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648A -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648A
KR20040033648A KR1020020062864A KR20020062864A KR20040033648A KR 20040033648 A KR20040033648 A KR 20040033648A KR 1020020062864 A KR1020020062864 A KR 1020020062864A KR 20020062864 A KR20020062864 A KR 20020062864A KR 20040033648 A KR20040033648 A KR 2004003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ehicle
magnetic force
driver
war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648A/ko
Publication of KR2004003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범퍼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와,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와 기설정된 안전거리를 비교하여 감지 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으로 근접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를 온시켜 자력을 발생시켜 그로 인한 척력을 통해 차량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가 상기 경고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경고 신호 인지 후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Safty distance holding device for vehicle and holding method for the same }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차량의 판단기준을 주로 엔진의 출력이나 서스펜션에 의한 승차감 및 제동력과 같은 기계적인 장치의 안정성 및 작동성능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차량에 부가된 각종 편의장치 및 안전운행에 필요한 각종 경보장치의 유무에 의해서도 차량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상기 차량의 전후에 있는 다른 차량과의 차간거리는 현재 각 운전자의 감각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경우 약 100m 정도의 안전거리를 유지토록 해야하나, 상기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운전자가 드문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차간거리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동시에 안전거리를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하므로 운전자의 피로가 심하고, 눈, 비 및 안개등과 같이 전방의 시계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동거리보다 차간거리가 짧은 경우 급제동을 해야하는데, 상기 급제동시 상기 안전거리가 유지되지 않아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으로 근접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자력에 의한 척력을이용하여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 : 제 1 거리 감지 센서22 : 제 2 거리 감지 센서
23 : 제 1 자력 발생부24 : 제 2 자력 발생부
30 : 제어부31 : 비교부
32 : 경고 신호 발생부33 : 구동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량 주행중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감지된 거리를 기설정된 안전거리와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단계에서 감지된 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경고 신호 발생 후 상기 운전자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된 제 1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에서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50) 주행중 차량(50)의 전후방 범퍼(51, 52)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방의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21, 22)와, 상기 차량(50)의 전후방 범퍼(51, 52)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23, 24)와,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21, 22)에서 출력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23, 24)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23) 및 제 2 자력 발생부(24)는 상기 차량(50)과 상기 차량(50)의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온되고, 이로 인해 자력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차량(50)과 전후방 차량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해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21, 22)에 의해 감지된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기설정된 안전거리와 비교하고 그에 따른 비교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비교부(31)와, 상기 비교부(31)의 비교 신호가 상기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상기 안전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50)의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신호 발생부(32)와, 상기 경고 신호 발생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운전자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23)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24)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가 생성되는 구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전거리는 상기 비교부(31)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21, 22)에 의해 감지되는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상기 안전거리 미만으로 근접되는 경우 상기 경고 신호 발생부(32)로부터 발생되는 경고 신호를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경고 신호 인지 후 대처하지 못하여 차량(50)이 충돌하는 것을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23)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24)가 구동됨에 따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의 동작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단계에서 차량(50) 주행중 상기 차량(50)의 전후방 범퍼(51, 52)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21, 22)에서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D1)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1 참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21, 22)에 의해 감지되는 거리(D1)와 기설정된 안전거리(D2)를 비교부(31)에서 비교한다.(S2 참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D1)가 상기 안전거리(D2) 미만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상기 비교부(31)에서 상기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신호 발생부(32)를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3 및 S4 참조)
이때, 상기 경고 신호 발생부(32)는 상기 사용자가 경고 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부저등으로 이루어진다.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일정시간(T)동안 상기 운전자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부(33)에서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23)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24)를 온시켜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자력에 의한 척력을 통해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5 및 S6 참조)
즉, 상기 운전자가 상기 경고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여 급정거하거나 상기 경고 신호 인지 후 대처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23)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통한 척력에 의해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은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범퍼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와,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와 기설정된 안전거리를 비교하여 감지 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으로 근접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를 온시켜 자력을 발생시켜 그로 인한 척력을 통해 차량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가 상기 경고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경고 신호 인지 후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 출력 하는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력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인지하여 기설정된 안전거리와 비교하고 그에 따른 비교 신호가 생성 출력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 신호가 상기 감지 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신호 발생부와, 상기 경고 신호 발생 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자력 발생부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4. 차량 주행중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감지된 거리를 기설정된 안전거리와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단계에서 감지된 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경고 신호 발생 후 상기 운전자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설치된 제 1 또는 제 2 자력 발생부에서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조작을 일정시간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KR1020020062864A 2002-10-15 2002-10-15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3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864A KR20040033648A (ko) 2002-10-15 2002-10-15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864A KR20040033648A (ko) 2002-10-15 2002-10-15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648A true KR20040033648A (ko) 2004-04-28

Family

ID=3733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864A KR20040033648A (ko) 2002-10-15 2002-10-15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73B1 (ko) * 2007-03-06 2008-08-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충돌방지 장치
CN109291923A (zh) * 2018-11-07 2019-02-0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通电螺线管原理的跟驰辅助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73B1 (ko) * 2007-03-06 2008-08-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충돌방지 장치
CN109291923A (zh) * 2018-11-07 2019-02-0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通电螺线管原理的跟驰辅助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747B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trigger threshold of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s
US6438475B1 (en) Crash detection system
US6784791B2 (en) Potential collision detection and parking aid system
JP2003182509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0112233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용 트리거 신호의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21142975A (ja) 一体型アクティブ−パッシブ正面衝撃制御アルゴリズムを実行する車両安全システム
US6864783B2 (en) Potential collision detection and reversing aid system
KR101826377B1 (ko)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JP2009196463A (ja) 歩行者衝突検知装置及び歩行者保護システム
US6863302B2 (en) Side impact automotive crash sensor system
KR20140047939A (ko) 차선 변경 감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040033648A (ko) 차량용 안전거리 유지장치 및 그 방법
JP3452012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452013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0155093B1 (ko) 자동차의 에어백시스템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KR20060021452A (ko) 차량 충돌 경보장치
JP2007076462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0150801B1 (ko) 차량용 에어백 구속 시스템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CN116494844A (zh) 车辆碰撞的座椅主动控制方法及车身控制器
KR100210926B1 (ko) 에어백 구동 시스템
CN116620209A (zh) 一种智能安全气囊、智能安全气囊的起爆控制方法及车辆
CN110395176A (zh) 汽车后尾防撞提示系统及其方法
KR20070051099A (ko) 차량 후방 및 차량 측면 감시에 따른 자동 도어 락 장치 및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