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538A -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538A
KR20040036538A KR1020030063298A KR20030063298A KR20040036538A KR 20040036538 A KR20040036538 A KR 20040036538A KR 1020030063298 A KR1020030063298 A KR 1020030063298A KR 20030063298 A KR20030063298 A KR 20030063298A KR 20040036538 A KR20040036538 A KR 2004003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pening
closing
thicken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528B1 (ko
Inventor
요시카즈 니시하라
이쿠오 아카미네
야스히로 나카무라
노리야 아사다
아츠시 다케우치
히로즈미 이토
신이치 사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3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가스 농후화 유니트와 차압 발생 장치가 접속되는 가스 농후화 장치에 있어서, 가스 농후화 유니트를 통과한 습기찬 공기의 배출 및 동결 방지를 행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이다.
적어도 가스 농후화 수단과,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기체 이송 통로에 제2 기체보다도 상대 습도가 작은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 공기 조화기{GAS ENRICHING APPARATUS AND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소정의 가스 농도를 다른 가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에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택성 가스 투과막이나 PSA법 등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산소나 질소 등의 특정 가스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산소 농후화 장치나 질소 농후화 장치 등이 의료용 농후화 장치, 공기 조화기, 공기 청정기 등의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산소 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산소 농후화 수단을 설치하고, 산소 농후화된 공기를 송출 배관을 통해서 실내기로 보내고, 실내측으로 방출하여 피공조(被空調) 공간인 실내의 산소 농도를 향상시켜서 거주자의 쾌적성의 용도로 이용한다고 하는 예가 일본국 특개평 5-113227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 2002-395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선택성 가스 투과막의 하나인 산소 농후화막을 이용하여 행하는 산소 농후화 조작에서, 산소 농후화막은 공기 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질소를 산소와 분리시키고, 산소를 우선적으로 투과시키는 특성은 있지만, 동시에 공기 중의 수분도 투과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산소 농후화막에 들어가는 1차측의 공기에 대해서, 산소 농후화막을 통과한 후의 2차측의 공기에서는, 질소가 분리된 부분만큼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이슬점이 1차측의 공기에 비해서 상승하여, 산소 농후화막을 통과한 후의 2차측의 송출 배관 속에서 종종 결로수를 발생시켜 버린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결로수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방산(放散)되어, 실내를 적시거나, 사용자에게 내려 덮여서 불쾌감을 주거나 한다. 그래서, 종래는, 실내기의 산소 농후화 공기의 수송 경로 중에 냉각기를 설치하여, 함유 수분을 강제적으로 결로시키는 동시에 수분 분리기를 설치하여, 수분이 실내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택성 가스 투과막이나 PSA법 등의 흡착재를 사용하여 행하는 가스 농후화 조작에서는, 산소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 농후화 장치의 2차측에서는필연적으로 상대 습도가 올라가서 이슬점이 상승하여, 결로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가스 농후화 장치를 통과한 2차측에서, 가스 농후화된 기체의 수송 경로가 옥외 대기로 노출되어 대기 온도가 낮은 경우 등은, 수송 경로의 내부에서 결로수가 동결하여 가스 농후화된 기체를 반송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수송 경로 중에 결로수가 발생하면, 수송 경로 중의 기체의 흐름에 맥동이 생겨서 다른 음을 발생시키거나, 물방울이 파열하는 파열음 등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이들 음이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측으로 전파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결로수가 가스 농후화 장치에 공기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되는 감압 펌프 등으로 역류하면, 이들 내부 부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거나, 결로수를 압축하는 액 압축에 의해 압축 기구가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가스 농후화된 기체의 수송 경로 중에서 결로수의 발생을 대단히 저감시켜서,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수송 경로 중의 결로수의 동결을 방지하고, 수송 경로 내부의 유량을 확보하여, 펌프 등의 안정 운전이 가능한 가스 농후화 장치와 차압 발생 장치 및 이것들을 사용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농후화 장치는, 적어도 가스 농후화 수단과,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기체 이송 통로에 제2 기체보다도 상대 습도가 작은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체 이송 경로 중의 결로수를 배출하거나 재증발시켜서, 기체 이송 경로 중에서의 결로수의 체류나 소음 발생 등을 방지하여, 가스 농후화 장치의 안정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가스 농후화 장치의 유로 개폐 밸브의 제어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가스 농후화 장치의 유로 개폐 밸브와 감압 펌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서의 유로 개폐 밸브와 감압 펌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서의 유로 개폐 밸브의 제어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서의 유로 개폐 밸브와 감압 펌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소 농후화 유니트2 : 감압 펌프
3 : 기체 이송 통로4 : 유로 개폐 밸브
5 : 온도 센서6 : 제어 수단
7 : 하우징체8 : 토출 주관
9 : 분기관10 : 유통 저항 부재
11 : 도입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농후화 장치로서 산소 농후화 장치를 거주 공간의 공기 조 화에 사용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먼저 도 1, 도 2,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으로서 감압 펌프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스 농후화 장치(30)는, 가스 농후화 수단이 되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1)와, 차압 발생 수단이 되는 감압 펌프(2)와, 기체 이송 통로(3)와, 유로 개폐 수단인 유로 개폐 밸브(4)와, 온도 검지 수단인 온도 센서(5)와, 제어 수단(6) 등으로 구성되고, 전체가 하우징체(7)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감압 펌프(2)의 토출측에는 토출 주관(8)이 접속되고, 가스 농후화된 기체를 이들이 사용되는 장소에 공급하고 있다. 유로 개폐 밸브(4)는, 기체 이송 통로(3)로부터 분기된 분기관(9)에 의해서 기체 이송 통로(3)와 접속되는 동시에, 유통 저항 부재(10)와 도입관(11)이 접속되어 있다. 산소 농후화 유니트(1)는 특정한 가스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선택 투과막이어도 되고, 혹은 특정한 가스를 흡착하는 선택 흡착막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 농후화 장치(30)에서, 가스 농후화되는 제1 기체인 대기(12)가, 산소 농후화 유니트(1)의 출구측에 설치된 감압 펌프(2)의 흡입에 의해서 산소 농후화 유니트(1)에 들어가고, 산소 농후화 유니트(1) 내의 선택 투과막 등에 의해서 산소가 선택적으로 투과되며, 산소 농도가 높은 제2 기체로 되어 기체 이송 통로(3)에 들어간다. 산소 농도가 높은 제2 기체는 기체 이송 통로(3)로부터 감압 펌프(2)를 지나서 토출 주관(8)에 토출된다.
또한, 산소 농후화 유니트(1)의 흡입측, 즉, 대기측에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1)에 의해서 체류하는 질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팬(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하여, 가스 농후화 장치(30)의 운전에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가스 농후화 장치(30)를 공기 조화기에 사용한 경우에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1)의 배치 구성을 실외기의 송풍 회로 내에 배치하여, 실외 팬과 공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분기관(9)에 접속된 유로 개폐 밸브(4)는 전자(電磁) 2방향 밸브 등의 개폐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유통 저항 부재(10)는 모세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 제어는 온도 검지 수단인 온도 센서(5)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6)의 신호에 의해서 개폐 제어된다. 또, 이와 같은가스 농후화 장치(30)가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 등은, 이들 기기로부터의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로 개폐 밸브(4)는 ON-OFF의 개폐 동작만으로 하거나, 또는 그 개폐 정도를 가변시켜, 그 개폐 밸브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개폐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한편, 온도 센서(5)는, 가스 농후화 장치(30)가 설치되는 대기 온도, 산소 농후화 유니트(1) 근방의 온도, 혹은 가스 농후화 장치(30)를 구성하는 기체 이송 통로(3)나 토출 주관(8) 등의 배관 온도 등 임의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가스 농후화 장치(30)를 외기 중에 배치하여, 대기를 산소 농후화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도 1,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감압 펌프(2)가 운전되면, 제1 기체인 외기(12)가 산소 농후화 유니트(1)에 흡입되고, 산소 농후화 유니트(1)를 통과하여 산소 농도가 높아진 공기가 기체 이송 통로(3)를 통과하여 감압 펌프(2)에 흡입되며, 또한 토출 주관(6)를 통해서 송출된다.
다음에 기체 이송 통로(3)에 설치된 분기관(9)에 개재 설치된 유로 개폐 밸브(4)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의 유로 개폐 밸브의 제어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제어 사양에서의 유로 개폐 밸브와 감압 펌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챠트이다.
유로 개폐 밸브(4)는 운전 개시시의 상태에서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감압 펌프(2)가 운전되어 산소 농후화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 수단(6)이 온도 센서(5)에 의해 검지된 외기 온도에 의해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도 2에서는 윗쪽이 검지된 외기 온도가 높고, 아래쪽일수록 외기 온도가 낮은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검지된 외기 온도(T)가 a점에 있고, 소정 온도(T1)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유로 개폐 밸브(4)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외기 온도(T)가 저하하여 b점의 상태가 되고, 소정 온도(T1)보다도 낮아진 경우에는 외기의 상대 습도도 상승하기 때문에, 산소 농후화된 제2 기체는 그 상대 습도가 더욱 상승한다. 이 때문에, 기체 이송 통로(3)나 토출 주관(8)에서 결로하기 쉽게 되어, 결로수의 동결 등에 의해 이들의 배관 경로를 폐색(閉塞)하는 현상 등이 발생한다.
그래서, 유로 개폐 밸브(4)를 개방으로 하면, 적어도 가스 농후화되어 기체 이송 통로(3)를 통과하는 기체에 비해서 상대 습도가 작은 제3 기체가 되는 외기(13)가 도입관(11)을 통해서 기체 이송 통로(3)에 도입된다. 이 때문에, 토출 주관(8)으로 송출되는 기체는,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외기와 혼합하여 결로 상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 때, 산소 농후화 유니트(1)를 통과하는 경우보다도 도입관(11)을 통과하는 경우의 유통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로 개폐 밸브(4)를 개방 상태로 하면 외기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1)측이 아닌 도입관(11)측에서 우선적으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이들 도입관(11), 유통 저항 부재(10), 유로 개폐밸브(4), 및 분기관(9)의 유통 저항을, 산소 농후화 유니트(1)의 유통 저항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유량의 외기가 도입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토출 주관(8) 등에 체류하는 결로수를, 그 관로의 풍속을 상승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결로수의 증발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만일 결로수가 토출 주관(8) 등에서 동결한 경우에도, 이들의 고속 기류로 외부로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도입관(11)에 도입되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유통 저항 부재(10)를 설치하여, 최적 유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기체로서, 산소 농후화 유니트(1)에 흡입되는 제1 기체보다도 고온의 기체를 도입함으로써, 결로수의 증발이나 결로수의 동결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기 온도(T)가 재차 상승하여 온 경우에는 유로 개폐 밸브(4)를 개폐하는 소정 온도로 히스테리시스를 형성하고 있다. 즉, 외기 온도가 하강하여 오는 경우에는 유로 개폐 밸브(4)가 개방 상태로 되도록 설정된 외기 온도(T)가, 다음에 외기 온도가 상승하는 과정의 c점에서도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가 폐쇄 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외기 온도(T)가 d점의 상태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폐쇄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제어하고 있다. 물론, T1=T2로 해도 되지만, 히스테리시스를 설정함으로써, 유로 개폐 밸브(4)가 T1 부근에서 개폐를 빈번하게 반복하여 밸브의 신뢰성을 손상시키거나, 빈번한 전환음으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하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 외기 온도에 의한 검지 온도를 다수의 설정 외기 온도와 비교하고, 유로개폐 밸브(4)의 개폐 동작으로서, 외기 온도가 낮아질수록 개방 시간을 늘리도록 하여, 이들 경로 내의 결로수의 동결 방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입관(11)에 유통 저항 부재(10)를 설치하고 있다. 유통 저항 부재(10)가 없는 경우에는, 유로 개폐 밸브(4)의 개방 제어를 행하였을 때에, 감압 펌프(2)의 급격한 흡입 압력 변동에 의해서 큰 다른 음이 발생하지만, 이 유통 저항 부재(10)를 접속함으로써 압력 변동을 작게 하여, 이와 같은 다른 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유통 저항 부재(10)는 유량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고, 산소 농후화 유니트(1)보다도 유통 저항이 작은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결로수의 배제 등에 유효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온도 센서(5)가 검출하는 온도로서 외기 온도로 하고 있지만, 기체 이송 통로(3)나 토출 주관(8) 등의 통로 온도 또는 그 근방의 외기 온도를 이용함으로써, 이들의 경로에서의 결로수 발생이나 결로수의 동결 방지 등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로 개폐 밸브(4)를 외기 온도와 관계없이, 소정 시간 등에 기초하여 간헐적으로 개폐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서,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 등에 가스 농후화 장치를 설치하여, 신선한 대기의 실내로의 도입과 산소 농후화 공기의 기체 이송을 전환하여 행할 수도 있어, 환기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공기 조화기 등에 사용한 경우,공기 조화기 자체가 갖는 온도 센서를 공용하여 온도 센서(5)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제어 수단(6)을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어 장치에 장착하여 배치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기체 이송 통로(3)에 분기관(9)을 설치하여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압 펌프(2) 자체의 흡입측 유로에 직접 기체 도입부인 분기관(2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분기관(20)에 유로 개폐 밸브(4) 등이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공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분기관(20)을 감압 펌프(2)측에 설치하여 가공해 둠으로써, 산소 농후화 유니트(1)부터 감압 펌프(2)까지의 사이의 기체 이송 통로(3)에 분기 가공을 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감압 펌프(2)의 생산시에, 유로 개폐 밸브(4)나 분기관(20) 등의 유니트를 미리 부착해 둘 수 있으며, 결로수 억제 기능이 있는 감압 펌프(2)로서 생산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외기 온도를 검지하여 유로 개폐 밸브(4)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감압 펌프(2)에 걸리는 부하 전류를 검지하여, 결로수의 발생이나 동결에 의한 토출 주관(8)의 유로 폐색을 판단하여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분기관(9)을 기체 이송 통로(3)에 설치하고, 실시 형태 2에서는 분기관(20)을 감압 펌프(2)의 흡입측 유로에 직결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산소 농후화 유니트(1)에 직접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가스 농후화 수단이 되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1)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으로서 감압 장치인 감압 펌프를 이용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감압 장치가 아닌 가압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장치인, 예를 들면, 터보 팬(40)에 의해서, 제1 기체인 외기(12)를 가압하여, 송풍 경로(41)를 지나서 가스 농후화 수단인 산소 농후화 유니트(42)에 공급한다. 산소 농후화 유니트(42)로부터 토출된 제2 기체인 산소 농도가 높아진 기체는 기체 이송 통로(43)로 토출된다. 여기에서, 산소 농후화 유니트(42)로서는 선택성 가스 투과막이나 PSA법 등의 흡착제 등이 사용 가능한 것은 실시 형태 1, 2와 동일하지만, 특히 중공사막 등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 3에 의한 가압 펌프, 혹은 송풍 장치를 차압 발생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 산소 농후화 유니트(42)와 병렬로 유로 개폐 밸브(44)가 설치되고, 송풍 경로(41)와 기체 이송 통로(43)에 접속된 바이패스 회로(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이패스 회로(45)에는 가열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바이패스 회로(45)를 통과하는 기체를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유로 개폐 밸브(44)는 실시 형태 1 및 2와 동일하게, 온도 센서(5)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에 의해서, 제어 수단(6)을 사용하여 그 개폐가 제어되는 것은 실시 형태 1 및 2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차압 발생 장치로서 가압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도, 산소 농후화 유니트(42)를 통과한 후에 발생하는 결로수의 배제나, 동결 방지를, 유로 개폐 밸브(44)의 개폐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실시 형태 1 및 2와 같이 감압 펌프의 흡입측에 대량의 기체를 흡입할 필요가 없어, 흡입에 의해서 발생하는 다른 음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기 상태, 즉,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기체 이송 통로나 토출 주관에 제2 기체를 도입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체 이송 통로나 토출 주관 내에 이젝터를 설치하여, 이 이젝터 작용에 의해 제2 기체를 흡입하여 도입하는 방법 등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내지 3에서 서술한 유로 개폐 밸브는, 그 개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서술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유로 개폐 밸브의 밸브 부재를 형상 기억 합금 등으로 구성하고, 이 밸브 부재가 소정 온도가 되었을 때에 그 형상 기억 합금의 변형에 의해서 개폐 동작시키는 것 등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4)
도 2, 도 6을 이용하여 유로 개폐 밸브의 개폐 동작에 관한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 4에서의 유로 개폐 밸브와 감압 펌프의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챠트이다. 가스 농후화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온도 센서(5)에 의해서 소정 외기 온도(T1)가 검지된 경우에,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 동작을 단속 운전시켜서, 산소 농후화 유니트(1)를 통과하여 생긴 상대 습도가 높은 공기가 결로하기 전에, 다량의 상대 습도가 낮고 건조한 외기를 도입하여 동결 방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외기란 대기의 공기이며, 외기 또는 감압 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주위의 공기이어도 된다.
유로 개폐 밸브(4)의 단속 운전은, 외기 온도가(T1)보다 저하하면 개방 동작(ON 운전)을 ta 시간 행하고, 그 후 tb 시간 폐쇄 동작(OFF 운전)을 행한다. 그리고, 외기 온도가 T2보다 높아졌을 때에, 유로 개폐 밸브(4)를 폐쇄로 하여 개폐의 단속 운전을 종료한다.
또, 외기 온도에 의한 검지 온도를 다수의 설정 외기 온도와 비교하고,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 동작의 운전률을 외기 온도가 낮아질수록 늘리도록 하여, 관로 내 결로수의 동결 방지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 개폐 동작의 운전률이란, 단속 운전 시간 중의 개방 동작 시간의 비율이다.
(실시 형태 5)
도 7, 도 8을 이용하여 유로 개폐 밸브의 개폐 동작에 관한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스 농후화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온도 센서(5)에 의해서 검출된 외기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비교를 이용한 유로 개폐 밸브(4)의 제어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온도 센서(5)에 의해 검지된 외기 온도에 의한 유로 개폐 밸브(4)와 감압 펌프(2)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챠트이다.
실시 형태 4에서 서술한 것과 동일하게, 외기 온도가 저하하면 산소 농후화 유니트(1)를 통과하여 생긴 상대 습도가 큰 기체의 결로수가 동결하여, 공기의 통로를 폐색한다. 이 때문에, 온도 센서(5)가 낮은 외기 온도를 검지하면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 동작의 단속 운전을 행하여, 가스 농후화 유니트(2)를 통과한 상대 습도가 큰 공기가 결로하기 전에, 풍량이 많은 건조한 외기를 도입하여 동결 방지를 도모한다. 이 때, 외기 온도의 차이에 따라서, 외기 온도가 보다 낮아지는 경우는, 유로 개폐 밸브(4)의 개폐 동작에 의한 단속 운전의 운전률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유로 내의 동결 방지를 행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5에서 유로 개폐 밸브(4)는, 외기 온도가 T3보다 저하하면 유로 개폐 밸브(4)의 개방 동작(ON 운전)을 ta 시간 행하고, 그 후 tb 시간의 폐쇄 동작(OFF 운전)을 행하는 개폐 A운전을 행한다. 외기 온도가 T4보다 높아지면, 이 유로 개폐 밸브(4)는 폐쇄로 되어 개폐의 단속 운전은 행하지 않는 밸브 폐쇄 운전을 행한다. 한편, 또한 외기 온도가 T1보다 저하한 경우에는, 유로 개폐 밸브(4)의 개방 동작(ON 운전)을 tc 시간 행하고, 그 후 td 시간 유로 개폐 밸브(4)의 폐쇄 동작(OFF 운전)을 행하는 개폐 B운전을 행한다. 이 때의 유로 개폐 밸브(4)의 개방 동작 시간인 ta와 tc의 시간 관계는,ta<tc로 하고 또한 tc>td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외기 온도가 저온인 경우에는, 기체 이송 통로나 토출 주관에서의 결로수가 확실하게 배제되어, 안정 운전과 다른 음 등의 발생이 없는 가스 농후화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이하, 실시 형태 6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5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실외 유니트와 실내 유니트로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 공기 조화기는 실내 유니트(50)와 실외 유니트(51)로 구성되고, 냉매 가스가 순환하도록 접속 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50)에는 실내 팬(52)이 배치되어 있다. 실외 유니트(51)에는, 압축기(53), 실외 열 교환기(54), 실외 팬(55)이 배치되는 동시에, 1실을 사이에 두고 가스 농후화 장치로서의 산소 농후화 장치(56)가 실외 유니트(51)의 상부에 얹어놓여져 있다.
산소 농후화 장치(56)는 실시 형태 1에서 서술한 가스 농후화 장치(30)이며, 토출 주관(8)을 통해서 가스 농후화된 산소 농도가 높은 제2 기체인 공기가 실내 유니트(50)의 하우징체 내부 또는 그 근방에 토출되도록, 피공조 공간에 이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수단으로서의 토출구(57)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 유니트(50)의 하우징체 내의 송풍 회로에 면하여 토출구(57)가 배치된경우에는, 실내 팬(52)의 동작에 의해, 실내 공간으로 분출되는 송풍에 토출구(57)로부터 분출된 산소 농후화 공기가 첨가되어, 분출구(58)로부터 피공조 공간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실내 팬(52)은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산소 농후화 장치(56)로서, 실시 형태 1 내지 5에서 서술한 가스 농후화 장치와 차압 발생 장치 혹은 유로 개폐 밸브의 제어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위 공기 조화기의 기본 기능을 실현하는 운전 외에, 피공조 공간에 산소 공급을 행하여, 거주자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다.
산소 농후화 장치(56)에 의해서, 산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피공조 공간인 실내로 송출할 때에, 예를 들면 여름철의 외기 자체의 상대 습도가 큰 경우, 혹은 겨울철의 외기가 낮은 경우에는 토출 주관(8)에 결로수가 발생하기 쉽게 되고, 특히 겨울철은 이들이 동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대 습도가 큰 산소 농후화된 공기에 상대 습도가 작은 외기 등을 간헐적으로 혹은 대량으로 도입함으로써, 결로수의 발생이나 결로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공조 공간에 안정하고 확실하게 산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 토출 주관(8) 등에서 결로하거나, 동결한 빙결 등을 압출하는 경우에, 이들이 토출구(57)로부터 직접 피공조 공간으로 분출되지 않도록, 토출구(57)의 앞쪽에 확대 용적부를 설치하고, 이곳에서 융해, 증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7)
가스 농후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로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서의 가스 농후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공기 조화기의 주요 구성은 실시 형태 6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0에서, 실외 유니트(51)는, 압축기(53), 4방향 밸브(도시하지 않은) 등이 배치된 압축기실(60)과, 산소 농후화 유니트(61)나 감압 펌프(62) 등으로 이루어지는 산소 농후화 장치와,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63) 등이 배치된 전장 부품실(64)을 갖고, 이들을 합쳐서 기계실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외 팬(55)과 실외 열 교환기(54)로 이루어지는 열 교환기실(65)을 갖고 있다.
실내 유니트(50)는, 실내 팬(52)을 갖는 동시에, 산소 농후화 장치(56)의 토출구(57)를 설치하고 있다.
산소 농후화 장치는, 선택성 가스 투과막인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와,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의 2차측을 감압하는 감압 펌프(62)와, 그 사이를 기체가 통과 가능하게 연결하는 산소 공급 주관(66)과, 이 산소 공급 주관(66)의 도중에 대기 도입관(67)이 접속된 3방향 밸브(68)와, 감압 펌프(62)의 토출측에 연결된 토출 주관(69)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대기 도입관(67)의 말단의 대기 도입구(70)는 압축기실(60) 내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송풍관(71)은, 토출 주관(69)과 토출구(57)를 접속하는 배관으로, 실외 유니트(51)로부터 도출되어 실내 유니트(50) 내에 도입되어 있다.
또한,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의 1차측(대기측)에는, 체류하는 질소 농후화 공기(20)를 배기하기 위한 팬(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해 두고, 산소 농후화 장치의 운전에 연동하여 동작시키면 된다. 여기에서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의 1차측을, 실외 유니트(51)의 실외 팬(55)을 갖는 열 교환기실(65)의 송풍 회로 내에 배치하고, 실외 팬(55)의 송풍에 의해서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의 1차측의 질소 농후화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감압 펌프(62)가 운전되면, 제1 기체인 열 교환기실(65) 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산소 농후화 유니트(61)를 통과하고, 산소 농후화된 제2 기체로서 산소 공급 주관(66), 3방향 밸브(68)를 통과하여 감압 펌프(62)에 흡입되며, 토출 주관(69), 송풍관(7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토출구(57)로부터 실내 유니트(50) 내로 송출된다.
또한, 3방향 밸브(68)가 개방인 상태(대기 도입관(67)과 감압 펌프(62)의 산소 공급 주관(66)이 연통하는 상태를 말함)에서의 유통 저항이, 3방향 밸브(68)가 폐쇄인 상태(산소 농후화 유니트(61)측의 산소 공급 주관(66)과 감압 펌프(62)측의 산소 공급 주관(66)이 연통하는 상태를 말함)에서의 유통 저항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3방향 밸브(68)를 개방 상태로 하면, 대기는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측이 아닌 대기 도입관(67)의 대기 도입구(70)에서 우선적으로 도입된다. 또한, 저항이 작은 만큼, 산소 농후화 유니트(61)을 통과하는 경우보다도 보다 다량의 공기가 도입 가능하기 때문에, 토출 주관(69) 등에 체류하는 결로수는 관로의 풍속이 향상하여, 토출구(57)측으로 압출되기 쉽게 되는 동시에, 풍속 향상으로 증발량도 향상하기 때문에 결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만일 결로수가 경로 내에서 동결해 버리는 경우에도, 풍속에 의해서 결빙을 토출구(57)로 압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 7에서는, 대기 도입구(70)는 압축기실(60) 내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압축기실(60) 내의 온도는, 압축기(53) 등의 방열의 영향에 의해서, 실외 유니트(51)의 외부 환경 온도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결로수의 증발을 촉진시켜서, 토출 주관(69)이나 송풍관(71)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 3방향 밸브(68)를 간헐적으로 적당히 제어하면, 결로수의 발생 ·증발의 반복하게 되어, 결로수가 대량으로 모이지 않고, 결로를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기 도입구(70)는 전장 부품실(64) 내에 설치해도 제어 장치(63) 등의 발열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도입구(70)를 실외 유니트(51)의 기계실 내에 설치함으로써, 실외 유니트(51) 바깥에서 직접 대기를 도입하는 경우보다도, 먼지나 티끌을 흡입하지 않고, 비바람에 의한 영향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대기 도입구(70)를 실내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공간의 대기(공기)는 온도 ·습도 등이 안정하고, 실외 공간으로부터 대기를 도입하는 경우보다, 실내 환경으로의 영향도가 적다. 이 경우는 송풍관(71)을 2중관으로 하고, 그 외주측에 대기 도입관(67)을 접속하며, 외주측의 타단은 송풍관(71)이 실내 공간으로 들어간 곳에서 개방해 둠으로써 용이하게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대기 도입구(70)는 열 교환기실(65)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농후화 장치를 거주 공간의 공기 조화에 사용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차량용 공기 조화기, 일체형 공기 조화기에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가스 농후화 장치는, 공기 청정기, 의료용 산소 농후화 장치, 휴대용 산소 농후화 장치, 연소용 산소 농후화 장치 등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 식품의 신선도 보존 등에 이용하는 질소 농후화 장치 등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농후화 장치에 의하면, 가스 농후화되어 상대 습도가 높아진 기체가 기체 이송 통로에서 결로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결로한 결로수를 배출하거나, 혹은 재증발시켜서, 기체 이송 통로 중에서의 결로수의 체류나 소음 발생 등을 억제하여, 가스 농후화 장치의 안정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2)

  1. 적어도 가스 농후화 수단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상기 기체 이송 통로에 상기 제2 기체보다도 상대 습도가 작은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2. 적어도 가스 농후화 수단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상기 기체 이송 통로에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을 통과하는 것보다도 높은 유량의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3. 적어도 가스 농후화 수단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상기 기체 이송 통로에 상기 제1 기체보다 고온의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은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의 한쪽측을 감압하여 상기 제1 기체를 흡입하는 감압 수단으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감압 수단의 흡입측 유로에 제3 기체를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은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의 한쪽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기체를 밀어넣는 가압 수단으로,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과 병렬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은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통과하는 제3 기체의 유량이가변하도록 그 개도(開度)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체의 통과 유로에 유통 저항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 근방의 대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 검출한 대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간헐적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은 개도 가변의 개폐 밸브로, 상기 개폐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간헐 개폐 동작의 운전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이송 통로 또는 상기 기체 이송 통로 근방의 대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 검출한 기체 이송 통로 온도 또는 대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간헐적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은 개도 가변의 개폐 밸브로, 상기 개폐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간헐 개폐 동작의 운전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
  17. 가스 농후화 장치에서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감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압 장치의 흡입측 유로에 분기하여 설치한 기체 도입부와, 상기 기체 도입부에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감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가스 농후화 수단 근방의 대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대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감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감압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은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가변하도록 그 개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감압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에 유통 저항 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감압 장치.
  22. 가스 농후화 장치에서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가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의 토출측 유로에 분기하여 설치한 기체 도입부와, 상기 기체 도입부에 유로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가압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가스 농후화 수단 근방의 대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대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가압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가압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은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가변하도록 그 개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가압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에 유통 저항 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농후화 장치의 가압 장치.
  27. 가스 농후화 수단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상기 기체 이송 통로에 상기 제2 기체보다도 상대 습도가 작은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과,
    피공조 공간에 상기 제2 기체를 방출하는 방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8. 가스 농후화 수단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상기 기체 이송 통로에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을 통과하는 것보다도 높은 유량의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과,
    피공조 공간에 상기 제2 기체를 방출하는 방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9. 가스 농후화 수단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제1 기체를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에 통과시켜서 가스 농후화된 제2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 통로와,
    상기 기체 이송 통로에 상기 제1 기체보다 고온의 제3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개폐 수단과,
    피공조 공간에 상기 제2 기체를 방출하는 방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은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의 한쪽측을 감압하여 상기 제1 기체를 흡입하는 감압 수단으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감압 수단의 흡입측 유로에 제3 기체를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1.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은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의 한쪽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기체를 밀어넣는 가압 수단으로,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과 병렬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2.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3.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은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을 통과하는 제3 기체의 유량이 가변하도록 그 개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4.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체의 통과 유로에 유통 저항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5.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 근방의 대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 검출한 대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6.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이송 통로 또는 상기 기체 이송 통로 근방의 대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 검출한 기체 이송 통로 온도 또는 대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유로 개폐 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7.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공조 공간에 상기 제2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수단이 피공조 공간에 설치된 송풍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9.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내 유니트와 실외 유니트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로서,
    적어도 상기 가스 농후화 수단이 상기 실외 유니트에 탑재되고, 상기 제1 기체가 상기 실외 유니트 근방의 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내 유니트와 실외 유니트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실외 유니트는 압축기를 배치한 기계실을 구성하고, 상기 제3 기체가 상기 기계실 내의 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1.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내 유니트와 실외 유니트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실외 유니트는 전장 부품을 배치한 전장 부품실을 구성하고, 상기 제3 기체가 상기 전장 부품실의 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2.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내 유니트와 실외 유니트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제3 기체는 상기 실내 유니트가 배치되는 실내 공간의 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30063298A 2002-10-24 2003-09-09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공기 조화기 KR100701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9327 2002-10-24
JPJP-P-2002-00309327 2002-10-24
JP2002318181 2002-10-31
JPJP-P-2002-00318181 2002-10-31
JP2002318175 2002-10-31
JPJP-P-2002-00318175 2002-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38A true KR20040036538A (ko) 2004-04-30
KR100701528B1 KR100701528B1 (ko) 2007-03-29

Family

ID=3218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298A KR100701528B1 (ko) 2002-10-24 2003-09-09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71400A4 (ko)
KR (1) KR100701528B1 (ko)
CN (1) CN1271376C (ko)
MY (1) MY137642A (ko)
WO (1) WO20040382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15B2 (ja) * 1987-03-04 1996-03-27 鈴木総業株式会社 空気調節装置
JPH07109313B2 (ja) 1987-09-17 1995-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US5129921A (en) * 1991-05-30 1992-07-14 Membrane Technology & Research, Inc. Membrane gas separation process and apparatus
JP2002039569A (ja) * 2000-07-24 2002-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698171B1 (ko) * 2000-12-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7642A (en) 2009-02-27
WO2004038299A1 (ja) 2004-05-06
CN1271376C (zh) 2006-08-23
KR100701528B1 (ko) 2007-03-29
EP1571400A1 (en) 2005-09-07
CN1499147A (zh) 2004-05-26
EP1571400A4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528B1 (ko) 가스 농후화 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차압 발생 장치 및공기 조화기
JP2007040578A (ja) 冷蔵庫
JP3573157B2 (ja) ガス富化装置
JP3537814B1 (ja) 選択性ガス富化装置
JP3126253B2 (ja) 加湿機能付空気調和機
KR100954893B1 (ko) 가스 부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JP2004170066A (ja) ガス富化装置
KR101088979B1 (ko) 가스 부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 장치
JP3512037B1 (ja) ガス富化装置及び送風装置
JP2004148243A (ja) 選択性ガス富化装置
KR20050094321A (ko) 산소 부화 장치 및 공기 조화기
JP3551966B1 (ja) 選択性ガス富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2005111399A (ja) ガス富化装置
JP3551197B2 (ja) ガス富化装置及び送風装置
JP2004219068A (ja) 選択性ガス富化装置
JP2006112678A (ja) ガス富化装置
KR100701530B1 (ko) 가스 농후화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송풍 장치
JP2004209467A (ja) ガス富化装置及び送風装置
JP3534116B1 (ja) 空気調和機
JP2005207678A (ja) 空気調和装置
JP2004150751A (ja) 選択性ガス富化装置
KR20040038628A (ko) 가스 부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풍 장치
JP2005265371A (ja) ガス富化装置
JPH0792235B2 (ja) 二酸化炭素濃度制御装置付空気調和機
JP200520155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