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1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518A
KR20180061518A KR1020160160253A KR20160160253A KR20180061518A KR 20180061518 A KR20180061518 A KR 20180061518A KR 1020160160253 A KR1020160160253 A KR 1020160160253A KR 20160160253 A KR20160160253 A KR 20160160253A KR 20180061518 A KR20180061518 A KR 2018006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ack cover
coupled
display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327B1 (ko
Inventor
전용준
조석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3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이들을 구조물에 결합하는 고정 프레임등이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단점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곡면형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관련하여 종래의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소자(1), 엘이디 바(LED bar, 2), 회전 프레임(3), 회전축(4), 모터(5), 몸체(6), 제어부(7), 및 광학계(9)를 포함한다.
광학계(9)는 회전면(8)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회전면(8)을 둘러싸는 사방 측벽 형태이며, 엘이디 소자(1)는 모든 종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광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는 각각 복수개의 엘이디 소자(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가 복수일 경우, 복수개의 엘이디 바(2)는 서로가 원통형의 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회전 프레임(3)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를 지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가 복수개일 경우, 회전 프레임(3)은 복수개의 엘이디 바(2)가 원주방향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엘이디 바(2)를 지지한다.
회전축(4)은 회전 프레임(3)과 연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바(2)와 회전축(4)은 회전 프레임(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4)은 몸체(6)와 연결된다.
모터(5)는 몸체(6)에 설치되며, 회전축(4)과 연결된 회전 프레임(3)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몸체(6)는 지면에 고정되는 비회전체로서, 회전 프레임(3)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프레임(3)을 회전 지지하며, 몸체(6)에 설치된 모터(5)는, 회전축(4)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4)과 연결된 회전 프레임(3)을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 프레임(3)과 연결된 회전축(4)은 몸체(6)와 연결되므로, 몸체(6)는 회전 프레임(3)을 지지한다.
제어부(7)는 엘이디 바(2)의 회전각도에 따라 엘이디 소자(1)에 그래픽 정보 또는 동영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실제 가시되는 영역이 평면 영역이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게 되어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이들을 구조물에 결합하는 고정 프레임등이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배면에 배치되는 곡면형상의 백 커버(205), 디스플레이 패널(201) 각각의 전면 상하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백 커버(205)와 결합되는 상하측 탑케이스(207), 백 커버(205)의 배면에 구비되며 백 커버(205)와 상하측 탑케이스(207)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디스플레이 패널(201) 각각의 전면 좌우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고정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좌우측 탑케이스(209)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실시예들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202)에 결합되며 고정되거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공간의 어느 위치에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이동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202)에 결합되며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실내외 기둥 구조물에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일반적인 평판형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설치 각도에 제한 없이 볼 수 있는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을 위해 본 실시예들에서는 전면이 오목한 일반적인 컵(Cup)형상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달리 전면이 볼록한 캡(Cap)형상으로 대략 반지름 700~900 mm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배치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 백 커버(205), 고정 프레임(210), 상하측 탑케이스(207), 좌우측 탑케이스(209)가 원통형상의 곡면을 이루면서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설치 각도에 따라서 시야각이 제한되던 한계를 극복하고 원통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도 전 범위에서 다양한 영상을 끊기지 않고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 201a)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재(201a)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이 접착될 수 있으며, 봉지부재(201a)와 백 커버(205)의 사이에는 금속재질의 백 커버(205)와 결합을 위한 자석부재(203)가 구비되며, 백 커버(205)가 플라스틱이나 유리재질인 경우 방열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방열부재는 흑연(graphite), 접착성 열전도 테이프,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의 배면에는 IC(231a)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인쇄회로기판에 레진 등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2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필름(2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231a) 등이 실장된다.
그리고, 회로필름(231)과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는 곡면형상의 백 커버(205)가 구비되며 백 커버(205)의 배면에는 고정 프레임(210)이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를 보호하면서 백 커버(205), 고정 프레임(210)과 결하되는 상하측 탑케이스(207)와 좌우측 탑케이스(209)가 구비된다.
백 커버(205)의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210)은 상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211)와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213)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상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211)는 전면이 백 커버(205)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제1고정부재(211)의 후면에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홈(211a)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2고정부재(2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1고정부재(211)의 지지홈(211a)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213)는 제1고정부재(211)와 격자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210)은 연결부재(206)로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원주방향으로 인접된 제1고정부재(211) 각각의 단부 상측면에 고정홀(211b)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고정홀(211b)에 체결부재로 연결부재(206)가 결합됨으로써 상단과 하단 각각의 제1고정부재(211)가 원주방향으로 결합되면서 백 커버(205)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211)의 끝단부 전면에는 결합홈(211c)이 형성되어 있어서 백 커버(205)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0)가 안착되며 체결홀(211d)를 통해 체결부재로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20)는 대략 장방형 단면을 가지면서 백 커버(205)의 단부 후면의 상측에서 하측까지를 지지하여 백 커버(205)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백 커버(205)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 스틸, 전기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들에서는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2개의 백 커버(205a, 205b)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백 커버(205a, 205b)를 1개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하측 탑케이스(207)는 후면 하단부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207a)이 구비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전면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백 커버(205a, 205b)와 함께 지지부재(220)와 고정 프레임(210)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하측 탑케이스(207)는 후면 상단부에 백 커버(205a, 205b)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207b)이 구비되어 있어서, 백 커버(205a, 205b)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관 디자인 품질을 높일 수 있게 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백 커버(205a, 205b)의 단부와 제2안착홈(207b)에 서로 연통되는 커버결합홀(204)이 구비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거나, 제2안착홈(207b) 내측에 인서트 너트(204a)를 구비하여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백 커버(205a, 205b)가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함께 상하측 탑케이스(207)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좌우측 탑케이스(209)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209a)와 전면부(209a)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와 지지부재(220)를 감싸는 측면부(209b)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부(209a)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전면을 보호하면서 측면부(209b)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와 지지부재(220)를 지지하여 이들 부품들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좌우측 탑케이스(209)는 측면부(209b)와 지지부재(220)에 서로 연통되는 지지부재결합홀(222)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체결부재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보호하고 인접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형 구조물에 고정 프레임(210)이 체결부재로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브라켓(202a)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쇄회로기판들은 별도의 셋톱박스(226) 형태로 바닥에 거치되거나 곡면형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공간의 어느 위치에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이동 고정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실장되는 보드 플레이트(240)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셋톱박스 구조물없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보드 플레이트(240)에 실장되어 원통형의 중심부에 배치됨으로써 별도의 셋톱박스 설치공간이 필요없게 되고 개방된 공간의 어느 위치에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드 플레이트(24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중심부에서 외측까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45)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43),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장착되며 가이드부재(243)의 가이드 레일(24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이 장착된 평판형의 플레이트부재(241)를 가이드부재(243)에 슬라이딩시켜 탈부착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해짐과 동시에 작동 오류시 제어 인쇄회로기판(242)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43)의 내측 단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허브(245)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며 고정되고 가이드부재(243)의 외측 단부는 고정 프레임(210)을 결합하는 연결부재(206)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43)에 결합된 플레이트부재(241)가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제어 인쇄회로기판(242)들과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243)에는 스탠드 베이스(250)가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원통형의 지지구조물인 스탠드 베이스(250)가 바닥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상하측 탑케이스(207)가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게 되며 시야각의 편의상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보완하게 된다.
이러한 스탠드 베이스(250)에는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부재(2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름부재(253)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일례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모듈이, 광원모듈, 광원모듈에서 방사된 광을 가공하여 액정패널에 적절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광조절부재 및 광반사체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광원모듈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하는 부품이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셈블리, 냉음극 형광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열음극 형광관(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실내외 공간에 설치시 시야각에 제한이 따르지 않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기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기둥과 같은 곡면형 구조물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에 기둥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시야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이동 경로에서도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자석부재
205: 백 커버 206: 연결부재
210: 고정 프레임 211: 제1고정부재
213: 제2고정부재 220: 지지부재
240: 보드 플레이트 241: 플레이트부재
243: 가이드부재 245: 가이드 레일
250: 스탠드 베이스

Claims (15)

  1.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곡면형상의 백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전면 상하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상기 백 커버와 결합되는 상하측 탑케이스;
    상기 백 커버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백 커버와 상하측 탑케이스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전면 좌우측 단부를 각각 감싸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는 좌우측 탑케이스;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면이 상기 백 커버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고 후면에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홈이 구비되어 상하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지지홈에 결합되며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인접된 상기 제1고정부재 각각의 단부 상측면에 고정홀이 구비되고 이들 고정홀에 체결부재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끝단부 전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백 커버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탑케이스는 후면 하단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탑케이스는 후면 상단부에 상기 백 커버의 단부 전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단부와 상기 제2안착홈에 서로 연통되는 커버결합홀이 구비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탑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는 측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서로 연통되는 지지부재결합홀이 구비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는 보드 플레이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플레이트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중심부에서 외측까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원통형의 중심부에서 허브와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스탠드 베이스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베이스에는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60253A 2016-11-29 2016-11-2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53A KR102538327B1 (ko) 2016-11-29 2016-11-2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53A KR102538327B1 (ko) 2016-11-29 2016-11-2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18A true KR20180061518A (ko) 2018-06-08
KR102538327B1 KR102538327B1 (ko) 2023-06-01

Family

ID=6259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253A KR102538327B1 (ko) 2016-11-29 2016-11-2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18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21162796A (ja) * 2020-04-02 2021-10-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表示装置
US20220343812A1 (en) * 2019-09-26 2022-10-27 Lg Electronics Inc. Rotatab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39Y1 (ko) * 2004-06-15 2004-09-22 박인표 전단부착 방지패널
KR20110070573A (ko) * 2009-12-18 2011-06-24 최천식 폴형 광고물
KR20110076741A (ko) * 2010-07-30 2011-07-06 박봉호 엘씨디와 엘이디를 복합 사용한 광고장치
KR200465128Y1 (ko) * 2008-03-27 2013-02-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표시판 조립체
KR20160090247A (ko) * 2015-01-21 2016-07-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표시 유닛, 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39Y1 (ko) * 2004-06-15 2004-09-22 박인표 전단부착 방지패널
KR200465128Y1 (ko) * 2008-03-27 2013-02-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표시판 조립체
KR20110070573A (ko) * 2009-12-18 2011-06-24 최천식 폴형 광고물
KR20110076741A (ko) * 2010-07-30 2011-07-06 박봉호 엘씨디와 엘이디를 복합 사용한 광고장치
KR20160090247A (ko) * 2015-01-21 2016-07-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표시 유닛, 표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18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39037B2 (en) 2019-01-25 2023-1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20220343812A1 (en) * 2019-09-26 2022-10-27 Lg Electronics Inc. Rotatab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s
JP2021162796A (ja) * 2020-04-02 2021-10-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327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0127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structures
EP3339947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007755B2 (en) Flat panel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579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88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86874B2 (en) Display device
KR201800615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73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410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55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4853A (ko) 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501302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42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31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90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7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4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9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55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12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0738A (ko)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0661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