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675A -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과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 Google Patents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과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675A
KR20040034675A KR10-2004-7002953A KR20047002953A KR20040034675A KR 20040034675 A KR20040034675 A KR 20040034675A KR 20047002953 A KR20047002953 A KR 20047002953A KR 20040034675 A KR20040034675 A KR 2004003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thawing
decompression
vacuu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718B1 (ko
Inventor
이토노부오
스기야마요시키
아사하라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4003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thaw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Landscapes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감압평형영역(B)까지 감압공정(G)을 실시한 후, 복압공정(F)으로 이행하고, 복압공정(F)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에 도달했을 때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D)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G′)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가열하고, 마이크로파 조사의 정지후 감압평형영역(B′)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냉각하는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과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VACUUM MICROWAVE DEFROSTING METHOD, AND VACUUM MICROWAVE DEFROSING MACHINE}
종래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는 감압(減壓)공정과 복압(復壓)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감압공정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하여 해동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 종류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는 피해동물을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를 감압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감압된 챔버 내부를 복압하는 복압수단과, 상기 감압공정에서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감압공정에서만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의 가열을 실시하고 있었으므로, 복압공정과 감압공정으로 이루어진 1회의 해동 사이클당의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감압도가 작은 높은 압력영역부터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거나, 또는 출력이 큰 마이크로파를 조사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채용하거나, 또는 감압도가 큰낮은 압력영역까지 계속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의 해동방법에서 감압도가 작은 높은 압력영역부터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한 경우에는 복압 상한값까지의 복압시간이 낭비가 되는 동시에, 감압속도가 변화된 경우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출력의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채용하여 마이크로파의 출력을 크게 한 경우에는 피해동물의 모서리부에 마이크로파가 집중되는 현상인 단면효과(edge effect)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감압도가 큰 낮은 압력영역까지 마이크로파를 계속 조사한 경우에는 챔버 내부에서 파센의 법칙(Paschen′s law)에 의한 방전현상이 발생하고, 피해동물에 마이크로파가 흡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압 상한값을 필요 이상으로 감압도가 작은 높은 압력영역에 설정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마이크로파가 집중되는 현상인 단면효과와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한 방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및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압공정과 복압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냉동식품 등의 피해동물(被解凍物)을 가열하여 해동을 실시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및 상기 해동방법을 실시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의 주요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의 해동 사이클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냉동식품의 종류와 형상에 따라 다른 해동조건의 설명도, 및
도 6은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과 승화냉각시간의 조정 방식을 설명하는 해동 사이클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감압공정과 복압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함으로써 해동을 실시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 있어서,
감압평형영역까지 감압공정을 실시한 후에 복압공정으로 이행하고, 상기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상기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계속하고,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한 후에 감압평형영역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에 의한 승화냉각을 실시하는 것을 해동 사이클로 하고, 상기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감압평형영역까지 감압공정을 실시한 후에 복압공정으로 이행하고,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상기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계속하므로, 복압공정과 감압공정에 걸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게 되고, 1회의 해동 사이클에서의 조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전체의 해동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효율 좋은 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피해동물의 질량에 대해서 마이크로파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해동물의 모서리부로 마이크로파가 집중되는 현상인 단면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복압 상한값에 도달하기 전부터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실시하므로 종래보다도 건조되기 어려운 상태에서의 가열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래보다도 피해동물의 건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므로, 진공방전에 의한 챔버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시킨 후에 감압평형영역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냉각되므로, 피해동물의 온도가 균일화되고 전체적으로 피해동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해동이 촉진되어, 부분적으로 해동이 진행되어 드립이 발생하거나 드립에 마이크로파가 집중하는 등의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서, 상기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가 상기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 차례로 상승하고, 그 감압도가 소정 값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해동 사이클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가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 차례로 상승하고, 상기 감압도가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 해동 사이클을 종료함으로써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를 지표로 하여 원하는 해동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피해동물의 온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제 1 또는 제 2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서, 상기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이 1.33kPa(10Tor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이 1.33kPa(10Torr)인 것에 의해, 챔버 내에서 방전현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해동물로 충분히 마이크로파가 피해동물에 흡수되어 해동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안정된 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압 상한값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과 진공펌프의 감압능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복압 상한값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과 진공펌프의 감압능력에 따라서 설정하므로, 감압공정에서의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을 효율 좋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감압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압공정에서의 복압특성이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복압공정에서의 복압특성이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하므로, 이에 의해 안정적인 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태양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 있어서, 적정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 1해동 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및 승화시간을 피해동물의 종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코스로 나누어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해동할 때에는 상기 코스를 선택가능하게 하고, 선택된 코스의 해동조건에 따라 제어장치가 해동 사이클을 제어하여 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적정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 1해동 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승화시간을 피해동물의 종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코스로 나누어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해동할 때에는 상기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고 선택된 코스의 해동조건에 따라 제어장치가 해동 사이클을 제어하여 해동하므로, 피해동물의 종류나 형상이 달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때마다 입력조작을 실시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태양은 피해동물을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를 감압하는 진공펌프와, 챔버 내부를 복압하는 압력조절밸브와,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상기 진공펌프, 압력조절밸브 및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제어계가 접속된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감압공정과 복압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하여 해동을 실시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감압평형영역까지 감압공정을 실시한 후에 복압공정으로 이행하고, 상기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계속하고,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시킨 후에 감압평형영역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에 의한 승화냉각을 실시하는 것을 해동 사이클로 하고, 상기 해동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이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감압평형영역까지 감압공정을 실시한 후에 복압공정으로 이행하고,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계속하므로 복압공정과 감압공정에 걸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게 되어, 1회의 냉동 사이클에서의 조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전체의 해동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효율 좋게 해동할 수 있다.
또한, 조사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피해동물의 질량에 대해서 마이크로파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해동물의 귀퉁이부로 마이크로파가 집중하는 현상인 단면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복압 상한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실시하므로, 종래보다도 건조되기 어려운 상태에서의 가열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래보다도 피해동물의 건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므로, 진공방전에 의한 챔버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한 후에 감압평형영역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냉각하므로, 피해동물의 온도가 균일화되어, 전체적으로 피해동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해동이 촉진되고, 부분적으로 해동이 진행하여 드립이 발생하거나 드립에 마이크로파가 집중하는 등의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태양은 제 7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상기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가 상기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서 차례로 상승하고, 그 감압도가 소정 값에 도달했을 때 상기 해동 사이클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의하면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가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서 차례로 상승하고, 그 감압도가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 해동 사이클을 종료함으로써,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를 지표로 하여 원하는 해동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피해동물의 온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태양은 제 7 또는 제 8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상기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이 1.33kPa(10Tor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 의하면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이 1.33kPa(10Torr)인 것에 의해, 챔버 내에서 방전현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해동물로 마이크로파가 충분히 피해동물에 흡수되어 해동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안정된 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태양은 제 7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상기 복압 상한값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과 진공 펌프의 감압능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의하면 복압 상한값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과 진공 펌프의 감압능력에 따라서 설정하므로, 감압공정에서의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을 효율 좋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감압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태양은 제 7 내지 제 10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상기 복압공정에서의 복압특성이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태양에 의하면 복압공정에서의 복압특성이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하므로, 이에 의해 안정된 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태양은 제 7 내지 제 11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챔버 내부에 방전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방전 검출 센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방전검출센서를 제어장치에 접속하고, 방전검출 센서로부터의 방전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가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태양에 의하면 만일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챔버 등이 방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태양은 제 7 내지 제 12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적정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 1해동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승화시간을 피해동물의 종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코스로 나누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 선택 조작부를 설치하고, 상기 코스 선택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코스의 해동조건에 따라서 제어장치가 해동 사이클을 제어하여 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태양에 의하면 적정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 1해동 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승화시간을 피해동물의 종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코스로 나누어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해동할 때에는 상기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고, 선택된 코스의 해동조건에 따라서 제어장치가 해동 사이클을 제어하여 해동하므로, 피해동물의 종류나 형상이 달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때마다 입력조작을 실시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의 주요한 구성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1)의 하우징(2)은 세로형 장치로서 구성되고, 상부에는 냉동식품 등의 피해동물을 수용하는 식품 수용부(3)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후술하는 구동 모터나 진공 펌프 등을 수납하는 기계수납부(4)가 설치되고, 최상부에는 제어장치를 수납하는 제어부(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5)의 전면 패널에는 피해동물의 중량이나 해동시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6)와, 전원의 온/오프나 각종 설정값 등을 입력하는 조작부(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1)의 하우징(2)의 하면에는 본 해동기(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1)에서의 식품 수용부(3)의 본체는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중공 상자체 형상의 챔버(10)로 구성되고, 상기 챔버(10)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내벽 구조를 갖는 내압 기밀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10)의 전면 개구부에는 챔버 내부를 밀폐 상태로 폐쇄할 수 있는 도어(11)가, 예를 들어 정면 우측 단부를 힌지부로서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11)의 개방측이 되는 전면 좌측에는 그 개폐 조작시에 쥐는 손잡이부(12)가 부착되고, 상기 도어(11)의 배면에는 전자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망제의 전자파 시일과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밀시일이 장착되어 있다.
챔버(10)내의 저부에는 회전축(13)이 베어링(14)에 지지되어 기립한 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3)의 상기 챔버 내부를 향한 상단부에는 피해동물을 얹어 상기 회전축(13)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15)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13)의 기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감속기구를 통하여 테이블 구동 모터(16)가 접속되어 있다.
챔버(10)의 배면 중앙부에는 상기 챔버 내에 연결된 곧은 형상의 도파관(20) 및 축소된 도파관(21)을 통하여, 상기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회전 테이블(15) 상에 얹힌 피해동물을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기(2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2)로서 마그네트론이 채용되어 있고, 곧은 형상의 도파관(20)과 축소된 도파관(21)의 플랜지 접속부(23)에는 마이크로파를 투과시키기 쉬운 유리판으로 만든 압력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챔버(10)의 배면에는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챔버 내부에서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방전검출센서(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전검출센서(30)로서는 방전현상의 유무를 자외선(UV)의 검출에 의해 판정하는 UV센서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챔버(10)의 상부에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진공압력 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챔버(10)의 상부에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대기 개방시키는 대기 개방 밸브(40), 및 챔버 내부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절밸브(41)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챔버(10)의 배면에는 그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계(43)가 접속되고, 상기 감압계(43)에는 역지밸브(44)를 통하여 펌프 구동 모터(45)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펌프(46)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 펌프 구동 모터(45) 및 진공펌프(46)는 상기 기계 수납부(4)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대기개방밸브(40) 및 압력조절밸브(41)는 상기 제어부(5)에 수납된 제어장치에 의한 개폐제어를 가능하게 하므로, 예를 들어 전자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력조절밸브(41)는 감압계(43)의 도중에, 예를 들어 챔버(10)와 역지밸브(44) 사이에 접속하여 설치되고, 복압공정에서 챔버(10) 내부로 산소가 들어가기 어렵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에 수납된 제어장치(50)는 예를 들어 ROM(51)에 기록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장치(50)에는 상기 회전 테이블(15)을 회전 구동시키는 테이블 구동모터(16)의 전원 제어계(52)와, 상기 진공펌프(46)를 구동시키는 펌프구동모터(45)의 전원제어계(53)와, 상기 대기개방밸브(40)의 개폐 제어계(54)와, 상기 압력조절밸브(41)의 개폐제어계(55)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22)의 전원 제어계(56)와, 상기 방전검출센서(30)의 검출값 입력계(57)와, 상기 진공압력센서(31)의 검출값 입력계(58)와, 상기 조작부(7)의 설정값 등의 입력계(59)와, 상기 표시부(6)의 표시출력계(60)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50)는 상기 조작부(7)의 설정값이나 상기 방전검출센서(30) 및 진공압력센서(31)의 검출값 등에 기초하여, ROM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펌프 구동 모터(45)나 마이크로파 발생기(22) 등의 각 기기를 구동 제어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1)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1)에서의 해동 사이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1)는 감압공정(G, G′, G″…)과 복압공정(F, F′…)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M, M′…)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하여 해동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또한, 진공펌프(46)는 감압공정은 물론 복압공정 중에도 계속하여 작동한다.
해동의 준비단계로서 우선, 정면의 도어(11)를 개방하여 회전 테이블(15) 상에 냉동식품 등의 피해동물을 얹고, 다시 도어(11)를 폐쇄하여 밀폐상태로 하고, 챔버(10) 내부에 피해동물을 수용한다. 또한, 대기개방밸브(40) 및 압력조절밸브(41)는 폐쇄 상태로 한다.
다음에, 펌프구동모터(45)를 구동하여 진공펌프(46)를 작동시키고 감압계(43)를 통하여 챔버(10)내의 감압을 개시한다. 그러면, 대기압 101.3kPa(760Torr)로부터 A점을 거쳐 서서히 감압도가 감소하고, 감압평형영역(B)까지 감압공정(G)이 실시되고 상기 감압공정(G)에서 피해동물의 예비건조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감압평형영역이라는 것은 일정 시간에 대한 감압도가 매우 저하되는 영역이고, 예를 들어 30초간(△t)에서의 감압도(△P)가 △P/△t<13.3Pa(0.1Torr)이 되었을 때 감압평형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상기 감압평형영역에서의 평형압력은 챔버 내의 포화증기압에 의해 상승 하강한다. 또한, 상기 감압평형영역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는 진공압력센서(31)로부터의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가 연산하여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해동 사이클을 개시할 때 예비건조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피해동물의 표면에 성에가 녹은 수분이 부착되어 있어도 이것을 예비건조하여 제거하고 나서 해동할 수 있고, 후술하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해도 그 조사집중을 피할 수 있다.
상기 감압평형영역(B)까지 감압공정(G)을 실시한 후, 상기 압력조절밸브(41)를 후술하는 소정의 개방도로 개방하여 복압공정(F)으로 이행하고, 복압공정(F)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소 여유를 두고 1.33kPa(10Torr)로 설정〕을 초과한 후의 C점일 때, 상기 마그네트론(22)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D)까지 복압했을 때 진공압력센서로부터의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가 상기 압력조절밸브(41)를 폐쇄하고, 그 후 다시 감압공정(G′)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에 도달하기 전의 A′점까지 상기 마그네트론(22)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계속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하고, 상기 A′ 점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압평형영역(B)으로부터 T1시간(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이고, 예를 들어 10초)의 경과에 의해 복압공정(F)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을 초과했다고 하는 C점일 때, 상기 마그네트론(22)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압공정(F)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에 도달한 것을 진공압력센서(31)로부터의 압력신호에 의해 검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개시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P1)은 상술한 바와 같이 1.33kPa(10Torr)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복압공정(F)에서의 감압도가 1.33kPa(10Torr)을 초과한 후의 C점일 때, 상기 마그네트론(22)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M)을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D)까지 복압한 후, 다시 감압공정(G′)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1.33kPa(10Torr)에 도달하기 전의 A′점까지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계속해서 피해동물을 가열한다. 이와 같이 복압공정(F)의 도중에서 감압공정(G′)에 걸쳐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감압공정만 조사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복압공정과 감압공정으로 이루어진 1해동 사이클에서의 조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피해동물의 질량에 대해서 마이크로파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해동물의 모서리부로 마이크로파가 집중하는 현상인 단면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복압공정(F)에서의 감압도가 1.33kPa(10Torr)을 초과한 C점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개시하므로 하나의 피해동물의 표면으로부터의 수분의 기화량이 적고, 건조가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감압속도가 늦어지지 않고, 양호한 해동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감압도가 1.33kPa(10Torr) 이상의 범위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챔버(10)내에서 방전현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해동물로 충분히 마이크로파가 흡수되어, 해동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안정된 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복압 상한값(D)은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22)의 출력과 진공펌프(46)의 감압능력과 챔버(10)의 용적에 의해 설정되는 가변의 압력값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조절밸브(41)의 스로틀 밸브(41′)의 스로틀을 조정함으로써 6.66kPa(50Torr)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6.66kPa(50Torr)까지 복압하면, 압력조절밸브(41)로부터의 누출과 진공펌프(46)의 흡인능력이 균형을 이루고, 압력조절밸브(41)를 닫지 않는 한 6.66kPa(50Torr)을 유지하여 압력은 상승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복압 상한값(D)의 압력값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22)의 출력과 진공펌프(46)의 감압능력과 챔버(10)의 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므로, 진공방전 발생영역에 들어갈 때까지 과부족이 없는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을 취할 수 있고 또한 효율 좋게 감압할 수 있다.
또한, 복압 상한값(D)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공압력센서(3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검지하고, 이에 의해 제어장치가 압력조절밸브(43)를 닫고 감압공정으로 이행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한 시점(C)으로부터의 시간(T2)(T1과 동일하게 진공펌프의 능력과 챔버의 용적으로부터 실험적으로 구해진다.)에 의해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C부터의 시간(T2)을 80초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80초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압력조절밸브(43)를 닫고 감압공정으로 이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마이크로파 조사의 정지 후, A′점에서 감압평형영역(B′)까지의 감압과정에서 피해동물을 승화 냉각한다. 이와 같이 감압공정(G′)에서의 A′점까지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한 후, A′점부터 감압평형영역(B′)까지의 감압과정에서 피해동물을 승화냉각하는 데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하면, 피해동물의 표면부분의 온도가 중심부분의 온도보다도 높아지고, 그대로 가열을 계속하면 표면 부분에 드립이 발생하는 등의 불합리함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승화에 의해 표면부분을 냉각하여 안팎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즉, 승화가 시작되면 기화잠열이 빼앗겨 표면부분의 온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표면부분의 열이 중심부분으로 이동(열전도)하여 중심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피해동물의 온도가 균일화되고, 전체적으로 피해동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해동이 촉진된다. 또한, 피해동물의 온도가 균일화되면서 전체적으로 피해동물의 해동이 촉진되므로, 부분적으로 해동이 진행되어 드립이 발생하거나 상기 드립에 마이크로파가 집중되는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복압공정(F)으로 이행하고 복압공정(F)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인 1.33kPa(10Torr)을 초과한 후의 C점일 때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D)인 6.66kPa(50Torr)까지 복합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G′)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인 A′의 1.33kPa(10Torr)에 도달하기 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계속하여 가열하고, 마이크로파의 조사(M)의 정지후에 감압평형영역(B′)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냉각하는 해동 사이클을 1사이클로 하고 상기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즉, 도 4에서 감압평형영역(B′)까지 감압공정(G′)을 실시한 후 복압공정(F′)으로 이행하고, 복압공정(F′)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인 1.33kPa(10Torr)을 초과한 후의 C′점일 때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다시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D′)인 6.66kPa(50Torr)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G″)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P1)인 A″의 1.33kPa(10Torr)에 도달하기 직전까지의 마이크로파의 조사(M′)를 계속하여 가열하고, 마이크로파 조사를 다시 정지시킨 후 감압평형영역(B″)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냉각하는 냉동 사이클을 2사이클째로서 실시한다. 각 복압공정(F, F′…)에서의 복압 특성은 복압밸브(41)의 스로틀 밸브(41′)의 설정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 즉 복압곡선의 커브가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하고 이에 의해 안정된 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챔버(10) 내의 포화 증기압이 피해동물의 온도상승에 따라서 상승하므로, 상기 감압평형영역(B, B′, B″…)의 감압도는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 차례로 상승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그래서, 상기 감압평형영역(B, B′, B″…)에서의 감압도가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 냉동 사이클을 종료한다. 즉, 원하는 해동온도는 포화 증기압의 영역설정으로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설정영역에서 감압평형이 되었다면, 원하는 해동온도가 된 것으로서 해동조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영역이 될때까지의 해동 사이클의 반복 사이클수는 피해동물의 질량이나 마그네트론(22)의 출력, 및 진공펌프(46)의 감압능력 등에 따라서도 다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서의 P2A의 압력값을 480Pa(3.6Torr), P2B의 압력값을 453Pa(3.4Torr)로서 상기 감압평형영역(B, B′, B″…)에서의 감압도가 P2A~P2B의 사이의 값에 도달했을 때, 피해동물의 온도가 -3℃가 된 것으로 생각하여 해동사이클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한 P2A 및 P2B의 설정압력값은 마무리 온도를 -3℃로 설정한 경우의 포화증기압에 전후 13.3Pa(0.1Torr)의 폭을 가지게 한 것이고, 상기 폭을 증감해도 좋다. 또한, 마무리 온도는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포화증기압에 따라서 상기 P2A 및 P2B를 설정한다.
제어장치(50)에서 해동 사이클의 종료가 결정되면, 대기개방밸브(40)가 개방됨과 동시에, 펌프 구동 모터(45)의 전원을 차단하여 진공펌프(46)가 정지되고, 진공압력센서(31)의 압력이 101.3kPa(760Torr)를 나타내면 도어(11)의 개방이 가능해지고, 챔버(10) 내부로부터 -3℃로 해동된 피해동물을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챔버(10)내에서 어떤 이유에 의해 방전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방전검출센서(30)가 UV의 발생에 의해 이것을 검지하고, 제어장치(50)가 전원 제어계(56)를 통하여 마그네트론(22)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고, 이에 의해 챔버(10)의내벽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런데, 냉동식재의 식감이나 맛을 손상시키지 않고 최적 조건에서 해동하기 위해서는 해동하는 피해동물의 종류, 예를 들어 대표적인 냉동어육인 참치와 냉동수육인 쇠고기에서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2)의 출력, 1해동 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승화시간 등의 해동조건이 다소 다르고, 또한, 피해동물이 덩어리(묶음)인지, 얇게 잘려 있는 것인지, 스테이크용 두께로 자른 고기인지 등, 그 형상에 따라서도 해동조건은 다르다.
피해동물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서 해동도에 해동조건을 입력하여 해동할 수도 있지만, 미리 피해동물의 종류와 형상 등에 따라서 해동조건을 코스별로 기억시켜 두고, 해동할 때에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피해동물에 다른 해동조건이 설정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래서, 다음의 실시형태에서는 해동하는 대상물에 따라서 해동조건이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피해동물로서 참치, 쇠고기를 선택할 수 있고 참치이어도 덩어리인 경우에는 코스 1, 얇게 잘린 묶음인 경우에는 코스 2를 선택할 수 있으며, 쇠고기의 경우에는 덩어리인 경우에는 코스 3, 스테이크용 두께로 자른 고기인 경우에는 코스 4, 스테이크용 두께로 자른 고기를 팩한 경우에는 코스 5의 5개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참치를 해동하는 코스 1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기준출력을 15㎾/㎏,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이 90초/1 해동 사이클, 승화시간이 40초/1 해동사이클, 해동종료조건이 480Pa(3.6Torr) (마이너스 3℃)라는 각종 해동조건을 제어장치의 기억수단(예를 들어, ROM)에 기억하고, 코스 2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기준출력을 15㎾/㎏,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이 80초/1 해동 사이클, 승화시간이 20초/1 해동 사이클, 해동종료조건이 480Pa(3.6Torr)(마이너스 3℃)라는 각종 해동조건을 동일하게 기억한다.
동일하게 하여, 쇠고기를 해동하는 코스 3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기준출력을 12㎾/㎏,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이 90초/1 해동 사이클, 승화시간이 40초/1 해동 사이클, 해동종료조건이 480Pa(3.6Torr)(마이너스 3℃)라는 각종 해동조건을 제어장치의 기억수단(예를 들어 ROM)에 기억하고, 코스 4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기준출력을 12㎾/㎏,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이 80초/1 해동 사이클, 승화시간이 20초/1 해동 사이클, 해동종료조건이 480Pa(3.6Torr)(마이너스 3℃)라는 각종 해동조건을 동일하게 기억한다.
스테이크 팩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기준출력을 12㎾/㎏,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이 80초/1 해동 사이클이라는 각종 해동조건을 기억하고, 감압냉각에 관한 승화시간 등과 해동종료 진공압력은 기억하지 않고, 이를 대신하여 마이크로파 가열의 합계 가열 시간을 350초로 기억한다. 이와 같이, 피해동물이 팩되어 있는 경우에는 챔버(10) 내의 포화증기압으로 관리할 수 없으므로, 원하는 해동온도로 마치는 가열총계시간을 실험에서 구해 두고, 이에 기초하여 합계가열시간을 관리함으로써 해동이 원하는 온도로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조작 패널에는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 선택 조작부와 피해동물의 중량을 입력하는 중량입력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해동할 때에는 피해동물의 종류와 형상에 따라서 조작패널의 코스 선택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코스를 선택함과 동시에 피해동물의 중량을 입력하면, 제어장치가 상기 해동에서 최적인 해동조건에 따라서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고 원하는 해동온도에서 종료한다.
또한, 마이크로파 발생기(22)의 기준출력을 조정하는 것은 최대출력의 듀티%를 변경하여 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사개시부터 복압 상한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T2, 복압 상한값에 도달하고 나서 압력조절밸브(41)를 닫을 때까지의 시간을 T3, T3으로 설정한 시간이 종료되고 나서 조사를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T4로 하고, 상기 T3을 가감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즉, 복압공정에서 감압공정으로 이행하는 동안에 복압상태 유지공정을 삽입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복압 상한값에 도달한 후에 압력조절밸브(41)를 개방한 상태로 하면 압력조절밸브(41)로부터의 누출과 진공펌프(46)의 흡인능력이 균형을 이루어 챔버(10) 내의 진공압력이 유지되고, 어떤 지장도 없이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필요한 만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승화시간을 조정하는 데에는 동일한 착상으로부터 승화냉각이 개시되어 감압평형영역에 도달한 후에, 감암평형 유지공정(시간 T5)을 넣고, 상기 시간(T5)을 가감함으로써 1해동 사이클 당의 승화냉각시간(T6)을 코스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이것은 감압평형영역에 도달한 후에 압력조절밸브(41)를 닫은 상태로 하면, 포화증기압과 진공펌프(46)의 흡인능력이 균형을 이루어 챔버(10)내의 진공압력이 유지되고, 어떤 지장도 없이 피해동물의 표면의 승화냉각을 필요한 만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피해동물에 따라서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그때마다 종류나 형상이나 중량을 하나하나 입력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고 조작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피해동물을 냉동식품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해동하는 피해동물은 식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혈액, 혈청, 정액, 약품 등이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및 해동기는 식품관계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의료용 관계 산업분야 등,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13)

  1. 감압공정과 복압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함으로써 해동을 실시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에 있어서,
    감압평형영역까지 감압공정을 실시한 후에 복압공정으로 이행하고, 상기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상기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계속하고,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한 후에 감압평형영역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에 의한 승화냉각을 실시하는 것을 해동 사이클로 하고, 상기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가 상기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 차례로 상승하고, 상기 감압도가 소정값에 도달했을 때 상기 해동 사이클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이 1.33kPa(10Torr)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압 상한값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과 진공펌프의 감압능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압공정에서의 복압특성이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 1해동 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및 승화시간을 피해동물의 종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코스로 나누어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해동할 때에는 상기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고, 선택된 코스의 해동조건에 따라서 제어장치가 해동 사이클을 제어하여 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
  7. 피해동물을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를 감압하는 진공 펌프와, 챔버 내부를 복압하는 압력조절밸브와,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발생기와, 상기 진공펌프, 압력조절밸브 및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제어계가 접속된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감압공정과 복압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피해동물을 가열하여 해동을 실시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감압평형영역까지 감압공정을 실시한 후에 복압공정으로 이행하고, 상기 복압공정의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한 후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복압 상한값까지 복압한 후에 다시 감압공정으로 이행함과 동시에, 그 감압도가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하한값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계속하고,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한 후에 감압평형영역까지의 감압과정에서 승화에 의한 승화냉각을 실시하는 것을 해동 사이클로 하고, 상기 해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평형영역의 감압도가 상기 해동 사이클의 반복에 따라서 차례로 상승하고, 상기 감압도가 소정값에 도달했을 때 상기 해동 사이클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감압도의 하한값이 1.33kPa(10Torr)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의 감압능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압공정에서의 복압특성이 각 해동 사이클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챔버 내부에 방전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방전검출센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방전검출센서를 제어장치에 접속하고, 방전검출센서로부터의 방전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가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적정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 1해동 사이클 당의 마이크로파 조사시간, 온도상승시간을 피해동물의 종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코스로 나누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 선택 조작부를 설치하고, 상기 코스 선택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코스의 해동조건에 따라서 제어장치가 해동 사이클을 제어하여 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KR1020047002953A 2001-08-28 2002-08-23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과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KR10062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8381A JP3662530B2 (ja) 2001-08-28 2001-08-28 真空マイクロ波解凍方法、及び真空マイクロ波解凍機
JPJP-P-2001-00258381 2001-08-28
PCT/JP2002/008489 WO2003020055A1 (fr) 2001-08-28 2002-08-23 Procede de degivrage aux micro-ondes depressurise, et machine de degivrage aux micro-ondes depressur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675A true KR20040034675A (ko) 2004-04-28
KR100621718B1 KR100621718B1 (ko) 2006-09-13

Family

ID=1908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953A KR100621718B1 (ko) 2001-08-28 2002-08-23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과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79666B2 (ko)
EP (1) EP1430794B1 (ko)
JP (1) JP3662530B2 (ko)
KR (1) KR100621718B1 (ko)
CN (1) CN100456968C (ko)
DE (1) DE60232259D1 (ko)
TW (1) TWI248788B (ko)
WO (1) WO2003020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4702B2 (ja) * 2004-11-11 2010-12-08 株式会社東芝 真空マイクロ波解凍方法
US20090101829A1 (en) * 2007-10-19 2009-04-23 Nordson Corporatio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an ultraviolet lamp system
US20120160840A1 (en) 2010-12-23 2012-06-28 Eastman Chemical Company Wood heater with alternating microwave launch locations and enhanced heating cycles
PL2567627T3 (pl) * 2011-09-09 2015-12-31 Gea Food Solutions Bakel Bv Aparat do rozmrażania i sposób rozmrażania
US20150354884A1 (en) * 2012-12-21 2015-12-10 Aylin Met Refrigerator comprising a sterilizing and thawing compartment
EP3094190A1 (en) * 2014-01-16 2016-11-23 GEA Food Solutions Bakel B.V.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during thawing or freezing of a food product
EP3201545B1 (en) 2014-10-02 2018-08-15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thawing compartmen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05604A (ko) 2015-02-27 2016-09-07 (주)에이치케이막 해동기의 섭동기
KR20160105603A (ko) 2015-02-27 2016-09-07 (주)에이치케이막 해동기의 도파관
KR20160105607A (ko) 2015-02-27 2016-09-07 (주)에이치케이막 마그네트론 전원장치
KR20160105600A (ko) 2015-02-27 2016-09-07 (주)에이치케이막 해동기의 해동실
KR20160105613A (ko) 2015-02-27 2016-09-07 (주)에이치케이막 해동기
US11104502B2 (en) * 2016-03-01 2021-08-31 Jeffrey S. Melcher Multi-function compact appliance and methods for a food or item in a container with a container storage technology
SE542102C2 (en) * 2016-05-04 2020-02-25 Micvac Ab Method for cooking a food product in an oven
CN106172696A (zh) * 2016-07-25 2016-12-07 郑州峰泰纳米材料有限公司 微波解冻设备
US10747968B2 (en) 2017-11-22 2020-08-18 Jeffrey S. Melcher Wireless device and selective user control and management of a wireless device and data
CN109393004A (zh) * 2018-09-28 2019-03-01 上海锦立保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冻品自由水升华实现真空解冻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0211A (en) * 1965-10-18 1971-01-20 Reinhold Adolf Philip Werthei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cesses of treating emulsions and suspensions
JPS5780693A (en) * 1980-11-10 1982-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gh frequency heater
JPS5816667A (ja) * 1981-07-20 198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による解凍方法
FR2618450B1 (fr) * 1987-07-21 1989-11-10 Germandre Sarl Nouveau procede de separation de matieres vegetales ou animales en poudre et liquide de constitution
JPH0443593A (ja) * 1990-06-07 1992-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H0638724A (ja) * 1992-07-22 1994-02-15 Brother Ind Ltd 凍結体の真空解凍装置
JPH08327068A (ja) * 1995-05-30 1996-12-10 Hitachi Home Tec Ltd 加熱調理装置
JP3284409B2 (ja) * 1999-04-27 2002-05-20 エリー株式会社 解凍方法とその装置
JP3641715B2 (ja) * 2000-09-19 2005-04-27 株式会社千代田製作所 凍結物の解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62530B2 (ja) 2005-06-22
US20060289529A1 (en) 2006-12-28
DE60232259D1 (de) 2009-06-18
TWI248788B (en) 2006-02-11
EP1430794B1 (en) 2009-05-06
CN1561169A (zh) 2005-01-05
CN100456968C (zh) 2009-02-04
WO2003020055A1 (fr) 2003-03-13
EP1430794A4 (en) 2005-01-05
JP2003061635A (ja) 2003-03-04
KR100621718B1 (ko) 2006-09-13
US7279666B2 (en) 2007-10-09
EP1430794A1 (en)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718B1 (ko)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방법과 진공 마이크로파 해동기
JP6362467B2 (ja) 真空冷却装置
WO2007094141A1 (ja) 冷却装置
JP2004218958A (ja) 真空冷却方法
JP2000210062A (ja) 包装食品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JP3769498B2 (ja) 真空マイクロ波解凍機、及び真空マイクロ波解凍方法
CN107549288A (zh) 一种用于解冻装置的解冻控制方法
WO2020175102A1 (ja) 食品の乾燥方法、冷蔵庫、貯蔵庫、及び乾燥食品の製造方法
JP3769497B2 (ja) 真空マイクロ波解凍方法、及び真空マイクロ波解凍機
JP2004218957A (ja) 真空冷却方法
JP4594702B2 (ja) 真空マイクロ波解凍方法
JP3769483B2 (ja) 真空マイクロ波解凍機
JP2003090678A (ja) 乾燥装置
JPH057529A (ja) 低温スチーム式真空調理機
JP7332462B2 (ja) 温湿度調節庫
JP2018162960A (ja) 真空冷却機能を有する食品機械
JPH05248748A (ja) 冷却装置
JPH05184237A (ja) 減圧貯蔵方法及びその装置
JP2833250B2 (ja) 減圧高周波加熱装置
JPH082237B2 (ja) パン生地処理機
JP2002233345A (ja) 真空冷却装置
JP2003169648A (ja) 真空マイクロ波解凍機
JP2006217840A (ja) 食品の鮮度保持安全供給システム
JPH04165217A (ja) 減圧高周波加熱装置
JPH0515358A (ja) 真空解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