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926B1 - 에어백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백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926B1
KR100210926B1 KR1019950048376A KR19950048376A KR100210926B1 KR 100210926 B1 KR100210926 B1 KR 100210926B1 KR 1019950048376 A KR1019950048376 A KR 1019950048376A KR 19950048376 A KR19950048376 A KR 19950048376A KR 100210926 B1 KR100210926 B1 KR 10021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impact
collision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700A (ko
Inventor
김태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926B1/ko
Publication of KR97003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 및 추돌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에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은 물론 인체에서 발생되는 뇌파로 추돌 및 충돌 사고가 발생되는 지를 판단하여 에어백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 센서(11)와, 운전자 및 탑승객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센서(12)를 구비하여 차량의 충격과 운전자 및 탑승객이 발산하는 뇌파를 각기 검출하고, 검출한 충격 및 뇌파로 전자 제어 유니트(13)가 사고의 발생을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에어백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 구동부(14)가 에어백을 구동시킨다.

Description

에어백 구동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에어백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에어백 구동 시스템을 보인 회로도.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 및 추돌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에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백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전할 경우에 운전자의 실수 등으로 다른 차량과 충돌 사고 및 추돌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운전자나 탑승객은 사고의 충격에 의하여 신체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운전대 및 전면 유리창에 부딪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의 가슴 및 머리 부분에 심한 충격이 전달되어 정신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음은 물론 심하게 다쳐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에는 에어백을 설치하고,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에어백이 동작하면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받는 충격을 완충시켜 신체의 손상을 줄이고, 정신을 잃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에어백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격으로 추돌 및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지를 검출하는 충격 센서(1)와, 상기 충격 센서(1)가 사고의 발생을 검출할 경우에 에어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2)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2)의 제어에 따라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에어백 구동부(3)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에백 구동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충격 센서(1)가 검출하고, 충격 센서(1)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자 제어 유니트(2)가 에어백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에어백 구동부(3)가 구동되면서 에어백을 동작시켜 운전자 및 탑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차량의 충격으로 추돌 및 충돌 사고의 발생을 판단하여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차량을 급제동시킬 경우에 급제동시키는 충격에 의하여 에어백이 필요 없이 구동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추돌 및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이를 충격 센서가 검출하지 못하여 에어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은 물론 인체에서 발생되는 뇌파로 추돌 및 충돌 사고가 발생되는 지를 판단하여 에어백의 구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 센서와, 운전자 및 탑승객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센서를 구비하여 차량의 충격과 운전자 및 탑승객이 발산하는 뇌파를 각기 검출하고, 검출한 충격 및 뇌파로 전자 제어 유니트가 사고의 발생을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에어백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 구동부가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구동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에어백 구동 시스템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격으로 추돌 및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지를 검출하는 충격 센서(11)와, 운전자 및 탑승객이 발산하는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센서(12)와, 상기 충격 센서(11) 및 뇌파 센서(12)의 출력신호로 차량의 사고를 판단하여 에어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13)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3)의 제어에 따라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에어백 구동부(14)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백 구동 시스템은 차량을 운전하면서 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에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충격 센서(11)가 검출하여 전자 제어 유니트(13)에 입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사고의 발생을 판단하여 인체에서 많은 뇌파가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인체에서 발산되는 뇌파를 뇌파 센서(12)가 검출하여 전자 제어 유니트(13)에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전자 제어 유니트(13)는 충격 센서(11) 및 뇌파 센서(12)의 검출신호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전자 제어 유니트(13)가 에어백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출력한 에어백 구동 신호에 따라 에어백 구동부(3)가 에어백을 동작시켜 운전자 및 탑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충격 센서(11) 및 뇌파 센서(12)의 검출신호가 모두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일 경우에 전자 제어 유니트(13)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백을 구동시키고, 충격 센서(11) 및 뇌파 센서(12)의 검출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검출 신호가 모두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일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고, 차량이 급제동 등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에어백을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은 물론 운전자 및 탑승객이 발산하는 뇌파를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을 판단하고,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사고의 발생시 이를 정확히 판단하여 에어백을 구동시키고, 운전자 및 탑승객을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필요없이 에어백이 동작하는 에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 센서(11)와, 운전자 및 탑승객이 발산하는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센서(12)와, 상기 충격 센서(11) 및 뇌파 센서(12)의 출력신호로 차량의 사고를 판단하여 에어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13)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3)의 제어에 따라 에어백을 구동시키는 에어백 구동부(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시스템.
KR1019950048376A 1995-12-11 1995-12-11 에어백 구동 시스템 KR10021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376A KR100210926B1 (ko) 1995-12-11 1995-12-11 에어백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376A KR100210926B1 (ko) 1995-12-11 1995-12-11 에어백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00A KR970039700A (ko) 1997-07-24
KR100210926B1 true KR100210926B1 (ko) 1999-07-15

Family

ID=1943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376A KR100210926B1 (ko) 1995-12-11 1995-12-11 에어백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9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00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124B1 (ko) 자동차용 승객 안전장치의 측면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방법
JP2934420B2 (ja)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装置を起動する装置
US7416042B2 (en) Method for triggering a two-stage belt tensioner
US8145386B2 (en) Activation apparatus for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7493983B2 (en)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colliding with vehicle
JP2800486B2 (ja) 自動車の前席乗員用保護装置
KR100210926B1 (ko) 에어백 구동 시스템
JP3477696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3003484B2 (ja) 車両衝突検知装置
KR0154032B1 (ko) 자동차 변형속도에 따른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3541211B2 (ja) エアバッグの作動判断装置
JP4203814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H0825446B2 (ja) 自動車事故用安全装置
KR0156470B1 (ko) 에어백이 삽입된 리어범퍼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0153628B1 (ko) 자동차 안전사고 예방장치
KR100437245B1 (ko) 자동차 정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10938B1 (ko) 차량 충돌시 승객 보호 방법
KR100194440B1 (ko) 자동차의 추락시 제어회로
JP3305366B2 (ja) 車両の安全装置
KR100199572B1 (ko)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9980019826A (ko) 파열 각도에 따른 에어 백 제어 방법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