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702A -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과, 화이트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과, 화이트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702A
KR20040025702A KR10-2004-7000930A KR20047000930A KR20040025702A KR 20040025702 A KR20040025702 A KR 20040025702A KR 20047000930 A KR20047000930 A KR 20047000930A KR 20040025702 A KR20040025702 A KR 20040025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material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나살바토레
Original Assignee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2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7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6Multilayers, e.g. opaque mult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3Multilayers, e.g. opaque multi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애노드(12)와; 캐소드(14)와;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된 유기 전자발광 재료(13)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블루 광 이미터(blue-light emitter)이며, 상기 캐소드(14)는 제 1 층(16)과, 상기 제 1 층(16)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13)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17)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16)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제 2 층(17)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과, 화이트 발광 장치{ELECTRODE COMPOSITIONS}
최근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을 위한 유기 재료를 이용한다. 발광 유기 재료는 국제 출원 공개 제 WO 99/13148 호와, 미국 특허 제 4,539,507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의 내용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한다. 이들 장치의 기본 구조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압착된 폴리(p)-페닐렌비닐렌("PPV")의 필름과 같은 발광 유기 층이다. 전극중 하나(캐소드)는 음의 전하 캐리어(전자)를 주입하고, 다른 전극(애노드)은 양의 전하 캐리어(홀)를 주입한다. 전자 및 홀은 유기 층에서 조합되어 광양자(photon)를 생성한다. 미국 특허 제 4,539,507 호에 있어서, 유기 발광 재료는 (8-하이드로실퀴놀리노)알루미늄("Alq3")과 같은 작은 분자 재료로서 공지된 종류이다. 실제 장치에 있어서, 전극중 하나는 통상적으로 투명하여 광양자가 장치를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도 1은 전형적인 발광 장치(organic light-emissive device ; "OLED")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OLED는 전형적으로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 "ITO")과 같은 투명 제 1 전극(2)으로 코팅된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1)상에 제조된다. 이러한 코팅된 기판은 시중에서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ITO-코팅된 기판은 전자발광 유기 재료(3)의 박막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전형적으로 금속 또는 합금인 제 2 전극(4)을 형성하는 최종 층으로 커버된다. 다른 층은 장치에 부가되어, 예를 들면 전극과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서 전하 이송을 개선할 수 있다. 전압이 전력 공급원(5)으로부터 전극 사이로 연결되는 경우, 전극중 하나는 캐소드로서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애노드로서 작용한다.
전극의 성질은 장치의 효율에 큰 영향을 준다. 캐소드 전극을 위해서, 다수의 재료가 제안되었으며, 낮은 작용 기능을 가진 재료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 미국 특허 제 4,539,507 호는 인듐, 은, 주석, 납,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캐소드가 제안하고 있다.
· 국제 출원 공개 제 WO 00/48257 호는 알루미늄의 층, 칼슘의 층 및 플루오르화 리튬 및 마그네슘의 층을 구비하는 3층 캐소드를 제안하고 있다.
· 유럽 특허 공개 제 EP 0 822 603 A 호는 얇은 플루오르화층과 두꺼운 전도층을 포함하는 2층 캐소드를 제안하고 있다. 플루오르화물은 알칼리 플루오르화물 및 알칼리토 플루오르화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도층은 원소 금속, 금속 합금 및 전도성 금속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플루오르화 층에 있어서, 03 내지 5.0㎚ 범위의 두께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애노드와,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된 유기 전자발광 재료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블루 광 이미터(blue-light emitter)이며, 상기 캐소드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애노드와, 유기 전자발광 재료의 영역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을 포함하는 캐소드를 유기 전자발광 재료와 접촉시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층은 기본적으로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2 층은 기본적으로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으로 구성된다.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단지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의 두께는 200 내지 700㎚의 범위, 바람직하게, 300 내지 600㎚의 범위가 적당하다. 제 2 층의 두께는 2 내지 6㎚의 범위, 바람직하게 3 내지 5㎚ 범위가 적당하다.
유기 전자발광 재료가 폴리플루오렌 유닛을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소중합체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 폴리플루오렌이다.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하나 이상의 플루오렌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의 블루 발산 공중합체가 유용하다. 플루오렌 유닛은 재료로부터의 광 발산에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는 400 내지 500㎚ 범위의 파장에서 발산의 피크 강도를 갖는 것이 적당하다. 장치는 범위 0.1≤×≤0.2, 0.00≤y≤0.1, 바람직하게 범위 0.12≤×≤0.18, 0.02≤y≤0.8, 가장 바람직하게 범위 대략 ×=0.15, y=0.05에서 1931 CIE 좌표를 가진 칼라를 적절하게 발산할 수 있다.
장치는 RGB(레드, 그린, 블루) 디스플레이의 블루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장치는 애노드상 연결된 제 1 전력 공급원과, 캐소드의 제 1 층상에 연결된 제 2 전력 공급원을 포함한다.
제 2 층은 바람직하게 유기 전자발광 재료와 접촉된다. 바람직하게, 제 1 층은 제 2 층과 접촉된다. 바람직하게, 제 1 층은 유기 전자발광 재료로부터 제 2 층을 분리시켜서, 제 1 층이 유기 전자발광 재료와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층은 유기 전자발광 재료상에 증착에 의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부착 비율은 1과 5Å/s 사이이며, 바람직하게 대략 2Å/s 이다.
제 1 층의 일부 또는 모두는 증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증착 비율은 1Å/s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제 1 층이 부착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증착 온도 이하의 상승된 온도에서 유지시킴으로써 증착 전에 가스 제거된다. 상승된 온도는 500℃ 이상이 바람직하며, 재료는 상기 온도 또는 그 이상에서 5분 또는 그 이상 동안에 유지될 수 있다.
제 2 층의 일부 또는 모두는 증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증착 비율은 1Å/s 이하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루트는 증착 및/또는 1Å/s 이하의 부착 비율로 제 1 층의 일부를 100㎚ 또는 그 이상의 두께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층의 부분은 제 2 층과 절절하게 접촉한다. 양호하게, 제 2 층의 다음 제 1 부분은 5Å/s 보다 큰 비율로 부착(예를 들면 증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층이 부착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증착 온도 이하의 상승된 온도에서 유지시킴으로써 증착 전에 가스 제거된다. 상승된 온도는 500℃ 이상이 바람직하며, 재료는 상기 온도 또는 그 이상에서 5분 또는 그 이상 동안에 유지될 수 있다.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중합체 재료, 바람직하게 반도체 중합체 재료, 바람직하게 복합(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합체 재료이다. 선택적으로, 전자발광 재료는 작은 분자 재료, 소중합체 재료 또는 단중합체 재료와 같은 비중합체 유기 재료일 수 있다.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2개 이상의 전자발광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하게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층의 일 예는 전극 층과 발광 층 사이에 위치된 전하 이송 층이다. 상기 또는 각 전하 이송 층은 폴리스티렌 설폰산 도핑 폴리에틸렌 디옥시디오펜("PEDOT-PSS"), 폴리(2,7-(9,9-di-n-옥틸플루오렌)-(1,4-페닐렌-(4-이미노(벤조산))-1,4-페닐렌-(4-이미노(벤조산))-1,4-페닐렌))("BFA"), 폴리아닐린 및 PPV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4.3eV 이상의 작용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극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주석 산화물("TO")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중 적어도 하나는 적절하게 광 투과성이며, 바람직하게 발광 영역으로부터 발산된 광에 적절하게 투과성이다.
본 발명의 블루 발광 장치는 발광체 함유 커버와 조합될 때 화이트 광 공급원으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하다. 이러한 화이트 광 공급원의 일 예는 국제 출원 공개 제 WO 00/33390 호에 개시되어 있다. 화이트 광 공급원은 광범위한 잔류의 상업적이고 산업적인 세팅의 응용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이트 발광 장치로서, 애노드와,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된 유기 전자발광 재료의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로서,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블루 광 이미터(blue-light emitter)이며, 상기 캐소드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유기 발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이트 발광 장치는 유기 발광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형광체 함유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 함유 커버는 유기 전자발광 재료에 의해 발산된 광을 부분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광을 보다 긴 파장으로 발산하기에 적당하여 장치로부터의 전체 발산이 화이트가 된다. 바람직하게, 발광체 함유 커버는 그린-발산 발광체 및 레드-발산 발광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린 발산 발광체는 530-555㎚의 발산 피크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 레드 발산 발광체는 610-620㎚의 발산 피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화이트 광은 0.33, 041의 CIE 좌표와 3000-4100°K의 칼라 온도를 가진 광으로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 발광체 함유 커버는 발광 장치의 관찰 측상에 위치되며, 장치의 관찰 측의 적어도 50%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광 장치, 특히 발광 유기 재료에 의해 광을 발하는 장치용 전극의 조성물(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OLED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중층 캐소드를 구비하는 OLED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각종 재료의 캐소드를 구비하는 장치용의 인가된 전압에 대한 발광성 및 효율의 도면,
도 4는 각종 재료의 캐소드를 구비한 장치에 대한 시간에 대한 발광성의 도면.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 예로서 설명된다.
도 2는 이중층 캐소드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투명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11)을 포함한다. ITO로 형성된 투명 애노드전극(12)은 기판상에 있다. 애노드상에는 유기 발광 재료(13)의 층(13)이 있으며, 이 층(13)상에는 캐소드 층(14)이 있다. 캐소드 층(14)은 2개의 층(16, 17)을 포함한다. 층(17)은 층(16)과 발광 층(13)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층(16)을 층(13)으로부터 분리한다. 전력 공급원(15)은 애노드(12)와 캐소드(14)의 층(16)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전력 공급원은 전극 사이에 전압을 가하여 캐소드(14)를 애노드(12)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음이 되게 하도록 배치된다.
캐소드에서, 층(16)은 금속 층이다. 이것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층(16)의 두께는 10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이다. 층(17)은 플루오르화물 층이다. 이것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으로 형성된다. 층(17)의 두께는 2 내지 6㎚, 바람직하게 3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 대략 4㎚의 범위이다.
기판(11)과 애노드 전극(12)은 사전 제조되어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ITO-코팅된 유리 시트일 수 있다.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발광 층(13)은 ITO 층상에 부착된다. 발광 층은 예를 들면 스핀 코팅에 의해서 용액으로부터 종래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다음에, 캐소드는 발광 층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캐소드는 플루오르화 층(17)의 증착에 이어서 금속 층(16)의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다소 높은 비율이 이용될 수 있을 지라도, 매우 낮은 비율의 적어도 플루오르화 층, 바람직하게 1Å/s 이하를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최선의 결과를 위해서, 금속 층의 제 1 부분(적당하게 금속 층의 제 100㎚ 정도)은 이러한 낮은 비율로 또한 부착된다. 최선의 결과를 위해서, 각 캐소드 층의 재료가 부착되기 전에, 이것은 대략 5 내지 10분 동안 그 증발점(종래에 대략 650℃ 내지 670℃) 이하의 증발 온도로 유지됨으로써 가스 제거된다.
층(16)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층(17)이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으로 형성되어 있는 캐소드를 구비하는 장치는 캐소드의 다른 조성물을 구비하는 장치(플루오르화층이 플루오르화 리튬으로 형성된 것)보다 현저하게 바람직한 성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발광 재료가 스펙트럼의 블루 영역에서 발광할 때 특히 현저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블루 광 이미터의 일 예, 즉 10% TFB, 10% PFB, 80% F8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장치(A 내지 C)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블루 광 이미터의 다른 예는 디 와이 김(D Y Kim) 등이 폴리머 사이언스 25(2000) 판의 1089 내지 1139에 개시되어 있다.
장치는 하기의 표의 칼럼(2,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캐소드 구조를 갖도록 제조되었다.
장치 층(16) 층(17)(두께) 발광성/전압 표 효율/전압 표 발광성/시간 표
A Al NaF(4㎚) 20 23 26
B Al KF(2㎚) 21 24 27
C Al LiF(3㎚) 22 25 -
이들 장치의 각각에 대한 발광층은 10% TFB(즉, 비스(1,4-페닐렌)-4-sec-부틸페닐알라닌), 10% PFB(즉, 1,4-페닐렌-((4-부틸페닐) 이미노)-1,4-피닐렌((4-부틸페닐) 이미노)-1,4-페닐렌)) 및 80% F8(즉, 9,9-디옥틸플루오렌)로 구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는 국제 출원 공개 제 WO 00/55927 호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인가된 전압에 대한 장치의 발광성 및 효율을 도시한 것이다(상술한 표의 칼럼 4, 5). NaF 및 KF 장치(A 및 B)는 LiF 장치(C)보다 현저하게 양호한 발광성 및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장치(A 및 B)의 발광성을 도시한 것이다. 양 장치는 50cd/㎡ 이상에서 대략 2000 시간의 허용가능한 수명을 나타내고 있다. 층(16)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층(17)이 플루오르화 리튬으로 형성된 장치(C)와 같은 장치들은 이러한 형태의 장치에서 단지 매우 짧은 수명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국제 출원 공개 제 WO 00/48257 호에 개시된 캐소드와 비교할 때, 장치(A 및 B)는 높은 반응성이 있으며 변질을 유도하는 몇몇 상황에서 발견되는 금속성 칼슘을 포함하지 않은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3층 캐소드보다 2층 캐소드를 제조하는 것이 보다 간단하다. 실험은 NaF/Al 및 KF/Al 캐소드를 구비하는 장치가 LiF/Ca/Al/ 캐소드를 구비한 장치보다 상당히 높은 효율을 갖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상술한 발광 장치는 바람직하게 유기 중합체, 작은 분자 또는 소중합체 재료이다. 적당한 재료는 복합 플루오렌, 아민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캐소드 재료는 공통 캐소드 장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픽셀(통상적으로 상이한 발산 칼라를 가짐)은 공통 캐소드를 공유하지만 상이한 캐소드를 구비하고 있다.
한 층의 전하 이송 재료가 애노드와 발광 재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전하 이송 재료는 PEDOT-PSS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것과 무관하게 절대적으로 또는 명백하게 개시된 임의의 특징 또는 이들 특징의 조합이나, 이들의 모든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은 당 업자들에게 자명하다.

Claims (2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애노드와,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된 유기 전자발광 재료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블루 광 이미터(blue-light emitter)이며,
    상기 캐소드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기본적으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기본적으로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칼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200 내지 700㎚의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2 내지 6㎚의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가 폴리플루오렌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하나 이상의 플루오렌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의 공중합체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상에 연결된 제 1 전력 공급원과, 캐소드의 제 1 층상에 연결된 제 2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유기 전자발광 재료와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1Å/s 보다 낮은 비율로 유기 전자발광 재료상에 증착에 의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노드와, 유기 전자발광 재료의 영역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을 포함하는 캐소드를 유기 전자발광 재료와 접촉시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증착에 의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증착에 의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층을 부착시키기 전에 부착될 제 2 층으로부터 재료의 가스를 제거하는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층이 증착에 의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부착될 제 1 층의 제 1 부분이 1Å/s 이하의 비율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두께가 적어도 100㎚인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부착될 제 1 층의 다음 부분은 5Å/s/보다 큰 비율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층을 부착시키기 전에 부착될 제 1 층으로부터 재료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22. 제 13 항 또는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가 블루 광 이미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하나 이상의 플루오렌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의 공중합체인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24. 화이트 발광 장치에 있어서,
    애노드와,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된 유기 전자발광 재료의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로서, 상기 유기 전자발광 재료는 블루 광 이미터(blue-light emitter)이며, 상기 캐소드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 유기 전자발광 재료 사이에 위치된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제 2 층은 플루오르화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 칼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유기 발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이트 발광 장치는 유기 발광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형광체 함유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 함유 커버는 유기 전자발광 재료에 의해 발산된 광을 부분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광을 보다 긴 파장으로 발산하기에 적당하여 장치로부터의 전체 발산이 화이트가 되는
    화이트 발광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 함유 커버는 그린 발산 형광체와 레드 발산 형광체를 포함하는
    화이트 발광 장치.
KR10-2004-7000930A 2001-07-26 2002-07-24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과, 화이트발광 장치 KR200400257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118258.3A GB0118258D0 (en) 2001-07-26 2001-07-26 Electrode compositions
GB0118258.3 2001-07-26
PCT/GB2002/003394 WO2003012891A1 (en) 2001-07-26 2002-07-24 Electrod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702A true KR20040025702A (ko) 2004-03-24

Family

ID=991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930A KR20040025702A (ko) 2001-07-26 2002-07-24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과, 화이트발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007011A1 (ko)
EP (1) EP1410449A1 (ko)
JP (1) JP2004537833A (ko)
KR (1) KR20040025702A (ko)
CN (1) CN1543682A (ko)
GB (1) GB0118258D0 (ko)
TW (1) TWI291189B (ko)
WO (1) WO2003012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69B1 (ko) * 2007-12-20 2014-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8618T1 (de) 2002-09-03 2010-06-15 Cambridge Display Tech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gerätes
GB0306414D0 (en) * 2003-03-20 2003-04-23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s,their preparations and uses
KR20040093608A (ko) * 2003-04-30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계면쌍극자 조절을 통한 효율적인 유기발광소자
GB0326853D0 (en) * 2003-11-19 2003-12-24 Cambridge Display Tech Ltd Optical device
US7270894B2 (en) * 2004-06-22 2007-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 compound-metal multilayer electrode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GB0526185D0 (en) * 2005-12-22 2006-02-01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nic device
AU2007214967A1 (en) * 2006-02-13 2007-08-23 Solexant Corporation Photovoltaic device with nanostructured layers
JP2009527876A (ja) * 2006-02-17 2009-07-30 ソレクサ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ナノ構造の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バイス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9026649A (ja) * 2007-07-20 2009-02-05 Rohm Co Ltd 有機el発光装置
GB2484054B (en) * 2009-07-31 2014-09-03 Sumitomo Chemical Co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CN102347735A (zh) * 2011-05-19 2012-02-0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多层膜纳米微腔电流放大器
CN104124392A (zh) * 2013-04-24 2014-10-29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507A (en) * 1983-03-25 1985-09-03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JP3529543B2 (ja) * 1995-04-27 2004-05-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734442B2 (ja) * 1996-01-30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薄膜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5776622A (en) * 1996-07-29 1998-07-07 Eastman Kodak Company Bilayer eletron-injeting electrode for use in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677572A (en) * 1996-07-29 1997-10-14 Eastman Kodak Company Bilayer electrode on a n-type semiconductor
US5981306A (en) * 1997-09-12 1999-11-09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ethod for depositing indium tin oxide layers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KR0176336B1 (ko) * 1996-12-31 1999-04-01 박원훈 아세틸렌기를 함유한 플로렌계 교대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소자
KR100697861B1 (ko) * 1998-03-13 2007-03-22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전장 발광 디바이스들
US6344268B1 (en) * 1998-04-03 2002-02-05 Certainteed Corporation Foamed polymer-fiber composite
US6849869B1 (en) * 1999-07-19 2005-02-01 Dupont Displays, Inc. Long lifetime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and improved radiance
EP1076368A2 (en) * 1999-08-11 2001-02-14 Eastman Kodak Company A surface-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JP4482966B2 (ja) * 1999-08-20 2010-06-16 Tdk株式会社 El表示装置
MY141175A (en) * 2000-09-08 2010-03-3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in film forming apparatus
KR100453809B1 (ko) * 2001-07-21 2004-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피로비플루오렌 화합물 및 전기발광 고분자와 이를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US6809471B2 (en) * 2002-06-28 2004-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Phosphors containing oxides of alkaline-earth and Group-IIIB metals and light sources incorporating the same
US6949219B1 (en) * 2002-12-13 2005-09-27 Calgon Carbon Corporation Method for disinfection of activated carbon through contact with peroxide containing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69B1 (ko) * 2007-12-20 2014-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2891A8 (en) 2003-03-13
CN1543682A (zh) 2004-11-03
GB0118258D0 (en) 2001-09-19
JP2004537833A (ja) 2004-12-16
TWI291189B (en) 2007-12-11
US20050007011A1 (en) 2005-01-13
EP1410449A1 (en) 2004-04-21
WO2003012891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5910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
KR101295988B1 (ko) 스택형 유기 전자 발광 장치
JP501743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装置
JP530372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060145599A1 (en) OLEDs with phosphors
GB2340304A (en) Organic light emitters
JP2006012821A (ja) 有機電子デバイス用の金属化合物−金属多層電極
KR20040025702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과, 화이트발광 장치
WO2000057446A1 (en) High efficiency electrode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US7768197B2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64234A1 (en) Emissive polymer layer
CN115224211A (zh) 有机发光二极管及显示面板
KR101193181B1 (ko)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 및 고효율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50114204A (ko) 다중-픽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
JP2017079146A (ja) 白色発光有機el素子及びこれを含む白色発光有機el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