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18B1 -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 Google Patents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18B1
KR100732918B1 KR1020050131321A KR20050131321A KR100732918B1 KR 100732918 B1 KR100732918 B1 KR 100732918B1 KR 1020050131321 A KR1020050131321 A KR 1020050131321A KR 20050131321 A KR20050131321 A KR 20050131321A KR 100732918 B1 KR100732918 B1 KR 10073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base material
unit
screen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진
정기동
Original Assignee
(주)21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21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21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5013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41F15/20Supports for workpieces with suction-oper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41F15/22Supports for workpieces for singl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04Grippers
    • B41F21/06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인쇄모재를 안정적으로 하나씩 이송할 수 있고 스크린 클리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스퀴즈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는, 인쇄모재를 흡착하는 흡착밸브를 포함하는 로딩부; 상기 인쇄모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인쇄모재가 상기 안착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 상기 안착부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의 상측에 스크린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 상기 스크린 거치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로 가압하는 인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를 사용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인쇄모재를 한 장씩 로딩시킬 수 있고, 인쇄모재의 안착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가 1회 이루어질 때마다 스크린 저면이 클리닝되므로 인쇄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크린, 인쇄기, 로딩, 진동, 이송, 클리닝

Description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Automatic screen printer}
도 1은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스크린 인쇄장치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모재 흡착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모재 매수감지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모재 안착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안착 이송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적용되는 인쇄모재의 평면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적용되는 안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적용되는 클리닝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된 인쇄모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된 인쇄모재를 이송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적재부 200 : 로딩부
300 : 안착부 400 : 로딩 이송부
500 : 안착 이송부 600 : 스크린 거치부
700 : 인쇄부 800 : 위치 감지부
900 : 클리닝부 P : 인쇄모재
S : 스크린
본 발명은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쇄모재를 안정적으로 하나씩 이송할 수 있고 스크린 클리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스퀴즈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인쇄는 인쇄대상물(이하, 인쇄모재라 함)의 상부에 목적하는 로고나 도안의 통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구비되고, 스크린의 상부에서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인쇄모재 표면에 목적하는 로고나 도안이 인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기인하여,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기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의 인쇄수행위치에 인쇄모재가 얹혀지는 지그와, 지그의 상부 프레임 상에 좌, 우 왕복가능하게 설치된 인쇄수행기구와, 상기 인쇄수행기구와 인쇄모재 사이의 프레임 부분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페이스트를 부분적으로 통과시키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된 종래의 인쇄기에서 구동되는 구성을 살펴보면, 인쇄수행기구를 좌, 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며, 인쇄수행 전 스크린을 인쇄모재 측으로 근접 이동시키거나, 인쇄완료 후 스크린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스크린 인쇄기는 작업자가 지그 상에 인쇄모재를 거치시키고, 장 치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스크린이 인쇄모재 측으로 근접 이동되고 이 후, 인쇄수행기구가 일측 방향(대체로 좌에서 우로)으로 이동하며 페이스트를 분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인쇄수행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실린더가 적용되며, 스크린을 상, 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스크린의 일측에 힌지구성을 형성하여 힌지구성을 상, 하로 각도회전시키는 모터와 같은 회전동력기구가 적용된다.
이 후, 상기 인쇄모재 상에 인쇄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는 인쇄수행기구를 원위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회전동력기구도 스크린을 원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작업자가 지그에서 인쇄모재를 취출시켜 인쇄과정을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스크린 인쇄장치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는 프레임(10), 인쇄수행기구(20), 스크린(30), 동력기구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장치를 지지하는 바디(11)와 바디(11)의 상측 전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설치대(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의 하측 전면에는 인쇄모재(1)가 장착되기 위한 지그(2)가 설치되며, 이 지그(2)는 인쇄모재(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와 작업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의 이송기구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인쇄수행기구(20)는 프레임(10)의 설치대(12) 전면에 설치되며, 좌, 우로 왕복 이동되기 위해 설치대(12) 전면에 2개 1조로 수평 설치된 레일(21) 상에 이동플레이트(22)가 결합되고, 이동플레이트(22)의 전면에 잉크의 분사 및 스크린(30) 상에 분사된 페이스트를 일측으로 쓸어내는 노즐기구(23)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30)은 상, 하면을 관통하여 인쇄모재(1)에 인쇄될 로고나 각종 문양의 통공이 형성되고, 설치대(12)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크린 지지체(31)의 홀더(32)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 지지체(31)는 인쇄수행기구(20)와 지그(2) 사이의 설치대(12) 하단 일측에 끝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각도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홀더(32)가 길이방향에 수직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동력기구부(40)는 인쇄수행기구(20)와 스크린(30)이 홀딩된 스크린 지지체(31)가 설치된 설치대(12) 일측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된 캠 유닛(50), 캠 유닛(5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80), 동력전달기구(80)에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기구인 모터(90)로 구성된다.
상기 캠 유닛(50)은 설치대(12)에 각각 구동축(51, 52)이 결합되며, 이들 각각의 구동축(51, 52)에 링크기구(60)와 캠부재(7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링크기구(60)는 구동축(51)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레버(61)와, 회전레버(61)의 회전에 의해 인쇄수행기구(20)의 이동플레이트(22)를 왕복이동시키는 연결로드(6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로드(62)는 양단이 회전레버(61)와 이동플레이트(22)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61)는 구동축(51)과 결합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63)을 가지며, 구동축(51)은 이 슬릿(63)을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일 예로 볼트, 너트의 결합방식 등)되어 회전레버(62)가 회전되는 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반경조절부(6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로드(62)에는 턴버클(turnbuckle) 형태의 길이조절부(65)가 형성되어, 상기 반경조절부(64)와 길이조절부(65)를 조작함에 의해 인쇄수행기구(20)의 이동플레이트(22)가 왕복이동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캠부재(70)는 구동축(52)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장착되고, 그 외면에 스크린 지지체(31)의 상면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스크린 지지체(31)가 항상 캠부재(7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크린 지지체(31)와 설치대(12)에 양단이 고정지지된 탄성부재인 인장스프링(7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부재(70)는 인쇄수행기구(20)가 좌, 우로 왕복하여 인쇄수행 및 복귀되는 동작에 대응하여 스크린(30)(보다 정확하게는 스크린 지지체)가 인쇄모재(1) 측으로 근접/근접상태유지/복귀되기 위한 각 구간의 캠선도가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80)는 모터(90)의 회전축과 캠 유닛(50)의 각 구동축(51, 52)에 각각 풀리(81)가 장착되고, 이들 풀리(81)에 각각 벨트(82)를 결합하여 모터(90)의 회전동력이 각각의 구동축(51, 52)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82)와 풀리(81)는 체인, 스프로킷 또는 로프, 드럼 등의 동력전달 구성으로 동등치환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보다 정확한 동력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벨트(82)의 내측에 래크 형태의 기어치형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풀리(81)의 외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된 캠 유닛(50)의 각 구동축(51, 52)은 풀리(82)의 규격(직경)을 다르게 설정하여 각 구동축(51, 52)의 가속/감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들 회전되는 구동축(51, 52)에는 설치대(12)와의 결합지점에 베어링(83)이 장착되어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스크린 인쇄기는, 인쇄수행기구를 구동하기 위하여 모터가 사용되므로 사용 전력량이 매우 크며, 인쇄 동작 시 큰 소음이 발생되어 작업환경이 열악해지고, 인쇄모재가 상하로 구동되므로 내부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인쇄모재가 흔들려 인쇄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는, 인쇄모재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인쇄 정확도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인쇄모재의 공급과 배출을 작업자가 직접 해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 및 생산성이 좌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인쇄모재를 한 장씩 로딩시킬 수 있고, 인쇄모재의 안착위치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 없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과 사용 전력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는,
인쇄모재를 흡착하는 흡착밸브를 포함하는 로딩부;
상기 인쇄모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인쇄모재가 상기 안착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
상기 안착부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의 상측에 스크린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
상기 스크린 거치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로 가압하는 인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착밸브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여 상기 인쇄모재의 흡착 여부를 판단하는 흡착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딩부는,
상기 흡착밸브에 흡착된 인쇄모재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로딩부는 로딩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밸브와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로딩블록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모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쇄모재가 상기 안착부로 이송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인쇄모재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인쇄모재를 투과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인쇄모재를 투과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인쇄모재의 매수를 감지하는 매수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인쇄모재가 적재되는 적재판과, 최상측에 적재된 인쇄모재가 흡착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적재판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모재 이송수단과, 상기 적재판의 상측에 위치되어 흡착 지점에 인쇄모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모재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적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딩 이송부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 슬라이드바와,
상기 수평 슬라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로딩부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평 슬라이드블록에 결합되는 수직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 이송부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안착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과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안착부를 나사결합 구조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이송스크류바와,
상기 안착부가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바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 거치부는,
스크린의 측단이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과,
상기 거치 브라켓에 거치된 스크린의 측단을 상기 거치 브라켓에 밀착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수단과,
상기 거치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브라켓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부는,
스크래퍼와,
스퀴즈와,
상기 스크래퍼와 스퀴즈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수단과,
상기 스크래퍼와 스퀴즈를 독립적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이송수단은, 에어실린더로 적용된다.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인쇄모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인쇄모재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테이블과, 상기 안착테이블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위치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안착테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조정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모재는 좌우측 양단에 위치감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위치감지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인쇄모재의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는,
클리닝시트가 감겨지는 시트롤러와, 상기 클리닝시트가 상기 스크린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시트롤러를 이송하는 롤러 이송수단과, 상기 시트롤러가 이송될 때 상기 시트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클리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는 인쇄모재에 인쇄형상 이외에 위치감지홀의 일측에 특정 마크를 더 인쇄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인쇄가 완료된 인쇄모재가 인쇄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감지부 하부를 지날 때 상기 위치감지홀과 마크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위치에 인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로딩부는 정상적으로 인쇄된 인쇄모재와 비정상적으로 인쇄된 인쇄모재를 분리 적재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는, 인쇄모재(P)가 적재되는 적재판(100)을 구비하는 적재부(100)와, 진공압을 이 용하여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구비하는 로딩부(200)와, 상기 흡착밸브(220)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여 상기 인쇄모재(P)의 흡착 여부를 판단하는 흡착 감지부와,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와,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와,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와,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와,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함으로써 인쇄모재(P)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부(700)와, 스크린(S)의 저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딩부(200)는, 적재된 인쇄모재(P)의 상측에 위치하는 로딩블록(210)과, 상기 인쇄모재(P)의 상면에 접촉되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와, 흡착밸브(220)에 흡착된 인쇄모재(P)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착밸브(220)는 상기 로딩블록(210)의 저면에 위치되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적재부(100)에 적재된 인쇄모재(P) 중 최상측에 위치된 인쇄모재(P)를 흡착한다.
이때, 상기 인쇄모재(P)가 인쇄회로기판등과 같이 일정 하중 및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최상측에 위치된 하나의 인쇄모재(P)만이 흡착되지만, 인쇄모재(P)가 종이나 시트류인 경우 2장 이상이 흡착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2장 이상의 인쇄모재(P)가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수단(230)은 흡착밸브(220)에 흡착된 인쇄모재(P)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착밸브(220)에 직접 흡착된 인쇄모재(P)만를 제외한 나머지 인쇄모재(P) 즉, 최상측 인쇄모재(P)의 저면에 붙어 딸려 올라온 나머지 모재들을 떨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수단(230)은 흡착밸브(220)에 흡착된 인쇄모재(P)의 상면에 반복적인 타격을 주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인쇄모재(P)에 접촉된 상태에서 직접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인쇄모재(P)가 흡착밸브(220)에 흡착되면 흡착밸브(22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지 아니하므로 흡착밸브(220)에는 진공압이 형성되는데, 흡착 감지부는 이와 같은 진공압을 측정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진공압이 측정되었을 때 인쇄모재(P)가 흡착부에 흡착되었음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딩 이송부(400)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 슬라이드바(410)와, 상기 수평 슬라이드바(410)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수평 슬라이드바(4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수평 슬라이드블록(420)과, 상기 로딩부(2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평 슬라이드블록(420)에 결합되는 수직 슬라이드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딩 이송부(400)는, 수직 슬라이드블록(43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딩부(200)를 승하강시키고, 수평 슬라이드블록(4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딩부(20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수직 슬라이드블록(430) 및 수평 슬라이드블록(420)을 이동시키는 구조는, 모터와 기어를 이 용하거나 또는 롤러를 이용하는 등 종래의 각종 슬라이드장치에 적용되는 슬라이딩구조 중 어떠한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안착 이송부(500)는, 로딩 이송부(400)의 수평 슬라이드바(41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안착부(300)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이송테이블(510)과, 상기 이송테이블(510)과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안착부(300)를 나사결합 구조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이송스크류바(520)와, 상기 안착부(300)가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바(520)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스크류바(520)는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모터(530)에 의해 이송스크류바(520)가 회전하게 되면, 안착부(300)는 이송스크류바(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는, 스크린(S)의 측단이 거치되는 거치브라켓(610)과, 상기 거치브라켓(610)에 거치된 스크린(S)의 측단을 상기 거치브라켓(610)에 밀착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수단(620)과, 상기 거치브라켓(61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브라켓 이송수단(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이송수단(630)은, 거치브라켓(610)의 좌우측 높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린(S)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높이조절 실린더와, 모든 거치브라켓(610)이 고정 결합되는 수직이동 브라켓(640)과,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640)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64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직이동 가이드 바(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높이조절 실린더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스크린(S)의 장착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고, 수직이동 가이드바(650)를 따라 수직이동 브라켓(640)을 이송시킴으로써 스크린(S)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쇄부(700)는, 스크린(S) 상에 마련된 페이스트를 도포하기 위한 스크래퍼(710)와, 스크린(S)에 도포된 페이스트가 스크린(S)을 통과하여 인쇄모재(P)에 묻을 수 있도록 페이스트가 도포된 스크린(S) 상면을 가압하는 스퀴즈(720)와, 상기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수단(730)과, 상기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수단(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는 나사결합 구조로 인쇄부(7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가 마모되었을 때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평 이송수단(730)은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가 장착되어 있는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즉, 인쇄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열되는 인쇄스크류바(732)와, 상기 인쇄스크류바(7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쇄모터(7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쇄스크류바(732)는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가 장착되어 있는 블록을 나사결합구조로 관통하여 장착 위치 가 고정된 상태로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모터(734)의 동작에 의해 인쇄스크류바(732)가 회전하게 되면,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가 장착되어 있는 블록은 인쇄스크류바(73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수직 이송수단(740)은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직 이송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에어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밀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압축된 공기에는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으므로 스크래퍼(710)와 스크린(S) 사이의 거리 또는 스퀴즈(720)와 스크린(S) 사이의 거리에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도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스크린(S) 상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쇄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동작시키면,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전력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쇄부(700)는,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640)에 결합되어 스크린(S)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브라켓(610)과 함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리닝부(900)는 인쇄작업 후 저면에 페이스트 잔존물이 묻어있는 스크린(S)의 저면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클리닝시트(902)가 감겨지는 제1 시트롤러(910)와, 제1 시트롤러(910)에서 공급되는 클리닝시트(902)가 스크린(S)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클리닝시트(90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클리닝바(920)와, 상기 클리닝바(920)를 지난 클리닝시트(902)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향전환롤러(930)와, 사용된 클리닝시트(902)가 감겨지는 제2 시트롤러(940)와, 상기 클리닝바(920)에 위치된 클리닝시트(902)가 상기 스크린(S)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시트롤러를 이송하는 롤러 이송수단(950)과, 상기 시트롤러가 이송될 때 상기 시트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 이송수단(950)은 각 롤러가 장착되는 블록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클리닝스크류바(952)와, 상기 클리닝스크류바(952)를 회전시키기 위한 클리닝모터(9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롤러 이송수단(950)의 동작은 수평 이송수단(7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는 각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형상을 출력하는 출력부(D)와, 각부의 동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I)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는 출력부(D)를 보면서 입력부(I)를 조작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모재(P) 흡착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재부(100)는, 적재판(100)을 관통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인쇄모재(P)에 형성된 적재위치홀(H)( 도 13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인쇄모재(P)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적재핀(120)과, 최상측에 적재된 인쇄모재(P)가 흡착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적재판(10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모재 이송수단(130)과, 상기 적재판(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흡착 지점에 인쇄모재(P)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모재 감지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재 감지수단(140)은, 수직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위치되는 발광센서(142)와 수광센서(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 이송수단(130)에 의해 인쇄모재(P)가 상측으로 이송되어 최상측에 위치하는 인쇄모재(P)가 상기 발광센서(142)와 수광센서(144)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모재 이송수단(130)은 동작을 정지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측에 위치하는 인쇄모재(P)는 로딩부(200)의 흡착밸브(220)에 흡착되고 모재 이송수단(130)은 다시 하강한다.
이와 같이 흡착밸브(220)에 인쇄모재(P)가 흡착되면, 진동수단(230)은 흡착밸브(220)에 흡착된 인쇄모재(P)에 진동을 인가하여 한 장의 인쇄모재(P)만이 흡착밸브(220)에 흡착되어 로딩부(200)에 의해 로딩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모재(P) 매수감지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부(200)는,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로 이송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인쇄모재(P)를 향해 빛을 발 광하는 발광부(240)와 상기 인쇄모재(P)를 투과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250)를 구비하는 매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240)는 로딩블록(210)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광부(250)는 적재부(100)와 안착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로딩부(200)가 인쇄모재(P)를 흡착한 후 안착부(300)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발광부(240)와 수광부(250)는 상호 마주보게 되어 동작된다. 수광부(250)는 발광부(240)에서 발광되어 인쇄모재(P)를 투과한 후 수광부(250)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인쇄모재(P)의 매수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인쇄모재(P)가 한 장임을 인지하도록 설정되는 빛의 투과량은, 인쇄모재(P)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됨은 자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모재(P) 안착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안착 이송부(500)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적용되는 인쇄모재(P)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적용되는 안착부(300)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300)는, 상기 인쇄모재(P)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테이블(310)과, 상기 안착테이블(3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위치 감지부(8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안착테이블(3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조정테이블(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모재(P)를 흡착한 로딩부(200)는 안착부(300)의 상면에 위치된 후, 흡착 밸브(220)의 동작을 해제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모재(P)를 안착부(300)의 상면, 더 상세하게는 안착테이블(31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인쇄모재(P)가 안착테이블(310)의 상면에 안착되면, 안착부(300)는 이송테이블(5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안착부(300)는 인쇄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안착부(300)에 안착된 인쇄모재(P)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800)의 하부를 지나게 된다.
인쇄모재(P)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 부위에 적재위치홀(H)이 형성되며, 양측 중단에는 위치감지홀(h)이 형성된다. 위치 감지부(800)는, 한 쌍의 위치감지홀(h)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인쇄모재(P)의 안착 위치 및 안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위치 감지부(800)는, 빛이나 자기장을 방출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위치감지홀(h)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인쇄모재(P)의 양측 중단을 촬영함으로써 위치감지홀(h)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위치감지 수단은 종래의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모재(P)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안착테이블(31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800)는 이를 감지하여 조정테이블(320)로 신호를 보내고, 조정테이블(320)은 안착테이블(3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인쇄모재(P)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안착테이블(310)은 회전운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도 가능하므로, 인쇄모재(P)의 위치가 일측으로 치우친 경우에도 인쇄모재(P)의 안착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공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인쇄모재(P)가 인쇄지점에 위치되도록 안착부(300)가 이송되면, 스크린 거치부(600)는 스크린(S)을 인쇄모재(P) 상측에 위치시키고, 스크린(S)의 상면에는 페이스트가 마련된다.
이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710)는 하측으로 이송된 후 수평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스크린(S) 상면에 마련된 페이스트를 스크린(S)에 고르게 도포하고, 페이스트의 도포가 완료되면 스크래퍼(710)는 다시 상측으로 이송되고 스퀴즈(720)가 하측으로 이송된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인쇄모재(P)에 페이스트가 묻어 인쇄될 수 있도록 스크린(S) 상면을 압착시키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적용되는 클리닝부(900)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스크린(S) 인쇄가 완료되면 안착부(300)는 인쇄지점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스크린 거치부(600)는 스크린(S)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900)가 스크린(S)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이송된다. 클리닝부(900)가 스크린(S) 하측에 위치되면, 스크린 거치부(6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 린(S)의 저면이 클리닝바(920)에 감겨진 클리닝시트(902)에 접촉되도록 스크린(S)을 하향으로 이송하고, 클리닝부(900)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스크린(S)의 저면에 잔존하는 페이스트를 닦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부(900)는 스크린(S)의 저면을 닦기 위한 이송 중 제1 시트롤러(910)와 제2 시트롤러(940)를 회전시킴으로써, 항상 클리닝시트(902)의 깨끗한 부위로 스크린(S)의 저면을 닦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된 인쇄모재(P)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에 의해 인쇄된 인쇄모재(P)를 이송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모재(P)에 인쇄형상 이외에 위치감지홀(h)의 일측에 특정 마크(M)를 더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모재(P)가 인쇄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감지부(800) 하부를 지날 때 상기 위치 감지부(800)는 위치감지홀(h)과 마크(M)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위치에 인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로딩부(200)는 정상적으로 인쇄된 인쇄모재(P)는 컨베이어벨트(B)로 이송하고 비정상적으로 인쇄된 인쇄모재(P)는 웨이스트박스(W)로 분리하여 적재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는, 보다 안정적으로 인쇄모재를 한 장씩 로딩시킬 수 있고, 스크래퍼와 스퀴즈를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과 사용 전력량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를 사용하면, 인쇄모재의 안착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쇄가 1회 이루어질 때마다 스크린 저면이 클리닝되므로 인쇄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인쇄불량 여부가 자동으로 감지되므로 인쇄 검사를 위한 노동력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 및
    상기 흡착밸브(220)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여 상기 인쇄모재(P)의 흡착 여부를 판단하는 흡착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2. 삭제
  3.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부(200)는,
    상기 흡착밸브(220)에 흡착된 인쇄모재(P)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200)는 로딩블록(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밸브(220)와 상기 진동수단(230)은 상기 로딩블록(210)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모재(P)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5.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로 이송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인쇄모재(P)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40)와, 상기 인쇄모재(P)를 투과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2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인쇄모재(P)를 투과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인쇄모재(P)의 매수를 감지하는 매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6.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를 포함하고,
    인쇄모재(P)가 적재되는 적재판(100)과, 최상측에 적재된 인쇄모재(P)가 흡착지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적재판(10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모재 이송수단(130)과, 상기 적재판(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흡착 지점에 인쇄모재(P)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모재 감지수단(140)을 구비하는 적재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7.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이송부(400)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 슬라이드바(410)와,
    상기 수평 슬라이드바(4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 슬라이드블록(420)과,
    상기 로딩부(200)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평 슬라이드블록(420)에 결합되는 수직 슬라이드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8.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이송부(500)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안착부(300)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이송테이블(510)과,
    상기 이송테이블(510)과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안착부(300)를 나사결합 구조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이송스크류바(520)와,
    상기 안착부(300)가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바(520)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9.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는,
    스크린(S)의 측단이 거치되는 거치브라켓(610)과,
    상기 거치브라켓(610)에 거치된 스크린(S)의 측단을 상기 거치브라켓(610)에 밀착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수단(620)과,
    상기 거치브라켓(61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브라켓 이송수단(6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700)는,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와,
    상기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수단(730)과,
    상기 스크래퍼(710)와 스퀴즈(720)를 독립적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수단(7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수단(740)은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12. 삭제
  13. 인쇄모재(P)를 흡착하는 흡착밸브(220)를 포함하는 로딩부(200);
    상기 인쇄모재(P)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상기 인쇄모재(P)가 상기 안착부(300)에 위치되도록 상기 로딩부(200)를 이송하는 로딩 이송부(400);
    상기 안착부(300)를 인쇄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안착 이송부(500);
    인쇄위치로 이송된 안착부(300)의 상측에 스크린(S)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크린 거치부(600);
    상기 스크린 거치부(6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린(S) 상면에 위치하는 페이스트를 상기 인쇄모재(P)로 가압하는 인쇄부(700); 및
    상기 안착부(300)에 안착된 인쇄모재(P)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300)는, 상기 인쇄모재(P)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테이블(310)과, 상기 안착테이블(3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위치 감지부(8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안착테이블(3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조정테이블(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모재(P)는 좌우측 양단에 위치감지홀(h)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감지부(800)는 상기 위치감지홀(h)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인쇄모재(P)의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700)는 위치감지홀(h)의 일측에 특정 마크(M)를 더 인쇄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인쇄가 완료된 인쇄모재(P)가 인쇄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감지부(800) 하부를 지날 때 상기 위치감지홀(h)과 마크(M)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위치에 인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로딩부(200)는 정상적으로 인쇄된 인쇄모재(P)와 비정상적으로 인쇄된 인쇄모재(P)를 분리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15. 제1항에 있어서,
    클리닝시트(902)가 감겨지는 시트롤러와, 상기 클리닝시트(902)가 상기 스크 린(S)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시트롤러를 이송하는 롤러 이송수단(950)과, 상기 시트롤러가 이송될 때 상기 시트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클리닝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1020050131321A 2005-12-28 2005-12-28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10073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321A KR100732918B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321A KR100732918B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663U Division KR200412044Y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918B1 true KR100732918B1 (ko) 2007-06-29

Family

ID=3837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321A KR100732918B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72B1 (ko) 2009-06-26 2010-06-22 (주)한국미노 스크린 클리너가 구비된 스크린인쇄기
KR20160089171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티쓰리아이 기판 인쇄 장치
KR102304298B1 (ko) * 2021-05-13 2021-09-17 신용팔 자동 스크린 인쇄장치
KR102304292B1 (ko) * 2021-05-13 2021-09-17 신용팔 잉크 포집부가 구비된 자동 스크린 인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3635A (ja) * 1989-10-31 1991-06-19 Tokai Shoji Kk 全自動スクリーン印刷機
KR970000863Y1 (ko) * 1993-02-08 1997-02-12 허영식 반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970025955A (ko) * 1995-11-01 1997-06-24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스크린 판의 세척 장치
JP2001062995A (ja) * 1999-08-30 2001-03-13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4189394A (ja) * 2002-12-10 2004-07-08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の吸着枚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3635A (ja) * 1989-10-31 1991-06-19 Tokai Shoji Kk 全自動スクリーン印刷機
KR970000863Y1 (ko) * 1993-02-08 1997-02-12 허영식 반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970025955A (ko) * 1995-11-01 1997-06-24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스크린 판의 세척 장치
JP2001062995A (ja) * 1999-08-30 2001-03-13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4189394A (ja) * 2002-12-10 2004-07-08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の吸着枚葉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72B1 (ko) 2009-06-26 2010-06-22 (주)한국미노 스크린 클리너가 구비된 스크린인쇄기
KR20160089171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티쓰리아이 기판 인쇄 장치
KR101666553B1 (ko) 2015-01-19 2016-10-18 주식회사 엠에스텍 기판 인쇄 장치
KR102304298B1 (ko) * 2021-05-13 2021-09-17 신용팔 자동 스크린 인쇄장치
KR102304292B1 (ko) * 2021-05-13 2021-09-17 신용팔 잉크 포집부가 구비된 자동 스크린 인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582B1 (ko) 스크린 인쇄기
US9126280B2 (en) Print head for stencil printer
US8474377B2 (en)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8746139B2 (en)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8733244B2 (en) Methods for depositing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with a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US8746142B2 (en) Stencil wiper spot clean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20120145014A1 (en)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70174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web material in a stencil printer
KR100732918B1 (ko)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KR100927837B1 (ko)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장치
KR200412044Y1 (ko) 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US9370925B1 (en) Stencil printer having stencil shuttle assembly
JP3285244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用印刷結果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H05193105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H0550578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160014802A (ko) 트윈 테이블을 구비한 스크린 인쇄장치
KR102017838B1 (ko) 스크린 프린터의 스퀴지 블레이드 평행도 조정 장치
KR101775955B1 (ko)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 시스템
JP6792458B2 (ja) 製造作業機
JPH08197713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被印刷物搬送装置
JP2005279954A (ja) 液体噴射装置、及びプラテンとノズル面の距離出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