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211A -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211A
KR20040023211A KR1020020054887A KR20020054887A KR20040023211A KR 20040023211 A KR20040023211 A KR 20040023211A KR 1020020054887 A KR1020020054887 A KR 1020020054887A KR 20020054887 A KR20020054887 A KR 20020054887A KR 20040023211 A KR20040023211 A KR 20040023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ink
head
printing machine
digital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165B1 (ko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02-005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1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3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by applying vacuum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청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인쇄작업 과정에서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26) 끝부분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공기 흡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인쇄작업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suction apparatus of 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청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인쇄작업 과정에서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 끝부분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공기 흡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인쇄작업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은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에 자주(마젠타,M), 노랑(엘로우,Y), 청록(시안,C)이라는 삼원색을 공급하여 색을 프린팅용지(메시아)에 덧칠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창출하는 감산혼합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상기한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헤드로 공급되어 각각의 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짐으로써 새로운 색이 시현된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바닥면에 접촉된 양측 레그(1)에 의하여 지지되는 베이스(3) 상부에 레일형상의 이송대(5)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대(5)에는 헤드부(7)를 일측에 고정시킨 카트리지(9)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9)는 이송대(5)의 좌우 양끝단부에 구비된 안내롤러(10a,10b)에 끼워져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지 벨트(20)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의 상면으로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배면에 설치된 급지롤러(미도시)로부터 프린팅용지인 메디아(Media)가 공급되는 바, 상기 메디아의 상면에서 캐리지 벨트(20)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9)가 좌우왕복 이송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헤드부(7)에서 소정 색상의 잉크가 주사되어 인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급지롤러의 반대측에 감이롤러(12)에 인쇄된 메디아가 감겨지게 된다.
상기 메디아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종이나 천 등에 상기 헤드부(7)에 의해 분사되는 잉크가 출력되기 위한 대상물을 가리킨다.
상기 베이스(3)의 일측 상부에는 커버(15)에 의하여 덮여지는 작동패널(16)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메디아를 원하는 상태로 프린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1)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메인잉크통(18)이 잉크케이스(14)에 보관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9)의 헤드부(7) 반대측에는 보조잉크통(17)이 설치되어져서 상기 메인잉크통(18)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헤드부(7)에 잉크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7)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2)와 상부케이스(24)에 의하여 외관을 이루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배선의 통로가 되는 배선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2)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26)가 일정간격을 가지며 대각선 방향으로 헤드베이스(28)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26)는 상측에 잉크공급선(30)이 연결되어 외측 탱크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헤드(26)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헤드(26) 하측에는 분사구(32)가 설치되어 잉크를 상기 헤드부(7) 하측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7)는 이송대(5)를 따라 좌우 이동하며 상기 각 헤드(26)를 통하여 분사된 잉크가 상기 메디아에 분사되어 원하는 출력물을 얻게된다.
그러나, 종래 상기 헤드부(7)가 좌우 왕복 이송하면서 헤드(26)가 잉크를 분사하는 작업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헤드(26)의 끝부분에 잉크가 뭉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26)의 끝부분에 뭉친 잉크는 인쇄작업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면 굳어지면서 잉크의 원활한 분사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인쇄작업 과정에서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 끝부분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공기 흡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인쇄작업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흡입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구동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베이스 7 : 헤드부
26 : 헤드 50 : 흡입몸체
56 : 흡입홀 60 : 베이스플레이트
66 : 흡입관 70 : 지지부재
75 : 스프링 82 : 이송플레이트
90 : 구동수단 92 : 하우징몸체
96 : 모터 100 : 구동기어
104 : 제1종속기어 105 : 제2종속기어
106 : 제1피동기어 107 : 제2피동기어
110 : 이송볼트 120 : 감지센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고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가 구비되어 급지롤러에서 공급되는 메디아에 프린팅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헤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잉크를 공급하는 보조잉크통과, 상기 보조잉크통에 잉크를 공급하는 메인잉크통으로 구성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왕복 이송하는 베이스의 일측 끝단부에 위치되고, 그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상부에는 헤드부의 헤드 끝단에 뭉친 잉크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측 공간부와 연통되는 흡입관이 고정 부착되는 흡입몸체와,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흡입관이 관통된 상태로 흡입몸체를 지지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흡입몸체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과, 상 기 흡입관에 흡입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고 그 중심축은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각각 결합된 제1종속기어 및 제2종속기어와, 상기 제1종속기어 및 제2종속기어의 각 후측에 맞물리고 그 중심축은 하우징몸체의 상,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각각 결합되며 각 중심축의 내부 중앙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의 각 나사홀에 끼워지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흡입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구동수단의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는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부의 헤드에 근접하여 헤드 끝단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흡입몸체(50)와, 상기 흡입몸체(50)를 지지하면서 모터(96)의 구동에 의해 흡입몸체(5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90)과, 상기 흡입몸체(50)에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몸체(50)는 그 내부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그 상부에는 흡입홀(5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몸체(50)는 흡입홀(56)이 형성된 커버(52)와, 내부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상부면이 절개된 본체(54)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흡입몸체(50)는 헤드부의 하부측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헤드에 근접하게 되므로 혹시나 모를 헤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52)는 플라스틱과 같은 연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몸체(50)의 하부, 즉 본체(54)의 하부에는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60)가 고정 결합되고,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몸체(50)의 내측 공간부와 연통되는 흡입관(66)이 고정 부착된다.
상기 구조의 흡입몸체(50)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9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동수단(90)은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몸체(92)와, 상기 하우징몸체(92)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되어 모터(96)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기어들과, 상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송볼트(11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몸체(92)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외부하우징(93)과, 하부면을 형성하는 내부하우징(94)이 서로 결합되어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92)의 상부 일측에는 모터(96)가 설치되는데, 그 회전축은 하우징몸체(92)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내측 공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모터(96)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00)가 결합되어 모터(96)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100)의 좌우 양측에는 제1종속기어(104) 및 제2종속기어(105)가 각각 구동기어(100)에 맞물린 상태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데, 상기 제1종속기어(104) 및 제2종속기어(105)의 각 중심축(104a,105a)은 하우징몸체(92)의 상부와 하부에 베어링(116)을 매개로 각각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종속기어(104) 및 제2종속기어(105)의 각 후측에는 제1피동기어(106) 및 제2피동기어(107)가 각각 맞물린 상태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데, 마찬가지로 각 중심축(106a,107b)은 각각 하우징몸체(92)의 상부와 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각각 결합되며, 각 중심축(106a,107a)의 내부 중앙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홀(106b,107b)이 중심축(106a,107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피동기어(106) 및 제2피동기어(107)의 각 중심축(106a,107a)에 형성된 나사홀(106b,107b)에는 이송볼트(110)가 끼움 구비되어 하우징몸체(92)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볼트(110)의 외부면상에는 상기 나사홀(106b,107b)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피동기어(106) 및 제2피동기어(107)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볼트(110)가 나사홀(106b,107b)에서 풀어지거나 조여지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92)의 상부로 돌출 구비된 각 이송볼트(110)의 상부 끝단에는 판상의 이송플레이트(82)가 고정너트(112)를 통해 고정 결합되어, 이송볼트(110)의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82)는 그 상부로 상기 흡입몸체(50)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플레이트(82)에는 흡입몸체(50)의 하부에 부착된 흡입관(66)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8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몸체(92)의 외부하우징(93)과 내부하우징(94)에도 흡입관(66)이 관통되는 관통홈(95)이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몸체(50)의 하부에 고정 부착된 베이스플레이트(60)의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끼움공(6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62)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플레이트(82)의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고정공(86)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끼움공(62)을 통해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부재(70)가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재(70)의 외경은 상기 끼움공(62)의 내경보다 작도록 제작되고 그 상부 끝단에는 지지머리(72)가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70)의 하부 끝단은 상기 이송플레이트(82)의고정공(86)에 너트 등을 통해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각 지지부재(70)에는 스프링(75)이 끼움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흡입몸체(50)는 이송플레이트(82)의 상부에서 스프링(75)을 매개로 일정간극을 유지하면서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형성된 끼움공(62)의 크기는 지지부재(70)의 외경보다 크므로, 상기 흡입몸체(50)는 그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75)에 의해 일정 범위내에서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75)은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82)에 인접하여 하우징몸체(92)의 상부 일측에는 이송플레이트(82)의 상하 이동위치를 체크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82)의 상부면 일측에는 대략 수직되게 감지판넬(122)이 고정 부착되고, 상기 감지판넬(122)에 인접되어 감지판넬(122)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4)가 구비되는데, 상기 감지센서(124)는 기판(126)상에 상,하 한쌍이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플레이트(82)가 상,하 이동하게 되면, 거기에 부착된 감지판넬(122)의 위치도 따라서 변하게 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 한쌍의 감지센서(124) 위치에 상기 감지판넬(122)이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감지센서(124)는 감지판넬(122)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이송플레이트(82)의 상,하 이동위치를 체크하게 되고, 별도의 제어회로와 연결되어모터(96)의 구동상태 등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24)의 위치는 작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한쌍의 감지센서(124)가 부착되는 기판(126)은 센서위치조종대(130)에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위치조종대(130)의 내측에는 조임홀(135)이 형성된 이송편(134)이 유동 가능하게 내삽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편(134)의 상부로 탄성스프링(138)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나사(132)가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조임홀(135)에 끼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나사(132)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이송편(134)은 센서위치조종대(130) 내측 공간부에서 탄성스프링(138)을 압축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조절나사(132)를 풀어주게 되면 이송편(134)이 탄성스프링(138)에 의해 밀리면서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편(134)의 외측으로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39)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39)에 감지센서(124)가 부착된 기판(126)이 고정 결합됨으로써 이송편(134)의 이동에 따라 기판(126)이 이동되면서 감지센서(124)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관(66)이 부착된 흡입몸체(50)는 모터(96)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송볼트(110)가 구비된 구동수단(90)에 결합되는데, 상기 흡입관(66)은 상기 구동수단(90)을 관통하여 놓이게 되며, 상기 흡입관(66)의 끝단은 흡입호스(145a,145b)를 매개로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15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66)의 끝단 하부에는 제1흡입호스(145a)를 매개로 잉크수거통(140)이 흡입관(66)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잉크수거통(140)은 다시 제2흡입호스(145b)를 통해 흡입부(150)로 연결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는 그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상부에는 흡입홀(5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측 공간부와 연통되는 흡입관(66)이 고정 부착된 흡입몸체(50)와, 상기 흡입몸체(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96)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몸체(5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수단(90)과, 상기 흡입관(66)에 연결되어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1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흡입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부(7)가 왕복 이송하는 베이스(3)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된 뒤 커버(15)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헤드부(7)가 왕복 이송하면서 메디아에 프린팅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제어회로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왕복횟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헤드부(7)는 본 발명의 흡입장치가 설치된 베이스(3)의 일측 끝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96)가 구동되면서 그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100)가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제1종속기어(104) 및 제2종속기어(105)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각 종속기어(104,105)에 맞물린 제1피동기어(106) 및 제2피동기어(107)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피동기어(106) 및 제2피동기어(107)가 회전하게 되면 그 나사홀(106b,107b)에 끼워진 이송볼트(110)는 조여지거나 풀어지면서 하우징몸체(92)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7)가 흡입장치의 상부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이송볼트(110)가 풀어지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이송플레이트(82)가 상부로 올려질 수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82)가 상부로 올려지게 되면 흡입홀(56)이 형성된 흡입몸체(50)는 헤드부(7)에 근접하여 헤드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몸체(50)의 흡입홀(56)이 상기 헤드부(7)의 헤드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면 흡입호스(145a,145b)를 따라 흡입부(150)에서 공급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헤드의 끝단에 뭉친 잉크나 이물질 등을 흡입하게 되고, 상기 흡입된 잉크나 이물질들은 흡입관(66) 및 제1흡입호스(145a)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잉크수거통(140)에 수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잉크 흡입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흡입부(150)의 작동이 완료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96)가 반대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흡입몸체(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잉크 흡입 작업을 위해 상기 흡입몸체(50)가 헤드에 근접하여 상승하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상기 흡입몸체(50)의 하부에지지된 스프링이 그 충격을 흡수하므로 작업의 효율 및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인쇄작업 과정에서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를 공기 흡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청소해줌으로써 헤드의 끝부분에 잉크가 뭉치거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인쇄작업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베이스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고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가 구비되어 급지롤러에서 공급되는 메디아에 프린팅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헤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잉크를 공급하는 보조잉크통과, 상기 보조잉크통에 잉크를 공급하는 메인잉크통으로 구성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왕복 이송하는 베이스의 일측 끝단부에 위치되고, 그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상부에는 헤드부의 헤드 끝단에 뭉친 잉크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측 공간부와 연통되는 흡입관이 고정 부착되는 흡입몸체와;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흡입관이 관통된 상태로 흡입몸체를 지지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흡입몸체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흡입관에 흡입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내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고 그 중심축은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각각 결합된 제1종속기어 및 제2종속기어와,
    상기 제1종속기어 및 제2종속기어의 각 후측에 맞물리고 그 중심축은 하우징몸체의 상,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각각 결합되며 각 중심축의 내부 중앙부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의 각 나사홀에 끼워지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끝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잉크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수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잉크수거통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이송볼트의 상부 끝단에는 이송플레이트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끼워지고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한 각 지지부재에는 스프링이 끼움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이 끼워진 각 지지부재의 끝단은 상기 이송플레이트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감지판넬이 수직으로 고정 부착되고, 상기 감지판넬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이송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위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부가 이송플레이트에 인접하여 하우징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KR10-2002-0054887A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KR10048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887A KR100487165B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887A KR100487165B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31U Division KR200300121Y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11A true KR20040023211A (ko) 2004-03-18
KR100487165B1 KR100487165B1 (ko) 2005-05-03

Family

ID=3732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887A KR100487165B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1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913B1 (ko) * 2008-05-07 2010-06-23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크리닝 장치
KR101878226B1 (ko) * 2017-10-23 2018-07-13 니레코프로세스한국(주) 충격 흡수 수단을 갖는 금속재료용 마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225B2 (ja) * 1992-06-26 2001-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67486B2 (ja) * 1993-02-09 2001-05-21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7137271A (ja) * 1993-11-18 1995-05-30 Fuji Electric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173556B2 (ja) * 1995-06-13 2001-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235884A (ja) * 1997-02-21 1998-09-08 Minolta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
JP2882478B2 (ja) * 1997-05-07 1999-04-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913B1 (ko) * 2008-05-07 2010-06-23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크리닝 장치
KR101878226B1 (ko) * 2017-10-23 2018-07-13 니레코프로세스한국(주) 충격 흡수 수단을 갖는 금속재료용 마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165B1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0696A1 (en) Printing apparatus
US20090058972A1 (en) Printing apparatus
US20090056569A1 (en) Printing apparatus
KR20080082907A (ko) 3차원 프린터
CN2560490Y (zh) 喷墨记录装置
CN214646931U (zh) 一种锂聚合物电池双面喷印机
KR100487165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US9493324B2 (en) Detacher for rol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0300121Y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CN215625081U (zh) 一种混凝土骨料运输降尘装置
KR101740946B1 (ko) 포대 인쇄장치
CN212739487U (zh) 一种具有辅助传送平台的多通道快速喷码机
KR200412044Y1 (ko)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CN111409359A (zh) 一种具有自动除尘功能的印刷包装设备
KR101887566B1 (ko)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0732918B1 (ko)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20090108763A (ko) 차량용 필터 캡의 접착제 도포장치
JP4874531B2 (ja) カッティングヘッド付き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0265136Y1 (ko) 필기구의 자동 열 전사 인쇄기
CN212949766U (zh) 一种智能化的喷码机
KR20120081028A (ko) 회전 위치 결정 장치
CN219007415U (zh) 一种包装盒侧面图案印刷装置
CN221026563U (zh) 一种喷墨打印机辅助送料装置
CN214646869U (zh) 一种喷码印刷机
CN218804789U (zh) 一种包装喷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