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410A -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 Google Patents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410A
KR20040027410A KR1020030066517A KR20030066517A KR20040027410A KR 20040027410 A KR20040027410 A KR 20040027410A KR 1020030066517 A KR1020030066517 A KR 1020030066517A KR 20030066517 A KR20030066517 A KR 20030066517A KR 20040027410 A KR20040027410 A KR 2004002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unit
group
vibration damper
thickener
alkal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275B1 (ko
Inventor
모리히로시게야스
미야와키유키히로
미와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2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4Covers or coating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08F29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진재로서 형성된 도막의 건조성을 향상시켜서, 도막 표면에서의 크랙이나 팽창을 억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제진재용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는 해결된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는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또는 인산기 또는 이러한 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는 측쇄에 -(R1-O)n-X-R2(식 중, R1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또는 부틸렌기로서, n은 10~300이고 X는 직접 결합, -C(=O)-또는 -C(=O)NH-이며 R2는 탄소 수 6~30의 탄화수소기임)로 표시되는 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A aqueous thickener for vibration reduction material}
본 발명은 제진재를 형성하기 위한 도료 중에 포함되는 증점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도막의 건조성을 향상시켜서 도막 표면에서의 크랙이나 팽창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증점제에 관한 것이다.
도료에는 보호, 절연, 미장 등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도료의 용도의 하나로서 제진재가 있다. 제진재란 소리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재료 표면에 배치되는 재료를 말한다. 예컨대, 자동차의 샤시 표면에는 차 내부를 조용하게 하기위해 제진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진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차음 시트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차음 시트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일손이 많이 간다. 특히, 자동차의 샤시와 같은 복잡한 표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에 배치할 경우에는, 생산성의 현저한 저하를 피할 수 없다. 또한, 자동화가 어려우며 생산 비용 삭감에 장해가 된다.
따라서, 제진재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도막이 주목되고 있다. 제진재로서 작용하는 도막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컨대 공역디엔계 단량체(a), 에폭시기를 가지는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b),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아미드 단량체(c), (b) 및 (c) 이외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d)를 특정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제진재용 공중합체 라텍스가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0-178499호 공보 참조). 제진재는 상기 라텍스가 배합된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료를 사용하여 제진재를 형성한다면, 생산성도 좋고 자동화도 가능하다.
제진재로서 작용하기 위해서는 도막은 일정한 막두께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런데, 두꺼운 도막을 건조시키는 경우, 표면으로부터 건조해 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내부의 도막이 아직 수분을 유지하고 있는 한편, 표면 근방의 도막이 경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도막 내부의 수분 증발에 의해 이미 경화된 표면 근방의 도막이 도막 바깥쪽에 팽창하는 문제나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도막이 팽창하거나 크랙이 발생하면, 제진재로서의 특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것으로는 제진재로서 이용하기 위해, 특별히 도막을 형성한 의미가 상실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에멀션 도료를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할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에멀션 도료는 입자 주변의 수분량이 적어지면, 곧 융착하여 막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제진재로서 형성된 도막의 건조성을 향상시켜서 도막 표면에서의 크랙이나 팽창을 억제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이다.
본 발명의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가 배합된 도료는 증점제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 구조 중에 수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료의 보수성이 향상된다. 높은 보수성을 가지고 있으면, 도막은 어느 정도의 수분을 포함한 채 균일하게 건조해 나간다. 그 결과, 두꺼운 도막이 형성된 경우라도, 도막에 크랙이나 팽창이 생기기 어렵다. 즉, 본 발명의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가 배합된 도료는 건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표면에 크랙이나 팽창이 발생하기 어렵다. 표면에 크랙이나 팽창이 적기 때문에 제진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제진재가 제공된다.
또한,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는 알칼리성 용액에 용해되면, 부전하를 띤 관능기끼리의 반발에 의해 용액의 점도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한 증점 작용은 대단히 강하다. 이 때문에, 소량이라도 충분한 효과가 얻어져 재료비용, 설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는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진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에 포함되는 소수기끼리가 회합함으로써 한층 효과적인 증점작용이 야기된다. 이러한 소수기 간의 회합은 비교적 약한 결합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를 포함하는 도료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한 점성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은 도료를 스프레이 도포할 때에 아주 유용하다.
스프레이 시에는 전단력이 강하기 때문에 점도가 낮아 도포하기 쉽다. 한편,도포 후는 전단력이 약하기 때문에 점도가 높아 액체가 거의 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원에 있어서, "제진재용 증점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를 의미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란 모노머유니트가 산성의 관능기 또는 그 염을 가지며 알칼리성 용액 중에서 증점 작용을 하는 모노머유니트를 말한다. 산성의 관능기로서는, 카르복실기(-COOH), 술폰산기(-SO3H), 인산기(-PO3H2) 등을 들 수 있다. 염은 산성의 관능기를 알칼리성 화합물 등으로 중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염으로서는 산성 관능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단, 산성의 관능기 및 그 염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성의 관능기 및 그 염 중에서는 카르복실기 및 그 염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가지고 있는 모노머는 다른 산기 함유 모노머에 비해 친수성이 낮으며 중합 시의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가지는 모노머 중에서는,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성이 양호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는 산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유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염을 가지는 모노머유니트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는 그 염을 가지는 모노머유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산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유니트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는 산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유니트 및 그 염을 가지는 모노머유니트 둘 다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는 이들 관능기를 가지는 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하여 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염은 중합체를 형성한 후,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에 포함되는 산을 중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미리 중화된 모노머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형성해도 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에 의해 야기되는 증점작용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가 알칼리성 용액 중에 존재하면,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가 가지는 산성의 관능기가 이온화한 상태로 존재한다. 예컨대, 카르복실기(-COOH)는 NaOH 등의 염기에 의해 음 이온(-CO0-)으로서 존재한다. -CO0-는 부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는 전기적인 반발에 의해 용액 중에 확산된다. 그 결과, 용액의 점도가 증가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를 형성하는 원료로서의 모노머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록시 프로피온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모노머: 비닐술폰산, 스티렌술폰산, 술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술폰산기를 가지는 모노머: 모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2-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3-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를 가지는 모노머가 포함된다. 또한,이들 모노머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이 포함된다. 단,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원료로서의 모노머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합성이고 또한 산성의 관능기 또는 그 염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모노머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란 측쇄에 소수기를 가지고, 이 소수기에 의해 복수의 중합체가 회합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모노머유니트를 말한다. 중합체가 회합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소수기로서는 하기 화학식1로 표기되는 기를 들 수 있다.
-(R1-O)n-X-R2
화학식1에 있어서, Rl은 메틸렌기(-CH2-), 에틸렌기(-CH2CH2-), 프로필렌기(-CH2CH(CH3)-) 또는 부틸렌기(-CH2CH(CH2CH3)-)이다. 이중에서는 입수의 용이성 등의 이유에서 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기인 경우에는, (R1-O)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에틸렌옥시드이다. 또한, R1은 복수의 관능기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예컨대, 상술한 (R1-O)n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조합이라도 된다.
n은 (Rl-O)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반복수이다. n은 1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80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40~60인것이 특별히 바람직하고, 45~5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X는 직접 결합, -C(=O)-, 또는 -C(=O)NH-이다.
R2는 탄소 수 6~30의 탄화수소기이다. 탄화수소기에는 직쇄, 분기 또는 환상알킬기, 알릴기, 알킬알릴기 등이 포함된다. 이들 탄화수소기는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에 의한 회합 작용이 저해되지 않는 한, 일부가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직쇄알킬기에는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도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이 포함된다. 분기 알킬기에는 3-메틸헥실기, 4, 4-디에틸옥틸기 등이 포함된다. 환상 알킬기에는 시클로옥틸기, 콜레스타닐기, 라노스타닐기 등이 포함된다. 알릴기에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등이 포함된다. 알킬알릴기에는 도데실페닐기, 노닐페닐기 등이 포함된다. 효율적인 회합을 고려하면, R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8~30의 탄화수소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2~30의 알킬기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2~20의 알킬기이고,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6~20의 알킬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에 의해 야기되는 증점작용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에 있어서, 실제로 회합하는 부분은 식(I)에서의 R2부분이다. R2는 도데실기와 같은 소수성의 관능기이기 때문에, 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중합체는 R2가 가지는 소수성을 이용하여 회합한다. 이러한 소수기 간의 회합은 비교적 약한 결합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에 의해 틱소트로픽한 점성이 발현될 수 있다.
(R1-O)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R2의 이동 자유도를 높여 회합하기 쉽게 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R2가 주쇄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있거나 또는 주쇄에서 가까운 경우, R2가 소수성을 가지고 있어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 이 때문에, R2끼리 능히 회합할 수 없다. 한편, (R1-O)에 의해 R2가 주쇄 부분에서 상당 거리 떨어져 있으면 R2끼리 능히 회합할 수 있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양태는 하기 화학식2이다.
화학식2로 표시되는 모노머유니트는 R1가 메틸렌기인 화학식1의 관능기를 측쇄로 가진다. 또한, 화학식2에 있어서, n, X 및 R2는 상기 정의대로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진재용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또 다른 모노머유니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회합성 모노머유니트 및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염의 원료인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모노머에 기인하는 모노머유니트(이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유니트"라고도 기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유니트를 가지고 있으면 중합 안정성이 좋다.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는 스티렌, 비닐 톨루엔, α-메틸스티렌, 에틸비닐벤젠, 클로로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아미드, N-모노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모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과 탄소 수 1~8의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등의 시클로헥실기 함유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산과 폴리알킬렌글리콜과의 모노에스테르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에스테르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쇄 함유 중합성 모노머; 초산 비닐; (메타)아크릴로니트릴; N-비닐피롤리돈, (메타)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등의 염기성 중합성 모노머;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가교성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성 모노머;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알릴트리에톡시실란 등의 규소 원자에 직결하는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가수분해성 규소기 함유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중합성 모노머;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비닐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성 모노머; (메타)아크릴산-2-아지리디닐에틸, (메타)아크로일아지리딘 등의 아지리딘기 함유 중합성 모노머;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 함유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된다. 2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다른 모노머가 원료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제진재용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가교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가교성 모노머유니트는 분자 내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모노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모노머에는 (메타)아크릴산과, 에틸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 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다에리스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물과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틸렌(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산 아미드계 모노머;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말레이트, 디알릴프말레이트 등의 알릴계 중합성 단량체; (메타)아크릴산알릴, 디비닐벤젠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단, 가교성 모노머유니트는 중합체쇄 간을 가교하는 것이라면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진재용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상술한 모노머유니트가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참고로서, 예컨대 메타크릴산에 기인하는 모노머유니트; n이 50, X가 -C(=O)-, R2가 -C17H35인 상기 화학식2에서 표시되는 모노머유니트; 및 아크릴산 에틸에 기인하는 모노머유니트로 이루어지는 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는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진재용 증점제"는 중합체 단체(單體)뿐만 아니라 중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션 등의 용액도 그 개념 중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는 일반적으로는 수계로 사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의 각 모노머유니트의 구성 비율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중합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 기인하는 모노머유니트 등의 다른 모노머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은 전 모노머유니트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69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5~64몰%이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알칼리 가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한 증점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이 너무높으면, 에멀션 중합에서의 중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총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은 전 모노머유니트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1~2.0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05~1.5몰%이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중합체에서의 소수성기의 양이 부족하여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에 의한 점성의 개질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이 너무 높으면, 에멀션 중합에 의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어렵게 될 뿐 아니라 동일 중합체 내에서의 소수성기끼리의 회합이 증가하여 점성을 높이는 효과가 저하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모든 모노머유니트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79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5~74몰%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에멀션 중합에서의 중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한편,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이 너무 높으면, 알칼리 가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한 증점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에 있어서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이다. 단, 가교성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 등은 분자량이 아주 높아져 GPC에 의한 분자량 측정은 곤란하다.
증점제로서의 중합체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단량체 성분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에멀션 중합, 역상 현탁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수용액 중합, 괴상(塊狀) 중합 등을 사용하여 중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방법 중에서는 에멀션 중합이 바람직하다. 에멀션 중합은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고농도로 중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취급 점도도 낮고 생산 비용도 싸다. 에멀션 중합에 의해 중합체를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도, 순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소정량의 모노머를 용해시킨 수용액을 준비하고, 유화제를 사용하여 프리에멀젼을 형성시키고, 그 후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진행시켜도 된다. 각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상기에서 설명한 중합체에서의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등은 시판되는 약제를 사용해도 되며 스스로 원료를 준비해도 된다.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도 시판되는 약제를 사용해도 되며 일본 특허공개 2001-240630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된 방법에 준거하여 합성해도 된다.
이하, 에멀션 중합에 의해 증점제로서의 중합체를 얻을 경우에 사용되는 유화제, 중합 개시제 및 중합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에멀션 중합은 수성 매체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성 매체는 특별히 한정지 않고, 예컨대 물, 물과 혼합될 수 있는 용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 이와 같은 용매에 물이 주성분이 되도록 혼합한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물이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각종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 노니온계 계면 활성제,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고분자 계면 활성제, 이들 반응성 계면 활성제 등을 유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에는 나트륨도데실 설페이트, 칼륨도데실 설페이트, 암모늄알킬 설페이트 등의 알킬 설페이트염; 나트륨도데실폴리글리콜에테르 설페이트; 나트륨술폴리시노에이트; 술폰화 파라핀염 등의 알킬술포네이트; 나트륨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알칼리페놀히드록시에틸렌의 알칼리금속 설페이트 등의 알킬술포네이트; 고알킬나프탈렌 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 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에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아비에테이트 등의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에테르유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카르본산 에스테르 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호박산 디알킬에스테르 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 설페이트염 등이 포함된다. 단,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노니온계 계면 활성제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족 에스테르; 글리세롤의 모노라우레이트 등의 지방족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옥시드와 지방족 아민, 아미드 또는 산과의 축합 생성물 등이 포함된다. 단, 노니온계 계면 활성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노니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에는 디알킬디메틸 암모늄염, 에스테르형 디알킬 암모늄염, 아미드형 디알킬 암모늄염, 디알킬이미다졸리늄염 등이 포함된다. 단,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양성 계면 활성제에는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알킬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이 포함된다. 단, 양성 계면 활성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양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고분자 계면 활성제에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변성물; (메타)아크릴산계 수용성 고분자;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산계 수용성 고분자;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산계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포함된다. 단, 고분자 계면 활성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고분자 계면 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유화제 중에서는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면에서는 비노닐 페닐형의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열에 의해 분해되고 라디칼 분자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에멀션 중합에서는 수용성의 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에는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등의 과황산 염류; 2, 2'-아조비스(2-아미지노프로판) 2염산염, 4, 4'-아조비스(4-시아노펜탄산) 등의 수용성 아조 화합물; 과산화수소 등의 열분해계 개시제; 과산화수소와 아스콜빈산,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론갈릿, 과황산 칼륨과 금속염, 과황산 암모늄과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 등이 포함된다. 단, 중합 개시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예컨대, 전 모노머의 총량을 100질량부로 할 때, 바람직하게는 0.1~2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2~1질량부 사용한다.
제진재용 증점제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은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디아민 4초산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 폴리아클릴산 나트륨 등의 분산제나 무기염 등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모노머나 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 방법으로서는 일괄 첨가법, 연속 첨가법, 다단 첨가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첨가 방법을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에멀션 중합에서의 중합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100℃, 더 바람직하게는 40~95℃이다. 중합 시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15시간이다. 에멀션 중합할 때에 얻어지는 중합체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친수성 용매나 첨가제 등을 가해도 된다. 단량체 성분을 에멀션 중합 반응계에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괄 첨가법, 단량체 성분 적하법, 프리에멀션법, 파워 피드법, 시드법, 다단 첨가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멀션 중합 반응 후에 얻어지는 에멀션 중의 불휘발분, 즉 증점제로서의 중합체는 6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휘발분이 60질량%를 넘으면, 에멀션의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분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어서 응집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상기 에멀션의 평균 입경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nm~1μ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500nm이다. 에멀션의 평균 입경이 10nm 미만이면, 에멀션의 점도가 너무 높으며, 또한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한 채 응집할 우려가 있다. 한편, 1μm를 넘으면 에멀션이 아니게 되어 버린다.
에멀션 중합 시에, 분자량 저감을 위해 연쇄 이동제를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당 0.001~2질량부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에는 4염화탄소, 브로모포름, 브로모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치환 알칸; n-도데실메르캅탄, tert-도데실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테트라데실메르캅탄, 헥사데실메르캅탄 등의 알킬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부틸, 티오글리콜산 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 도데실 등의 모노티오 글리콜산 알킬 등의 티오에스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α-메틸스티렌 다이머, 터피놀, 테르피넨, 디펜텐 등을 들 수 있다. 단, 연쇄 이동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성분과 배합되어 제진재용 조성물, 예컨대 제진재용 에멀션 도료가 된다. 배합되는 다른 성분에는, 용매; 수계 공중합체 라텍스; 가소제; 안정제; 습윤제; 방부제; 발포 방지제; 무기질 충전제; 착색제; 분산제; 방녹 안료; 소포제; 노화 방지제; 방미(防黴)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진재용 조성물은 적어도 본 발명의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수성 공중합체 라텍스 및 무기질 충전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합물은 공지된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용매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 부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계 공중합체 라텍스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에멀션, 스티렌/(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단 중합에 의해 2종 이상이 복합화되어 있어도 된다. 무기질 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가오린, 실리카, 타르크, 황산바륨, 알루미나, 산화철, 산화티탄, 글래스 토크,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타르크, 규조토(珪藻土), 클레이 등의 무기질 충전제; 글래스 플레이크, 마이카 등의 인편(鱗片)상 무기질 충전제; 금속산화물 위스커, 유리 섬유 등의 섬유상 무기질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산화 티탄, 카본 블랙, 철단(鐵丹), 한자 옐로, 벤진 옐로, 프탈로시아닌 블루, 키나크리돈 레드 등의 유기 또는 무기의 착색제를 들 수 있다. 분산제로서는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등의 무기질 분산제 및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 등의 유기질 분산제를 들 수 있다. 방녹 안료로서는 인산 금속염, 몰리브덴산 금속염, 붕산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소포제로서는 실리콘계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제진재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40~9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85질량%,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80질량%의 범위 내의 고형분을 함유한다. 또한, 제진재용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7~11, 더 바람직하게는 8~10의 범위 내이다.
제진재용 조성물에서의 각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얻어지는 특성을 고려하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 배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의 배합 분량은 제진재용 조성물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5~1.5질량부,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O.1~1질량부이다. 수성 공중합체 라텍스의 배합량은 제진재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고형분으로 바람직하게는 10~6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5~55질량부,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0~50질량부이다. 무기질 충전제의 배합량은 제진재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9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5~85질량부,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80질량부이다. 단, 배합량이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진재용 조성물은 또한 다가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진재용 조성물의 안정성, 분산성, 가열 건조성이나 제진재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진재의 제진성이 향상된다. 다가금속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산화 아연, 염화 아연, 황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다가금속 화합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분체, 수분 산체나 유화 분산체 등이라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제진재용 조성물으로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이유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체 또는 유화 분산체, 더 바람직하게는 유화 분산체의 형태로 사용한다. 또한, 다가금속 화합물의 사용량은 제진재용 조성물 중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5.0질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5~3.5질량부이다.
혼합에 사용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버터플라이 믹서, 플라네타리 믹서, 스파이럴 믹서, 니더, 디졸버 등이 사용된다.
수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본 특허공개 2000-355602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계 고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크 내에 친수성 성분인 산 성분을 사전에 넣어 두고 중합를 개시해도 된다. 신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수계 고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해도 물론 상관없다. 수계 고중합체 라텍스는 보수성, 증점성 등의 각종 특성이 뛰어난 증점제와 배합된다. 이 때문에, 막 두께가 두꺼운 도막이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크랙이나 팽창이 발생하기 어려워 제진성이 뛰어난 제진재가 제공된다. 수계 고중합체 라텍스는 입자 주변의 수분량이 적어지면, 곧 융착하여 막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수계 고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은 특히 유용하다. 또한, 제진재용 조성물에 사전에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가 배합 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재용 조성물이 기재에 도포 및 건조됨으로써 제진재로서 작용하는 도막이 형성된다.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진재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솔, 주걱, 에어 스프레이, 에어리스 스프레이, 모르타르건, 리신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를 사용하여 조제된 제진재용 조성물은 자동차의 실내 밑바닥, 철도 차량, 선박, 항공기, 전기 기기, 건축 구조물, 건설 기기 등에적용된다. 단,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도막은 제진성이 뛰어나다. 도막을 형성한 때의 손실 계수(tanδ)가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16 이상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18 이상이다. 또한, 상기 손실 계수가 크면 클수록, 제진성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손실 계수는 실시예 기재의 방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제진재용 도료의 도포량은 용도나 소망하는 성능 등에 의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시의 피막 막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5~5.0m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4.5mm이다.
상기 제진재용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가열 건조해도 되고 상온 건조해도 된다. 효율성의 관점에서 가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제진재용 도료는 강제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할 경우라도 건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팽창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가열 건조를 사용할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가열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210℃, 더 바람직하게는 110~160℃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1: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질소 도입관, 적하 로트를 구비한 4구(口) 세퍼라블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115부),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에테르의 술폰산 암모늄염(1.5부)을 투입했다. 내온 68℃에서 교반하면서 천천히 질소를 흘려 반응 용기 내를 완전히 질소 치환했다. 다음에,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에테르의 술폰산 암모늄염(1.5부)을 이온 교환수(92부)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중합체 모노머로서 메타크릴산(40부), 옥타데실폴리옥시에틸렌(3-메틸-3-부테닐)에테르의 에스테르 결합물(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10부) 및 아크릴산 에틸(50부)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프리에멀션을 제작했다. 이와 관련하여, 메타크릴산은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원료이고, 옥타데실폴리옥시에틸렌(3-메틸-3-부테닐)에테르는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원료이며, 아크릴산 에틸은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유니트의 원료이다. 또한, 옥타데실폴리옥시에틸렌(3-메틸-3-부테닐)에테르의 에스테르 결합물(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의 구조를 이하에 나타낸다.
중합체 모노머를 포함하는 상기 프리에멀션의 5%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여 5 분 교반한 후, 아황산수소나트륨(0.017부)을 투입했다. 별도로 과황산 암모늄(0.23부)을 이온 교환수(23부)에 혼합하고, 중합 개시제 수용액을 제작했다. 이 중합 개시제 수용액의 5%를, 상기 반응 용기에 투입하며 20분간 교반하여 초기 중합을 수행했다. 반응 용기 내온을 72℃로 유지하고, 나머지의 프리에멀션 및 개시제 수용액을 2시간에 걸쳐 균일하게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이온 교환수(8부)로 적하 로트를 세정한 후 반응 용기에 투입했다. 내온을 72℃로 유지하고, 또한 1시간 교반을 계속한 후, 냉각하여 반응을 완료시켰다. 불휘발분 30%의 제진재용 증점제1을 얻었다.
[실시예2: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의 합성]
중합체 모노머로서 메타크릴산(40부), 옥타데실폴리옥시에틸렌(3-메틸-3-부테닐)에테르의 에스테르 결합물(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10부) 및 아크릴산 에틸(50부) 대신에 메타크릴산(40부), 옥타데실폴리옥시에틸렌아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 결합물(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10부) 및 아크릴산 에틸(50부)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제진재용 증점제2를 얻었다.
[비교예1: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고 있지 않는 증점제의 합성]
중합체 모노머로서 메타크릴산(40부), 옥타데실폴리옥시에틸렌(3-메틸-3-부테닐)에테르의 에스테르 결합물(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물)(10부) 및 아크릴산 에틸(50부) 대신에 메타크릴산(35부) 및 아크릴산 에틸(65부)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비교 제진재용 증점제3을 얻었다.
[실시예3, 4, 비교예2: 제진재용 에멀션도료의 조제]
실시예1, 2 및 비교예1에서 얻어진 제진재용 증점제 및 다른 성분을 하기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제진재용 조성물인 제진재용 에멀션 도료를 조제했다.
(배합 비율)
· 에멀션(주식회사 일본촉매제 아클리세트 DC-172) 148부
· 탄산칼슘(일동분화공업주식회사제 NN#200) 240부
· 첨가제(프로필렌글리콜) 19부
· 분산제(가오주식회사제 데몰 EP) 4.3부
· 제진재용 증점제 7부
· 소포제(선노프코주식회사제 노프코 8034L) 0.3부
또한, 비교예2에 있어서는 제진재용 증점제를 14부 배합했다. 이것은 제진재용 에멀션도료의 점도를 소정 값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조제된 제진재용 에멀션도료의 건조성 및 형성된 도막의 손실 계수에 대해 각각 평가했다. 각 평가 항목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평가 결과를 정리하여 표1에 나타낸다.
[건조성]
강판(일본 테스트패널제 SPCC-SD: 75mm 폭×150mm 길이×0.8mm 두께) 위에 제진재용 에멀션을 도포 두께가 1.5mm, 3.0mm 및 4.5mm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도포된 제진재용 에멀션을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15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건조 도막의 팽창 및 크랙의 유무를 평가했다. 팽창 및 크랙이 전혀 없는 경우를 ◎, 팽창 및 크랙이 거의 없는 경우를 ○, 팽창 및 크랙이 조금 발생하고 있는 경우를 △, 팽창 및 크랙이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경우를 ×로 했다.
[손실 계수]
강판(일본 테스트패널제 SPCC-SD: 15mm 폭×250mm 길이×0.8mm 두께) 위에 제진재용 에멀션을 도포 두께가 3.0mm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도포된 제진재용 에멀션을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15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건조 도막의 제진성을 손실 계수를 사용하여 평가했다. 손실 계수는 주식회사 오노측기의 손실 계수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25℃의 측정 환경에서 칸티레버 방법(cantilever)의 tanδ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손실 계수의 값이 크면 클수록 제진성이 양호함을 나타낸다.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2
건조성 도포 두께 1.5mm
3.0mm ×
4.5mm ×
손실 계수 0.35 0.36 0.08
표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진재용 에멀션을 사용하여 형성된 도막은 크랙이나 팽창이 생기기 어려워 우수한 제진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가 배합된 도료는 보수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두꺼운 도막이 형성된 경우에도 도막에 크랙이나 팽창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진성이 뛰어난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가 가지는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에 의해 용액의 점도가 효과적으로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재용 증점제가 가지는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에 의해 한층 효과적인 증점 작용이 야기된다.
2002년 9월 26일 출원되고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02-281245호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Claims (6)

  1.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를 가지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는 측쇄에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화학식1]
    -(R1-O)n-X-R2
    (식 중, R1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및 부틸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n은 10~300이고, X는 직접 결합, -C(=O)- 또는 -C(=O)NH-이며, R2는 탄소 수 6~30의 탄화수소기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합성 모노머유니트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화학식2]
    (식 중, n, X 및 R2는 상기 정의대로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 및 상기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원료인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 기인하는 모노머유니트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은 전 모노머유니트에 대해 20~69몰%이고, 회합성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은 전 모노머유니트에 대해 0.001~2.0몰%이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 기인하는 모노머유니트의 배합 비율은 전 모노머유니트에 대해 30~79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수성 공중합 라텍스 및 무기질 충전제를 포함하는 제진재용 조성물.
KR1020030066517A 2002-09-26 2003-09-25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KR100706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1245 2002-09-26
JPJP-P-2002-00281245 200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410A true KR20040027410A (ko) 2004-04-01
KR100706275B1 KR100706275B1 (ko) 2007-04-11

Family

ID=3197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517A KR100706275B1 (ko) 2002-09-26 2003-09-25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20014B2 (ko)
EP (1) EP1403347B1 (ko)
KR (1) KR100706275B1 (ko)
CN (1) CN1312236C (ko)
CA (1) CA2442758C (ko)
DE (1) DE60309641T2 (ko)
ES (1) ES2275055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15B1 (ko) * 2010-11-12 2013-02-22 애경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언더바디 코팅용 아크릴 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 코팅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2815B1 (fr) * 2004-07-08 2008-06-27 Coatex Soc Par Actions Simplif Utilisation de copolymeres acryliques hydrosolubles dans des formations aqueuses eventuellement pigmentees et formulations obtenues
CN101120183A (zh) 2005-02-18 2008-02-06 陶氏环球技术公司 水基减震物
JP4357502B2 (ja) * 2005-07-01 2009-11-04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水系塗布型制振材料
EP1930389A1 (en) * 2005-08-22 2008-06-11 Nippon Shokubai Co.,Ltd. Emulsion for vibration damper
US20070049697A1 (en) * 2005-08-22 2007-03-01 Nippon Shokubai Co., Ltd. Emulsion for vibration damping materials
US20070197713A1 (en) * 2005-08-22 2007-08-23 Nippon Shokubai Co., Ltd. Emulsion for vibration damping materials
EP1926778B1 (en) * 2005-09-20 2010-12-29 Nihon Tokushu Toryo Co., Ltd.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WO2007120810A2 (en) * 2006-04-13 2007-10-25 The Sherwin-Williams Company Pigment and coating composition capable of inhibiting corrosion of substrates
US20080097059A1 (en) * 2006-10-20 2008-04-24 Chan Sieh Enterprises Co., Ltd., Hiroshi Ohara Resin composition for making loudspeaker cone
JP5765869B2 (ja) * 2006-12-20 2015-08-1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Rohm And Haas Company 液状適用音響減衰材
JP5660779B2 (ja) * 2007-03-30 2015-01-28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4260200B2 (ja) * 2007-05-23 2009-04-30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系塗布型制振塗料
CN101802911B (zh) * 2007-09-14 2013-01-02 花王株式会社 用于垂直磁记录方式硬盘用基板的水系洗涤剂组合物
US7893151B2 (en) 2007-11-08 2011-02-22 Rohm And Haas Company Liquid-applied sound damping
JPWO2009096495A1 (ja) * 2008-02-01 2011-05-26 株式会社フジミ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研磨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US20110060066A1 (en) * 2008-05-09 2011-03-10 Nippon Shokubai Co, Ltd Emulsion composition for vibration damping material
EP3565849A4 (en) 2016-11-30 2021-01-13 Basf Se AQUATIC POLYMER EMULSIONS FOR SOUND ATTENUATION APPLICATIONS
WO2018206195A1 (en) * 2017-05-10 2018-11-15 Basf Se Polymer with branched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292A (en) * 1973-05-23 1975-06-17 Daubert Chemical Co Adhesive compositions and tapes
US4138381A (en) * 1975-04-14 1979-02-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thickener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US4230844A (en) * 1978-09-28 1980-10-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thickeners and uses thereof
GB8613408D0 (en) * 1986-06-03 1986-07-09 Crown Decorative Prod Ltd Thickeners
US4801671A (en) * 1987-06-25 1989-01-31 Desoto, Inc. Production of alkali-soluble, carboxyl-functional aqueous emulsion thickeners
US5610215A (en) * 1990-04-03 1997-03-11 Gregory A. Konrad Aqueous emul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FR2671088B1 (fr) * 1990-12-27 1994-04-15 Oreal Nouveaux copolymeres a base de n-alkyl acrylamid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epaississants, notamment dans des compositions de shampooing.
US5478602A (en) * 1992-05-29 1995-12-26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olymers containing macromonomers and their use in a method of coating substrates
US5705553A (en) * 1993-05-29 1998-01-06 Hoechst Aktiengesellschaft Copolym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in aqueous dispersion form or redispersible powder form and their water-soluble salt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thickeners in aqueous formulations
DE19607529A1 (de) * 1996-02-28 1997-09-04 Basf Ag Absorberelement aus superabsorbierenden Schäumen mit anisotropem Quellverhalten
US5814374A (en) * 1996-06-19 1998-09-29 Rohm And Haas Company Low VOC aqueous coating composition
JP2000178499A (ja) 1998-12-18 2000-06-27 Takeda Chem Ind Ltd 制振材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JP2000355614A (ja) * 1999-06-15 2000-12-26 Sumitomo Seika Chem Co Ltd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
JP3658264B2 (ja) * 2000-02-28 2005-06-08 株式会社日本触媒 新規なアルカリ可溶性増粘剤
JP3575537B2 (ja) * 2000-06-26 2004-10-13 株式会社日本触媒 紙塗工液及びそれを用いた塗工紙
US6646058B1 (en) * 2001-02-21 2003-11-11 The Sherwin-Williams Company Water-borne pai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hiding and scrub-resist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15B1 (ko) * 2010-11-12 2013-02-22 애경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언더바디 코팅용 아크릴 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 코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42758C (en) 2008-11-18
US20040072943A1 (en) 2004-04-15
US7420014B2 (en) 2008-09-02
EP1403347B1 (en) 2006-11-15
CA2442758A1 (en) 2004-03-26
DE60309641T2 (de) 2007-09-13
KR100706275B1 (ko) 2007-04-11
DE60309641D1 (de) 2006-12-28
ES2275055T3 (es) 2007-06-01
EP1403347A1 (en) 2004-03-31
CN1312236C (zh) 2007-04-25
CN1497022A (zh)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75B1 (ko) 수계 제진재용 증점제
KR100828698B1 (ko) 제진재용 수성 에멀젼
US8664286B2 (en)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EP0157928B1 (en) Aqueous dispersion of vinyl copolymer resin
US20070197713A1 (en) Emulsion for vibration damping materials
ES2228157T3 (es) Agente de recubrimiento.
US5621058A (en) Hydrophilic crosslinked polymer fin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20070088121A1 (en) Emulsion for vibration damping materials
JP4124714B2 (ja) 水系制振材用増粘剤
KR20060110848A (ko) 제진재용 에멀션 및 내칩핑재용 에멀션
EP0780411B1 (en) Hydrophilic crosslinked polymer fin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5105106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5133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5289803B2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US5681889A (en) Hydrophilic crosslinked polymer fin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8133394A (ja) 発泡性制振材用水性塗料及び制振材
JP3863761B2 (ja) 共重合体樹脂の水性分散液組成物、水性コーティング材、および乾燥塗膜
JP2004107518A (ja) 建材用エマルション塗料
JP2014028899A (ja) 塗膜仕上げ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