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173A - 접착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173A
KR20040030173A KR1020027017037A KR20027017037A KR20040030173A KR 20040030173 A KR20040030173 A KR 20040030173A KR 1020027017037 A KR1020027017037 A KR 1020027017037A KR 20027017037 A KR20027017037 A KR 20027017037A KR 20040030173 A KR20040030173 A KR 20040030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base material
adhesive sheet
photocurable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바노토미시
미쯔하시마사후미
토쯔카토시아키
쯔쯔이토시히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irradiated or wave energy treated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한 접착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접착성 시트는, 결속등이 이루어진 물품등에의 풀 나머지, 물품등의 변색이나 오염, 피부의 염증을 방지 할 수 있고 물품등에의 접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장기보관 해도 변색이나 점착력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는 결속 밴드, 라벨, 결속 테이프 등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종래, 튜브, 케이블, 와이어등의 다발을 결속 하기 위하여, 결속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결속 테이프는, 피결속 물품의 표면에는 접착 하지 않고, 결속 테이프의 접착제층끼리만이 감압 접착 하는 것이며, 종래의 결속 테이프의 접착제층에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폴리이소프렌고무, 아크릴계의 감압 접착제(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결속 테이프로는, 물품을 결속 한 후, 경시 변화로 결속 한 물품에 풀이 남거나 물품을 변색이나 오염하거나 또는 강도가 약한 물품, 예를 들면 종이 등에서는 점착력이 강해져, 벗길 때에 종이 벗겨짐 파괴등을 일으키거나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테이프 자체를 장기보관 하면 변색이나 점착력 저하를 일으키기 쉽고 또, 사용하고 있는 점착제의 관계로부터 투명성이 높은 것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품, 물품 등에 감아 둘러서 표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 라벨, 관리 라벨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종래의 표시 라벨, 관리 라벨은, 상기 결속 테이프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의료 환자등의 손발목에 감아둘러 식별용 테이프 로서 종래의 결속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결속 테이프는, 택(tack)이 있어 피부에 염증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상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결속등이 이루어진 물품등에의 풀 나머지, 물품등의 변색이나 오염, 피부의 염증을 방지 할 수 있고, 물품등에의 접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장기보관 해도 변색이나 점착력 저하를 막을 수가 있는 결속 밴드, 라벨, 결속 테이프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접착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기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며 결속시에 그것들을 맞포개므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의료 환자등의 식별용 결속 밴드, 점적침(点滴針)의 고정용 밴드나, 상품, 물품등의 표시 라벨, 관리 라벨등 으로서 사용할 수 있어 의료용 튜브, OA기기등의 케이블, 와이어, 화훼, 서류, 포스터등의 여러 가지의 물품의 결속 테이프로서, 또는 물품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는 접착성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성 테이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접착성 테이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접착성 테이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접착성 테이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0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성 테이프를 사용해서 결속 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중, (1)은 접착성 테이프, (2)는 기재, (3)은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 (4)는 접착제층, (5)는 박리 시트, (6)은 인쇄층을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여 상기 기재의 이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의 일부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여 상기 기재의 표면의 다른 일부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을 형성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접착 시트 에 있어서,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광경화시킨 것인 접착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용액을 도포 건조해서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기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을 도포하여, 이어서 광선을 조사 하고,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지재, 금속박, 및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등의 폴리오레핀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등의 플라스틱의 필름, 시트등을 들수 있다. 또, 기재 로서는 라미네이트지, 코트지 등 표면을 수지로 처리된 종이 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염화 비닐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시트가 바람직하다. 기재는, 1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또, 기재는 미연신이어도 되고, 세로 또는 가로등의 1축방향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되고 있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특히 제한 없지만, 결속용, 라미네이트용 으로서는, 통상 30∼300㎛이며, 바람직하게는 50∼200㎛이며, 포장용 으로서는, 통상 0.5∼10㎜이며, 바람직하게는 2∼7mm이다.
기재는 착색되고 있어도 되고, 무색 투명의 것이어도 된다. 또, 기재의 표면또는 이면에는, 인쇄, 인자등을 실시하여도 된다. 그 때문에, 기재에는, 감열 기록층, 열전사, 잉크젯, 레이저 인자등이 가능한 인자수상층, 인쇄성 향상층등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의 표면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되지만, 광경화 우레탄 수지의 원료인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 으로서는,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수산기를 가지는(메타) 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며, 광중합성의(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은, 지방족폴리올이어도 되고, 방향족 폴리올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로서는, 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 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등의 지방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등을 들수 있다.
또, 수산기를 가지는(메타) 아크릴레이트 로서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 메틸올 에탄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 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메타)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에틸렌 옥시드 변성디(메타) 아크릴레이트등을 들수 있다. 수산기를 가지는(메타) 아크릴레이트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은, 분자내에 2개 이상의(메타) 아크릴로 일기를 가지는 다관능성이 바람직하고, 특히 2 관능성이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20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3000∼15000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 개시제, 다른 광중합성 모노머, 다른 수지, 첨가제, 용제등을 첨가해도 된다.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을 경화 시켜서 얻을 수 있는 광경화 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30℃이상이 바람직하고, -10∼11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20∼10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Tg가 -30℃미만에서는 달라붙는 감이 생기는 일이 있으며, Tg가 110℃를 넘으면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이 갈라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기재의 표면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려면,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성분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광을 조사 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실시할 수가 있다.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의 도포는, 라벨 프린터, 스크린 인쇄등의 여러 가지의 도포 방법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조사되는 광은,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선등의 전자파를 들수 있고 자외선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자외선은, 통상은 자외선 램프로부터 복사되는 자외선이 이용된다. 이 자외선 램프 로서는, 통상 파장 300∼400nm의 영역에 스펙트럼 분포를 가진 것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은, 택이 극히 낮은 것이며, 볼 택치가 3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미만이다.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의 두께는, 특히 제한 없지만, 통상 1㎛이상이 바람직하고, 1∼40㎛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가 특히 바람직하다. 1㎛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는 일이 있다. 40㎛를 넘어도 접착성은 변함없으나, 경화를 위한 광선조사량이 증가하므로 경제적이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의 표면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되지만, 기재의 표면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의 사이에는, 접착 증강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 기재의 표면에는 인쇄층을 형성해도 된다. 인쇄층은,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의 위에 형성해도 좋고,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아래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지만, 기재의 표면과 접착제층의 사이에는, 접착 증강층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은, 택이 극히 낮다고 하는 특징이 있고, 볼 택치가 3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다 볼 택치가 3을 넘으면, 결속등을 실시하는 물품의 표면에 풀나머지를 발생시킨다.
또, 접착제층의 JIS ZO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은, 2N/cm이하이며, 1.5N/c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제층은,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과의 접착력은, 약한 것으로부터 강력한것까지 임의로 설정 할 수 있다. 접착력이 약한 용도에는 0.5N/c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력이 강한 용도에는 2N/c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과의 접착력의 상한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50N/cm 정도이다. 여기서, 접착력은 압착 30분후의 접착력이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접착제층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붙인 직후에, 접착력이 강해져, 그대로 그 접착력이 계속 한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접착제층은, 접착제층의 JIS K6253에 의한 타입 A경도계 경도가 2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타입 A경계도 경도가 20미만 이면, 결속등 된 물품에 풀나머지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100을 넘으면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는 일이 있다.
상기 접착제층에 사용하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긴사슬 폴리올을 주성분 으로 하는 소프트 세그먼트(segment)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사슬 연장제 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것이며, 긴사슬 폴리올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이 주로 사용되고, 디이소시아네이트 로서는, TDI(톨릴렌디 이소시아네이트), MDI(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D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이용된다. 사슬 연장제로서는, 저분자 다가 알콜, 방향족 디아민등이 이용된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폴리우레탄에 가교제를, 나중에 첨가해서 경화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내후성의 관점에서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교 촉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1분자 당 이소시아네이트기 2개 이상을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1,4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 2,4-트리 메틸 헥산-1, 6-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메틸 에스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 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트 에틸) 푸마레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시클로 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트 에틸-2,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사노에이트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이들의 이소시아네이트의 변성체, 예를 들면, 이소시아누레이트 타입, 우레탄 타입 등에서 3 관능성 이상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도 사용할 수가 있다. 가교제의 양은,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해서 1∼6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10∼4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층에 이용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교 후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로부터 +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층에는, 종래의 접착제층과 달라, 점착 부여제, 오일, 가소제를 실질적으로 함유 하지 않는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 결속등을 실시하는 물품의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착제층에는, 다른 첨가제의 1종 이상을 함유 시킬 수가 있다. 첨가제 로서는 예를 들면, 염료, 안료, 충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등을 들수 있다. 충전제 로서는, 아연화, 산화 티탄, 실리카, 탄산칼슘, 황산바륨등을 들수 있다. 산화 방지제 로서는, 아닐리드계, 페놀계, 포스파이트계, 티오 에스테르계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로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등을 들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히 제한 없으나, 통상 5∼40㎛이며, 바람직하게는 10∼25㎛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층은, 인쇄성, 인자성을 가지므로, 접착제층의 표면에 인쇄나 인자를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접착제층의 표면은, 박리 시트로 덮을 수가 있다.
박리 시트는, 적어도 한 쪽 면이 박리성을 가지는 지지 기재로 이루어지고, 지지 기재의 박리성면은, 박리제를 도공한 것이어도 되고, 박리제를 도공하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지지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합성지, 플라스틱 필름등을 들수 있다. 종이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신지,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지등을 들수 있고,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등의 폴리올레핀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등의 폴리에스티르 수지,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등의 플라스틱의 필름등을 들수 있다. 또, 박리제를 도포하지 않은 박리 시트의 적당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에틸렌필름등의 폴리올레핀필름, 이들의 폴리올레핀필름을 종이나 다른 필름에 라미네이트 한 필름을 들수 있다.
박리 시트에 이용되는 박리 처리제 로서는, 실리콘 수지, 알 키드 수지, 불소 수지, 긴사슬 알킬 함유 수지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자체 접착성 시트는, 평면의 시트형상이어도 되고, 롤 형상으로 감아서 꺼낸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접착성 시트는, 여러 가지의 양태로 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접착성 시트의 구체적인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착성 시트 (1)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재 (2)의 표면의 전체면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 (3)을 형성하여, 기재 (2)의 이면의 전체면에 접착제층 (4)를 형성한 것,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재 (2)의 표면의 일부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 (3)을 형성하여 기재 (2)의 이면의 전체면에 접착제층 (4)을 형성한 것 등을 들수 있다. 이들의 접착성 시트 (1)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재 (2)의 표면에 인쇄층 (6)이 형성되고 있어도 되고, 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재 (2)의 이면에 인쇄층 (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쇄층 (6)은, 기재 (2)의 표면의 전체면에 형성하여 그 인쇄층 (6)의 표면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 (3)을 형성해도 된다. 또,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 (3)의 표면에 인쇄층 (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 (4)의 표면에는 박리 시트 (5)를 피복 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접착성 시트는, 접착제층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점착 하는 여러 가지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나, 식별용 결속 밴드나, 상품, 물품등의 표시 라벨, 관리 라벨, 물품의 결속 테이프 로서의 이용이 특히 유용하다.
결속 밴드에의 이용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1에 표시된 접착성 시트 (1)를 손목에 휘감아 접착성 시트 (1)의 양쪽의 말단부에 있는 기재 (2)의 표면에 있는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 (3)의 표면과 기재 (2)의 이면에 있는 접착제층 (4)의 표면을 맞포개어, 압착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점착력 측정 시험, 접착력 측정 시험, 볼 택 측정 시험은,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행했다.
(1) 점착력 측정 시험 : 접착성 시트의 접착제층면의 점착력은, JIS ZO237. 8.3.1에 따라 측정했다. 단, 시험판은 스테인레스판을 이용했다.
(2) 압착 30분간 후의 접착력 측정 시험:접착성 시트의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과 접착제층면을 압착시켜, 압착 후 30분후에 접착제층면을 박리속도 300mm/min으로 박리(T형 박리) 하고, 측정했다.
(3) 볼 택 측정 시험 : 접착성 시트의 접착제층면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면의 볼 택은, JIS Z0237. 12에 따라 측정했다. 경사판의 경사각은 30 도로하고, 측정 온도는 23℃이며, 단위는1/32인치이다.
(4) 타입 A경도계 경도의 측정 시험 : 접착제층의 타입 A경도계 경도는, JIS K6253. 5.4에 따라 측정했다.
실시예 1
폴리 염화 비닐 시트(밴드-(주) 제, 13818, 두께 80㎛)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이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다이니찌세이카공업(주) 제, 레자민 UD8300LP, 불휘발분 50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이니찌세이카공업(주) 제, 레자민 NE, 불휘발분 75중량%) 30 중량부와, 아민ㆍ주석계 촉진제(다이니찌세이카공업(주) 제, 레자민 HI215 촉진제, 불휘발분 5중량%) 0.5 중량부를 혼합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액을, 건조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가 12㎛가 되도록 도포 건조했다. 다음에, 두께 4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오오지제지(주)제, 알판 PP40 PU002)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로 그 접착제층을 피복 했다.
다음에, 기재의 폴리 염화 비닐 시트의 표면에,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 으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보라색광UV-7000 B, 불휘발분 100질량%) 100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치바ㆍ스페샤르티ㆍ케미컬즈(주) 제, 다로큐아 1173, 불휘발분 100질량%) 4질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스크린 인쇄에 의해, 인쇄 칠하고, 자외선을 조사(160 Wx2등)를 6초간 행하고, 경화시켜,광경화 우레탄수지층(두께 5㎛)을 형성 하고, 접착 시트를 제작했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층의 JIS Z0237. 8. 3. 1에 따라 측정한 점착력은 0N/cm였다. 또, 접착제층의 볼택치는 2였다. 또, 접착제층의 타입 A경도계 경도는 78이었다. 또, 얻어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6℃였다.
접착 시트 물성을 표 1에 표시했다.
이 접착성 시트를, 폭 3cm, 길이 25cm의 치수의 접착성 테이프 로 하고, 접착제층과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의 표면끼리를 맞포개어 압착 하고, 손목에 휘감았던 바, 달라붙는 감은 없이 작업성도 좋고 압착부의 접착 도 강하고 양호했다. 또, 약 3시간 후, 이 접착성 테이프를 벗겼을 때에, 손목에 풀나머지 도 없이, 피부의 염증 도 없었다.
실시예 2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액으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보라색광UV-3520 TL, 불휘발분 70질량%) 100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치바ㆍ스페샤르티ㆍ케미컬즈(주) 제, 다로큐아 1173, 불휘발분 100질량%) 4질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고, 인쇄 도포 후 60℃로 3분간 건조시킨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성 시트를 얻었다.
접착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표시한다.
이 접착성 시트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손목에 감았던 바, 달라붙는 감은 없이, 작업성도 좋고, 압착부의 접착 도 강하고 양호했다. 또, 약 3시간 후, 이 접착성 테이프를 벗겼을 때에, 풀나머지 도 없이, 피부의 염증 도 없었다.
실시예 3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액으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보라색광UV-6100 B, 불휘발분 100질량%) 100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치바ㆍ스페샤르티ㆍ케미컬즈(주) 제, 다로큐아 1173, 불휘발분 100질량%) 4질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성 시트를 얻었다.
접착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표시했다.
이 접착성 시트를 실시예 1과 마찬기지로 해서 손목에 감았던 바, 달라붙는 감은 없이, 작업성도 좋고, 압착부의 접착 도 강하고 양호했다. 또, 약 3시간 후 이 접착성 테이프를 벗겼을 때에, 풀나머지도 없이 피부의 염증도 없었다.
실시예 4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액으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보라색광UV-3200 B, 불휘발분 100질량%) 100 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치바·스페샤르티·케미컬즈(주) 제, 다로큐아 1173, 불휘발분 100질량%) 4질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성 시트를 얻었다.
접착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표시했다.
이 접착성 시트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손목에 감았던 바, 달라붙는 감은 없이, 작업성도 좋고, 압착부의 접착 도 강하고 양호했다. 또, 약 3시간 후 이 접착성 테이프를 벗겼을 때에, 풀나머지 도 없이, 피부의 염증 도 없었다.
실시예 1 2 3 4
접착력(N/㎝) 7.5 9.1 2.9 2.4
광경화우레탄수지층 볼택 2미만 2미만 2미만 2미만
Tg(℃) 52 46 0 -8
광경화형우레탄경화성분 중량평균분자량 3500 14000 6700 10000
관능기수 2.3 2 2 2
디아소시아네이트종류 지방족 지방족 방향족 방향족
폴리올 종류 에스테르에테르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에스테르계
본 발명의 접착성 시트는,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과 접착제층이 택이 극히 적으므로, 물품 등에 접착하는 일이 없고 또, 물품 등에 휘감아,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과 접착제층을 맞붙이면 양층이 접착 하고, 물품에 충분히 유지 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접착성 시트를 유지 된 물품으로부터 제거해도, 물품에의 풀 나머지, 물품의 변색이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어 물품에의 접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시트 자체를 장기보관 해도 변색이나 점착력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Claims (4)

  1. 기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의 이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을 형성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시트.
  2. 기재의 표면의 일부에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의 표면의 다른 일부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볼 택치가 3이하, JIS ZO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시트.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이,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를 광경화시킨 것인 접착성 시트.
  4. 기재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용액을 도포 건조해서 볼 택치가 3이하, JIS Z0237에 의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2N/cm이하인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기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광경화형 우레탄 경화 성분을 도포 하고, 이어서 광선을 조사 하여, 광경화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27017037A 2001-04-17 2002-04-12 접착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0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8172 2001-04-17
JP2001118172 2001-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173A true KR20040030173A (ko) 2004-04-09

Family

ID=1896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037A KR20040030173A (ko) 2001-04-17 2002-04-12 접착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70826A1 (ko)
EP (1) EP1394231A1 (ko)
JP (1) JPWO2002086004A1 (ko)
KR (1) KR20040030173A (ko)
CA (1) CA2444126A1 (ko)
WO (1) WO2002086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0265B2 (ja) * 2004-11-24 2012-03-07 株式会社クラレ 印刷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00062250A1 (en) * 2006-08-23 2010-03-1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lique system with anti-corrosion adhesive
JP2010007023A (ja) * 2008-06-30 2010-01-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硬化性接着シート
KR101575489B1 (ko) * 2013-06-18 2015-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신 적층체,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박형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555782B1 (ko) * 2013-06-18 2015-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8684A (ja) * 1984-12-10 1986-06-26 Unie Kogyo Kk 結束用粘着テ−プ
SG84507A1 (en) * 1996-09-03 2001-11-20 Lintec Corp Removable window film for motor vehicles
JP3681243B2 (ja) * 1996-12-13 2005-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ト類とこれを用いたフアスニングシステム
JP3660462B2 (ja) * 1997-03-26 2005-06-15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4231A1 (en) 2004-03-03
JPWO2002086004A1 (ja) 2005-04-07
US20040170826A1 (en) 2004-09-02
CA2444126A1 (en) 2002-10-31
WO2002086004A1 (fr)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0315B2 (ja)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カール抑制方法
TW524838B (en) Self-adhesive tape and its use
JP3880418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KR101238942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점착 시트, 점착제 부착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0997A (ko) 보강 필름
KR20080011200A (ko) 지지 기재가 없는 자외선 경화형 감압 점착 테이프 또는필름
KR20180066043A (ko) 반도체 가공용 시트
KR20090007222A (ko)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JP2001335767A (ja)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及び粘着性光学部材
EP263189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label
JP2015030765A (ja)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4083330A1 (ja)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82196A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WO2014046096A1 (ja) バックグラインドシート
US20030054164A1 (en) Use of detersive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of N-Acylamino acids and the salts of N-Acylamino acids for enhancing the compatibility of cosmetic or dermatological cleansing preparations
KR20190053135A (ko) 반도체 가공용 점착 시트
KR20040030173A (ko) 접착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5009887B2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70040830A (ko)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56335A1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0308977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398069B1 (ko) 경화성 조성물
JP7285794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150546B2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7023682B2 (ja) 粘着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