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405B1 -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Google Patents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1405B1 KR100871405B1 KR1020060066899A KR20060066899A KR100871405B1 KR 100871405 B1 KR100871405 B1 KR 100871405B1 KR 1020060066899 A KR1020060066899 A KR 1020060066899A KR 20060066899 A KR20060066899 A KR 20060066899A KR 100871405 B1 KR100871405 B1 KR 100871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movable
- axial
- driven
- screw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 F16H9/18—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only one flange of each pulley being adjust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55/49—Features essential to V-belts pulle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5—Gearboxes for gearing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25—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geometrical interrelationship of pulleys and the endless flexible member, e.g. belt alignment or position of the resulting axial pulley force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pulley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를 갖는 구동 풀리와,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를 갖는 종동 풀리를 포함하는 V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가변 기어비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소형화하는 것이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와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나사식 이송 기구를 구비한다.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는축방향 고정측 나사부를 구비하고 회전축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전동 모터에 의해 감속 기어 기구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는 상기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에 끼워지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를 구비하고, 변속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나사식 이송 기구의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는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에 축방향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고 상대 회전은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각각에 대해 변속 액츄에이터가 마련된다. 변속 액츄에이터는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 각각의 가동 절반부와, 이송 기구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와 맞물리는 이송 기구를 포함한다. 변속 액츄에이터는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 둘레에 감긴 V 벨트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l의 A-A 단면, B-B 단면 및 C-C 단면을 한 평면상에 도시한 단면 전개도.
도 3는 구동 풀리 및 그 주변 부재가 크랭크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을 따라 취한 축부만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변속기의 전반부의 단면 전개도.
도 6은 변속기의 전반부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기어 등의 배치도.
도 7은 변속기의 후반부의 단면 전개도.
도 8은 변속기의 후반부를 도시하는 기어 등의 배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크랭크축 38 : 변속기 케이스
45 :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47 : 구동 풀리 48 :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
49 :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
49A : 우산형부 49B : 원통형부
50 : 종동축 51 : 원심 클러치
52 : 종동 풀리 53 :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
55 : 무단형 V 벨트 72 : 볼 베어링
76 : 암나사 원통 부재 77 : 환상 기어
79 : 암나사 조립체 80 ; 수나사 원통 부재
81 : 잠금 부재 83 : 수나사 조립체
87 : 스트로크 센서 88 : 잠금 기구
89 : 나사식 이송 기구 90 : 변속 액츄에이터
91 : 전동 모터 101 : 대직경 기어
102 : 소직경 기어 104 : 제2 중간 기어
120 : 수나사 원통 부재 122 : 암나사 원통 부재
125 : 암나사 조립체 126 : 디스크 스프링
130 : 변속 액츄에이터 131 : 전동 모터
본 발명은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풀리 가동 절반부의 구동 기구 및 변속기의 가변 기어비 기구에 관한 것이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풀리 고정 절반부는 회전축에 고정되고, 풀리 가동 절반부는 회전축에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종래의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구비되는 풀리 가동 절반부의 구동 기구에 있어서의 나사식 이송 기구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는 회전축에 베어링을 통해 유지되어,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변속기 케이스에 부착된다.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는 상기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의 외주 나사에 맞물린다. 이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는 베어링을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풀리 가동 절반부에 부착된다. 또한, 모터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를 감속 기어 기구를 통해 회전 구동시킨다. 모터가 시동되면,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는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풀리 가동 절반부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전술한 구성에서는, 감속 기어 기구의 최종단 기어에 일체의 기어를 통해 맞물리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 자체가 회전 구동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감속 기어 기구의 최종단 기어 자체는 축방향으로 긴 기어인 것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변속 기구가 대형화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기지의 예로는 구동 풀리의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 사이의 거리가 전동 모터가 마련된 변속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종동 풀리의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 사이의 거리가 구동 풀리와 관련된 기어 기구를 통해 설정되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이 예는 복잡한 상호 잠금 기구를 제공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099023호(도 5)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제2001-330093호(도 6)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 가동 절반부의 구동 기구를 개량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복잡한 기어 기구를 통한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결합 대신에,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각자를 위한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가변 기어비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축 상에 고정 지지되는 풀리 고정 절반부와,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풀리 고정 절반부와 대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축에 대한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풀리 고정 절반부와 공동하여 그 사이에 벨트를 파지하는 풀리 가동 절반부와, 나사식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식 이송 기구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를 구비하고 회전축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전동 모터에 의해 감속 기어 기구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와, 상기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에 끼워지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를 구비하고, 변속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식 이송 기구의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는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에 축방향 상 대 이동이 불가능하고 상대 회전은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는 풀리 가동 절반부 상에 베어링 부재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 상대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와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나사식 이송 기구에 포함되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의 입력 기어와 풀리 가동 절반부의 우산형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는 감속 기어 중 하나가 배치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를 포함하는 구동 풀리와,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를 포함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 각각에 마련된 변속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속 액츄에이터는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 각각의 가동 절반부와, 이송 기구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맞물리는 이송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종동 풀리용 이송 기구는 종동 풀리의 고정 절반부와 가동 절반부를 가로 질러 클러치 부재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이송 기구 중 하나 이상은 추력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추력 조절 기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추력 조절 기구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연장 및 수축을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를 구비하고, 종동 풀리와 구동 풀리는 상기 스트로크 센서의 검출값을 기초로 하여 제어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감속 기어 기구의 최종단 기어에 맞물려서 구동되는 나사식 이송 기구의 입력 기어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의 기어이며, 이것은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최종단 기어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변속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의 폭 부분의 내측을 이용하여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 및 베어링 부재가 배치된다. 따라서, 무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변속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의 입력 기어와 풀리 가동 절반부의 우산형부 사이에 형성되는 무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감속 기어 중 하나가 배치된다. 따라서, 변속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이송 기구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공간이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의 냉각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면하는, 우산형부와 종동 풀리 각자의 외표면측에 배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V 벨트의 측방향 압력을 조절 가능하며, 이는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추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벨트의 측방향 압력을 어느 때라도 쉽게 최적화하게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벨트 측방향 압력의 조절량에 따라 풀리 제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유닛(1)의 측면도이다. 이 파워 유닛은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는 것으로, 차량에 고정된 오버헤드 4 행정 사이클 2 기통의 수냉식 내연 기관(2)과, 변속기(3)와, 후륜 지지부(4)와, 후륜을 포함하고, 이들은 일체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속기(3)는 크랭크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엔진(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화살표 F는 내연 기관(2)의 전방을 가리키고 있다.
이 파워 유닛(1)의 내연 기관(2)은 크랭크 케이스(6)와, 실린더 블록(7)과, 실린더 헤드(8)와, 실린더 헤드 커버(9)와, 이들 구성요소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을 포함한다. 전방 약간 상방으로 지향하는 실린더 블록(7)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단에 결합된다. 실린더 블록(7)의 전단에는 실린더 헤드(8)가 결합된다. 상기 실 린더 헤드(8)의 전단에는 실린더 헤드 커버(9)가 결합되어 있다. 후륜 지지부(4)에는 후륜축(60)이 내장되어 내연 기관의 동력을 후륜에 전달한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 B-B 단면 및 C-C 단면을 한 평면상에 그린 단면 전개도이다. 크랭크 케이스(6)는 좌측 크랭크 케이스(6L)와 우측 크랭크 케이스(6R)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측 크랭크 케이스(6L, 6R)의 각 저널 베어링(10L, 10R)에 크랭크축(1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 블록(7)에는 실린더 구멍(12)이 형성되고, 각각의 피스톤(13)이 실린더 구멍(12) 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결합 로드(16)는 2개의 단부를 갖는데, 하나의 단부는 크랭크 핀(14)을 통해 크랭크축(11)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피스톤 핀(15)을 통해 피스톤(13)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스톤(13)의 왕복은 크랭크축(11)을 회전시킨다. 피스톤(13)의 단부면과 대향하는 실린더 헤드(8)의 저면에는 연소실(20)이 형성된다. 점화 플러그(21)가 실린더 헤드 커버(9)의 정상부로부터 장착되어, 점화 플러그(21)의 선단부가 상기 연소실(20)을 향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8)에는 상기 연소실(20)에 연속해 있는 흡기 포트 및 배기 포트가 형성된다.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실린더 헤드(8)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다. 흡기 밸브는 연소실측의 흡기 포트의 개구를 개폐하고 배기 밸브는 연소실측의 배기 포트의 개구를 개폐한다. 도 2에는 우측 연소실의 배기 밸브(27)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8)와 실린더 헤드 커버(9) 사이에 크랭크축(11)과 평행하게 캠축(28)이 지지된다. 캠축(28)에 형성된 캠에 의해서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가 개폐 구동된다. 도 2에는 배기용 캠(29)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켓(30)과 종동 스프로켓(31) 사이에 감긴 무단형 체인(32)이 크랭크축(28)을 회전 구동시킨다. 구동 스프로켓(31)은 크랭크축(11)의 우측부에 마련되고 종동 스프로켓(31)은 캠축(28)의 우측부에 마련된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6R)의 외측에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 커버(33)가 마련된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 커버(33)의 내표면에 고정된 스테이터(34)와, 크랭크축(11)에 고정되어 상기 스테이터(34)를 둘러싸는 로터(35)로 발전기(36)가 구성되어 있다. 발전기(36)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종동 기어(37)는 도시하지 않는 스타터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38)는 파워 유닛(1)의 변속기(3)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38)는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 및 격벽(38S)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는 크랭크 케이스(6)의 좌우측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 케이스의 좌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가 볼 베어링(4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측 크랭크 케이스(6L)에 볼트(22)에 의해서 부착된 지지 금속(39)은 볼 베어링(40)을 유지한다. 크랭크 케이스의 우측에는,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가 롤러 베어링(42)에 의해 유지된 결합 금속(43A, 43B)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 커버(33)에 부착된 지지 금속(41)은 롤러 베어링(42)을 유지한다. 결합 금속(43A, 43B)은 볼트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의 외측에는 변속기 케이스 커버(23)가 마련된다.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와 격벽(38S)은 각각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에 볼트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변속기(3)의 변속기 케이스(38)의 후단부는 후륜 지지부(4)로서 기능한다. 변속기(3)는 V 벨트식 무단 변속기(45)와 기계적인 감속 기어 유닛(46)으로 이루어져 있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45)는 전반부가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와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 사이에 배치되고, 후반부가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와 격벽(38S)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감속 기어 유닛(46)은 격벽(38S)과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 사이에 배치된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45)의 구동축은 크랭크축(11)이다. 상기 크랭크축(11)의 좌단부에는 V 벨트식 무단 변속기(45)의 구동 풀리(47)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 풀리(47)는 고정 절반부(48)와 가동 절반부(49)로 이루어져 있다. V 벨트식 무단 변속기(45)의 종동축(50)은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와, 격벽(38S)과,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종동축(50)에는 원심 클러치(51)를 통해 V 벨트식 무단 변속기(45)의 종동 풀리(52)가 부착되어 있다. 종동 풀리(52)는 고정 절반부(53)와 가동 절반부(54)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 풀리(47)와 종동 풀리(52) 사이에는 무단형 V 벨트(55)가 가교되어 구동 풀리(47)의 회전을 종동 풀리(52)에 전달한다. 종동 풀리(52)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를 넘으면, 종동 풀리(52)와 종동축(50) 사이에 배치된 원심 클러치(51)가 맞물림 상태가 되어 종동축(50)이 회전을 시작한다.
감속 기어 유닛(46)은 3개의 회전축에 지지되는 기어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축은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와 격벽(38S)에 의해 지지되는 V 벨트식 무단 변 속기(45)의 종동축(50)의 우측 반부이다. 제1축에는 소직경 기어(56)가 형성되어 있다. 제2축은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와 격벽(38S)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중간축(57)이다. 중간축(57)은 일체로 끼워지는 대직경 기어(58)를 갖는다. 이 대직경 기어는 상기 종동축(50)의 소직경 기어(56)와 맞물린다. 또한, 중간축(57)에는 대직경 기어(58)에 인접하게 소직경 기어(59)가 형성되어 있다. 제3축은 격벽(38S)과,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와, 결합 금속(43A)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축(60)이다. 후륜축(60)에는 상기 중간축(57)의 소직경 기어(59)와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61)가 끼워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종동축(50)의 토크는 상기 감속 기어군을 통해 감속되어 후륜축(60)에 전달된다. 후륜축(60)에는 후륜(5)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구동 풀리(47)와, 크랭크축(11)에 조립된 그 주변 부재들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구동 풀리(47)는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와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로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축(11)의 좌측 반부에는 제1 소직경부(11A)와 제2 소직경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직경부(11A)는 단차부(11a, 11b) 사이에 구획되고, 제2 소직경부(11B)는 단차부(11b)와 크랭크축 단부면(11c) 사이에 구획된다. 제1 소직경부(11A)의 단부에는 스플라인(11d)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소직경부(11B)의 단부에는 스플라인(11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직경부(11A)에는 볼 베어링(63)의 내륜, 제1 지지 슬리브(64) 및 가이드 슬리브(65)가 끼워져 있다. 제2 소직경부(11B)에는 제2 지지 슬리브(66)와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가 끼워져 있다. 슬리브(64, 65, 66)는 강제이고,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는 알루미늄제이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크랭크축(11)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와셔(67)를 통해 나사 결합되는 볼트(68)에 의해 체결되어, 크랭크축(11)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가이드 슬리브(65)는 슬플라인(11d)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플라인(64a)을 통해 제1 소직경부(11A)의 스플라인(11d)에 끼워진다.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는 중앙 구멍과 이 중앙 구멍 내측에 형성된 스플라인(48a)을 포함하여, 스플라인(48a)을 통해 제2 소직경부(11B)의 스플라인(11e)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크랭크축(1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는 크랭크축(11)과 함께 회전된다.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는 상기 고정 절반부에 대향하는 우산형부(49A)와, 상기 슬리브(64, 65, 66)를 둘러싸고, 상기 우산형부(49A)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부(49B)로 이루어져 있다. 우산형부(49A)는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원통형부(49B)는 강제이다. 우산형부(49A)는 원통형부(49B)의 플랜지부에 리벳(4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의 원통형부(49B)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형 스플라인(49B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형 스플라인(49Ba)은 가이드 슬리브(65)의 외주에 형성된 외측 스플라인(65b)에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65)의 외측 스플라인(65b)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돌기형 스플라인(49Ba)은 그 가이드 홈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다. 따라서,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는 크랭크축(11)에 대해서는 상대 회전 불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스플라인(11d, 65a, 65b, 49Ba)에 의해서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는 크랭크축(11)으로부터 토크를 받아 크랭크축(11)과 함께 회전한다. 가이드 슬리브(65)에 포함되는 외측 스플라인(65b)의 홈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원통형부(49B)의 돌기형 스플라인(49Ba)이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게 한다. 가동 절반부 원통형부(49B)의 양단부에는 상기 그리스의 누출 방지와 먼지의 침입 방지를 위한 시일(69)이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축부만(볼 베어링 등을 제외함)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호 맞물려 있는 크랭크축(11)의 스플라인(11d)과 가이드 슬리프(65)의 내측 스플라인(65a)은 각각 인벌류트 스플라인(involute spline)이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65)의 외측 스플라인(65b)과 이에 맞물리는 돌기형 스플라인(49Ba)도 각각 인벌류트 스플라인이다. 돌기형 스플라인의 이동에 따른 공기나 그리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가이드 슬리브의 외주면과 가동 절반부 원통형부(49B)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볼 베어링 외륜 유지 부재(75)는 상기 크랭크축(11)에 부착되어 있는 볼 베어링(63)의 외륜을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볼 베어링 외륜 유지 부재(75)의 외주 플랜지부(75a)에는 암나사 원통 부재(76)가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암나사 원통 부재(76)의 외주 플랜지부(76a)에는 환상 기어(77)가 볼트(78)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볼 베어링 외륜 유지 부재(75)와, 암나사 원통 부재(76)와, 환상 기어(77)는 일체화되어 암나사 조립체(79)를 구성한다. 이 암나사 조립체(79)는 볼 베어링(63)에 의해 크랭크축(11)에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크랭크축 (11)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암나사 조립체(79)의 환상 기어(77)는 후술하는 변속 액츄에이터(90)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제2 중간 기어(104)의 소직경 기어(102)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에 포함되는 원통형부(49B)의 외주에는 볼 베어링(72)의 내륜이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수나사 원통 부재(80), 구체적으로 그 내주는 상기 볼 베어링(72)의 외륜을 일체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수나사 원통 부재(80)의 외주 나사부는 상기 암나사 원통 부재의 내주 나사부에 맞물린다. 수나사 원통 부재(8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80a)에는 잠금 부재(81)가 볼트(82)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수나사 원통 부재(80), 잠금 부재(81) 및 볼트(82)는 일체화되어 수나사 조립체(83)를 구성하고 있다. 잠금 부재(81)는 잠금 축부(81)와, 이 잠금 축부(81a)의 양측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81b)를 구비한다. 돌출부(81b)는 도 6(측면도)에 도시되는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에 마련된 각각의 잠금 가이드 레일(84)과 맞물린다. 이에 의해서, 암나사 조립체(79)가 회전했을 때, 수나사 조립체(83)는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만 이동될수 있다. 상기 암나사 조립체(79)와 수나사 조립체(83)는 나사식 이송 기구(89)를 구성한다.
잠금 부재(81)의 아암부에는 전방 스토퍼(81c)가 일체로 성형되어, 수나사 조립체(83)의 후방 이동의 한계를 검출한다. 잠금 부재(81)에 포함되는 축부(81a)의 후단에는 후방 스토퍼(85)가 볼트(86)에 의해서 장착되어, 수나사 조립체(83)의 전방 이동의 한계를 검출한다. 잠금 부재(81)와 잠금 가이드 레일(84)(도 6)은 잠 금 기구(88)(도 6)를 구성한다.
잠금 부재(81)는 그 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연장부(81d)를 포함한다. 이 연장부(81d)는 가동 절반부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스트로크 센서(87)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로드의 선단부에 접촉해 있다. 스트로크 검출은 스트로크 센서(87)의 단부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압출되는 로드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로드 둘레에는 고무 벨로우즈가 덮여 있다. 스트로크 센서(87)의 기단부는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에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변속기(3)의 전반부의 단면 전개도이다. 도 6은 변속기의 전반부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기어 등의 배치도이다. 변속 액츄에이터(90)는 암나사 조립체(79)를 회전 구동한다. 변속 액츄에이터(90)는 전동 모터(91)와 감속 기어 기구(9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모터(91)는 차속, 스로틀 개방도 및 내연 기관의 회전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회전이 제어되는 것이다. 우측 변속기 케이스(38R)에는 감속 기어 케이스(93)가 고정되어 있다. 이 감속 기어 케이스(93)는 우측 케이스 부재(93R)와, 좌측 케이스 부재(93L)와, 단부 케이스 부재(93E)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케이스 부재 사이에 감속 기어 챔버(94)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91)는 부착판(95)을 통해 감속 기어 케이스(93)의 우측 케이스 부재(93R)에 부착된다.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피니언(96)은 감속 기어 챔버(94) 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96)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97)와 이에 인접하는 소직경 기어(98)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중간 기어(99)를 구성한다. 이 제1 중간 기어(99)는 감속 기어 케이스(93)에 볼 베어링(1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 기어(98)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101)와, 이 대직경 기어에 일체적으로 인접하는 소직경 기어(102)가 회전축(103)에 끼워져 제2 중간 기어(104)를 일체로 구성한다. 제2 중간 기어(104)는 감속 기어 케이스(93)에 볼 베어링(1O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 기어(102)는 전술한 암나사 조립체(79)의 환상 기어(77)와 맞물린다.
전동 모터(91)가 제어 지령에 응답하여 정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및 제2 중간 기어(99, 104)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암나사 조립체(79)가 회전한다. 회전 불가능한 수나사 조립체의 수나사 원통 부재(80)의 나사부는 암나사 원통 부재(76)의 나사부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이 수나사 조립체(83)의 수나사 원통 부재(80)의 나사부는 상기 암나사 원통 부재(76)의 나사부에서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추력을 받는다. 따라서, 수나사 조립체(83)는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나사 원통 부재(80)의 나사부가 받는 추력은 볼 베어링(72)을 통해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로 전달되어,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를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가동 절반부(49)와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V벨트를 외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동 모터(91)가 제어 지령에 응답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전술한 것과 반대 과정에 따라서,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48)와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 사이의 간격이 증가됨으로써, V 벨트를 중심을 향해 이동시킨다.
도 7은 변속기(3)의 후반부의 단면 전개도이다. 종동 풀리(52)는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53)와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로 이루어져 있다.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53)는 알루미늄제의 우산형부(53A)와 강제의 원통형부(53B)로 이루어진다.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도 또한 알루미늄제의 우산형부(54A)와 강제의 원통형부(54B)로 이루어진다. 고정 절반부(53)의 우산형부는 원통형부의 단부에 볼트(147)에 의해서 체결된다. 가동 절반부(54)의 우산형부는 원통형부의 단부에 주조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종동축(5O)에는 단차부(5Oa, 50b, 50c)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축의 외주에는 단차부(50a)에 인접하도록 볼 베어링(110)이 마련되고, 종동축의 외주에는 단차부(50b)에 인접하도록 롤러 베어링(111)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절반부(53)의 원통형부(53B)는 볼 베어링(110)과 롤러 베어링(111)에 의해 종동축(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 절반부의 원통형부(53B)의 외주에는 가동 절반부의 원통형부(54B)가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고정 절반부의 원통형부(53B)의 외주에 있는 4개 지점에는 핀(112)이 직립하게 마련되어 있다. 가동 절반부의 원통형부(54B)에는 둘레 방향의 4개의 지점에 캠 홈(113)이 형성되고, 각 캠 홈은 반경 방향으로 원통형부(54B)를 관통하고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핀(112)의 헤드는 각각 대응하는 캠 홈(113)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서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는 핀(112)에 의해 제한되면서,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53)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캠 홈의 각도에 따라 캠 홈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의 원통형부(54B)의 외주에는 원통 부재(114)가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원통형부의 캠 홈(113)을 덮고 있다. 핀에 의해 제한되는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의 미끄럼 이동을 돕기 위해서, 캠 홈(113)내에는 그리스가 도포된다. 또한, 원통 부재(114)의 양단부 내측에는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이 마련되어 있다. 원통 부재(114)의 우측 단부 외주에는 볼 베어링(115)의 내륜이 유지되어 있다. 볼 베어링(115)의 외륜에는 환상 부재(116)가 접촉되어 있다.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53)의 원통형부(53B)의 좌측 단부 외주에 마련된 단차부에는 너트(118)에 의해 볼 베어링(117)의 내륜이 고정되어 있다. 수나사 원통 부재(120)는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볼 베어링(117)의 내륜에 고정되어 있다. 수나사 원통 부재(120)의 회전은 볼 베어링(117)에 의해서 종동 풀리(53)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있다. 수나사 원통 부재(120)에는 잠금 부재(121)가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는 변속기 케이스(38)에 고정되어 있다(도시 생략). 따라서, 수나사 원통 부재(120)는 종동축(50) 및 종동 풀리(52)와는 독립적으로 변속기 케이스(38)에 대하여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암나사 원통 부재(122)는 수나사 원통 부재(120)의 수나사부를 나사 결합 상태가 되도록 덮고 있다. 암나사 원통 부재(122)의 플랜지부(122a)에는 환상 기어(123)가 볼트(124)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암나사 원통 부재(122), 환상 기어(123) 및 볼트(124)는 암나사 조립체(125)를 구성한다.
후술하는 제2 중간 기어(144)의 소직경 기어(142)는 환상 기어(123)를 회전 구동시킨다. 암나사 원통 부재(122)는 고정된 수나사 원통 부재(120)의 수나사부로부터 그 암나사부에서 추력을 받아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구동된다. 암나사 원통 부재(122)의 단부와 볼 베어링(115)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는 환상 부재(116) 사이에는 디스크 스프링(126)이 개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암나사 원통 부재(122)의 축방향 이동은 디스크 스프링(126), 환상 부재(116), 볼 베어링(115) 및 원통 부재(114)를 통해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수나사 원통 부재(120)와 암나사 조립체(125)는 나사식 이송 기구(127)를 구성한다.
상기 암나사 조립체(125)는 변속 액츄에이터(130)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변속 액츄에이터(130)는 전동 모터(131)와 감속 기어 기구(1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모터(131)는 차속과, 스로틀 개방도와, 내연 기관의 회전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회전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126)의 스트레인을 계측함으로써, V 벨트에 가해지는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의 압박력이 검출되고, 제어를 위해 피드백된다.
감속 기어 케이스(133)가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에 감속 기어 케이스(133)가 고정되어 그 사이에 감속 기어 챔버(134)를 형성한다. 체결판(135)을 통해 전동 모터(131)가 감속 기어 케이스(133)에 부착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에 형성된 피니언(136)은 감속 기어 챔버(134) 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36)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137)와 이에 인접하는 소직경 기어(138)가 제1 중간 기어(139)를 일체로 구성한다. 제1 중간 기어(139)는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와 감속 기어 케이스(133)에 볼 베어링(14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 기어(13)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141)와 이에 일체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된 소직경 기어(142)는 회전축(143)에 끼워져 제2 중간 기어(144)를 구성한다. 이 제2 중간 기어(144)는 좌측 변속기 케이스(38L)와 감속 기어 케이스(133)에 볼 베어링(14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 기어(142)는 축방향 치수가 긴 기어로서, 이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암나사 조립체(125)의 환상 기어(123)와 맞물림이 가능하다.
도 8은 변속기의 후반부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하는 기어 등의 배치도이다. 도 7의 상태에서, 전동 모터(131)가 제어 지령에 응답하여 정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및 제2 중간 기어(139, 144)를 경유하여 암나사 조립체(125)로 동력이 전달되어, 수나사 원통 부재(120)의 나사부에 맞물려 있는 암나사 조립체(125)가 회전한다. 이 암나사 조립체(125)의 회전은 암나사 조립체 자체를 종동축(5O)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크 스프링(126), 환상 부재(116), 볼 베어링(115) 및 원통 부재(114)를 통해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와 구동 풀리 고정 절반부(53) 사이의 간격이 감속되어 V 벨트를 외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동 모터(131)가 제어 지령에 응답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전술한 바와 반대 과정에 따라서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53)와 종동 풀리 가동 절반부(54)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V 벨트를 중심을 향해 이동시킨다. 또한, 암나사 조립체의 좌측 스토퍼(121a)는 잠금 부재(121)의 타단에 마련되어, 암나사 조립체의 좌측 방향 이동의 한계를 검출한다.
종동 풀리 고정 절반부의 우단면에는 원심 클러치(51)의 내측 회전 부재(51A)가 볼트(1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원심 클러치(51)의 외측 회전 부재(51B)는 내측 회전 부재(51A)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종동축(50)에 스플라인(148)을 통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외측 회전 부재(51B)의 외주부는 내측 회전 부재(51A)를 덮고 있다. 종동 풀리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그 회전이 내측 회전 부재(51A)와 외측 회전 부재(51B)를 경유하여 종동축(50)에 전달되어 종동축(50)이 회전을 시작한다. 종동축(50)의 회전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감속 기어 유닛(46)의 기어를 경유하여 감속되고, 이에 따라 감속된 회전은 후륜축(60)에 전달되어 후륜(5)을 구동한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49)의 축방향 구동 기구에 관한 부분에 해당하고, 그 부분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다.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나사식 이송 기구」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나사식 이송 기구(89)를,「축방향 고정측 나사부」는 암나사 원통 부재(76)를,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는 수나사 원통 부재(80)를,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는 수나사 조립체(83)를 가리키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1) 감속 기어 기구의 최종단 기어[제2 중간 기어의 소직경 기어(102)]에 맞물려 구동되는 나사식 이송 기구의 입력 기어[환상 기어(77)]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암나사 조립체(79)]에 포함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최종단 기어[제2 중간 기어의 소직경 기어(102)]의 폭을 감 소시킬 수 있어 변속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2)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암나사 원통 부재(76)]의 폭부의 내측 부분을 이용하여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수나사 원통 부재(80)] 및 베어링 부재[볼 베어링(72)]이 배치된다. 따라서, 무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변속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3)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암나사 조립체(79)]의 입력 기어[환상 기어(77)]와 풀리 가동 절반부의 우산형부[구동 풀리 가동 절반부의 우산형부(49A)] 사이에 형성되는 무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감속 기어 중 하나[제2 중간 기어의 대직경 기어(101)]가 배치된다. 따라서, 변속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무단 변속기는, 종래의 복잡한 기어 기구를 통한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결합 대신에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각각을 위한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소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이송 기구의 배치를 위한 공간이 쉽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의 냉각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2) 종동 풀리의 서로 대향하는 양 우산형부 각각의 외표면측에 배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V 벨트의 측방향 압력을 조정 가능하며, 이는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스프링을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추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벨트의 측방향 압력을 어느 때라도 쉽게 최적화시킨다.
(5) 벨트 측방향 압력의 조절량에 따라 풀리 제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8)
- 회전축 상에 고정 지지되는 풀리 고정 절반부와,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풀리 고정 절반부와 대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축에 대한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풀리 고정 절반부와 공동하여 그 사이에 벨트를 파지하는 풀리 가동 절반부와,나사식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식 이송 기구는,축방향 고정측 나사부를 구비하고 회전축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전동 모터에 의해 감속 기어 기구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와,상기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에 끼워지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를 구비하고, 변속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식 이송 기구의 축방향 가동측 나사 조립체는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에 축방향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고 상대 회전은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는 풀리 가동 절반부 상에 베어링 부재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 상대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축방향 가동측 나사부와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 고정측 나사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는 우산형부와 원통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산형부는 상기 풀리 고정 절반부와 공동하여 그 사이에 벨트를 끼우는 부분이며, 상기 나사식 이송 기구에 포함되는 상기 축방향 고정측 나사 조립체의 입력 기어와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의 상기 우산형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는 감속 기어 중 하나가 배치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풀리 고정 절반부와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를 포함하는 구동 풀리와,상기 풀리 고정 절반부와 상기 풀리 가동 절반부를 포함하는 종동 풀리와,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종동 풀리에 각각 마련된 변속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상기 변속 액츄에이터는,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 기어 기구를 포함하며,상기 감속 기어 기구는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종동 풀리 각각의 풀리 가동 절반부와 상기 전동 모터에 맞물리며,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종동 풀리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풀리에 마련된 상기 변속 액츄에이터의 상기 감속 기어 기구는 상기 종동 풀리의 풀리 고정 절반부와 풀리 가동 절반부를 가로질러 클러치 부재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마련된 상기 변속 액츄에이터의 상기 감속 기어 기구들 중 하나 이상은, 추력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 조절 기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 조절 기구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연장 및 수축을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를 구비하고, 종동 풀리와 구동 풀리는 상기 스트로크 센서의 검출값을 기초로 하여 제어되는 것인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09577 | 2005-07-20 | ||
JP2005209577A JP4573720B2 (ja) | 2005-07-20 | 2005-07-20 |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
JPJP-P-2005-00252019 | 2005-08-31 | ||
JP2005252019A JP4698339B2 (ja) | 2005-08-31 | 2005-08-31 |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1141A KR20070011141A (ko) | 2007-01-24 |
KR100871405B1 true KR100871405B1 (ko) | 2008-12-02 |
Family
ID=3801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6899A KR100871405B1 (ko) | 2005-07-20 | 2006-07-18 |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1405B1 (ko) |
IT (1) | ITTO20060432A1 (ko) |
TW (1) | TWI31419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391587B (zh) * | 2010-01-20 | 2013-04-01 | Kwang Yang Motor Co | 車輛用電子式無段變速系統之變速用馬達配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9828A (ko) * | 2000-03-07 | 2003-10-10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차량용 브이벨트식 자동 변속기 |
KR20040021545A (ko) * | 2002-09-04 | 2004-03-10 |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 벨트식 무단 변속기 |
KR20040024464A (ko) * | 2002-09-12 | 2004-03-20 |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유압 제어 장치 |
KR20040028501A (ko) * | 2002-09-30 | 2004-04-03 |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
-
2006
- 2006-06-14 IT IT000432A patent/ITTO20060432A1/it unknown
- 2006-07-13 TW TW095125619A patent/TWI31419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7-18 KR KR1020060066899A patent/KR1008714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9828A (ko) * | 2000-03-07 | 2003-10-10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차량용 브이벨트식 자동 변속기 |
KR20040021545A (ko) * | 2002-09-04 | 2004-03-10 |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 벨트식 무단 변속기 |
KR20040024464A (ko) * | 2002-09-12 | 2004-03-20 |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유압 제어 장치 |
KR20040028501A (ko) * | 2002-09-30 | 2004-04-03 |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유압 제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314199B (en) | 2009-09-01 |
ITTO20060432A1 (it) | 2007-01-21 |
TW200716890A (en) | 2007-05-01 |
KR20070011141A (ko) | 200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73720B2 (ja) |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 |
US7285068B2 (en)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engine | |
JPH04366064A (ja) | 車両用無段変速機 | |
JP4169414B2 (ja) | クランク軸の潤滑油供給通路構造 | |
EP1826113B1 (en) | V-belt type automatic transmission | |
KR100871405B1 (ko) | V 벨트식 무단 변속기 | |
JP5654389B2 (ja) | 無断変速機構造 | |
JP4181123B2 (ja) | V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 |
US5215046A (en) | Rotational phase difference adjusting means | |
JP4025667B2 (ja) | 頭上カム型エンジン | |
EP2034220B1 (en) |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JP2003004108A (ja) | 車両用動力伝達装置 | |
JP4698339B2 (ja) |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 |
JP4776213B2 (ja) | Vベルト式自動変速機 | |
JP6532964B2 (ja) | エンジンユニット | |
JP4519890B2 (ja) |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 |
JP2949204B2 (ja) |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 |
EP2039601B1 (en) | Power unit | |
JP4212172B2 (ja) | トルク伝達装置 | |
JP4481322B2 (ja) | Vベルト式自動変速機 | |
JP4177687B2 (ja) | 頭上カム型エンジン | |
JP2007232221A5 (ko) | ||
EP1780443B1 (en)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JP4733669B2 (ja) | 内燃機関におけるピストン冷却構造 | |
JP2823955B2 (ja) |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