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920A -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용도 - Google Patents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920A
KR20040032920A KR10-2004-7002283A KR20047002283A KR20040032920A KR 20040032920 A KR20040032920 A KR 20040032920A KR 20047002283 A KR20047002283 A KR 20047002283A KR 20040032920 A KR20040032920 A KR 2004003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fermentation product
fermentation
bit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오진준
케추안쿠이
Original Assignee
항조우 츠비오 사이언스 앤드 테크날러지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조우 츠비오 사이언스 앤드 테크날러지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조우 츠비오 사이언스 앤드 테크날러지 캄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3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 및 임상적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한입 버섯은 포도당, 맥아당, 효모 분말, 펩톤, 무기염 및 비타민을 함유한 배양 배지에서 액체 또는 고체 발효를 수행하여 한입 버섯 균사, 배양 상청액과 각종 대사산물을 획득한다. 상기 발효 생성물은 각종 약제로 조제할 수 있으며, 기관지 천식, 과민성 비염, 과민성 위장염 및 눈병 등의 알레르기 질환과 같이, 화분(꽃가루), 진드기, 곰팡이, 분진 등이 일으키는 과민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이 밖에 해소·천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용도{FERMENTATION PRODUCT OF CYPTOPORUS VOLVATUS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USE}
한입버섯(Cryptoporus volvatus (Peck) Schear)은 송감람(松橄欖), 수흘탑(樹屹塔), 하색균(荷色菌), 목어균(木魚菌), 향대란(香大蘭), 일구이(一口耳)라고도 하며, 담자균문 (Basidiomycotina), 균심강(Hymenomycetes),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한입버섯속(Cryptoporus)에 속한다. 목재부후균(木材腐朽菌)에 속하며, 소나무 고목의 그늘 진 부분 혹은 쓰러진 나무의 땅 쪽 면에서 생장한다. 약에 쓰이는 부위는 신선하거나 혹은 건조한 자실체, 균사체와 심층 배양한 대사 생성물이다. 중국의 하북성, 사천성, 운남성, 강소성, 하북성, 광서성, 복건성, 해남성, 길림성 등과,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야생 자실체는 이미 약용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한입 버섯은 다당 단백질, 에르고스테롤(ergosterols), 매우 쓴 세스퀴터페노이드(sesquiterpenoids)류의 화합물과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란마오(藍茂)(1397-1476)는 <전남본초(Materia Medica of Diannan)>에 : "송감람의 맛은 쓰면서도 달며, 성질이 약간 차다. 대장의 하혈과 열의 독을 치료하고, 아홉 가지 치질을 치료한다. 아픈 이에 물고 있으면 통증이 멈춘다"라고 기재하고 있다. 잉지엔저(應建浙) 등(1987)의 <중국약용진균도감>에서는 "물에 달여 복용하면 기관지염과 천식을 치료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소염 작용이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중화본초>에는 "맛이 약간 쓰나 성질은 온화하다. 기침을 멈추고, 천식을 안정시키며, 해독 등의 기능이 있다. 기관지염, 천식을 치료하는데 쓰인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한국의 이씨 등(1981)의 보고에 의하면, 한입 버섯을 더운물로 우려낸 물질 중 항암 활성을 갖는 다당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일본의 橋本敏泓 등 연구진(1988)과 淺川義範 등 연구진(1988)은 한입 버섯의 자실체에서 7 종의 강한 쓴 맛을 지닌 세스퀴터페노이드 화합물, 즉 크립토포르산(cryptoporic acid) A, B, C, D, E, F, G를 분리 정제하여, 실험용 흰쥐에 테스트해 본 결과 크립토포르산 C, E, F, G는 흰쥐가 자극을 받음으로 인하여 복강 대식 세포(phagocytic cell)로부터 방출되는 산소 라디칼(oxyen radical)에 대하여 강한 억제작용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입 버섯의 식물 형태, 생태 환경, 생물학적 특성, 약용 효과 등은 이미 국내외 문헌이나 잡지에 상세하게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약용진균 한입버섯의 생물학적 특성 연구>(작자: 화치홍(華啓洪), 쑨징(孫靜), 선리(沈醴), "중국 중약 잡지"1991년 제16권 제12기) 등이 있다. 2000년, 장무(臧木) 등 연구진의 연구에서 중국에 분포되어 있는 것은 주로 중국 한입 버섯인 것으로 밝혀졌다(Cryptoporus sinensis Sheng H. Wu & M.Zang).한입 버섯의 생태 환경이 엄격하고, 자실체를 채집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자생량이 적고, 자원이 부족하며, 자실체를 인공 배양하는 데에 난이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 버섯의 약용 가치는 아직 중시되지 못하고 있어 현재 이 진균과 관련된 약재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매우 오래 전, 사람들은 이미 신체가 특정 물질과 접촉한 후 부종, 피부 가려움증, 천식 등의 증상과 같은 비정상적인 이상 반응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1819년 John Bostock는 먼저 고초열(枯草熱)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1873년 Charles Blokley는 화분의 꽃가루가 고초열의 발병 인자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1906년 오스트리아 의사 Clemens vo Pirquet은 소수의 환자가 혈청 치료를 받은 후 증상이 호전되지 못하고 도리어 고열, 전신성 임파결종 비대, 관절 통증, 간장과 비장의 비대증, 신장 기능 쇄약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변태 반응에 대해 "알레르기(Allergy)"라는 단어를 제시하였다. 1921년 Prausnitz와 Kustner는 과민성 질병체 내에 일종의 정상인의 조직에 전이되어 이를 과민화시키는 과민성 유발 인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1963년 P.C.H.Cell과 R.R.A.Coombs는 알레르기 반응 증상을 더욱 합리적으로 분화하여 이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1966년 미국 국적의 일본인 石坂 부부(Kimishige Ishizaka와 Teruko Ishizaka)는 먼저 속발형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항체 IgE를 발견하였다. 현재, 알레르기 반응은 이미 하나의 독립된 학과가 되었으며, 만성 과민성 염증 개념의 제시로 사람들은 제I형 알레르기 반응에 대하여 더욱 심도 있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유행병리학의 조사 통계에 의하면, 각종 알레르기 질환 중, 과민성 피부병 발병률이 가장 높아 44 %를 차지하며, 그 중 심마진(두드러기), 혈관신경성 부종, 이위성(異位性)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약물 발진이 가장 흔하다. 각종 호흡기 과민증상은 약 11 %를 차지하며, 그 중 기관지염 환자는 4.6 %, 과민성 비염은 6.7 %, 각종 약물 과민은 3.2 %, 위장기관 과민은 약 1 %~2 %를 차지하며, 기타 각종 드물게 보이는 과민성 질환은 약 5 %를 차지한다. 근 30년 동안, 경제의 발전 및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과민성 질병은 세계적으로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다.
과민성 질병의 발병은 주로 과민원(알레르겐), 항체, 세포, 수용체(receptor)와 매질(medium) 5개 부분과 관련된다. 과민증을 일으키는 물질은 매우 많다. 예를 들어 화분(꽃가루), 집 먼지, 식물, 진균, 약물, 사람과 동물의 비듬, 털, 곤충, 기생충 및 기타 화학 물질 등은 흡입하거나 먹거나 주사, 혹은 접촉함으로서 몸의 과민 반응을 초래하며, B세포가 IgE 항체를 생성하고, IgE 항체가 비대 세포, 호산성 과립세포 등 표적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유발한다. 유기체가 다시 동일한 항원과 접촉할 경우, 후자는 표적 세포에 결합되어 있는 IgE 항체와 특이 반응을 일으킨다. 특이성 항원이 두개 이상의 IgE 분자와 결합하게 되면 교련반응(橋聯反應, bridging reaction)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즉 이가(二價) 혹은 다가(多價) 항원 분자와 두 개 이상의 IgE 분자가 접근하여 구조 형질의 변형을 가져오고, 이어서 IgE 수용체가 모이게 함으로써, 세포에서 과립이 탈락되도록 중개하는 것이다. 세포에서 과립이 탈락된 후 혈관 활성 물질 및 모종의 효소를 방출하여 평활근 수축, 점액 분비, 혈압 저하 및 조직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밖에, 과민원 역시 친세포성 IgE 항체로부터 활성화 호산성 과립세포를 중개 유도하여 루코트리엔(leukotrienes),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세포 인자 등 대량의 염증 인자들을 방출하고, 이로써 피부, 기관지 점막, 비점막과 위장 점막에 염증을 초래한다.
각종 과민성 질병 중 천식의 발병 기전(메카니즘)은 최근 몇 년간 매우 큰 진전을 얻었다. 천식은 비대 세포, 호산성 세포, T 임파 세포 등 여러 염증성 세포가 함께 작용하는 기도 만성 염증이다. 이러한 염증은 감염되기 쉬운 사람이 여러 종류의 활성 인자에 대하여 기도 과민증(airway hyper reactivity)을 나타내게 하며, 아울러 기도를 좁아지게 하여 반복 발작성 천식, 호흡 곤란, 가슴 답답증 혹은 기침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야간과(또는) 새벽에 발작하고, 갈수록 악화되며, 종종 광범위하며 다변적인 가역성 기류폐쇄(airflow limitation)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대다수의 환자들은 스스로 진정시킬 수 있거나 혹은 치료를 통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천식 발병 기전의 관점은 기도벽의 특정한 만성 염증 과정이 기류 폐쇄와 반응성 증가를 일으키고, 이로부터 다른 자극 물질에 대하여 반응할 때 기도가 더욱 협착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기도 염증의 전형적인 특징은 호흡 기도 점막 및 관강(管腔) 중 활성 호산성 과립세포, 비대세포와 T 임파세포의 수량 증가와 기저막 그물망층이 두꺼워지고, 상피하섬유가 증가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천식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천식으로 인한 폐기능 이상이 특징인 가역성 기류 폐쇄가염증 반응의 상승과 관련이 있음을 표명하였다. 천식 발생을 일으키는 위험 요소로는: 경향성 요소로서 특이 반응성과 성별이 있고, 발병 요소로서 실내 알레르겐(집먼지 진드기, 동물 알레르겐, 바퀴벌레 알레르겐, 진균), 실외 알레르겐(화분(꽃가루), 진균), 아스피린, 직업성 민감 물질이 있으며, 촉진 요소로는 호흡기 감염, 출생시 저체중, 음식, 공기 오염(실외오염물, 실내오염물), 흡연(직접 흡연, 간접 흡연)이 있다.
근 20년 이래, 세계 각국의 천식 질환률 및 천식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현재 1.5억명의 천식 환자가 있고, 매년 10만 명이 천식으로 불필요하게 사망하고 있다는 자료가 제시되었다. 천식은 신체 발육과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존심을 포함한 심리적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천식과 같은 장기적인 질병은 개인과 사회에 여러 방면의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생활의 질을 저하시키거나 혹은 전신의 건강에 영향을 주며, 점진적으로 능력 상실과 조기 사망에 이르게 하는 동시에 생산력을 저하시키고 의료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천식은 하나의 중요한 공중 위생 문제이며, 정부와 공중 위생 기관의 관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가치가 있다.
천식은 일종의 만성적 기도 염증성 질환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제어는 바로 유발 인자를 제거하여 염증의 발생을 막는 것이다. 천식의 약물 치료는 증상과 기류 폐쇄를 역전시키거나 예방하는데 이용되며, 제어 약물과 완화 약물을 포함한다. 항염증제와 장기적 효과가 있는 기관지 확장제를 포함한 제어 약물은 지속적 천식에 사용된다. 항염증제는 현재 가장 효과가 있는 제어 약물로서, 주로 부신피질호르몬이 있는데, 이는 한 방면 혹은 여러 방면으로 천식을 제어할 수 있으나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기관지 확장제는 기도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도를 확장한다. 비록 기관지 확장제는 기관지의 수축을 역전 혹은 억제시킬 수는 있으나, 기도 염증과 기도 과민증을 역전시키지는 못한다. 현재 루코트리엔의 작용과 관련된 루코트리엔 길항제(拮抗劑)와 같은 몇가지 약물이 개발되었으며, 생물 합성 중의 관건 효소 저항제 및 평활근 세포 혹은 기타 세포 표면의 지방류 수용체 저항제는 지방류 물질이 평활근 세포와 결합하는 것을 막아주어 루코트리엔의 생물 활성을 봉쇄한다.
따라서, 어떻게 한입 버섯이 지니고 있는 약용 기능을 이용하여,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을 제공하고, 천식과 같은 과민성 질병의 예방과 치료 약물을 제조하는가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을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 약물에 존재하는 심각한 부작용 및 기도 염증과 기도 과민증을 역전시키지 못하는 결함을 극복하는 것이다. 천식과 같은 과민성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획득한 발효 생성물로 제조한 약물은 효과가 좋고, 집중적이며, 부작용이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환자의 호르몬 제제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고 호르몬 용량을 감소시켜 환자의 생활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 중 두 번째로는 상기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해야하는 기술적 과제 중 세 번째로는 천식과 같은 과민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 상기 발효 생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공개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인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은 일종의 균사체와 배양 상청액의 혼합물로서, 상기 발효 화합물의 건조 중량은 5~50 g/1000 ㎖, 다당 함량은 3~10 %, 휘발성 에테르 추출물 함량은 0.05~0.15 %, 총 알칼로이드 함량은 0.03~0.25 %이다. 다당, 휘발성 에테르 추출물과 총 알칼로이드의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총다당(total polysaccharide)
발효 혼합물 분말 10 g을 취하여 200 ㎖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30 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잔류물(residue)에 다시 100 ㎖의 증류수를 넣고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한다. 두 차례에 걸쳐 추출한 여과액을 합하여 적당히 농축한 후 분자량이 10,000 달톤인 투석 자루에 담아 3 일 동안 투석하고, 용액 중의 소분자 물질을 제거하여 10 ㎖로 농축된 것을 추출한다.
농축액 소량을 취하여 Molish 시약 반응을 한 결과 황산과 수용액 계면에 자색 혹은 갈홍색 둥근 고리가 나타나면 본 약재 중 다당 성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농축액 소량을 취하여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하여, 시프(Schiff) 시약으로 염색한 결과 연속적인 전기영동 띠가 나타났는데, 이는 분자량이 다른 다당이 존재한다는 것을 표명해주는 것이다.
농축액 소량을 취하여, 아닐린 블루(Aniline blue) 침전 시험 반응을 한 결과 알코올 불용성인 파란색 침전이 나타나면 β-1,3글루칸(glucan)이 존재하는 것을 표명하는 것이다.
농축액 1 ㎖를 취하여 200 배 희석하고, 황산염-페놀법(vitriol-phenol method)으로 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1 ㎖ 농축액 당 30~100 ㎎의 다당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즉 발효 혼합물 중 다당이 3~10 %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2) 휘발성 에테르 추출물(volatile ether extract)
식물 중 추출한 휘발성 오일은 이미 임상 실험에서 거담, 발한, 진해(기침 진정) 혹은 이뇨 약물에 응용되고 있고, 또한 살균 혹은 세균의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 한입 버섯 중 얻을 수 있는 휘발성 오일 중에는 팔미틴산(palmitic acid)의 상대 함량이 비교적 높으며, 팔미틴산은 항염증, 세균 억제 작용과 비교적 강한 진통 활성을 가지고 있다. 휘발성 오일 중의 세스퀴터페노이드에는 항균, 소염, 진통, 천식 완화 등의 작용이 있다. 한입 버섯의 휘발성 오일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임상 효과와 관련된 유효 성분을 설명하기로 하겠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발효물의 분말 3 g를 취하여 정확하게 무게를 잰 후, 50 ㎖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20 ㎖ 에탄올을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그런 다음 에탄올 층을 분리하여 일정 중량까지 건조되도록 증발용기에 넣고, 다시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추출 용액이 무색이 되면, 에탄올을 휘발시키고, 황산 건조기 중에 넣어 18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정확하게 중량을 측정하고, 천천히 105 ℃까지 가열하는 한편 일정 중량까지 건조시킨다. 손실된 중량은 즉 휘발성 에테르 추출물의 중량이며, 계산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1 참조).
(3) 총 알칼로이드(Total alkaloids)
알칼로이드 화합물은 대부분 생리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보통 많은 중국 전통 약재 및 약용 식물의 유효 성분으로서, 진통, 기침 멈춤, 천식 완화, 항균 소염, 평활근 이완 등의 작용이 있다. 본 발명은 발효 상청액을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pH>9로 조절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여러 차례 추출하여, 수욕(水浴) 증류로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알칼로이드를 얻어내며, 추출한 알칼로이드에 대하여 정성(定性)과 정량(定量) 시험을 실시한다.
3종 침전 시약 반응:
요오드화 비스무트 칼륨 시약과 반응하면, 귤황색 침전이 생긴다. 포스포몰리브덴산(phosphomolybdic acid) 시약과 반응하면, 황록색 침전이 생기며, 반응이 신속하다. 실리코텅스텐산(silicotungstic acid)(5 %)과 반응하여 백색 침전물이 생기며, 반응이 신속하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분석(TLC 분석)을 실시한다:
TLC 실험에 이용되는 박층 플레이트는 실리카겔 GF254 플레이트(200 mm × 50 mm)이며, 톨루엔-아세톤-에탄올-진한 암모니아 용액(20: 20: 3: 1)을 전개 시약으로 하여 자외선 램프 아래에서 검시하면, 분리가 비교적 양호한 반점을 볼 수 있는데 반점의 재현성이 좋다.
총 알칼로이드에 대하여 정량 검측을 하는 방법은 산성 염료 비색법(colorimetry)이다. 대조 시료 용액 제조: 모르핀 1 ㎎을 정확하게 양을 취하고, 정확하게 메탄올 1 ㎖를 첨가한 후, 골고루 저어주면 된다(1 ㎖ 당 모르핀 1 ㎎ 함유).
대조 시료 용액 제조: 발효물 분말 5 g을 정확히 재어, 1 %의 H2SO440 ㎖를 이용하여 24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진한 암모니아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9까지 조절하여, 에탄올로 2차례(40 ㎖, 40 ㎖) 추출하고, 클로로포름으로 2차례(20 ㎖, 20 ㎖) 추출한 후, 유기 용매를 배합하여, 따뜻한 수조에서 회수된 유기용제가 거의 건조할 때까지 둔 다음, 정확하게 20 ㎖ 산성 수용액(pH=3)을 첨가하여 유기 용제를 완전히 제거시켜서 얻어낸다. 표준 곡선 도표를 제작한다. 대조 시료 용액을정확하게 흡취하여 20, 40, 60, 80, 100, 120 ul을 각각 20 ㎖의 분리 깔대기에 넣는다. pH 3.0의 산성 수용액을 1 ㎖까지 정확하게 첨가하고, 클로로포름 5 ㎖와 브로모크레졸 그린 용액(브로모크레졸 그린 50 ㎎과 포타슘 하이드로겐 프탈레이트 1.021 g의 혼합물을 0.2 mol/L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6.0 ㎖에 녹인 후 , 다시 물을 첨가하여 100 ㎖로 희석하여 골고루 저어준다) 1 ㎖를 정확히 첨가하여 2 분 동안 강력하게 진탕한 후 가만히 방치한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여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420 nm 부분에서 흡수도를 측정하고, 표준 곡선을 그린다(표2 참조).
상기 발효 생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1) 균주의 활성화: 4 ℃의 조건 하에서 보존된 한입 버섯 균주를 무균 조작으로 다음과 같은 배양 배지로 이식하고, 진균 정상 배양 온도에서 3~10일 동안 무균 배양한다.
배지 성분과 중량 백분율 함량(%)은 다음과 같다:
포도당 0.5~0.9
맥아당 0.5~2
펩톤 0.1~0.2
효모 분말 0.5~1
KH2PO40.2~0.4
MgSO4·7H2O 0.2~0.5
비타민 B10.05~0.1
한천(agar) 2.2~3.0
pH 4.5~5.0
나머지 물
(2) 진탕 배양: 상기 활성화된 한입버섯 균사를 150~200 ㎖의 하기 배양 배지를 담은 500 ㎖ 삼각 플라스크에 옮겨 넣고, 진동수 100~200 rpm, 온도 20 ℃~30 ℃의 조건 하에서 진탕 베드에서 6일 동안 배양한다. 만약 대량 추가가 필요하면 다시 균사액을 750 ㎖의 하기 배양 배지를 담은 3000 ㎖ 삼각 플라스크에 담고, 진동수가 100~200 rpm, 온도 20 ℃~30 ℃의 조건 하에서 진탕 베드에서 1~2일 동안 진탕 배양한다.
배지 조성과 함량은 다음과 같다:
포도당 0.5~0.9
맥아당 0.5~2
펩톤 0.1~0.2
효모 분말 0.5~1
KH2PO40.2~0.4
MgSO4·7H2O 0.2~0.5
비타민B10.05~0.1
pH 4.5~5.0
나머지 물
(3) 액체 발효 배양: 각종 용량 규격의 발효조에 발효조 용량의 70 % 이하로하기 배양액을 담고, 압착법을 이용하여 발효조 용량 3~5 %에 상당하는 진탕 플라스크에 배양된 한입 버섯 균사액을 이식한다. 통풍량은 1 : 0.1~1.0(v/v/분), 임펠러(Impeller) 교반 속도는 100~200 rpm, 발효조 압착은 0.05 kg/㎠ 이상, 온도는 20~30 ℃의 조건 하에서 1~10일 동안 발효시킨다.
배양액 성분과 중량 백분 함량(%)은 다음과 같다:
포도당 2.5~3.5
맥아당 0.5~2
옥수수가루 0.3
펩톤 0.5
효모 분말 0.5~1
KH2PO40.2~0.4
MgSO4·7H2O 0.2~0.5
비타민B10.05~0.1
pH 4.5~5.0
나머지 물
(4) 상기 발효조 내의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을 일반적인 여과 방법으로 여과하여 균사체와 배양 상청액을 얻는다. 한입 버섯 균사체의 여과 후 남은 잔류물은 80~90 ℃의 조건 하에서 건조, 분쇄, 체에 걸러 과립이 60 메쉬 미만인 한입 버섯 분말을 얻는다. 배양 상청액은 70~80 ℃로 회전 증발시켜 밀도가 1.2~1.5 g/㎖가 될 때까지 농축시킨다.
3. 임상적 용도 및 제형
본 발명으로 얻은 한입 버섯 분말과 배양 상청액 농축액은 각각 단독으로 각종 유형의 약품과 건강 보조식품을 만들거나 또는 각종 약품이나 건강 보조 식품으로 혼합 가공 할 수 있다.
배양 상청액 농축액을 걸쭉한 지제(electuary)로 가열 농축시킨 후, 버섯 분말을 첨가하고 또한 5 %~50 %의 전분, 미세 결정 셀룰로오스 등 보조제를 섞어, 골고루 저어준 후, 건조, 분쇄하고, 60 메쉬의 체에 거르면 혼합 발효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생성물은 제Ⅰ형, 제Ⅱ형, 제Ⅲ형, 제Ⅳ형 알레르기 반응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기관지 천식염, 과민성 비염, 과민성 피부염, 약물 과민증, 음식물 과민증 등과 같은호흡기, 피부, 위장과 눈에 발생하는 제Ⅰ형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과, 화분(꽃가루), 진드기, 곰팡이 등에 과민한 질병과 같은 과민성 질환 약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응용의 편리를 위하여 상기 발효 생성물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트로키제, 캡슐제,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지제, 패치제, 시럽제, 혼합제 혹은 스프레이제로 각종 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종의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약물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과민해진 모르모트를 항원 공격 후 시료가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
과민해진 모르모트를 항원 공격 후 중국의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의 기도 폐색(RL)에 대한 영향. 항원 공격 이전의 기도 폐색은 1005이다. 모델 그룹과 비교하면, *P<0.05, **P<0.001, ***P<0.001이다.
도 2는 과민해진 큰 쥐(rat)의 항원 공격으로 일어난 폐세척액 중 백혈구 총수에 시료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
모델 그룹과 비교하여, *P<0.05, **P<0.001이다;
T: 중국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추출물
D: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
K: 케토티펜(Ketotifen)
도 3은 과민해진 큰 쥐의 항원 공격으로 일어난 폐세척액 중 호산성 입세포에 시료가 미치는 영향.
모델 그룹과 비교하여, *P<0.05, **P<0.001이다;
T : 중국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추출물
D :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
K : 케토티펜
이하 약리, 독성 및 임상 실험 데이터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과 용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1) 과민해진 모르모트에 항원 공격 후 폐기능에 대한 영향
난백 알부민 10 ㎎을 이용하여 과민해진 모르모트의 뒷다리 근육 내에 주사하여, 3~4주 후 항원 공격(1 % 난백 알부민)으로 야기된 폐 폐색(RL)의 변화로 시료의 약효를 관찰한다. 결과는 중국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Ts0001p1 시료 5.0 g/kg × 10d가 항원 공격으로 생긴 RL증가에 대해 어느 정도의 억제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항원 공격 후 2 분, 3 분 및 5 분이었을 때, 통계학적 차이(P<0.05)가 발생했다. 표준 양성 대조군으로 β2아드레날린 살부타몰(salbutamol) 7 ㎎/kg × 1d는 항원 공격 후 기도 폐색 반응이 가장 심각한 10 분 동안에, 각 시간별로 모두 분명한 억제 작용(P<0.05~0.01)이 나타났다. 결과는 도 1을 참조한다.
(2) 과민해진 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 폐세척액중 염증 세포의 변화
난백 알부민 2 % 젤 용액을 이용하여 항원에 민감하게 한 후, 각 쥐의 양 뒷발바닥, 서혜부, 허리, 등, 목, 겨드랑이에 모두 10 방울씩, 방울 당 0.05 ㎖를 피하주사 하는 동시에 0.5 ㎖을 복강 주사한다. 과민해진 10일째 투약을 시작한다. 시약 A2, B2, C2 또는 생리 식염수 용액 0.5 ㎖/kg, 또는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DXM) 0.5 ㎎/kg을 각각 복강에 주사한다. A1, B1 5 g/kg, C1 2.5 g/kg을 각각 세척위에 투여한다. 이상의 시험 약물을 모두 열흘동안 투여한다. A1은 발효균사체 분말이고, B1은 발효 상청 농축액이며, C1은 자실체 분말이다. A2는 발효 균사체 물 추출액이고, B2는 발효 농축액이며, C2는 자실체 분말 물 추출액,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이다. 천식과 같은 만성 기관지염증 질환은 기관지와 폐의 호산성 입세포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이 신호이다. 호산성 입세포는 세포 유전자, 루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등과 같은 수십 종의 염증 물질을 방출한다. 이러한 물질은 기도에 작용하여 염증, 부종, 손상과 두께 증가 등을 일으켜 기도가 협착되어 공기가 통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현재 호산성 입세포는 하나의 천식 완화 약물을 선별하는 타겟으로서, 기도 호산성 입세포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이며, 천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 중 B 물질(즉 발효 농축액)은 비교적 양호하게 과민한 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와 폐부의 호산성 입세포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3) 서로 다른 투여량의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이 과민해진 쥐의 항원 공격후 기관지와 폐세척액 중 백혈구 총수와 호산성 입세포에 미치는 영향.
SD 쥐(rat) 75마리를 8그룹으로 나누어 난백 알부민 2 % 젤용액으로 항원에 과민해지도록 한 후, 각각의 쥐의 네 발바닥에 방울 당 0.1 ㎖ 피하주사 한다. 10일 후 다시 한차례 재주입한다. 과민해진 후 14 일째부터 투약을 시작한다. 시약인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T 추출물 또는 생리 식염수 용액 1 ㎖/100 g을 위에 주입하거나 혹은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 0.5 ㎎/kg을 복강에 주사하거나 혹은 케토티펜 5 ㎎/kg을 위에 주입하여 시약을 모두 7일 동안 투여한다. 14일째부터 투약 후 1시간 동안 항원 공격을, 매일 한차례, 모두 7차례 실시한다. 그 중 한 그룹은 항원을 공격하지 않는 대조 그룹으로 설정하여 생리 식염수로 대체한다.공격이 종결된 후 기관지 폐세척액을 수집하여 백혈구 총수와 호산성 입세포수를 계산한다. 모델 그룹의 항원 공격 후를 항원 공격을 하지 않은 쥐와 비교한 결과, 백혈구 총수와 호산성 입세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과민해진 쥐의 항원 공격에 대단히 현저한 과민 염증 반응 과정이 발생했음을 알려준다. 중국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은 투여량 의존성을 나타내며 과민해진 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 폐세척액 중 호산성 입세포 증가를 억제하였으며, 호산성 입세포 억제는 ID50(95 % 신뢰도) = 0.15(0.11~0.21) g/kg, 백혈구 억제 총수 ID50(95 % 신뢰도) = 1.11 (0.73~1.70) g/kg, 결과는 도 2, 도 3을 참조한다.
(4) 쥐(rat)의 다형핵과립세포가 루코트리엔을 방출하는데 미치는 영향
근육 주사를 이용하여 약물을 투여하며, 매일 2 차례, 매번 0.5 ㎖/kg, 연속해서 5일 동안 주사한다. 쥐의 복강중 다형핵백혈구를 수집한다. Calcium ionopHore A23187을 이용하여 다형핵백혈구가 루코트리엔을 방출하도록 유도하고, Leukotriene C4 EIA Kit를 이용하여 루코트리엔 LTC4의 함량을 측정한다. A: 발효 상청 농축액을 90 % 에탄올로 침전시킨 후의 상청액. B : 배양 상청 농축액 90 % 에탄올 침전물 C : 발효 상청 농축액. 결과 세 그룹의 약물은 모두 LTC4방출을 현저히 억제시킬 수 있었고, 생리 식염수 대조 그룹과 비교할 때 현저한 차이(P<0.01)가 있었다. 이는 상기 약물이 비교적 양호하게 기도 염증성 매개의 방출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표 4 참조).
(5) 초보적 분리물이 과민해진 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 폐세척액 중 염증 세포에 미치는 영향
난백 알부민 2 % 겔 용액으로 항원에 민감하게 한 후, 약물을 과민해진 열흘째부터 투약한다. 시약 또는 생리식염수 10 ㎖/kg를 위에 주입하거나 혹은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DMX) 0.5 ㎎/kg을 복강에 주사한다. 시약은 모두 10일 동안 투여한다. A는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총 다당이며, B는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총 알칼로이드이고, C는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휘발성 오일이며, D는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유기산, E는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물 추출액이다. 양성 대조군은 덱사메타존 소듐 포스페이트이다. 시약 A, 즉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총 다당은 비교적 양호하게 과민해진 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와 폐부의 호산성 입세포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었고, 시약 C, 즉 발효 생성물에서 추출한 휘발성 오일의 작용 역시 매우 강력하였다(표 5 참조).
(6) 시트르산(citrate)이 일으키는 모르모트 해소·천식 반사에 대한 영향
모르모트를 체적 표기 상자에 넣고 1분 동안 안정시킨 후, 초음파 분무기로 15 % 시트르산을 2 분 동안 분무한다. 이 때부터 10 분 이내에 기침 회수가 10 번 이상인 모르모트를 골라낸다. 골라낸 모르모트를 기침 회수에 따라 고르게 5 그룹으로 나눈 후, 각각 시약 CVFS 0.3 gㆍkg-1, 0.9 gㆍkg-1, 2.7 gㆍkg-1을 투여한다. 양성 대조 시약 인산 코데인(Codeine phosphate) 10 ㎎ㆍkg-1및 대조 그룹은 생리 식염수 10 ㎖ㆍkg-1를 위에 주입한다(i.g). 매일 1차례, 모두 3일 동안 실시한다. 마지막 회수에 1h 동안 투약한 후, 상기 방법에 따라 기침을 유도하여, 분무 시작 10분 이내의 기침 회수를 계산한다. 그 결과 CVFS가 시트르산이 일으킨 모르모트 해소·천식 반사에 대하여 현저한 억제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ID50(95 % 신뢰도)는 0.82(0.64-1.04) gㆍkg-1이다. 인산 코데인 10 ㎎ㆍkg-1그룹은 구연산이 일으킨 모르모트 해소·천식 반사에 대한 억제율이 67.4 %(P<0.01)이었다.
(7) 작은 쥐에 있어서 발효 생성물의 급성 독성 시험
쿤밍(昆明)종 작은 쥐 115마리에 대하여, 중국 한입 버섯 추출물을 45 g/kg의 투여량으로 위에 주입하며, 투약 전 12 시간 동안 금식하고, 연속적으로 8일 동안 투약한 결과 동물 사망률은 0이었고, 기타 독성 반응이 없었으며, 작은 쥐의 최대 내성 용량(MTD)은 45 g/kg이었다.
상기에 공개한 내용으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인 한입버섯 발효 생성물은 염증 세포와 천식에 대하여 매우 현저한 억제와 치료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독성 부작용이 없고, 제조 방법도 매우 간단하여 대규모 공업화 생산이 용이하므로 한입버섯의 약용 자원을 자연계에서 채취할 때 받았던 제약 문제를 해결하였다. 다음에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방식에 대하여 한 걸음 더 나아간 설명을 하겠다.
실시예 1
사면(斜面) 한입버섯 균주의 배양 방법은 다음과 같다.
4 ℃의 조건 하에서 보존된 한입 버섯 균주를 무균 조작을 통하여 이하의 배양기에 이식하고, 진균 정상 배양 온도에서 2~10일 동안 무균 배양한다.
배양 배지 성분과 중량 백분 함량(%):
포도당 1.5
맥아당 0.6
펩톤 0.2
효모 분말 1.4
KH2PO40.3
MgSO4ㆍ7H2O 0.1
비타민 B10.03
한천(agar) 2.2
나머지 물
pH 5.0
균체 생장 상황: 균사가 농밀하고, 백색이며, 방사성 생장을 하고, 생장 속도가 빠르다.
실시예 2
사면 한입버섯 균주의 배양 방법은 다음과 같다:
4 ℃의 조건 하에서 보존된 한입 버섯 균주를 무균 조작을 통하여 이하의 배양기에 이식하고, 진균 정상 배양 온도에서 8~10일 동안 무균 배양한다.
배양 배지 성분과 중량 백분 함량(%):
포도당 1.5
맥아당 0.6
펩톤 0.04
효모 분말 0.3
KH2PO40.3
MgSO4ㆍ7H2O 0.1
비타민 B10.03
한천(agar) 2.2
나머지 물
pH 5.0
균체 생장 상황: 균사가 드물고, 섬세하며, 백색이고, 방사성 생장을 하고, 생장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실시예 3
활성화 한입버섯 균주의 균사를 150 ㎖의 하기 액체 배양기가 담긴 500 ㎖ 삼각 플라스크에 옮겨 담고, 회전식 베드에서 진탕 배양한다. 회전 속도는 100rpm, 28 ℃에서 6일 동안 배양한다.
기본 액체 배양 배지 성분:
포도당 20g
펩톤 10g
효모 분말 3g
KH2PO41g
MgSO40.5g
물 1000 ㎖
상기 배양 배지의 pH는 5.5.
균체 생장 상황: 배양액이 맑고, 균체 생장이 왕성하며, 균사구의 크기가 균일하며 배양기 전체에 가득 차있다.
실시예 4
발효 균사체 분말 20 g을 취하여 400 ㎖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30 분 동안 끓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잔류물에 다시 200 ㎖의 증류수를 넣고 전과 같이 조작한다. 두차례 추출한 여과액을 합한 후, 다시 100 ㎖의 발효 농축액 상청을 첨가하여 분자량이 10,000 달톤인 투석 자루에 넣고 10 mM pH 6.0의 아세트산-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액 2000 ㎖에 대하여 3일 동안 투석하고, 매일 한차례씩 투과액(外透液)을 갈아주어 용액 중의 소분자 물질을 제거하고, 100 ㎖로 농축하여 추출한다. 동물 실험으로 상기 다당 성분이 민감해진 큰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 폐세척액 중 염증 세포의 변화를 분석한다(결과는 표를 참조한다). 난백 알부민 2 % 젤 용액으로 항원에 과민하도록 한 후, 각 쥐의 양 뒷발바닥, 서혜부, 허리, 등, 목, 겨드랑이에 모두 10방울씩, 방울당 0.05 ㎖로 피하주사 하는 동시에 0.5 ㎖ 복강 주사한다. 10일째부터 투약을 시작한다. 그 결과 과민해진 큰 쥐의 항원 공격 후 기관지와 폐부 호산성 입세포의 작용을 비교적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캡슐제 제조 방법: 발효 생성물 상청을 가열하여 끓는 상태에서 반고체 형태로 농축한 후, 균사체 및 20 %의 미세 결정 셀룰로오스를 고속 혼합 입자 제조기에 넣고 혼합하여 40 메쉬의 입자를 만든다. 큰 과립은 건조 후 두 차례 제조한다. 과립을 건조기에 넣고 80 ℃보다 낮게 건조시키며,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재료를 말려서, 과립의 수분이 4 % 이하가 되도록 한다. 30 메쉬의 입자에 3 % 탈크 가루를 첨가하여 혼합후 캡슐에 담는다. 캡슐 내 중량은 300 ㎎/1 캡슐로 하고, 연마(polishing) 후 포장한다. 코발트 60 방사(irradiation of Cobalt 60)하에서멸균한다.
실시예 6
트로키제의 제조 방법: 발효 생성물 상청을 가열하여 끓는 상태에서 반고체 형태로 농축하고, 균사체 및 34 %의 미세 결정 셀룰로오스, 17 %의 겔화 전분(foreclosed gel amylum)을 첨가하여 고속 혼합 과립 제조기에 넣고 혼합한 후 10 메쉬의 과립으로 제조한다. 큰 과립은 건조 후 두 차례 과립으로 제조한다. 80 ℃에서 건조하고, 규칙적 시간 간격으로 재료를 말려서 과립의 수분이 1 %~3 %가 되도록 한다. 12 메쉬의 과립에 3 %의 탈크분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압착하여 트로키제를 만든다. 500 ㎎/1 트로키제, 얇은 색깔 막으로 코팅한 후 코발트 60 방사하에서 멸균한다.

Claims (16)

  1. 일종의 한입 버섯[cyptoporus volvatus(Peck) Schear] 발효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은 한입 버섯의 배양 후 발효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상기 생성물은 일종의 균사체와 배양 상청액의 혼합물이며, 상기 생성물은 건조 중량이 5~50 g/1000 ㎖, 다당 함량이 3~10 %, 휘발성 에테르 추출물 함량이 0.05~0.15 %, 총 알칼로이드 함량이 0.03~0.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입 버섯은 중국 한입 버섯(Cryptoporus sinensis Sheng H. Wu & M. Zang), 한입 버섯(Cryptoporus volvatus (Peck) Schear) 및 기타 다른 유형의 한입 버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액체 발효 및 고체 발효를 포함하며, 발효 생성물은 한입 버섯 액체, 고체 발효 배양 균사체, 배양 상청액, 및 상기 생성물로부터 추출되는 각종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다당, 휘발성 에테르 추출물, 및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무균 처리에 의해 사면 배양 배지 상에서 한입 버섯을 배양한 후 액체 또는 고체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균주의 활성화 공정, 진탕 배양 공정, 및 액체 또는 고체 발효 배양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균주의 활성화 공정은 0.05 % 이상의 포도당, 맥아당, 펩톤, 효모 분말, KH2PO4, MgSO4ㆍ7H2O, 비타민 B1, 및 한천(agar)을 함유하는 pH 3-7의 배양 배지에 한입 버섯 균주를 이식하는 단계; 및 진균의 정상 배양 온도에서 3~10일 동안 무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진탕 배양 공정은 0.05 % 이상의 포도당, 맥아당, 펩톤, 효모 분말, KH2PO4, MgSO4ㆍ7H2O, 비타민 B1, 및 한천을 함유하는 pH 3-7의 배양 배지에 활성화된 한입 버섯 균사체를 이식하는 단계; 및 진동수가 50~200 rpm, 온도가 20 ℃~30 ℃인 조건 하에서 진탕 베드 상에서 2~10일 동안 진탕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액체 발효 배양 공정은 0.05 % 이상의 포도당, 맥아당, 펩톤, 효모 분말, KH2PO4, MgSO4ㆍ7H2O, 비타민 B1및 한천을 함유하는 pH 3-7의 배양 배지를 발효조에 넣는 단계; 무균 처리 후 진탕 배양된 한입 버섯 균사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통풍량이 1 : 0.1~1.0(v/v/분), 임펠러 교반 속도가 300 rpm 미만, 발효조 압착이 0.05 kg/㎠ 이상, 온도가 20 ℃~30 ℃인 조건 하에서 1~1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이 발효 단계 동안 상기 배양 배지를 보충할 수 있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입 버섯 발효 생성물 제조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의 용도로서,
    알레르기 질환 및 해소·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의학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발효 생성물의 용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제Ⅰ형, 제Ⅱ형, 제Ⅲ형 및 제Ⅳ형 알레르기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생성물의 용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호흡 기도, 피부, 위장관 및 눈에 발생하는 제Ⅰ형 알레르기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생성물의 용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기관지 천식, 과민성 비염, 과민성 피부염, 약물 과민증, 음식물 과민증, 위장염, 결막염 및 각막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생성물의 용도.
  1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의 용도로서,
    과민성 질환 및 해소·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5. 제 14 항에 있어서,
    과민성 질환은 화분(꽃가루), 진드기, 곰팡이 또는 분진에 의해 야기되는 과민성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생성물의 용도.
  1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발효 생성물의 용도로서,
    트로키제, 캡슐제,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지제(electuary), 패치제, 시럽제, 혼합제 또는 스프레이제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생성물의 용도.
KR10-2004-7002283A 2001-08-17 2002-07-22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용도 KR20040032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1126498A CN1405314A (zh) 2001-08-17 2001-08-17 隐孔菌发酵产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01126498.5 2001-08-17
PCT/CN2002/000508 WO2003025155A1 (fr) 2001-08-17 2002-07-22 Produit de fermentation de cryptoporus volvatus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920A true KR20040032920A (ko) 2004-04-17

Family

ID=466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283A KR20040032920A (ko) 2001-08-17 2002-07-22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241184A1 (ko)
EP (1) EP1422292A4 (ko)
JP (1) JP2005502379A (ko)
KR (1) KR20040032920A (ko)
CN (2) CN1405314A (ko)
CA (1) CA2460460A1 (ko)
NO (1) NO20040679L (ko)
WO (1) WO2003025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6778A1 (en) * 2002-12-13 2004-06-17 Mauldin John Tyler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ment of gross cultural assimilation
CN100450492C (zh) * 2005-07-21 2009-01-14 杭州赐富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物及其应用
US20080138875A1 (en) * 2006-12-08 2008-06-12 Lucia Atehortua Method to generate fungal biomass from a culture of differentiated mycelium
CN101787376B (zh) * 2010-01-05 2012-05-23 云南大学 一种拟青霉代谢产物及其应用
CN101803531B (zh) * 2010-03-26 2012-08-08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株中华隐孔菌及其固体培养方法与应用
CN102498948B (zh) * 2011-11-07 2013-06-19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中华隐孔菌栽培方法
CN102920748B (zh) * 2012-11-15 2014-04-16 中国农业大学 隐孔菌在制备治疗猪繁殖与呼吸综合征产品中的应用
CN102920747B (zh) * 2012-11-15 2014-04-16 中国农业大学 隐孔菌在制备抑制猪繁殖与呼吸综合征病毒产品中的应用
CN102920745B (zh) * 2012-11-15 2015-07-15 中国农业大学 隐孔菌的用途
CN103293150B (zh) * 2013-05-17 2015-03-11 无锡中德伯尔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那非类药物的检测方法及检测试剂盒
CN105125671B (zh) * 2015-09-11 2019-04-12 潍坊诺达药业有限公司 缓解支气管栓塞的中药及制备工艺
CN108070529A (zh) * 2018-01-18 2018-05-25 杭州科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固态培养隐孔菌菌粉的生产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4021A (en) * 1977-01-29 1978-08-17 Kureha Chem Ind Co Ltd Preparation of anti-tumor polysaccharide
CN1058288C (zh) * 1994-10-15 2000-11-08 华启洪 一种隐孔菌菌粉的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25155A8 (fr) 2004-03-18
US20040241184A1 (en) 2004-12-02
JP2005502379A (ja) 2005-01-27
EP1422292A1 (en) 2004-05-26
WO2003025155A1 (fr) 2003-03-27
CN1539010A (zh) 2004-10-20
CN1405314A (zh) 2003-03-26
EP1422292A4 (en) 2007-11-14
NO20040679L (no) 2004-04-16
CA2460460A1 (en) 200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439B1 (ko) 낙석등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약제
JP2008508282A (ja) 生薬組成物の使用方法
CN101780070B (zh) 一种治疗糖尿病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32920A (ko) 한입 버섯의 발효 생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용도
WO2011035734A1 (zh) 热淋清浸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1856438B (zh) 一种治疗婴幼儿哮喘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764294B (zh) 一种祛痰止咳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167781A (zh) 口服降血糖红薯叶单方中药及其制备方法
CN111569011A (zh) 一种中药组合物的新用途及其制备方法
CN101152379B (zh) 一种治疗咳嗽病的中药及其制备工艺
CN105012826A (zh) 一种益智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应用
CN101804083B (zh) 松花粉及其提取物在治疗炎症性肠病中的用途及该提取物的制备方法
CN104435072B (zh) 一种具有辅助降血糖、降血脂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4042928B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9303785B (zh) 一种党参炔苷类似化合物在制备治疗心率失常药物中的应用
KR101062003B1 (ko)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721437B (zh) 用于治疗慢性咽炎的药物组合物的制备方法
CN110075193A (zh) 复方五色梅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381607A (zh) 一种治疗血液病合并细菌感染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工艺
CN111686085B (zh) 一种咽喉清喉制剂的制备方法
WO2018188547A1 (zh) 蝉花的新用途
CN116211993B (zh) 老慢清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80355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茄皮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244638A (zh) 马兰发酵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00051511A (ko)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