及其构建方法
CN110420480B (zh) * 2019-08-13 2021-05-07 包头稀土研究院 从稀土用碳酸盐类沉淀剂中脱除烷基苯磺酸铵的方法
DE102022109459A1 (de) 2021-04-21 2022-10-27 Smartpolymer Gmbh Waschpermanente bioaktive Cellulosefaser mit antibakteriellen und antiviralen Eigenschaften
CN113171762B (zh) * 2021-04-27 2023-02-24 重庆科技学院 一种纤维基吸附材料及其制备方法和回收钯的应用
WO2023214425A1 (en) * 2022-05-05 2023-11-0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IIT Madras) A selective and efficient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noble metal ions from complex mixtur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0454A (ko) 1960-10-21
DE2005042A1 (ko) 1969-02-04 1970-10-29
US4361493A (en) 1980-06-30 1982-11-30 Eastman Kodak Company Hydrophilic substrate for sorbing heavy metals
US5496860A (en) * 1992-12-28 1996-03-05 Suntory Limited Antibacterial fiber, textile and water-treating element using the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S2115349T3 (es) 1993-11-29 1998-06-16 Courtaulds Fibres Holdings Ltd Filtros para cigarrillos.
DE19501290A1 (de) * 1995-01-18 1996-07-25 Thueringisches Inst Textil Formkörper aus regenerierter Cellulose
US5792399A (en) 1994-11-03 1998-08-11 Ostthuringische Materialprufgesellschaft Fur Textil Und Kunststoffe Mbh Formed shape made of regenerated cellulo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DE19544097C1 (de) 1995-11-27 1997-07-10 Thueringisches Inst Texti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Polysaccharidmischungen, da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sowie deren Verwendung
JP3693449B2 (ja) * 1996-04-05 2005-09-07 三菱製紙株式会社 抗菌防黴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繊維状物質
DE19747518A1 (de) 1997-10-28 1999-04-29 Claus Dr Otto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r Anwendung von Adsorptionsmitteln für Schwermetallionen aus wäßigen Lösungen
CA2358507C (en) 1999-02-03 2007-10-23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Stable coloring by in situ formation of micro-particles
DE19917614C2 (de) * 1999-04-19 2001-07-05 Thueringisches Inst Texti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ischen Formkörpern mit hohem Adsorptionsvermögen
DE10007794A1 (de) 2000-02-21 2001-06-28 Zimmer Ag Polymer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64B1 (ko) * 2005-12-26 2007-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중금속 흡착 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방법
KR20200014602A (ko) 2018-08-01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용 복합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353B1 (ko) 2006-05-12
TW574069B (en) 2004-02-01
ZA200400851B (en) 2004-10-22
DE10140772A1 (de) 2003-03-13
US7314570B2 (en) 2008-01-01
CN1547499A (zh) 2004-11-17
US20050035057A1 (en) 2005-02-17
WO2003018166A1 (de) 2003-03-06
EP1418996A1 (de)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353B1 (ko) 리오셀 성형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함유하는 매질로부터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흡착된 중금속을 포함하는셀룰로오스계 성형체, 및 그의 용도
KR100903064B1 (ko) 스트레치 포백
CA2399954C (en) Polymer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US889927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textiles woven from chitosan containing high wet modulus rayon fibre
US8092732B2 (en) Processing method of the natural cellulose fiber with feature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antifungi, antibacteria and deodorization
JP3940236B2 (ja) 金属キレート形成性繊維及びその製法、並びに該繊維を用いた金属イオン捕捉法及び金属キレート繊維
CN101331263A (zh) 抗菌性纤维及其制造方法以及含有抗菌性纤维而形成的抗菌性纤维制品、其制造方法以及再生方法
GB2518430A (en) Cellulose fibres
JP6112917B2 (ja) 砒素吸着性再生セルロース成形体、その製造方法、砒素吸着材及び水処理材
JP2018009276A (ja) 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れを含む繊維構造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1993016670A1 (en) A surface covering material for an absorptive product
JP6101429B2 (ja) 多機能性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れを含む繊維構造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204207A (ja) 消臭性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204205A (ja) 消臭性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構造物
JPH06306705A (ja) 抗菌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63448B1 (ko) 키토산 살균 필터 제조방법.
EP3377682A1 (en) Gelling fibres
JPH0544165A (ja) 抗菌抗カビ防臭性長繊維および不織布
El-Sayed et al. Treatment of Selected Man-made Fabrics with biopolymers and Their Utilization in Removal of Copper II Cations from Industrial Wastewater
JP2004183181A (ja) セルロース系繊維含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05629B2 (ja) 消臭防臭繊維
JPS62170254A (ja) 創傷被覆保護材
JP2660255B2 (ja) アルギン酸系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JP2549651B2 (ja) 殺菌性再生セルロ−ス系繊維
CN103668517B (zh) 含甲壳素的高湿模量粘胶纤维之医疗用纺织品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