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829A -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 Google Patents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829A
KR20040023829A KR1020020055249A KR20020055249A KR20040023829A KR 20040023829 A KR20040023829 A KR 20040023829A KR 1020020055249 A KR1020020055249 A KR 1020020055249A KR 20020055249 A KR20020055249 A KR 20020055249A KR 20040023829 A KR20040023829 A KR 20040023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hopper
seeding
seeds
seedl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169B1 (ko
Inventor
김동억
장유섭
김승희
이공인
김성기
김학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2-005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1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자가 큰 종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육묘트레이에 파종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는,
육묘트레이를 운반하는 운반장치와;
종자를 보관하는 종자호퍼와;
상기 종자호퍼로부터 종자를 흡착하여 파종호퍼에 떨어뜨리는 흡착장치와;
상기 육묘트레이에 혈공을 하고 그 내부로 종자를 배출하는 파종장치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에 의햐여, 육묘트레이에 자동으로 대립종자를 파종할 수 있게 되고, 자동으로 직선으로 정렬되어 파종되므로 파종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노동력의 절감도 가져온다

Description

대립종자 정렬파종기{Arraying Seeding Machine for Large Seeds}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자가 큰 종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육묘트레이에 파종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입자가 작은 종자와는 달리, 대목종자나 박과의 종자와 같이 입자가 큰 대립종자는, 종자의 파종된 상태가 발아 후의 자엽의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된다.
그러나, 종자를 하나씩 수작업으로 파종하는 경우에는, 작업효율이 낮고, 일렬로 정렬하며 파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파종작업에 과도한 노동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는 바, 파종작업을 자동화시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이러한 예로써, 특허등록 10-105777 및 실용신안 등록 20-102414에는, 각각 자동파종시스템 및 노즐식 자동파종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장치에서는 비록 종자의 파종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나, 종자의 정렬을 위한 어떠한 수단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허출원 10-2001-01767에는 직립형 마늘파종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는 직접 땅에다 파종하는 장치이므로, 육묘트레이에 파종하는 것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립종자를 육묘트레이에 정렬파종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의 파종호퍼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운반장치, 101... 컨베이어벨트,
102... 위치센서, 200... 종자호퍼,
201... 진동기, 300... 흡착장치,
301... 공압실린더, 302... 흡착노즐,
303... 구동실린더, 304... 위치센서,
305... 실린더가이드, 400... 파종장치,
401... 파종호퍼, 402... 호퍼가이드,
403... 상하실린더, 404... 위치센서,
405... 좌우실린더.
상기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는,
육묘트레이를 운반하는 운반장치와;
종자를 보관하는 종자호퍼와;
상기 종자호퍼로부터 종자를 흡착하여 파종호퍼에 떨어뜨리는 흡착장치와;
상기 육묘트레이에 혈공을 하고 그 내부로 종자를 배출하는 파종장치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반장치는, 컨베이어벨트와;
육묘트레이가 파종위치에 도달한 때를 감지하여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조정하는 구동장치와;
를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센서는, 육묘트레이에 의해 광이 차단됨으로써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자호퍼에는, 종자호퍼를 진동시킴으로써 종자를 상기 호퍼 상에 고르게 배열시키는 진동기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장치는, 중공의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하향으로 부착되어 공압실린더의 내부와 소통되는 다수의 노즐과;
상기 공압실린더의 전 ·후진 운동을 조정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실린더에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종장치는, 그 내부에 종자를 수용하고 육묘트레이에 혈공하며 좌 ·우로 분리됨으로써 개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파종호퍼와;
상기 다수의 파종호퍼가 설치되는 호퍼가이드와;
상기 파종호퍼의 상 ·하 운동을 구동하는 상하실린더와;
상기 파종호퍼의 상 ·하 위치를 감지하여 좌우실린더에 개방 및 폐쇄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신호에 따라 호퍼가이드를 좌 ·우로 이동시켜 파종호퍼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좌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종호퍼는, 아래쪽에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된 사각뿔 형상이거나 원뿔 형상이며, 상기 흡착노즐과 동수(同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의 파종호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대립종자 정렬파종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묘트레이를 운반하는 운반장치(100)와, 상기 운반장치(100)의 위쪽에 위치하고 파종 대상인 대립종자를 보관하는 종자호퍼(200)와, 상기 대립종자를 흡착하여 후술하는 파종호퍼(401)에 정렬시키는 흡착장치(300)와, 육묘트레이에 혈공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상기 대립종자를 파종하는 파종장치(400)를 포함한다.
운반장치(100)는, 육묘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101)와, 상기 육묘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여 육묘트레이가 컨베이어벨트(101)에 의해 운반되어 파종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정지신호를 구동장치(103)로 출력하는 위치센서(102)와,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01)의 구동을 정지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센서(102)는 육묘트레이에 의한 광(光)의 차단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장치(100)의 위쪽에 위치한 종자호퍼(200)에는 파종 대상인 대립종자가 저장되는데, 상기 대립종자가 상기 종자호퍼(200)의 면 상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기 위해 진동기(201)가 상기 종자호퍼(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대립종자의 고른 분포가 중요한 이유는, 후술하는 흡착과정에서 모든 노즐(302)에 고르게 흡착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흡착장치(300)는, 상기 종자호퍼(200)와 평행하게 배열된 중공의 공압실린더(301)와,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공압실린더(301)의 내부와 소통되는 흡착노즐(302)과, 상기 공압실린더(301)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상기 공압실린더(200)의 전진 및 후진운동을 조정하는 구동실린더(303)와, 상기 구동실린더(303)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상기 구동실린더(303)에 출력하는 위치센서(304)와, 상기 공압실린더(301) 내부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노즐(302)은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도면에 도시한 5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압력조정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진공발생기와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나, 공압실린더(301) 내의 압력을 진공으로 형성시키는 장치로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아래쪽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실린더가이드(305)가 설치되는데, 상기 실린더가이드(305)는 공압실린더(301)가 상기 종자호퍼(200)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종장치(400)는, 상기 육묘트레이와 흡착장치(300)의 사이에 위치되는데, 상기 흡착노즐(302)과 동수로 배열된 파종호퍼(401)와, 상기 다수의 파종호퍼 (401)가 설치되는 호퍼가이드(402)와, 상기 파종호퍼(401)와 호퍼가이드 (402) 결합체를 상 ·하 구동하는 상하실린더(403)와, 상기 파종호퍼(401)와 호퍼가이드 (402) 결합체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상기 상하실린더(403)에 출력하는 위치센서(404)와, 상기 호퍼가이드(402)를 좌 ·우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파종호퍼(401)를 개방시키는 좌우실린더(405)를 포함한다. 상기 파종호퍼(401)와 호퍼가이드 (402) 결합체가 상기 상하실린더(403)에 의해 아래쪽으로 구동될 때에, 상기 파종호퍼(401)에 의해 육묘트레이가 혈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파종호퍼(401)는 상기 흡착노즐(302)과 동수(同數)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로 분리될 수 있는 형태의 사각뿔형상 또는 타원뿔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의 파종과정을 설명한다.
육묘트레이가 컨베이어벨트(101)에 의해 파종위치로 운반되면, 위치센서 (102)가 상기 육묘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지신호를 구동장치(103)로 출력한다.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구동장치(103)는 구동을 멈추고 육묘트레이는 정지된다.
다음, 구동실린더(303)에 의하여 공압실린더(301)가 실린더가이드(305)에 의해 안내되어 종자호퍼(200) 위의 위치로 이동되고, 정확한 위치에 도달한 때에 위치센서(304)가 공압실린더(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지신호 및 압력조정장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실린더(303)에 출력한다.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 (303)는 운동을 멈추게 되고, 공압실린더(301)는 종자호퍼(20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압력조정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작동하게 되어,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내부는 압력이 순간적으로 저하되며, 종자호퍼(200)에 분포된 대립종자가 흡착노즐(302)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종자호퍼(200)는 진동기(201)의 작용으로 진동하게 되어 종자호퍼(200) 상의 대립종자는 고르게 분포된다.
흡착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실린더(303)에 의하여 공압실린더(301)는 후진되고, 흡착노즐(302)이 파종호퍼(401) 위에 위치할 때에 구동실린더(303)는 멈춘다. 이 때, 압력조정장치의 작동으로 감압된 상태가 복원되며, 흡착노즐(302)에 흡착된 대립종자가 상기 파종호퍼(401)의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 후, 파종호퍼(401) 및 호퍼가이드(402) 결합체는, 상하 실린더(403)에 의하여 육묘트레이의 상면으로 하강되는데, 이 때 파종호퍼(401)의 첨단부(尖端部)가 상기 육묘트레이의 상면에 혈공을 형성하게된다. 이 때, 상기 상하실린더(403)의운동 제어는, 상기 파종호퍼(401)와 호퍼가이드(402) 결합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404)가 수행한다. 위와 같이 혈공한 후에, 좌우실린더(405)에 의하여 상기 호퍼가이드(402)가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파종호퍼(401)는 분리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파종호퍼(401) 내부의 대립종자는 혈공된 구멍에 떨어지게 되고, 이로써 파종작업이 완료된다.
파종작업이 완료된 후에, 다시 컨베이어벨트(101)의 구동장치(103)가 작동하여 파종된 육묘트레이는 계속 운반되고, 상기 육묘트레이는 작업자에 의해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에 의하면, 육묘트레이에 자동으로 대립종자를 파종할 수 있게 되고, 자동으로 직선 정렬되어 파종되므로, 파종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노동력도 절감된다.

Claims (7)

  1. 대립종자를 육묘트레이에 파종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는,
    육묘트레이를 운반하는 운반장치(100)와;
    대립종자를 보관하는 종자호퍼(200)와;
    상기 종자호퍼(200)로부터 대립종자를 흡착하여 파종호퍼(401)에 떨어뜨리는 흡착장치(300)와;
    상기 육묘트레이에 혈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 종자를 배출하는 파종장치 (400)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100)는,
    컨베이어벨트(101)와;
    육묘트레이가 파종위치에 도달한 때를 감지하여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센서(102)와;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00)의 구동을 조정하는 구동장치(103)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102)는, 육묘트레이에 의해 광이 차단됨으로써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호퍼(200)에는 진동기(201)가 부착되어, 상기 종자호퍼(200)를 진동시킴으로써 대립종자를 상기 종자호퍼(200) 상에 고르게 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장치(300)는,
    중공의 공압실린더(301)와;
    상기 공압실린더(301)에 아래쪽을 향햐도록 부착되어 공압실린더(301)의 내부와 소통되는 다수의 흡착노즐(302)과;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전 ·후진 운동을 조정하는 구동실린더(303)와;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실린더(303)에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304)와;
    상기 공압실린더(301)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장치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장치(400)는,
    그 내부에 대립종자를 수용하고, 육묘트레이에 혈공하며, 좌 ·우로 분리됨으로써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파종호퍼(401)와;
    상기 다수의 파종호퍼(401)가 설치되는 호퍼가이드(402)와;
    상기 파종호퍼(401)와 호퍼가이드(402) 결합체의 상 ·하 운동을 구동하는 상하실린더(403)와;
    상기 파종호퍼(401)와 호퍼가이드(402) 결합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좌우실린더(405)에 개방 및 폐쇄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404)와;
    상기 신호에 따라 호퍼가이드(402)를 좌 ·우로 이동시켜 파종호퍼(40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좌우실린더(405)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호퍼(401)는, 아래쪽에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된 사각뿔 형상이거나 원뿔 형상이며, 상기 흡착노줄(302)과 동수(同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KR10-2002-0055249A 2002-09-12 2002-09-12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KR100491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49A KR100491169B1 (ko) 2002-09-12 2002-09-12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49A KR100491169B1 (ko) 2002-09-12 2002-09-12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829A true KR20040023829A (ko) 2004-03-20
KR100491169B1 KR100491169B1 (ko) 2005-05-24

Family

ID=3732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249A KR100491169B1 (ko) 2002-09-12 2002-09-12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074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기가레인 자동파종기
CN109807963A (zh) * 2017-11-22 2019-05-28 湖北香江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刀架组件
RU2728460C1 (ru) * 2019-12-16 2020-07-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А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CN113228888A (zh) * 2021-05-21 2021-08-10 北华航天工业学院 一种直线式高效穴盘播种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29Y1 (ko) 2008-07-11 2011-01-07 오창준 육묘용 파종기
KR200461448Y1 (ko) 2009-04-24 2012-07-20 대한민국 반자동 파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074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기가레인 자동파종기
CN109807963A (zh) * 2017-11-22 2019-05-28 湖北香江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刀架组件
RU2728460C1 (ru) * 2019-12-16 2020-07-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А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CN113228888A (zh) * 2021-05-21 2021-08-10 北华航天工业学院 一种直线式高效穴盘播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169B1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838B2 (ja) スマート種子播種機
KR200451729Y1 (ko) 육묘용 파종기
US11266080B2 (en) Method and seeder for sowing an individual seed in a seed location
KR100491169B1 (ko)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JP3463079B2 (ja) 播種装置
JP2695309B2 (ja) 播種プラントの土供給構造
KR200404951Y1 (ko) 조간간격 조절식 파종장치
KR101511185B1 (ko) 스펀지 배지용 자동파종기
CA1147210A (en) Plant seeder
JP3108895B2 (ja) 真空式播種装置
JP3512888B2 (ja) 偏平種子用播種機
KR102604174B1 (ko) 파종기용 상토 및 복토 공급장치
KR200302355Y1 (ko) 대립 종자용 더블식 파종기
CN209218598U (zh) 一种可调节小麦行长的条播器
JP3720541B2 (ja) 播種施設
JP2003116307A (ja) 鉢上げ装置
JPH0387104A (ja) ポット苗箱用播種装置
KR950005145A (ko) 자동 파종 시스템
KR200276983Y1 (ko) 불특정 파종판용 다용도 파종기
JP2503735Y2 (ja) 播種機
JP2000136025A (ja) 粉粒体供給装置
JP2001224205A (ja) 播種機用粒状物散布装置
JP2714673B2 (ja) ポツトシート用播種装置
JPS63267207A (ja) 育苗施設の播種プラントにおける播種装置
JPH11341905A (ja) 播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