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376A -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376A
KR20040024376A KR1020020055971A KR20020055971A KR20040024376A KR 20040024376 A KR20040024376 A KR 20040024376A KR 1020020055971 A KR1020020055971 A KR 1020020055971A KR 20020055971 A KR20020055971 A KR 20020055971A KR 20040024376 A KR20040024376 A KR 2004002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panel
hang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520B1 (ko
Inventor
김근영
채재희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5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1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gas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프레임으로 모듈화하여 모듈 단위로 조립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립 과정에서 패널 간의 얼라인 및 모듈간의 얼라인을 구현한 조립 방법을 개시한다.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접되는 한 쌍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레임으로 조립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모듈; 및 상기 모듈이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과 얼라인 조절 장치로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얼라인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판을 베이스로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켜 인접되는 모듈 간의 위치를 얼라인하는 행거를 구비한다.
따라서, 복수 매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대화면을 구현함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정확한 얼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됨에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모듈 단위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립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Large scale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프레임으로 모듈화하고 한 쌍의 모듈 단위로 조립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패널 간의 얼라인 및 모듈간의 얼라인을 구현한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발되면서, LED, LC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으며, 이들의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그 적용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들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대화면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단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써는 기술적인 한계로 인하여 대화면 요구를 수용하는 범위가 한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매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대화면을 구현하며, 이들 단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정확한 얼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될 수 있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된 한 쌍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특히, 상하로 인접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모듈화하고, 이 모듈들을 조립하여 대화면을 구성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단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조립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방법에 의하여 4 매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조립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의 결합에 이용되는 플레이트 바의 사시도
도 6은 접착 가이더를 이용한 플레이트 바의 얼라인 및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Ⅰ-Ⅰ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좌측 프레임(단위 모듈)이 행거의 이동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조립도
도 10은 행거의 이동판의 가이드 블록과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 블록의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행거의 이동판과 고정판 간의 결합 상태와 얼라인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행거가 지지대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3은 얼라인 조절 장치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얼라인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행거가 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접되는 한 쌍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레임으로 조립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모듈; 및 상기 모듈이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과 얼라인 조절 장치로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얼라인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판을 베이스로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켜 인접되는 모듈 간의 위치를 얼라인하는 행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듈은, 한 쌍의 서로 인접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면이 접착되고 그 이면에 팬너트가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바, 및 상기 플레이트 바의 상기 팬너트와 보울트로 결합되는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의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제 1 가이드 블록이 구성되고, 상기 행거의 이동판에 상기 제 1 가이드 블록과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제 2 가이드 블록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모듈과 상기 행거의 이동판은 측면 슬라이딩 결합됨이 바랍직하다.
또한, 상기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고정체;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고정체; 상기 이동판과 면접하는 상기 고정판의 면에 좌우측에 분할되어 각각 설치며, 그 상부에 분할된 양측의 동일 수평 위치에 수평으로 나사 관통구를 갖는 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제 3 고정체; 상기 제 3 고정체의 위치조절부와 그에 인접한 상기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 간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레그; 및 상기 위치 조절부의 상기 나사 관통구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위치 조절부에 접하는 영역과 그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영역에 나사가 형성된 위치 조절봉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위치 조절봉을 회전시켜서 인력과 척력이 상기 제 1 고정체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방법은, 상부패널과 하부 패널을 플레이트 바와 접착하는 제 1 단계; 모듈지그를 이용하여 상부/하부 패널을 프레임에 얼라인하는 제 2 단계; 프레임에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제 3 단계; 일측 프레임을 행거의 이동판에 1차 타겟 위치로 슬라이딩 시켜 조립하는 제 4 단계; 일측 프레임을 최종 위치로 슬라이딩시켜 고정하는 제 5 단계; 타측 프레임을 행거의 이동판에 1차 타겟 위치로 슬라이딩 시켜 조립하는 제 6 단계; 타측 프레임의 패널을 상기 일측 프레임의 패널로 밀착 고정하는 제 7 단계; 양측 프레임들을 수직으로 얼라인하는 제 8 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4 매의 패널(100)이 세트로 조립되고, 이들 패널들(100) 중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프레임(200)이 구성되고, 좌우 두 모듈의 세팅 상태를 지지하면서 얼라인을 조정하는 행거(300)가 구성된다. 행거(300)는 이동판(310)과 고정판(320)을 구비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행거(300)와 결합되면서 4 매의 패널(100)들로 이루어지는 화면과 그의 측면 및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탑샤시(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탑샤시는 바람직하게는 전면으로 장방형상으로 관통된 영역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대(400)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1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써 도 2의 평면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널(100)은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 후면(102)과 x, y 전극이 형성된 전면(104)이 실링되어서 접합된 구조를 가지며, 전면(104)과 후면(102)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변은 단부가 일치되게 정렬되어 실링되고, 다른 변들 쪽으로는 전면(104)이 실링 영역보다 연장된 면을 갖는다. 여기에서패널(100)의 실링된 내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일치한다.
도 2의 패널(100)은 4개가 조합되어 하나의 대화면을 이루고, 상호 인접한 패널(100)간의 실링 영역 사이는 심(Seam) 영역(도 4의 108)으로써 디스플레이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 영역에서 패널간 접촉이 발생되므로 이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패널(100)의 해당 변부에 두께 t를 갖도록 도 3과 같이 완충부재(106)가 접착된다. 이때 두께는 수 밀리미터 이내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패널(100)의 네 변에 모두 완충부재(106)가 접착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106)로써 실리콘 재질의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심 영역(108)은 4개의 패널(100)이 접합된 상태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을 형성하며, 이를 사분면으로 이해하면, 제 1 사분면 대 제 2 사분면의 패널 구조와 제 3 사분면 대 제 4 사분면의 패널 구조는 서로 대칭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 1 사분면과 제 3 사분면의 패널 구조 및 제 2 사분면과 제 4 사분면의 패널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한 구조의 패널들은 도 3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패널(100a, 100b)이 하나의 모듈로 먼저 조립되어서 A 방향으로 행거(300)에 슬라이딩되어서 조립되고, 그 반대에 배치되는 패널(100c, 100d)이 다른 하나의 모듈로 조립되어서 c 방향으로 행거(300)에 슬라이딩되어서 조립된다.
이때 A 방향과 C 방향으로 각 모듈이 슬라이딩될 때 1차적으로 Rp 위치(1차 타겟 위치)까지 슬라이딩된 후 최종적으로 R위치(최종 위치)로 미세조정된다. 그결과 4 개의 패널(100a, 100b, 100c, 100d)은 도 4와 같이 각각 실링된 면이 접하도록 조립된다.
실시예에 따른 조립 순서는 도 16과 같이,
"단계 S10 : 상부/하부 패널을 플레이트 바와 접착 → 단계 S12 : 모듈지그를 이용하여 상부/하부 패널을 프레임에 얼라인 → 단계 S14 : 프레임에 상부/하부 패널을 고정 → 단계 S16 : 좌측 프레임을 행거(300)의 이동판(310)에 슬라이딩(1차 타겟 위치로) → 단계 S18 : 좌측 프레임을 최종 위치로 슬라이딩(미세조정) → 단계 S20 : 우측 프레임을 행거(300)의 이동판(310)에 슬라이딩 → 단계 S22 : 우측 프레임의 패널을 좌측 프레임의 패널로 밀착 고정 → 단계 S24 :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패널들을 얼라인"의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한 단계별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S10>
상부 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은 동일한 프레임(200)에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며, 상부 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의 후면에는 도 5와 같이 일면에 양면 접착제(112)가 부착되고 그 이면에 일렬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팬너트(114)가 형성된 플레이트 바(110)가 복수 개 일렬로 부착된다.
여기에서 팬너트(114)의 높이는 결합될 프레임(200)의 두께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며, 중앙에 볼트 결합을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고 관통되지 않는다.
도 5의 플레이트 바(110)는 도 6과 같이 접착 가이드(500)에 의하여 접착 위치가 얼라인되어 패널(100)에 접착된다.
패널(100)과 접착 가이드(500)는 상호 미리 결정되어 형성된 얼라인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얼라인이 결정되며, 얼라인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촬상소자(CCD) 등이 이용되거나 그를 이용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접착가이드(500)의 패널(100) 상 얼라인이 완료되면, 접착가이드(500)에 미리 형성된 관통공(502)에 의하여 플레이트 바(110)와 패널(100) 상에 접착될 위치가 지정된다. 이때 관통공(502)은 플레이트 바(110)의 평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이를 관통가능한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접착 가이드(500)에는 패널 단위로 일렬로 접착된 플레이트 바(110) 수에 대응되는 수로 관통공(5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접착 위치가 결정되어 플레이트 바(110)는 패널(100a, 100b)에 각각 접착된다.
여기에서 플레이트 바(110)가 접착되는 위치는 상부 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이 설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짐의 편차(틸트각)가 없도록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단계 S12>
플레이트 바(110)가 접착된 패널(100a, 100b)들은 모듈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얼라인된다. 모듈지그는 상부패널(100a)과 하부패널(100b)을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시키고 상호 유격이 없도록 대응변을 접하게 서로 수직으로 이동시켜 배치하고, 양 패널(100a, 100b) 간의 R, G, B 패턴이 일치되도록 좌우 얼라인을 수행한다.
이때, 얼라인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촬상소자(CCD) 등이 이용되거나 그를 이용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14>
모듈 지그에 의하여 얼라인된 상부 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은 동일 프레임(200)에 도 7 및 도 8과 같이 고정된다.
이때 프레임(200)의 팬너트(114)가 고정될 홈은 단계 S12에서 얼라인에 따른 위치 보정 차를 허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상부패널(100a)와 하부패널(100b)은 도 8과 같이 보울트(116)에 의하여 프레임(200)과 나사결합되며, 필요에 따라서 보울트(116)의 머리보다 큰 직경의 너트(118)가 나사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의 좌우 및 상하 얼라인은 전술한 단계들에 의하여 보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은 하나의 모듈을 이루며, 실시예는 2 개의 모듈(4개의 패널)이 하나의 대화면을 이루므로, 상기한 단계 S10 내지 단계 S14의 과정과 동일하게 상대되는 패널(100c, 100d)의 모듈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16>
이와 같이 각각 상부패널(100a)과 하부패널(100b)을 포함하는 좌측 모듈과 상부패널(100c)과 하부패널(100d)를 포함하는 우측 모듈이 도 9 및 후술되는 도 12, 도 14와 같이 지지대(400)에 미리 설치된 행거(300)에 결합된다.
각 모듈들은 해당 프레임(200)의 행거(300)에 결합됨으로써 세팅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행거(300)는 이동판(310)과 고정판(320)으로 구성되며, 이동판(310)에 가이드 블록(312)이 구성되고, 이동판(310)과 고정판(320)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얼라인 장치에 의하여 결합된다.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프레임(200)과 행거(300)의 이동판(310)의 결합을 설명한다.
프레임(200)과 행거(300)는 모듈 단위로 하나씩 구성되며, 행거(300)의 가이드 블록(312)에 대응되게 프레임(200)에도 가이드 블록(210)이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상부에 두 개, 하부에 두 개씩 나눠서 가이드 블록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00)에는 패널(100a, 100b)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들과 컨트롤러 및 파워 공급회로들을 실장한 복수의 보드들이 탑재되며(도 15 참조), 이들이 탑재될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프레임(200)과 가이드 블록(210)은 이들의 탑재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 상태는 양단의 너트로 결합되는 보울트(212)에 의햐여 지지된다.
보울트(212)는 가이드 블록(210)이 배치되는 프레임(200)의 횡방향으로 일렬로 소정수 설치된다. 그리고, 보울트(212)의 양단 나사부분의 직경보다 지지를 위한 중심 부분의 직경이 더 넓으며, 보울트(212) 중심 부분의 직경보다 프레임(200)과 가이드 블록(210)의 나사 결합을 위한 관통공의 직경이 작아야 한다.
프레임(200)의 가이드 블록(210)은 프레임(200)의 횡방향보다 작은 길이의 바 형상으로써 중앙에 일렬로 보울트(212)와 결합을 위한 관통공을 가지며, 길이 방향 양 변부에 서로 대칭되게 바깥쪽으로 사각 단부가 절곡되면서 소정 높이 돌출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게 행거(300)의 이동판(310)에 고정되는 가이드 블록(312)은 양단이 돌출되고, 돌출된 각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210)의 연장 단부와 대응되는 채널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부 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이 고정된 프레임(200)이 행거(300)의 좌측 방향에서 가이드 블록(312, 210) 간의 결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최종 위치까지 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될 경우, 상부패널(100a)과 하부 패널(100b)의 진행방향 단부의 파손이 우려될 수 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표시된 Rp 위치 즉 1차 타겟 위치까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면서 프레임(200)과 행거(300)의 이동판(310)이 결합될 수 있다.
1차 타겟 위치를 인위적으로 설정하기 위려운 경우, 행거(300)의 가이드 블록(312)의 양측벽 채널 또는 임의 위치에 버턴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스토퍼(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12)에 구성상 곤란이 존재할 경우 이동판(30)의 소정 위치에 1차 타겟 위치에 해당되도록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의 위치는 최종 위치로부터 수 밀리미터 또는 수 센티미터 이내의 범위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단계 S18>
상기한 스토퍼나 인위적인 제한으로 1차 타겟 위치까지 행거(300)의 이동판(310) 상에 프레임(200)을 이동시킨 후, 최종 위치 R까지 미세하게 위치를 조정하면서 프레임(200)을 고정시킨다.
이때 프레임(200)의 미세한 위치 조정은 매뉴얼(수동) 또는 메카니컬(기구적인)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과정에 의하여 좌측 프레임(200)을 행거(300)의 이동판(310)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완료된다.
<단계 S20, 단계 S22>
상부 패널(100c)와 하부 패널(100d)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우측 행거에 고정하는 방법도 단계 S16, 단계 S18과 동일하다.
단계 S22에서 우측 모듈 즉 우측 프레임을 최종 위치에 고정시킨에 따라 각각에 해당되는 패널은 도 4와 같이 배치된다.
<단계 S24>
상기한 바와 같이 두 모듈 즉 두 프레임(200)에 결합된 4 매의 패널들(100a, 100b, 100c, 100d)이 서로 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면, 행거(300)의 얼라인 장치에 의하여 도 13과 같이 수직 얼라인이 수행된다.
먼저, 행거(300)의 이동판(310)과 고정판(320)의 구성을 살펴보면,이동판(310)은 해당 프레임(200)을 지지하며, 이동판(310)과 고정판(320)은 얼라인 장치로 결합되고, 고정판(320)은 도 12 및 도 14와 같이 지지대(400)에 고정된다.
얼라인 장치는 이동판(310)의 상부와 고정판(320)의 하부에 수직으로 이격되면서 분할되어 각각 설치되는 고정체(314, 316), 이동판(310)과 면접하는 고정판(320)의 면에 좌우측에 분할되어 각각 설치되는 고정체(322), 각 고정체(322)의 동일 수평 위치에 설치되며 중앙에 수평으로 나사 관통구를 갖는 위치 조절부(326), 서로 인접한 고정체와 위치 조절부(326) 간을 연결하며 양단이 힌지 결합된 레그(330) 및 위치 조절부(326)의 나사 관통구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위치 조절부(326)에 접하는 영역과 그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영역에 나사가 형성된 위치 조절봉(328)을 포함한다.
상기한 얼라인 장치에 의하여 위치 조절봉(328)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서 위치 조절부(326)들이 서로 이동하여 이격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진다. 그러면 그에 연동하여 인력과 척력이 레그(330)를 통하여 고정체(314, 316)에 전달되고, 인력이 고정체(314)에 전달되는 경우 고정판(320)의 고정체(316)를 기준으로 이동판(310)의 고정체(314)가 하부로 이동되며, 척력이 고정체(314)에 전달되는 경우 고정판(320)의 고정체(316)를 기준으로 이동판(310)의 고정체(314)가 상부로 이동된다.
그 결과, 행거(300)의 이동판(310)에 결합된 프레임 즉 모듈이 도 13과 같이 상하로 이동되며, 행거(300)는 모듈 별로 구성되므로 좌측 모듈과 우측 모듈이 상하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여 좌측 모듈의 패널(100a, 100b)들과우측 모듈의 패널(100c, 100d)들이 수직 얼라인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6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조립되고, 실시예는 도 12 및 도 14와 같이 지지대(400)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300)의 고정판(320)이 지지대(400)의 수직 프레임(41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400)는 베이스(404)와 수직 지지봉(402)이 양측에 구성되고, 그 사이에 수직 프레임(410)이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410)은 상부와 하부의 수평바(406)와 수평 바(406) 간에 행거(300)를 각각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한 쌍씩 구성되는 수직 바(408)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스탠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404)에 바퀴를 구비하는 경우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면으로 예시된 이외에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벽걸이 형 또는 천정걸이 형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실시예는 도 15와 같이 수직 프레임(410)과 결합될 때 탑샤시(600) 및 보호 시트(610)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매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대화면을 구현함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정확한 얼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됨에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모듈 단위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립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4)

  1. 인접되는 한 쌍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레임으로 조립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모듈; 및
    상기 모듈이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과 얼라인 조절 장치로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얼라인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판을 베이스로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켜 인접되는 모듈 간의 위치를 얼라인하는 행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한 쌍의 서로 인접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면이 접착되고 그 이면에 팬너트가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바;
    상기 플레이트 바의 상기 팬너트와 보울트로 결합되는 프레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팬너트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얼라인에 따른 위치 보정 차를 허용하는 이상의 유격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너트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제 1 가이드 블록이 구성되고, 상기 행거의 이동판에 상기 제 1 가이드 블록과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제 2 가이드 블록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모듈과 상기 행거의 이동판은 측면 슬라이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블록은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부품들을 고려한 이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과 이격 상태를 지지하는 보울트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최종 고정 위치 이전에 스토퍼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슬라이딩 방향 최종 고정 위치 이전에 스토퍼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버턴 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고정체;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고정체;
    상기 이동판과 면접하는 상기 고정판의 면에 좌우측에 분할되어 각각 설치되며, 그 상부에 분할된 양측의 동일 수평 위치에 수평으로 나사 관통구를 갖는 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제 3 고정체;
    상기 제 3 고정체의 위치조절부와 그에 인접한 상기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 간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레그;
    상기 위치 조절부의 상기 나사 관통구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위치 조절부에 접하는 영역과 그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영역에 나사가 형성된 위치 조절봉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위치 조절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인력과 척력이 상기 제 1 고정체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리 배치된 베이스와 그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직 지지봉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을 갖는 지지대가 더 구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행거의 고정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수직 프레임은 상부와 하부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 간에 상기 행거의 고정판을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한 쌍씩 구성되는 수직 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립시 다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는 변은 실라인에 접하여 절단되고, 그 변부에 완충 부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14. 상부패널과 하부 패널을 플레이트 바와 접착하는 제 1 단계;
    모듈지그를 이용하여 상부/하부 패널을 프레임에 얼라인하는 제 2 단계;
    프레임에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제 3 단계;
    일측 프레임을 행거의 이동판에 1차 타겟 위치로 슬라이딩 시켜 조립하는 제 4 단계;
    일측 프레임을 최종 위치로 슬라이딩시켜 고정하는 제 5 단계;
    타측 프레임을 행거의 이동판에 1차 타겟 위치로 슬라이딩 시켜 조립하는 제 6 단계;
    타측 프레임의 패널을 상기 일측 프레임의 패널로 밀착 고정하는 제 7 단계;
    양측 프레임들을 수직으로 얼라인하는 제 8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020055971A 2002-09-14 2002-09-14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084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971A KR100842520B1 (ko) 2002-09-14 2002-09-14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971A KR100842520B1 (ko) 2002-09-14 2002-09-14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76A true KR20040024376A (ko) 2004-03-20
KR100842520B1 KR100842520B1 (ko) 2008-07-01

Family

ID=3732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971A KR100842520B1 (ko) 2002-09-14 2002-09-14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5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11B1 (ko) * 2007-02-05 2008-06-05 김성수 엘씨디비전의 멀티화를 위한 고정유닛
KR101043542B1 (ko) * 2011-02-01 2011-06-21 서민희 원적외선 방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170113956A (ko) * 2016-03-30 2017-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230932A (zh) * 2018-02-09 2018-06-29 深圳市迈锐光电有限公司 一种新型便于拼接的户外防水led显示屏
CN108399868A (zh) * 2018-05-11 2018-08-14 太仓市汉德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户外小间距led屏
WO2020141829A1 (en) 2019-01-04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4730535A (zh) * 2019-11-20 2022-07-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119A (ja) * 1998-10-28 2000-05-12 Pioneer Electronic Corp 平面型表示装置
JP2000137449A (ja) * 1998-11-02 2000-05-16 Kcc Shokai:Kk プラズマ表示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11B1 (ko) * 2007-02-05 2008-06-05 김성수 엘씨디비전의 멀티화를 위한 고정유닛
KR101043542B1 (ko) * 2011-02-01 2011-06-21 서민희 원적외선 방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170113956A (ko) * 2016-03-30 2017-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230932A (zh) * 2018-02-09 2018-06-29 深圳市迈锐光电有限公司 一种新型便于拼接的户外防水led显示屏
CN108399868A (zh) * 2018-05-11 2018-08-14 太仓市汉德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户外小间距led屏
CN108399868B (zh) * 2018-05-11 2020-11-27 杭州九滴久酒业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户外小间距led屏
WO2020141829A1 (en) 2019-01-04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EP3857601A4 (en) * 2019-01-04 2021-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1251333B2 (en) 2019-01-04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4730535A (zh) * 2019-11-20 2022-07-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520B1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5606B1 (en) Adjustable display tile for tiled display
KR101555185B1 (ko) 패널 디스플레이 서스펜션 시스템 및 패널 디스플레이 서스펜션 시스템을 구비한 패널 디스플레이
CN100517004C (zh) 框架及采用该框架的显示装置
KR100842520B1 (ko)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JP4664366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09521674A5 (ko)
US9546757B2 (en) Support structure for an article, method of mount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support bracket
CN112309267A (zh) 显示设备和平铺耦接器
US8205653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rates
WO2022120573A1 (zh) 显示屏拼接结构及智能交互平板
KR102164283B1 (ko) 모노폴 안테나 고정 장치
KR930005548B1 (ko) Stn액정 모듈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N218671314U (zh) 一种拼接屏支撑结构
US20100328556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CN215010880U (zh) 液晶屏用pcb板加工夹具
JP2016160680A (ja) アンカーボルト調整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CN105161019B (zh) 一种led显示屏体的单元拼装件
CN110248071B (zh) 一种摄像模组
KR100585026B1 (ko) 수평 조정이 가능한 기판로딩 베이스
CN220498980U (zh) 一种led显示屏的辅助装配夹具
CN212138049U (zh) 一种快速化定位安装结构
US20140036476A1 (en) Backlightmodule, Assembly Method and Assembly Fixture for Backlightmodule
CN220112633U (zh) 一种多功能led灯焊接治具
US202200930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of a polygonal display wall
JP2010050200A (ja) 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