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95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956A
KR20170113956A KR1020160038176A KR20160038176A KR20170113956A KR 20170113956 A KR20170113956 A KR 20170113956A KR 1020160038176 A KR1020160038176 A KR 1020160038176A KR 20160038176 A KR20160038176 A KR 20160038176A KR 20170113956 A KR20170113956 A KR 2017011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nter
coupled
stan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109B1 (ko
Inventor
전용준
조석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1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패널모듈이 결합되는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스탠드 브라켓, 스탠드 브라켓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패널을 연결 배치시켜 원하는 크기의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곡면형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과 더불어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의 패널모듈의 배면끼리 마주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2개의 패널모듈(t1, t2)를 하부에서 받치는 2개의 요홈이 형성된 받침판(1)을 스탠드(3)의 지주(3a)의 중간부에 고정되게 형성하고 패널모듈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2개의 요홈(2a, 2b)이 형성된 고정판(2)을 스탠드(3)의 지주(3a)의 상부 나사부(3b)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고정판(2)의 통공으로 관통된 나사부(3b)에 체결너트(3n)을 체결하며 스탠드 지주(3a)는 지지판(3p)에 장착된 볼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커서 수요자가 요구하는 미적 감각이 떨어지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한개의 패널모듈이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패널모듈도 원하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해서 제조 및 공정 등의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수요자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슬림화 또는 경량화하는 것 뿐만아니라,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슬림화 또는 경량화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하고 사용 편리성을 높이면서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서 패널을 연결 배치시켜 원하는 크기의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곡면형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과 더불어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패널모듈이 결합되는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스탠드 브라켓, 스탠드 브라켓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서 패널을 연결 배치시켜 원하는 크기의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곡면형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과 더불어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패널모듈(201)이 결합되며 양측 단부 중 한쪽은 전면에 다른 한쪽은 후면에 각각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이 삽입되는 단차부(203a)가 구비되어 있는 센터 프레임(203), 상측 단부에 센터 프레임(203)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삽입홈(211b)이 구비되어 있는 스탠드 브라켓(211), 스탠드 브라켓(211)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측면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205a)이 구비되어 있는 스탠드 프레임(205)을 포함한다.
즉,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한개의 패널모듈이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두께가 커지고 미적 외관상의 제약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이 별도의 스탠드 프레임(205)에 외장되는 구조이어서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과 더불어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프레임(205)의 하측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이 실장되는 데스크 프레임(2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스크 프레임(220)은 스탠드 프레임(205)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21), 상부 프레임(221)과 상하로 이격되며 지지대(225)로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223), 상부 프레임(221)과 하부 프레임(223)의 상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상부 데스크커버(227)와 하부 데스크커버(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패널모듈(201)은 액정 패널모듈이거나 발광 패널모듈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패널모듈(201)이 액정 패널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패널모듈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모듈(201)이 발광 패널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패널모듈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203)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패널모듈(201)이 안착되는데, 본 발명의 패널모듈(201)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201a)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패널모듈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모듈(201)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201b, encapsulation member)가 패널(201a)의 배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재(201b)는 금속 기판이며, 패널(201a)의 전면에는 편광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모듈(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가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씰부재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패널모듈(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패널모듈(201)의 배면에는 IC가 실장된 복수개의 연성 케이블(204)이 패널모듈(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패널모듈(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202, S-PCB)이 설치되며,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에는 저항, 콘덴서, 케이블 콘넥터 등의 회로부품 등이 실장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연성 케이블(204)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패드부(미도시)와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모듈(201)은 복수개의 연성 케이블(204)을 통해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은 복수의 연성 케이블(2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패널모듈(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연성 케이블(204)의 측면에는 연성 케이블(204)의 IC와 회로부품을 보호하는 방습절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센터 프레임(203)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패널모듈(201)이 결합되어 일면 또는 양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센터 프레임(203)의 양측 단부 중 한쪽은 전면에 다른 한쪽은 후면에 각각 패널모듈(201)의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이 삽입되는 단차부(203a)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 프레임(203)의 하단부는 스탠드 브라켓(21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스탠드 브라켓(211)의 상측 단부에는 센터 프레임(203)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삽입홈(211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스탠드 브라켓(211)의 프레임삽입홈(211b)에 센터 프레임(203)의 하단부가 안착된 후 센터 프레임(203)의 외측에서 고정 브라켓(211a)이 체결부재로 센터 프레임(203)과 스탠드 브라켓(211)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203)의 단차부(203a)에는 전면과 후면에 패널모듈(201)이 결합될 때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이 삽입되고 단차부(203a)의 끝단에서 컨넥트 브라켓(213)이 체결부재(232)로 센터 프레임(203)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203)은 둘 이상의 센터 프레임(203)이 양측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도록 단차부(203a)의 전후방향 사이에 컨넥트 브라켓(213)이 삽입되어 체결부재(232)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한개의 센터 프레임(203)에 패널모듈(201)이 결합되는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둘 이상의 센터 프레임(203)이 양측방향으로 연결되어 패널모듈(201)이 결합되는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패널을 연결 배치시켜 원하는 크기의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 프레임(203)과 패널모듈(201)은 곡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센터 프레임(203)은 곡률중심축(여기서, 곡률중심축은 단면상의 곡률중심점을 연결한 가상의 축)이 센터 프레임(203)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곡면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전술한 것처럼 둘 이상의 센터 프레임(203)이 양측방향으로 연결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센터 프레임(203)의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203)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는 곡면으로 구비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평판형에 비해 다양한 시야감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곡면의 센터 프레임(203) 둘 이상이 양측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경우 센터 프레임(203) 중 어느 하나는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203)의 전면에 위치되고 인접된 센터 프레임(203)의 곡률중심축은 센터 프레임(203)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양측으로 연결 배치되어 상측이나 하측에서 보았을때 "S"자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평판형에 비해 다양한 시야감을 제공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미적 외관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터 프레임(203)은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203)의 전면에 위치되는 둘 이상이 세트를 이루며 인접된 세트의 센터 프레임(203)은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203)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양측으로 연결 배치됨으로써, 같은 방향의 곡률을 이루는 센터 프레임(203)이 둘 이상씩 세트를 이루면서 "S"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둘 이상의 센터 프레임이 세트를 이루면서 "S"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세트를 이루는 패널이 하나의 대면적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각 세트별로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센터 프레임(203)을 지지하며 고정하는 스탠드 브라켓(211)은 하측 단부가 스탠드 프레임(205)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스탠드 프레임(205)의 상측면에는 소스 인쇄회로기판(202)의 콘넥터(20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205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 프레임(203)과 패널모듈(201)이 양측방향으로 둘 이상이 연결 배치되어도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두께가 증대되지 않으며 패널모듈(201) 사이의 비표시 영역이 줄어들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타이밍 콘트롤러(T-CON)나, 전원제어 IC(PMIC, Power Management IC) 등이 실장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은 연성 케이블(204)로 소스 인쇄회로기판(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성 케이블(204)을 벤딩시켜 패널모듈(201)의 배면에 실장되는데, 센터 프레임(203)의 전면과 후면 양쪽에 패널모듈(201)이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패널모듈(201)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이 각각의 패널모듈(201) 배면에 실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두께가 2배로 증대되어 소비자의 외관 만족도가 낮아져서 상품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패널모듈(201)과 연결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이 패널모듈(201)의 배면에 실장되지 않고 하측에 있는 스탠드 프레임(205)의 기판삽입홈(205a)에 실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에서 발생되는 열이 패널모듈(201)에 전달되지 않아 과열로 인한 패널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삽입홈(205a)에는 연성 케이블(204)이 관통되는 관통홀(205b)이 형성되어 있어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과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프레임(205)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을 덮으면서 기판삽입홈(205a)에 결합되는 방열커버(209)가 구비되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커버(209)를 통해 신속하게 냉각되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서 방열커버(209)는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커버(209)는 중심부에 패널모듈(201)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케이블(204)과 스탠드 브라켓(211)이 관통되는 절개부(209a)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탠드 프레임(205)에 방열커버(209)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탠드 프레임(205)은 센터 프레임(203) 각각의 하측 단부에 대응되도록 둘 이상이 양측으로 연결 배치되며, 각각의 상측면이 체결브라켓(207)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스탠드 프레임(205)의 제작시 소형화 제작이 가능해 지게 되고 제조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스탠드 프레임(205)의 하측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이 실장되는 데스크 프레임(220)이 결합되는데, 이렇게 스탠드 프레임의 하측에서 바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과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이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내장 공간이 필요없게 되어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 등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회로 단락이나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데스크 프레임(220)은, 스탠드 프레임(205)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21), 상부 프레임(221)과 상하로 이격되며 지지대(225)로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223), 상부 프레임(221)과 하부 프레임(223)의 상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상부 데스크커버(227)와 하부 데스크커버(209) 등으로 구성되어, 센터 프레임(203)과 패널모듈(201)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의 내장 공간을 제공하며 이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미관을 개선하게 되어 있다.
스탠드 프레임(205)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21)은 센터 프레임(203)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판삽입홈(205a)에 구비된 관통홀(205b)과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프레임(221)의 하부에서 전원 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 등을 통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과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23)은 상부 프레임(221)과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구비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대(225)에 의해 상부 프레임(221)과 상하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221)과 하부 프레임(223)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구동 인쇄회로기판(208)이 실장되어 대류에 의한 냉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23)의 바닥면에는 공기의 흐름이 잘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공기유출입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221)과 하부 프레임(223)의 상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는 상부 데스크커버(227)와 하부 데스크커버(209)가 결합된다.
하부 데스크커버(209)는 상부 프레임(221)과 하부 프레임(223)의 외측면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상부 프레임(221) 및 하부 프레임(223)의 배치와 대응되는 "S"자 형상을 구비하는데, 내부에 실장된 구동 인쇄회로기판(208)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을 보호하며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대류되는 공기가 머무는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데스크커버(209)의 상측에는 상부 프레임(221)의 상측면을 감싸는 상부 데스크커버(227)가 결합되어 데스크 프레임(220)의 내부에 실장된 구동 인쇄회로기판(208)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을 보호하며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대류되는 공기가 머무는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데스크커버(227)는 스탠드 프레임(205)의 중앙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탠드 브라켓(211)과 연성 케이블(204) 등과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두개로 분리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스탠드 브라켓(211)과 연성 케이블(204)이 관통되는 절개홈(227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데스크커버(227)의 상측에는 패널모듈(201)의 하측 단부와 스탠드 브라켓(211)을 감싸는 패널 커버(210)가 결합됨으로써 스탠드 브라켓(211) 및 패널모듈(201)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206)을 연결하는 연성 케이블(204) 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연성 케이블(204)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널 커버(210)는 스탠드 브라켓(211) 및 연성 케이블(204)의 전면과 후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한쌍(210a, 210b)으로 형성되며 이들이 결합될 수 있게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보스(210c)에 서로 대응되는 결합돌기(미도시)와 결합홈(210d)가 구비되어 있어서, 한쪽의 패널 커버(210a)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다른 한쪽의 패널 커버(210b)에 구비된 결합홈(210d)에 결합되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한편, 센터 프레임(203)의 양측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며 결합되는 패널모듈(201)은 패널(201a)의 단부가 전후면 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되는데, 중첩되는 패널(201a)의 단부 사이에는 접착부재(233a)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어도 패널(201a)과 패널(201a)이 부딪치며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패널(201a)은 양측 단부가 소정의 폭으로 중첩되게 연결 배치되는데 도 10과 도 11에서는 각각 양측방향으로 2개와 3개의 패널(201a)이 중첩되는 상태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들 패널(201a)의 조립순서는 양측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패널(201a) 일례로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면서 전면방향인 도면상 하측에 위치되는 패널(201a)이 먼저 조립되고 바로 우측에 배치되는 패널(201a)이 중첩되게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조립된다.
그리고, 패널(201a)의 전면방향에 위치되는 패널(201a)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면상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는 패널(201a)의 후면에 패널(201a)이 조립되고 바로 좌측에 배치되는 패널(201a)이 중첩되게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조립되어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순서로로 조립되는데,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패널(201a)을 기준으로 패널(201a)의 후면방향부터 반시게 방향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첩되는 패널(201a)의 단부와 컨넥트 브라켓(213)의 사이에는 완충부재(236)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어도 완충부재(236)에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패널(201a)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패널모듈(201)과 센터 프레임(203)의 사이 즉, 패널(201a)의 배면에 구비되는 봉지부재(201b)와 센터 프레임(203)의 사이에는 자석부재(201c)가 결합되어 센터 프레임(203)에 패널모듈(201)의 조립시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패널 화소불량이나 내부 회로의 불량으로 인한 리워크를 위해 분해하는 경우에도 패널모듈(201)의 분해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조립된 패널모듈(201)의 양측방향 최외곽에 배치되는 패널모듈(201)에는 미들 캐비넷(230)과 테두리 커버(240)가 결합되어 완성되는데, 미들 캐비넷(2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지지부(233)와 센터 프레임(203)의 단부 사이에는 접착부재(233a)가 결합되며 추가적으로 체결부재(232)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미들 캐비넷(230)은 패널모듈(201)의 단부 측면을 감싸는 제1지지부(231)와 제1지지부(231)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센터 프레임(203)의 단부와 패널(201a)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2지지부(233)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며 형성된다.
여기서 패널(201a)의 단부와 제2지지부(233)의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접착부재(233a)가 결합되어 결합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패널(201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들 캐비넷(230)과 테두리 커버(240)는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완충부재(236) 또는 접착부재(233a)는 탄성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서 패널을 연결 배치시켜 원하는 크기의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서 볼 수 있는 곡면형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과 더불어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201: 패널모듈 201a: 패널
203: 센터 프레임 205: 스탠드 프레임
205a: 기판삽입홈 209: 하부 데스크커버
210: 패널 커버 211: 스탠드 브라켓
220: 데스크 프레임 221: 상부 프레임
223: 하부 프레임 225: 지지대
230: 미들 캐비넷 240: 테두리 커버

Claims (14)

  1.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패널모듈이 결합되며 양측 단부 중 한쪽은 전면에 다른 한쪽은 후면에 각각 소스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단차부가 구비되어 있는 센터 프레임;
    상측 단부에 상기 센터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스탠드 브라켓;
    상기 스탠드 브라켓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측면에 상기 패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스탠드 프레임;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은 둘 이상의 센터 프레임이 양측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도록 상기 단차부의 전후방향 사이에 컨넥트 브라켓이 삽입되어 체결부재로 연결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은 곡률 중심축이 상기 센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고 인접된 센터 프레임의 곡률중심축은 센터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양측으로 연결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은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는 둘 이상이 세트를 이루며 인접된 세트의 센터 프레임은 곡률중심축이 센터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양측으로 연결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프레임에는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덮으면서 상기 기판삽입홈에 결합되는 방열커버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커버는 중심부에 상기 패널모듈과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케이블과 스탠드 브라켓이 관통되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프레임은 상기 센터 프레임 각각의 하측 단부에 대응되도록 둘 이상이 양측으로 연결 배치되며, 각각의 상측면이 체결브라켓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프레임의 하측에는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는 데스크 프레임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프레임은,
    상기 스탠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하로 이격되며 지지대로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상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상부 데스크커버와 하부 데스크커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데스크커버의 상측에는 상기 패널모듈의 하측 단부와 상기 스탠드 브라켓을 감싸며 결합되는 패널 커버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모듈은 패널의 단부가 전후면 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되며 중첩되는 상기 패널의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중첩되는 상기 패널의 단부와 상기 컨넥트 브라켓의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모듈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사이에는 자석부재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38176A 2016-03-30 2016-03-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76A KR102423109B1 (ko) 2016-03-30 2016-03-3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76A KR102423109B1 (ko) 2016-03-30 2016-03-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56A true KR20170113956A (ko) 2017-10-13
KR102423109B1 KR102423109B1 (ko) 2022-07-22

Family

ID=6013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76A KR102423109B1 (ko) 2016-03-30 2016-03-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794A (ko) * 2019-06-17 2020-12-2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004U (ko) * 1997-04-24 1998-11-25 윤종용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24376A (ko) * 2002-09-14 2004-03-20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0836962B1 (ko) * 2006-09-01 2008-06-10 황병선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JP2010008480A (ja) * 2008-06-24 2010-01-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WO2015038684A1 (en) *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KR20150133337A (ko) * 2014-05-19 2015-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6038579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004U (ko) * 1997-04-24 1998-11-25 윤종용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24376A (ko) * 2002-09-14 2004-03-20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0836962B1 (ko) * 2006-09-01 2008-06-10 황병선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JP2010008480A (ja) * 2008-06-24 2010-01-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WO2015038684A1 (en) *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KR20150133337A (ko) * 2014-05-19 2015-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6038579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794A (ko) * 2019-06-17 2020-12-2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109B1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18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9291853B2 (en) Display device
US20130010413A1 (en) Flat panel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024793B (zh) 显示设备
JP5035951B2 (ja) 表示装置
KR102347477B1 (ko)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트 전자 장치
KR20190023919A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US10845631B2 (en) Display device
JPWO2014002779A1 (ja) 表示装置
US20160381813A1 (en) Display device
KR201601410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945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791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31453A (ko) 표시장치
US2011025503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700155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2965291B (zh) 一种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KR201700502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5217A (ko)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701139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49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97174A (ja) 医療用モニター、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ユニット
KR201800615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8634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50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