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501A -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501A
KR20040028501A KR1020030061620A KR20030061620A KR20040028501A KR 20040028501 A KR20040028501 A KR 20040028501A KR 1020030061620 A KR1020030061620 A KR 1020030061620A KR 20030061620 A KR20030061620 A KR 20030061620A KR 20040028501 A KR20040028501 A KR 2004002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belt
lockup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195B1 (ko
Inventor
노부히사오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4Special control features generally applicable to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8Control of clutches, or brakes for forward-reverse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7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ing capability of the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 유압 제어 밸브가 고장났다고 하더라도 클러치의 전달 가능 토크 용량이 벨트의 전달 가능 토크 용량을 상회하는 일 없고, 또한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와, 전진 클러치의 체결압을 출력하는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과,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에 대해 체결압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신호압을 출력하는 전자 유압 제어 밸브와,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에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을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로부터 출력된 신호압이 최대치일 때는 최소의 체결압을 출력하고, 상기 신호압이 최소치일 때는 최대의 체결력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SHIFT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로서,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우선 구성을 설명하면, 압력 조절 밸브(230)에는 압력 조절된 유압을 공급하는 원압 공급 밸브(200)로부터 공급된 유압과,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압력 조절 밸브(230)와 전진 클러치(220)가 접속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로부터 신호압이 공급되면, 압력 조절 밸브(230)의 리턴 스프링(232)과 이 신호압의 합력과 균형이 맞도록전진 클러치(220)의 체결압이 압력 조절된다.
도5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의 출력압과 압력 조절 밸브(230)의 출력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의 출력압의 상승에 비례하여 압력 조절 밸브(230)의 출력압이 상승한다.
통상,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는 무단 변속기의 벨트가 프라이머리 풀리 및 세컨더리 풀리 사이에서 미끄러져 버리면, 벨트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풀리 클램프압보다도 전진 클러치(220)의 체결압을 낮게 설정하고, 큰 토크가 입력된 경우는 전진 클러치(220)가 미끄러짐으로써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상승해 버리면, 그에 따라서 전진 클러치(220)에 공급되는 유압도 상승해 버린다. 이 때, 전진 클러치(220)의 체결력이 지나치게 커진다. 특히 저차속 상태에 있어서는 큰 토크가 입력되기 때문에, 벨트의 전달 가능 토크 용량보다도 전진 클러치의 전달 가능 토크 용량이 커져 벨트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전자 유압 제어 밸브(210)를 급격하게 작동시킨 경우, 도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지압이 발생해 버리고, 의도하지 않은 유압이 발생하여 제어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유압 제어 밸브가 고장났다고 해도 클러치의 전달 가능 토크 용량이 벨트의 전달 가능 토크 용량을 상회하는 일 없이, 또한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와, 전진 클러치의 체결압을 출력하는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과,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에 대해 체결압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신호압을 출력하는 전자 유압 제어 밸브와,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에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을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로부터 출력된 신호압이 최대치일 때는 최소의 체결압을 출력하고, 상기 신호압이 최소치일 때는 최대의 체결력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의 체결압 최대치를 적어도 벨트 전달 가능 토크 용량 미만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엔진과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직결 가능한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변환기와,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을 제어하는 신호압을 출력하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신호압을 기초로 하여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압을 출력하는 로크업 제어 밸브와, 로크업 클러치 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로크업 제어 밸브를 연통하고, 로크업 클러치 비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을 연통하는 스위칭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를 상기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의 주요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로크업 솔레노이드압과 선택 제어압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4는 제1 실시 형태 및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전진 클러치압 지령치에 대한 로크업 솔레노이드압의 관계를 나타낸 타임 차트.
도5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로크업 솔레노이드압과 선택 제어압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크 변환기 
2 : 로크업 클러치
3 : 벨트식 무단 변속기
4 : 프라이머리 회전수 센서
5 : 세컨더리 회전수 센서
6 : 유압 제어 밸브 유닛
8 : 오일 펌프
9 : 제어 유닛
10 : 드로틀 개방도 센서
11 : 유온 센서
12 : 엔진 출력축
13 : 변속기 입력축
14 : 클램프압 센서
31 : 고정 원추판
32 : 가동 원추판
33 :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
34 : 벨트
35 : 고정 원추판
36 : 가동 원추판
37 :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
38 : 종동축
40 : 압력 조절기 밸브
41, 42, 43, 44, 46, 51, 61, 72, 73, 81, 82, 83, 84, 93, 101 : 유로
45, 102 : 오리피스
50 : 파일럿 밸브
60 : 클러치 조절기 밸브
70 :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
71 : 로크업 솔레노이드
80 : 선택 스위칭 밸브
90 : 선택 제어 밸브
91 : 스풀 밸브
92 : 스프링
100 : 메뉴얼 밸브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3)(이하 CVT라 기재함)를 구비한 자동 변속기의 제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 1은 토크 변환기, 부호 2는 로크업 클러치, 부호 3은 CVT, 부호 4는 프라이머리 회전수 센서, 부호 5는 세컨더리 회전수 센서, 부호 6은 유압 제어 밸브 유닛, 부호 8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 부호 9는 CVT 제어 유닛, 부호 10은 드로틀 개방도 센서이다.
엔진 출력축에는 회전 전달 기구로서 토크 변환기(1)가 연결되는 동시에, 엔진과 CVT(3)를 직결하는 로크업 클러치(2)가 구비되어 있다. 토크 변환기(1)의 출력측은 전후진 스위칭 기구(20)의 링 기어(21)와 연결되어 있다. 전후진 스위칭 기구(20)는 엔진 출력축(12)과 연결된 링 기어(21), 피니온 캐리어(22), 변속기 입력축(13)과 연결된 선기어(23)로 이루어지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피니온 캐리어(22)에는 변속기 케이스에 피니온 캐리어(22)를 고정하는 후진 브레이크(24)와, 변속기 입력축(13)과 피니온 캐리어(22)를 일체로 연결하는 전진 클러치(25)가 설치되어 있다.
변속기 입력축(13)의 단부에는 CVT(3)의 프라이머리 풀리(30a)가 설치되어 있다. CVT(3)는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30a)와 세컨더리 풀리(30b)와, 프라이머리 풀리(30a)의 회전력을 세컨더리 풀리(30b)에 전달하는 벨트(34)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30a)는 변속기 입력축(13)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 원추판(31)과, 고정 원추판(31)에 대향 배치되어 V자형 풀리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33)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변속기 입력축(13)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원추판(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컨더리 풀리(30b)는 종동축(38) 상에 설치되어 있다. 세컨더리 풀리(30b)는 종동축(38)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 원추판(35)과, 고정 원추판(35)에 대향 배치되어 V자형 풀리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37)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종동축(38)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원추판(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동축(38)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어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는 아이들러축에 설치된 피니온, 파이널 기어, 차동 장치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차륜에 이르는 구동축을 구동한다.
상기와 같은 CVT(3)에 엔진 출력축(12)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은 토크 변환기(1) 및 전후진 스위칭 기구(20)를 거쳐서 CVT(13)에 전달된다. 변속기 입력축(13)의 회전력은 프라이머리 풀리(30a), 벨트(34), 세컨더리 풀리(30b), 종동축(38), 구동 기어, 아이들러 기어, 아이들러축, 피니온 및 파이널 기어를 거쳐서 차동 장치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 전달시에 프라이머리 풀리(30a)의 가동 원추판(32) 및 세컨더리 풀리(30b)의 가동 원추판(36)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벨트(34)와의 접촉 위치 반경을 바꿈으로써, 프라이머리 풀리(30a)와 세컨더리 풀리(30b) 사이의 회전비, 즉 변속비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은 V자형 풀리 홈의 폭을 변화시키는 제어는 CVT 제어 유닛(9)을 거쳐서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33) 또는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37)로 가는 유압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CVT 제어 유닛(9)에는 드로틀 개방도 센서(10)로부터의 드로틀 개방도(TVO), 프라이머리 회전수 센서(4)로부터의 프라이머리 회전수(Npri), 세컨더리 회전수 센서(5)로부터의 세컨더리 회전수(Nsec), 풀리 클램프압 센서(14)로부터의 풀리 클램프압 등이 입력된다. 이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연산하고, 유압 제어 밸브 유닛(6)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유압 제어 밸브 유닛(6)에는 액셀 개방도나 변속비, 입력축 회전수, 프라이머리 유압 등이 입력되고,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33)과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37)로 제어압을 공급함으로써 변속 제어를 행한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유압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부호 40은 유로(41)로부터 공급된 오일 펌프(8)의 토출압을 라인압(풀리 클램프압)으로서 압력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 밸브이다. 유로(41)에는 유로(42)가 연통되어 있다. 유로(42)는 CVT(3)의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33) 및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37)에 벨트(34)를 클램프하는 풀리 클램프압을 공급하는 풀리 클램프압 공급 유로이다. 또한, 유로(42)에 연통된 유로(43)는 파일럿 밸브(50)의 원압을 공급한다.
또한, 압력 조절기 밸브(40)로부터 드레인된 유압은 유로(46)를 거쳐서 클러치 조절기 밸브(6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압력 조절기 밸브(40)가 발생하는 유압보다도 낮은 유압을 클러치 조절기 밸브(60)에 의해 압력 조절함으로써, 전진 클러치(25)의 체결압으로서 공급되는 유압이 풀리 클램프압보다도 높아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청구항 2에 대응).
이 유로(46)에는 유로(42)에 연통되어 오리피스(45)를 갖는 유로(44)가 연통되어 있다. 클러치 조절기 밸브(60)는 유로(46) 및 유로(61)의 유압을 압력 조절한다. 이 유로(61)의 유압은 선택 스위칭 밸브(80) 및 선택 제어 밸브(90)로 공급된다.
부호 50은 유로(51)를 거쳐서 로크업 솔레노이드(71) 및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70)에의 일정 공급압을 설정하는 파일럿 밸브이다.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70)의 출력압은 유로(73)로부터 선택 스위칭 밸브(80)에 공급되어 선택 스위칭 밸브(80)의 작동을 제어한다.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출력압은 유로(72)로부터 선택 스위칭 밸브(80)에 공급된다.
부호 80은 선택 스위칭 밸브이고,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70)에 의해 작동된다. 선택 스위칭 밸브(80)에는 입력 포트로서, 로크업 솔레노이드(71)로부터의 신호압을 공급하는 유로(72)가 접속되고, 클러치 조절기 밸브(6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로(61)가 접속되고, 선택 제어 밸브(9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로(9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 포트로서 메뉴얼 밸브(100)에 전진 클러치압을 공급하는 유로(81)가 접속되고, 도시하지 않은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밸브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로(82)가 접속되고, 선택 제어 밸브(90)의 스풀(92)을 작동하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로(83)가 접속되고, 유압을 드레인하는 드레인 유로(84)가 접속되어 있다.
부호 90은 선택 제어 밸브이고, 유로(83)로부터 공급되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에 의해 작동된다. 선택 제어 밸브(90)에는 입력 포트로서 클러치 조절기 밸브(6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로(62)가 접속되고,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신호압을 공급하는 유로(8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62)와 유로(93)의 연통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유압을 압력 조절한다.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70)의 신호가 ON인 상태에서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신호압은 선택 스위칭 밸브(80)를 거쳐서 선택 제어 밸브(90)의 신호압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선택 제어 밸브(90)에서 압력 조절된 유압을 메뉴얼 밸브(100)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업 솔레노이드압이 높아지면, 선택 제어압(즉, 전진 클러치 체결압)이 낮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청구항 1에 대응).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70)의 신호가 OFF인 상태에서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신호압은 도시하지 않은 로크업 제어 밸브에 공급된다. 또한, 메뉴얼 밸브(100)에는 클러치 조절기 밸브(6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압이 선택 제어 밸브(90)를 거치는 일 없이 메뉴얼 밸브(100)에 공급된다.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70)의 신호가 ON인 상태에서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신호가, 예를 들어 고장 등에 의해 0인 상태에서는 선택 제어 밸브(90)에의 신호압이 0인 상태가 된다. 이 때, 선택 제어 밸브(90)의 리턴 스프링(91)의 스프링 하중에 의해 스풀 밸브(92)를 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유로(62)와 유로(93)가 완전히 연통되고, D 레인지 상태에서는 메뉴얼 밸브(100)를 거쳐서 전진 클러치(25)로 최대 체결압이 공급된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선택 스위칭 밸브(80) 및 선택 제어 밸브(9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서는, 저차속 상태에 있어서는 로크업 클러치(2)를 해방 상태로 하고, 토크 변환기(1)에 의해 토크를 증폭한다. 이 때, 큰 토크가 입력되기 때문에, 벨트(34)가 프라이머리 풀리(31) 및 세컨더리 풀리(35) 사이에서 미끄러져 버리면 벨트(34)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벨트(34)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풀리 클램프압보다도 전진 클러치(25)의 체결압을 낮게 설정하고, 큰 토크가 입력된 경우는 전진 클러치(25)가 미끄러짐으로써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로크업 클러치(2)가 해방 상태일 때는 선택 제어 밸브(90)에 의해 전진 클러치압을 낮게 압력 조절한다.
한편, 차속이 상승하면 로크업 클러치(2)를 체결 상태로 하고, 엔진으로부터의 토크가 증폭하는 일 없이 입력된다. 따라서, 선택 스위칭 밸브(80)를 스위칭하여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신호압을 로크업 제어 밸브에 공급하는 동시에, 전진 클러치(25)에는 클러치 조절기 밸브(6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압을 그대로 공급한다(청구항 3에 대응).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로크업 솔레노이드로 가는 지령 신호와 선택 제어압과의 관계를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진 클러치(25)의 체결압을 최대로 하는 지령이 출력된다. 그러면, 도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출력이 최대가 되고, 선택 제어압도 최대가 된다. 이 때, 서지압 등의 영향에 의해 실유압은 일단 커진 후에 목표 유압이 되고, 의도하지 않은 유압이 발생하여 체결 쇼크 등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진 클러치(25)로 가는 체결압이 0일 때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출력이 최대가 되는 지령을 출력하고, 전진 클러치(25)의 체결압을 최대가 되는 지령이 출력되어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출력이 0이 되는 지령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서지압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0 이하의 유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안정된 유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로크업 솔레노이드(71)가 고장나서 로크업 솔레노이드(71)의 출력압이 최대압을 계속 출력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전진 클러치(25)의 체결압이 한없이 상승해 버린다. 그러면, 전진 클러치(25)의 체결력이 지나치게 커져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34)가 미끄러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가 고장났다고 하더라도 선택 제어압이 0이 되기 때문에, 전진 클러치압이 과대해지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벨트(34)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로크업 솔레노이드(71)로부터 출력된 신호압이 최대치일 때는 최소의 전진 클러치 체결압을 출력하고, 신호압이 최소치일 때는 최대의 전진 클러치 체결력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함으로써, 로크업 솔레노이드(71)가 고장나서 출력압이 최대압을 계속 출력하는 경우라도 선택 제어 밸브(90)의 출력압이 0이 되기 때문에, 전진 클러치압이 과대해지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지압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0 이하의 유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안정된 유압을 얻을 수 있다(청구항 1에 대응).
또한, 선택 제어 밸브(90)의 출력압 최대치가 적어도 벨트 전달 가능 토크 용량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로크업 솔레노이드(71)가 고장나고, 출력압이 0을 계속 출력하는 경우라도 선택 제어 밸브(90)의 출력압이 벨트 전달 가능 토크 용량 미만이기 때문에 벨트의 미끄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2에 대응).
또한, 선택 스위칭 솔레노이드(80)는 로크업 클러치 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71)와 도시하지 않은 로크업 제어 밸브를 연통하고, 로크업 클러치 비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71)와 선택 제어 밸브(90)를 연통한다. 이에 의해, 저차속시 등의 전진 클러치(25)의 체결 제어가 필요하며, 로크업 클러치(2)의 체결이 필요 없을 때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71)를 이용하여 전진 클러치(25)의 체결 제어를 행하고, 로크업 클러치(2)의 체결을 행하는 소정 차속 이상이며, 전진 클러치(25)의 체결 제어가 필요 없을 때는 로크업 클러치(2)의 체결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전진 클러치 체결 제어를, 기존의 작동기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유압 제어 밸브 유닛 등에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압력 조절 밸브에 적용해도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이 전자 유압 제어 밸브로부터 출력된 신호압이 최대치일 때는 최소의 체결압을 출력하고, 신호압이 최소치일 때는 최대의 체결력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됨으로써, 전자 유압 제어 밸브가 고장나서 출력압이 최대압을 계속 출력하는 경우라도 압력 조절 밸브의 출력압이 0이 되기 때문에, 전진 클러치압이 과대해지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지압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0 이하의 유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안정된 유압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의 체결압 최대치가 적어도 벨트 전달 가능 토크 용량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자 유압 제어 밸브가 고장나서, 출력압이 0을 계속 출력하는 경우라도 압력 조절 밸브의 출력압이 벨트 전달 가능 토크 용량 미만이기 때문에 벨트의 미끄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로크업 클러치가 구비되어 전자 유압 제어 밸브로서 로크업 솔레노이드가 이용되고, 또한 스위칭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칭 수단은, 로크업 클러치 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로크업 제어 밸브를 연통하고, 로크업 클러치 비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을 연통한다. 이에 의해, 저차속 시간 등의 전진 클러치의 체결 제어가 필요하며,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이 필요 없을 때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전진 클러치의 체결 제어를 행하고,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을 행하는 소정 차속 이상이며, 전진 클러치의 체결 제어가 필요 없을 때는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전진 클러치 체결 제어를 기존의 작동기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유압 제어 밸브 유닛 등에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용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3)

  1. 벨트식 무단 변속기와, 전진 클러치의 체결압을 출력하는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과,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에 대해 체결압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신호압을 출력하는 전자 유압 제어 밸브와,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에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을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로부터 출력된 신호압이 최대치일 때는 최소의 체결압을 출력하고, 상기 신호압이 최소치일 때는 최대의 체결력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의 체결압 최대치를 적어도 벨트 전달 가능 토크 용량 미만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진과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직결 가능한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변환기와,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을 제어하는 신호압을 출력하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신호압을 기초로 하여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압을 출력하는 로크업 제어 밸브와, 로크업 클러치 체결시에는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와 로크업 제어 밸브를 연통하고, 로크업 클러치 비체결시에는 로크업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체결압 압력 조절 수단을 연통하는 스위칭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전자 유압 제어 밸브를 상기 로크업 솔레노이드 밸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KR1020030061620A 2002-09-30 2003-09-04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KR100564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5498 2002-09-30
JP2002285498A JP2004124961A (ja) 2002-09-30 2002-09-30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油圧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01A true KR20040028501A (ko) 2004-04-03
KR100564195B1 KR100564195B1 (ko) 2006-03-27

Family

ID=3197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620A KR100564195B1 (ko) 2002-09-30 2003-09-04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01684B2 (ko)
EP (1) EP1403128A2 (ko)
JP (1) JP2004124961A (ko)
KR (1) KR100564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05B1 (ko) * 2005-07-20 2008-12-0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KR101356264B1 (ko) * 2010-10-06 2014-01-28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스트 스톱 차량 및 코스트 스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7812B2 (ja) * 2005-12-21 2009-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制御回路の故障判定装置
JP5145759B2 (ja) * 2007-04-25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4966768B2 (ja) * 2007-07-09 2012-07-04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回路
JP4678435B2 (ja) * 2008-12-17 2011-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油圧供給装置
US8998755B2 (en) * 2009-09-15 2015-04-07 Consortium de Recherche BRP—Universite de Sherbrooke S.E.N.C. Vehicle powertrain having a hydraul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0371259B2 (en) * 2013-10-08 2019-08-06 Jatco Ltd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quipped with auxiliary transmission
JP6493050B2 (ja) * 2015-07-16 2019-04-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CN105782091B (zh) * 2016-03-03 2018-1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摆幅控制组件、家电设备、摆幅控制方法和装置
JP6327265B2 (ja) * 2016-03-03 2018-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9970540B2 (en) * 2016-06-02 2018-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ransmission fluid pressur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10047860B2 (en) * 2016-06-02 2018-08-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ump switch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10571016B2 (en) 2018-01-03 2020-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nic transmission range selection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549A (en) * 1904-09-20 Gustave a
US662442A (en) * 1899-10-21 1900-11-27 David Martin Jennings Mowing-machine attachment.
US670775A (en) * 1899-12-15 1901-03-26 Harleston Corbett Gesner Process of making alloys of iron and hydrogen.
US664031A (en) * 1900-05-25 1900-12-18 Arbannes S Albright Book-support.
US674069A (en) * 1900-07-25 1901-05-14 Charles Henry Snively Display-rack.
US670271A (en) * 1900-07-26 1901-03-19 Andrew J Day Wire-rod mill.
US670223A (en) * 1900-08-29 1901-03-19 James A Ekin Criswell Wood-cutting machine.
US673549A (en) * 1900-09-22 1901-05-07 William Spear Burial apparatus.
US674091A (en) * 1901-01-24 1901-05-14 Edward L Mayer Skirt-supporter.
JPS61130655A (ja) * 1984-11-30 1986-06-18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621639B2 (ja) * 1985-03-26 1994-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4254223A (ja) * 1991-02-04 1992-09-09 Toyota Motor Corp 希薄燃焼内燃機関を備えた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DE19756685C2 (de) * 1997-12-19 1999-10-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utomatgetriebe
DE19918541A1 (de) * 1999-04-23 2000-10-2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Umschlingungsgetriebe
DE10047985A1 (de) * 1999-10-06 2001-04-12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etriebes
JP2002181175A (ja) * 2000-12-19 2002-06-26 Aisin Aw Co Ltd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05B1 (ko) * 2005-07-20 2008-12-0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KR101356264B1 (ko) * 2010-10-06 2014-01-28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스트 스톱 차량 및 코스트 스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24961A (ja) 2004-04-22
US7201684B2 (en) 2007-04-10
KR100564195B1 (ko) 2006-03-27
EP1403128A2 (en) 2004-03-31
US20040176198A1 (en) 200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33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 pressure used in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utomobile
US4462277A (en) Hydraulic regulator for a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s
US8066595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vehicular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US6835147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l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7179196B2 (en) Input torque control system of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0564195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US4875892A (en) Steples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for automotive vehicle
US989085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US7510501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of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US6669598B2 (en) Line pressure control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364802B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517268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JP2005147264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US5836845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3424423B2 (ja) 無段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6622835B2 (en) Engagement control having a multiplexed hydraulic circuit for controlling a torque converter clutch and shifting clutches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KR970008493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019158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의 라인압 제어장치
US6117045A (en) Pressure ratio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ly variable drive unit
JP2792370B2 (ja)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950872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S61105361A (ja) 車両用無段変速装置
JP2841595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0279428B1 (ko) 자동차용 무단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950013786A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