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28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289A
KR20170050289A KR1020150151645A KR20150151645A KR20170050289A KR 20170050289 A KR20170050289 A KR 20170050289A KR 1020150151645 A KR1020150151645 A KR 1020150151645A KR 20150151645 A KR20150151645 A KR 20150151645A KR 20170050289 A KR20170050289 A KR 2017005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ent
panel
back cov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212B1 (ko
Inventor
박재하
권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2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01L51/56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1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부 테두리 부분에서 맞물림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조립과 리워크시의 분해도 용이해지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 배치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하고 제조 공정을 단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를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부 테두리 부분이 맞물림 결합되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해지고, 외부로부터의 수분유입을 방지하고 슬림하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 1 기판(101),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2 기판(101, 10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되어 OLED패널(110)을 이룬다.
이때, OLED패널(110)의 상부면에는 편광판(140)이 부착되는데, 여기서, 편광판(140)은 OLED패널(110)이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OLED패널(110)은 배면이 접착부재(125)로, 수평면(121)과 측면(123)으로 이루어지는 백커버(120)와 결합되며, 백커버(120)의 측면(123)은 완충부재(130)가 결합되고 이의 외측에 케이스(160)가 OLED패널(110)의 전면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과 백커버가 접착부재로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제품의 불량발생으로 인한 리워크시 패널과 백커버의 분리가 어렵고 리워크시 패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수요자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최소화 또는 슬림화되는 추세인데, 이로 인해 패널의 단부 쪽으로 유입된 세정제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패널의 배면과 접착부재로 유입되어 회로부의 단락이 발생되거나 패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조립과 리워크시의 분해도 용이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하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부와, 패널지지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평행하게 연장된 베젤부와, 베젤부의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케비넷, 미들 캐비넷의 패널지지부 후면에 결합되며 절곡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부에서 절곡된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에 의해 파손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리워크시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분해도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 배치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하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부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부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부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부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부(311)와, 패널지지부(31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부(313)와, 절곡부(313)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연장된 베젤부(315)와, 베젤부(315)의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부(317)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캐비넷(310), 미들 캐비넷(310)의 패널지지부(311) 후면에 결합되며 절곡부(313)와 고정부(317)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부에서 절곡된 삽입부(327)가 구비되어 있는 백커버(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서로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조립과 제조가 용이해지고 리워크시 분해도 용이해지게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가 서로 맞물림 결합 구조를 구비하도록 미들 캐비넷(310)의 테두리 뒷쪽 단부에 고정부(317)와 절곡부(313)가 형성하는 결합홈(316)이 구비되고, 백커버(320)의 단부에는 삽입부(327)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며 결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는데, 도면에서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재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는 편광필름(201a)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 33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333)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333)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어느 한쪽 테두리(도 2와 도 3에서는 일례로 하측 테두리 부위를 도시함)의 배면에는 IC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335)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가요성 회로필름(335)의 측면과 배면에는 가요성 회로필름(335)의 IC(339)와 회로부를 보호하는 방습절연부재(201b, 일명 "터피" 또는 "Tuffy")가 구비되며, 가요성 회로필름(335)의 IC(339)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결합된 패드(337)에 의해 충격을 방지하며 백커버(320)의 전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335)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335)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3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백커버(32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지지하는 미들 캐비넷(310)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부(31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부(313),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베젤부(315),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부(317)가 구비되어 있다.
패널지지부(311)는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을 지지하고, 절곡부(313)는 패널지지부(311)의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쪽인 상측으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베젤부(315)는 절곡부(313)의 상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 즉, 베젤(bezel)을 형성하게 된다.
베젤부(315)의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수직인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부(317)는 절곡부(313)와 함께 결합홈을 형성하여 백커버(32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327)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서로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파손이 방지되면서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조립과 제조가 용이해지고 리워크시 분해도 용이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미들 캐비넷(310)은 패널지지부(311)의 전면에 단차지게 함몰된 제1안착홈(311a)이 구비되고 이 제1안착홈(311a)에는 미들 캐비넷(3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을 결합하는 씰링접착부재(330)가 결합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네 테두리 중 일측 테두리의 단부 배면에는 IC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335)이 구비되는데, 미들 캐비넷(310)에는 가요성 회로필름(335)의 배면에 구비된 터피(201b)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한 제1안착홈(311a)이 구비되어 씰링접착부재(330)가 결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미들 캐비넷(310)의 일부분만 단차지며 씰링접착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미들 캐비넷(310)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미들 캐비넷(310)은 패널지지부(311)의 후면에 단차지게 함몰된 제2안착홈(311b)이 구비되고, 이 제2안착홈(311b)에는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를 결합하는 씰링접착부재(330)가 결합되며 여기서, 씰링접착부재(330)는 접착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성 열전도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미들 캐비넷(3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백커버(320)의 적층 결합 구조에서 제1안착홈(311a)과 제2안착홈(311b)으로 인해 전체 두께가 증가되지 않게 될 뿐만아니라, 미들 캐비넷(310)의 패널지지부(311)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는 씰링접착부재(330)에 의해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커버(32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패널지지부(31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13)는 절곡부(313)와 패널지지부(311)의 연결부위에서 절곡부(313)와 베젤부(315)의 연결부위쪽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와 이격량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서 보았을때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옆쪽으로 갈수록 절곡부(313)의 외측면이 점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쪽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흘러내리는 세정제나 수분이 인쇄회로기판과 가요성 회로필름 부위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경사진 절곡부(313)를 따라서 흘러내리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패널 불량 등으로 인해 리워크를 할 경우에는 절곡부(313)를 절단하거나 레이저 등으로 녹여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구등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부착하고 있는 씰링접착부재(330)를 박리시켜 미들 캐비넷(310)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들 캐비넷(310)은 고정부(317)의 단부 외측면이 경사면(317a)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서 보았을때 테두리 부위가 넓어 보이지 않고 슬림하게 보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백커버(320)의 삽입부(327) 외측면과 고정부(317)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돌기(323)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걸림돌기(323)와 서로 맞물리는 걸림홈(325)이 구비되는데, 도 5에서는 백커버(320)의 삽입부(327)쪽에 걸림돌기(323)가 구비되고 미들 캐비넷(310)의 고정부(317)에 걸림홈(325)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6에서는 이와 반대로 미들 캐비넷(310)의 고정부(317)에 걸림돌기(323)가 구비되고 백커버(320)의 삽입부(327)에 걸림홈(325)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렇게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가 걸림돌기(323)와 걸림홈(325)에 서로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결합이 용이하게 되고, 리워크시 미들 캐비넷(310)과 백커버(320)의 분해도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돌기(323)의 외측면에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부(323a)가 구비되고, 이 걸림홈(325)에는 가이드부(323a)의 두꺼운쪽 끝단이 안착되는 단턱부(325a)가 구비되어 있어서 백커버(320)와 미들 캐비넷(310)의 조립후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323a)는 백커버(320)와 미들 캐비넷(310)의 결합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백커버(320)와 미들 캐비넷(310)이 결합되는 방향에서 멀어질수록 가이드부(323a)의 측면쪽 돌출량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부(323a)의 가장 두꺼운쪽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걸림홈(325)에는 백커버(320)와 미들 캐비넷(310)이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325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미들 캐비넷(31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백커버(320)는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들 캐비넷(310)의 제조시 제1안착홈(311a)과 제2안착홈(311b)을 동시에 사출 형성할 수 있게 되고, 고광택 사출로 인해 도장이나 도금, 코팅 처리와 같은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미들 캐비넷(310) 자체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제작비와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에 의해 파손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의 조립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리워크시 미들 캐비넷과 백커버,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분해도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하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디스플레이 패널 310: 미들 캐비넷
311: 패널지지부 313: 절곡부
315: 베젤부 317: 고정부
320: 백커버 323: 걸림돌기
323a: 가이드부 325: 걸림홈
325a: 단턱부 327: 삽입부
330: 씰링접착부재

Claims (6)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부와, 상기 패널지지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평행하게 연장된 베젤부와, 상기 베젤부의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캐비넷;
    상기 미들 캐비넷의 패널지지부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절곡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부에서 절곡된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백커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부와 패널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절곡부와 베젤부의 연결부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와 이격량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캐비넷은 상기 고정부의 단부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삽입부 외측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면에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두꺼운쪽 끝단이 안착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캐비넷의 재질은 합성수지이고, 상기 백커버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51645A 2015-10-30 2015-10-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45A KR102367212B1 (ko) 2015-10-30 2015-10-3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45A KR102367212B1 (ko) 2015-10-30 2015-10-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89A true KR20170050289A (ko) 2017-05-11
KR102367212B1 KR102367212B1 (ko) 2022-02-24

Family

ID=5874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645A KR102367212B1 (ko) 2015-10-30 2015-10-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2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3769A (zh) * 2017-09-25 2018-01-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显示屏组件以及用于保护终端显示屏的组件
CN108534814A (zh) * 2018-04-08 2018-09-14 浙江大学 具有高可靠防水防尘性能的数字化测量元件控制盒
US11044820B2 (en) 2017-10-30 2021-06-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227732A1 (zh) * 2020-05-09 2021-11-18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背板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625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26407A (ko) * 2012-05-11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78338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625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26407A (ko) * 2012-05-11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78338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3769A (zh) * 2017-09-25 2018-01-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显示屏组件以及用于保护终端显示屏的组件
US11044820B2 (en) 2017-10-30 2021-06-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89467B2 (en) 2017-10-30 2023-02-2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89466B2 (en) 2017-10-30 2023-02-2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534814A (zh) * 2018-04-08 2018-09-14 浙江大学 具有高可靠防水防尘性能的数字化测量元件控制盒
CN108534814B (zh) * 2018-04-08 2024-02-09 浙江大学 具有高可靠防水防尘性能的数字化测量元件控制盒
WO2021227732A1 (zh) * 2020-05-09 2021-11-18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背板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212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4928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10001665B2 (en)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moisture infiltration
US9696573B2 (en)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8705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736950B2 (en) Display device
US9158142B2 (en) Display unit,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918583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502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39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73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6918937B (zh) 柔性显示装置
KR20140042313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7217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8634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67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90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07048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700497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4400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4231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58697A (ja) 表示装置
KR20190024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7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95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12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