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377B1 -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6377B1 KR101826377B1 KR1020130134511A KR20130134511A KR101826377B1 KR 101826377 B1 KR101826377 B1 KR 101826377B1 KR 1020130134511 A KR1020130134511 A KR 1020130134511A KR 20130134511 A KR20130134511 A KR 20130134511A KR 101826377 B1 KR101826377 B1 KR 101826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llision risk
- detection information
- object detec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되,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후방 물체를 감지하면 후방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후방물체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후방 센서;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되, 차량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측면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측면물체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측방 센서; 후방물체감지 정보 및 측면물체감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되, 후방물체감지 정보 및 측면물체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측면물체감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측면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고, 이격 거리가 경보발생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미생성하고, 이격 거리가 경보발생기준 거리보다 크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되,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후방 물체를 감지하면 후방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후방물체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후방 센서;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되, 차량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측면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측면물체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측방 센서; 후방물체감지 정보 및 측면물체감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되, 후방물체감지 정보 및 측면물체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측면물체감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측면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고, 이격 거리가 경보발생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미생성하고, 이격 거리가 경보발생기준 거리보다 크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교통 체증 및 도로에서의 자동차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버스나 승합차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 또는 폴딩 도어가 설치된 차량에서 승객이 하차시에 차량과 보도 블록의 연석 사이의 공간으로 주행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와의 충돌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정차 및 도어 개방시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물체가 존재하면 이에 대한 위험 경보 메시지를 발생하는 위험 경보 장치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위험 경보 장치는 도어의 개방시에 차량의 후방에서만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였다.
따라서, 차량이 보도 블록의 연석에 근접하게 정차하여 차량과 보도 블록의 연석 사이의 공간으로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의 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차량의 후방으로 물체가 근접하면 이에 대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차량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잘못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로 인해 혼동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정차 및 도어 개방시 차량의 후방에서 근접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 판단 및 차량과 보도 블록의 연석 사이의 근접 거리를 판단하고, 근접 거리에 따라 경보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후방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후방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후방 물체 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후방 센서; 상기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측면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측방 센서;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정보 및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되,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정보 및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측면과 상기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미생성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크면 상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에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차 및 도어 개방시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근접하는 후방 물체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 존재하는 측면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단계; 상기 물체 감지 단계에서 상기 후방 물체 및 상기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는 이격 거리 판단 단계; 상기 이격 거리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크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충돌 위험 경보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 즉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의 주행이 불가능한 거리이면 차량의 후방에서 후방 물체가 근접해도 이에 대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승객이 잘못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로 인해 혼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센서 및 측방 센서를 차량에 설치하는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의 동작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가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센서 및 측방 센서를 차량에 설치하는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의 동작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가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장치(100)는 후방 센서(110), 측방 센서(120), 제어부(130) 및 경보 발생부(140)를 포함한다.
후방 센서(110)는 센서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후방 센서(110)는 차량(200)의 후방에 설치되되, 차량(200)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후방 물체를 감지하면 후방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후방 물체 감지 정보를 발생하여 후술할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후방 센서(110)는 도 2와 같이 차량(200)의 측후방 쪽에서 근접하는 후방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200)의 측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측방 센서(120)는 후방 센서(110)와 같이 센서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측방 센서(120)는 차량(200)의 측면에 설치되되, 차량(200)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보도 블록의 연석 등의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측면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발생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측방 센서(120)는 차량(200)의 하단에 위치한 측면 물체, 즉 보도 블록의 연석을 감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차량(200)의 측면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후방 센서(110)로부터 후방 물체 감지 정보 및 측방 센서(120)로부터 측면 물체 감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되, 후방 물체 감지 정보 및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통해 차량(200)의 측면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d)를 판단하고, 이격 거리(d)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D)보다 작으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미생성하고, 이격 거리(d)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D)보다 크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후술할 경보 발생부(140)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도 3과 같이 이격 거리(d)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D)보다 크면, 차량(200)의 후방에서 근접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후방 물체가 차량(200)의 측면과 측면 물체 사이로 주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도 4와 같이 이격 거리(d)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D)보다 작으면, 차량(200)의 후방에서 근접하는 후방 물체가 차량(200)의 측면과 측면 물체 사이로 주행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미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보 발생 기준 거리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후방 물체가 주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발생 기준 거리는 50cm ~ 1m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경보 발생 기준 거리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위험 경보 장치(100)는 운전자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경보 발생 기준 거리를 가변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가변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정차하고, 차량(200)의 슬라이딩 도어 또는 폴딩 도어의 개방시에만 후방 센서(110) 및 측방 센서(12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차량(200)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차속 정보 및 도어 개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후방 물체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미수신하는 경우에도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경보 발생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200)이 보도 블록의 연석 등의 측면 물체와 멀리 떨어져 있거나 주차 차량이 소수인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장 등의 개활지에 차량(200)이 정차한 경우에는 측방 센서(120)가 측면 물체를 감지할 수 없지만, 후방 물체가 차량(200)의 측면으로 주행할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제어부(130)에서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경보 발생부(140)에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측방 센서(120)로부터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소정 시간 이상 수신한 경우에만 차량(200)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승합차 또는 버스 등의 차량(200)이 정차하는 경우에는 승합차 또는 버스를 탑승하기 위한 탑승객들이 차량의 측면 쪽으로 왕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측방 센서(120)에서 차량(200)의 측면 쪽으로 왕래하는 탑승객들을 측면 물체로 감지하여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짧은 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측방 센서(120)가 보도 블록의 연석, 즉 고정된 물체를 측면 물체로 감지하면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차량(200)이 정차하는 시간 동안 제어부(130)에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측면 물체가 고정된 물체로 판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 이상으로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차량(200)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여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경보 발생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경보 발생부(140)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가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200)이 정차하고 차량(200)의 슬라이딩 도어 또는 폴딩 도어가 개방되면, 위험 경보 장치(100)는 후방 센서(110) 및 측방 센서(120)를 통해 차량의 후방에서 근접하는 후방 물체 및 차량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측면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후방 물체 및 측면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510, S520).
상기 단계 S520에서 후방 물체만을 감지한 경우에는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인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 물체 및 측면 물체 모두를 미감지한 경우에는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530).
상기 단계 S520에서 후방 물체 및 측면 물체를 감지한 경우에는 차량(200)과 측면 물체와의 이격 거리(d)를 판단하여 이격 거리(d)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D)보다 작으면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미출력하고, 이격 거리(d)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D)보다 크면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S540, S5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위험 경보 장치(100)는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후방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측면과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작아서 후방 물체가 주행할 수 없으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인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차량(200)의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근접하는 후방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후방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후방 물체 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후방 센서;
상기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측면 물체를 감지한 정보인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발생 및 전송하는 측방 센서;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정보 및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되,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정보 및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측면과 상기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미생성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크면 상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차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 개방시 상기 후방 센서 및 상기 측방 센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 및 폴딩 도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면 물체 감지 정보를 미수신하는 경우에도 상기 충돌 위험 경보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 발생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측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에서 충돌 위험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차 및 도어 개방시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근접하는 후방 물체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 존재하는 측면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단계;
상기 물체 감지 단계에서 상기 후방 물체 및 상기 측면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측면 물체 간의 이격 거리를 판단하는 이격 거리 판단 단계;
상기 이격 거리가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크면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경보 발생 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충돌 위험 경보음 및 상기 충돌 위험 경보 메시지를 미출력하는 충돌 위험 경보 신호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 경보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4511A KR101826377B1 (ko) | 2013-11-07 | 2013-11-07 |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4511A KR101826377B1 (ko) | 2013-11-07 | 2013-11-07 |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2953A KR20150052953A (ko) | 2015-05-15 |
KR101826377B1 true KR101826377B1 (ko) | 2018-02-06 |
Family
ID=5338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4511A KR101826377B1 (ko) | 2013-11-07 | 2013-11-07 |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63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5640A1 (ko) * | 2017-08-14 | 2019-02-21 | 이민철 |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
KR200489951Y1 (ko) * | 2017-08-14 | 2019-08-30 | 이민철 |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
KR102420218B1 (ko) * | 2017-10-21 | 2022-07-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429499B1 (ko) * | 2017-11-23 | 2022-08-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 장치 및 방법 |
-
2013
- 2013-11-07 KR KR1020130134511A patent/KR10182637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2953A (ko) | 2015-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172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warning | |
CN209904702U (zh) | 用于门碰撞检测的装置及系统 | |
CN107512263A (zh) | 一种变道盲区危险辅助系统 | |
US20080218381A1 (en) | Occupant exit alert system | |
KR101826377B1 (ko) |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 |
CN103303194A (zh) | 用于警告物体与静止汽车的车门可能碰撞的方法和系统 | |
KR20200023802A (ko) |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그 사각지대 감지 방법 | |
KR102012271B1 (ko) | 차간 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
CN106347210A (zh) | 汽车开门预警系统及方法 | |
CN109305125A (zh) | 一种安全开车门的控制系统和方法 | |
KR20120122170A (ko) | 차량의 후방 충돌 방지 장치 | |
KR102420218B1 (ko) |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08262414A (ja) | 車両脇移動体すり抜け検出装置 | |
KR101917827B1 (ko) | 난폭 운전 탐지 장치 | |
KR20130067651A (ko) | 사각지대 회피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08046862A (ja) | 車両用警報装置及び警告音出力方法 | |
KR20140047939A (ko) | 차선 변경 감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 |
KR20140086304A (ko) | 주정차 차량의 전면 보행자 감지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90136166A (ko) | 탑승자 신체 돌출 감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20150040584A (ko) |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20060021452A (ko) | 차량 충돌 경보장치 | |
CN109476305B (zh) | 存在后部碰撞风险的处于停止的运输工具的安全装置 | |
JPH11339197A (ja) | 車両安全装置 | |
JP6238016B2 (ja) | 車両用運転支援装置 | |
EP3351441B1 (en) | Device for increased safety during slow vehicle mov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