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66B1 -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66B1
KR101887566B1 KR1020170171643A KR20170171643A KR101887566B1 KR 101887566 B1 KR101887566 B1 KR 101887566B1 KR 1020170171643 A KR1020170171643 A KR 1020170171643A KR 20170171643 A KR20170171643 A KR 20170171643A KR 101887566 B1 KR101887566 B1 KR 10188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apparatus
box
main body
uni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장호
Original Assignee
편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장호 filed Critical 편장호
Priority to KR1020170171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B41M1/04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24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flexographic prin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72Coated paper characterised by the paper substrate
    • D21H19/74Coated paper characterised by the paper substrate the substrate having an uneven surface, e.g. crêped or corrugated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되, 박스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박스의 상면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팅장치 및 상기 프린팅장치를 상기 본체와 연결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상하조절부 및 제2상하조절부, 상기 제1상하조절부, 제2상하조절부 및 프린팅장치가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 상기 제1상하조절부와 제2상하조절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프린팅장치의 양측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하조절부 및 제2상하조절부는 상기 고정부 및 좌우조절부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프린팅장치의 높낮이를 가변하도록 이루어져, 포장박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측함과 더불어 프린팅장치의 위치를 가변하여 보다 제조의 전반에 걸쳐 효율적이면서도 인쇄된 이미지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이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인쇄장치{Printing machine for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판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에 센서 및 구동장치가 형성되고, 복수의 헤드가 형성된 프린팅장치를 통해 포장박스 상에 인쇄되는 디자인이 보다 정교한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제품이 내부에 삽입됨과 더불어 외면에는 해당 제품의 상품명이나 제조업체 등을 알 수 있도록 여러 이미지가 인쇄되도록 제조되어진다. 현대에는 해당 이미지가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되도록 점진적으로 발전되어졌고, 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정교하게 인쇄할 수 있는 장치가 시장에서 요구되었다.
상기 포장박스에 대한 인쇄기술은 기존에는 플렉소(Flexo)를 포함하여 옵셋 프린팅 및 그라비아 프린팅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이 중에서 상기 플렉소 기법은 양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포장박스에 인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플렉소 인쇄는 기본적인 제판만 하면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지만, 현대의 흐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디자인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기가 힘들며 디자인이 정교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식들은 잉크와 물과 희석되어 잉크폐수가 많이 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각 업체별로 70%의 가동률로 보았을 때, 나오는 폐수의 양은 1년 기준으로 50t~100t 가량에 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876666호("포장박스용 착색 골판지 및 그 인쇄장치")에서는 골판지의 표면을 다양한 색채로 꾸밀 수 있도록 건조과정 및 합지과정 사이에 인쇄장치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표면지에 색채를 인쇄 또는 착색한 후에 골판지와의 합지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장치는 별도의 표면지를 통해 합지 이전 과정에서 이미지를 인쇄함에 따라 다양하고 정교한 디자인이 표출될 수는 있으나, 골판지 및 표면지 사이의 합지 과정에서 마르지 않은 잉크의 퍼짐 현상으로 인하여 추후에 사용되는 롤러에 잉크가 잔재되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됨에 따라 누적된 잔여 잉크로 인해 재정비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포장박스 상에 곧바로 인쇄할 수가 없어 수요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6666호("포장박스용 착색 골판지 및 그 인쇄장치", 2008.12.2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3327호("포장박스용 복합인쇄장치", 2011.12.0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7720호("프린트 헤드 모듈", 2017.08.2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복수의 헤드가 형성된 프린팅장치를 이용하며,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위치를 설정하고, 흡착판이 형성된 컨베이어와 고정수단을 통해 포장박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미지를 정교하게 인쇄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인쇄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되, 박스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박스의 상면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팅장치; 및 상기 프린팅장치를 상기 본체와 연결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상하조절부 및 제2상하조절부, 상기 제1상하조절부, 제2상하조절부 및 프린팅장치가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 상기 제1상하조절부와 제2상하조절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프린팅장치의 양측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하조절부 및 제2상하조절부는 상기 고정부 및 좌우조절부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프린팅장치의 높낮이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린팅장치는 잉크가 분사되는 복수의 헤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제1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되어 상기 박스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이송부가 안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통기홈과 연통되되 상기 통기홈을 공기흡입장치로 연결하는 흡기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린팅장치의 전방에 형성되되, 인입되는 박스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상하조절부 및 제2상하조절부 사이를 지나가는 박스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1측부변위센서; 및 상기 프린팅장치에 결합되되 상기 프린팅장치의 하측에 지나가는 박스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1상부변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상면과 결합되되 상기 프린팅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인입되는 박스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2상부변위센서 및 제2측부변위센서가 형성된 전방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인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양측면 및 상부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포장박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측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속도를 통해 이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어 이미지의 위치가 균일하게 인쇄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컨베이어 상에 복수의 흡착홈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가 모터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하며, 인쇄 중에는 고정 수단을 통해 이를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된 이미지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프린터 헤드가 복수로 형성되어져 포장박스의 전반에 걸쳐 인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효율성 및 디자인적 심미관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폐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잉크통과 연결된 잉크젯 방식의 프린트장치를 이용하여 기존 플렉소, 옵셋 및 그라비아 프린팅 등에서 발생되었던 많은 양의 폐수처리에 관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컨베이어가 분해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가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은 전체 사시도를, 도 2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인쇄장치(1000)는 본체(100), 컨베이어(200), 프린팅장치(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박스(10)가 전방에서 인입되어 후방으로 반출하는 장치로 상기 컨베이어(200), 프린팅장치(300) 및 조절부(400)가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박스(1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복수의 모터로 이루어진 모터부(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200)는 상기 모터부(20)의 제1모터(21)와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린팅장치(300)는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박스(10)가 상기 프린팅장치(300)와 컨베이어(200) 사이로 이송될 때, 상기 박스(10)의 상면에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린팅장치(300)가 잉크분사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잉크공급부(30)가 본체(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프린팅장치(300)를 본체(100)와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높낮이 및 좌우측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인쇄장치(1000)는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전방에 형성되되, 인입되는 박스(10)를 상측에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롤러(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롤러(500)는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전방에 복수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나 상기 프린팅장치(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말한 구성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는 본체 상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제2상하조절부(412) 및 프린팅장치(300)가 서로 고정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420)와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양측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부(4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는 상기 본체(10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볼 스크류 등을 통해서 상기 고정부(420) 및 좌우조절부(430)의 양측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20) 및 좌우조절부(430)는 각각 상기 프린팅장치(300)와 결합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상하조절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가 서로 다른 높낮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기울기도 조절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박스(10)로 많이 사용되는 골판지의 경우에도 완벽히 좌우가 균일한 높이가 아닐 수 있으며, 이러한 세밀한 조절까지도 가능토록 이루어져 보다 품질이 좋은 이미지가 인쇄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프린팅장치(300)가 상기 고정부(420)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조절부(430)의 일부에 상기 프린팅장치(300)가 결합되되, 상기 좌우조절부(430)가 회전하면 상기 프린팅장치(300)가 좌우측으로 이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측에 고정되어 추락하지 않도록 상기 좌우조절부(430)가 방비함과 더불어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양측단의 위치를 고정하여 제어된 기울기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21)와 연결된 하나의 샤프트(S)에 다수의 컨베이어장치(200a,200b,200c,200d,200e,200f,200g)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도 2에서 도시된 개수에 한 하는 것이 아니며, 큰 컨베이어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2개 이상의 복수로 이루어진 것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00)는 제1모터(21)의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이송부(210) 및 상기 이송부(2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착홈(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은 하나의 컨베이어가 분해된 평면도를, 도 4는 컨베이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컨베이어(200)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110) 및 상기 수용부(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120)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홈(120)은 상기 컨베이어(200)의 흡착홈(220)과 공기가 서로 대류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5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말한 통기홈(120)은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흡기라인(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라인(130)은 복수의 통기홈(120)에 각각 형성된 단일라인(131) 및 상기 단일라인이 취합하여 하나의 배관으로 형성되는 매니폴드라인(132)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배관으로 통합된 관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140)에 배치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공기흡입장치(4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장치(40)가 흡기라인(130)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200)에 공기 흡착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인입되는 박스가 컨베이어에 밀착되도록 하여 인쇄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도 6은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6은 박스가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로 이루어지는 상기 컨베이어(200)는 각각의 양측방향의 길이(
Figure 112017124420713-pat00001
,
Figure 112017124420713-pat00002
)를 가지거나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200) 간의 이격거리(
Figure 112017124420713-pat00003
)가 주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입되는 박스(10)의 양측방향의 길이(
Figure 112017124420713-pat00004
)를 토대로 가동되는 컨베이어(200)의 대상을 지정할 수 있으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좌측 기준에서 2 내지 6번째에 배치된 컨베이어(200)가 가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른 제어는 센서를 통한 자동화 또는 작업자의 육안에 의한 수작업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은 각각 부분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400)에 결합되되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20) 사이를 지나가는 박스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1측부변위센서(610) 및 상기 프린팅장치(300)에 결합되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하측에 지나가는 박스(10)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1상부변위센서(6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상부변위센서(620)는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후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전단에 결합되는 경우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변위센서(620)는 박스가 프린팅장치(300)로 도달되는 시점을 파악하여 박스 상에 이미지를 형성할 타이밍이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부변위센서(610)는 상기 고정롤러(500)를 통해 가압된 상태에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높이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보다 세밀하게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롤러(500)는 복수의 가압수단(510) 및 상기 복수의 가압수단(510)을 본체(100)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린팅장치는 잉크가 분사되는 복수의 헤드(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잉크통(31) 및 공급노즐(32)로 이루어진 잉크공급부(30)를 통해 상기 프린팅장치(300)에 잉크가 도달되면, 상기 프린팅장치(300)는 복수의 헤드(310)에 각각 잉크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내부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헤드(310)는 각각의 배합통이 형성되되 전달된 잉크가 그 안에서 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커넥터 및 모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린팅장치(300)는 잉크젯프린터로 이루어져 복수의 헤드(310)에 각각 형성된 노즐에서 잉크가 분사되어 박스의 외부에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헤드(310)는 전체이미지를 픽셀화하여, 서로 구획된 부분으로 외부신호를 통해 공급된 이미지의 형상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린팅장치(300)는 외부 컴퓨터나 모바일 등의 기계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외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전체이미지를 수신 받고 각각의 헤드(310)에 전체이미지를 구획화하여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프린팅장치(300)는 앞서 기재한 잉크젯프린터 방식을 포함하여 레이저프린트나 종래의 인쇄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9 및 도 10은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는 전체 사시도를, 도 10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용 인쇄장치(1000)는 본체(100)의 상면과 결합되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에 도달하기 앞서서 상기 박스(1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전방측정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측정부(700)는 도 9의 부분적으로 확대한 바와 같이 본체(100)와 결합되는 전방프레임(710)과 상기 전방프레임(710)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박스(10)의 양측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박스(10)의 양측방향 길이를 측정하는 제2상부변위센서(720) 및 상기 전방프레임(710)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박스(10)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제2측부변위센서(7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복수의 제2상부변위센서(720)는 서로 일정한 간격(w)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측에 배치된 박스(10)의 양측방향의 길이(L)를 상기 복수의 제2상부변위센서(720)를 통해 도출해낼 수 있다. 나아가 하측에 박스(10)가 배치되지 않은 지점의 변위를 기준으로 박스(10)의 변위값을 계산하여 높이 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프린팅장치(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측부변위센서(730) 또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10)의 양측단부를 모두 센싱할 수 있도록 양단부와 양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2상부변위센서(720) 및 제2측부변위센서(730)에서 센싱된 값을 통해 연산하여 보다 정밀한 위치 산출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것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0 :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B : 벨트풀리 S : 샤프트
10 : 박스 20 : 모터부
21 : 제1모터 22 : 제2모터
23 : 제3모터
30 : 잉크공급부
31 : 잉크통 32 : 공급노즐
40 : 공기흡입장치
100 : 본체
110 : 수용부 120 : 통기홈
130 : 흡기라인 140 : 공간부
200 : 컨베이어
210 : 이송부 220 : 흡착홈
300 : 프린팅장치 310 : 헤드
400 : 조절부
411 : 제1상하조절부 412 : 제2상하조절부
420 : 고정부 430 : 좌우조절부
500 : 고정롤러
610 : 체1측부변위센서 620 : 제1상부변위센서
700 : 전방측정부 710 : 전방프레임
720 : 제2상부변위센서 730 : 제2측부변위센서

Claims (8)

  1.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되, 박스(1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컨베이어(200);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박스(10)의 상면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팅장치(300); 및
    상기 프린팅장치(300)를 상기 본체(100)와 연결하는 조절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제2상하조절부(412) 및 프린팅장치(300)가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420),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와 제2상하조절부(41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양측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12)는 상기 고정부(420) 및 좌우조절부(430)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높낮이를 가변하며,
    상기 조절부(400)에 결합되되 상기 제1상하조절부(411) 및 제2상하조절부(420) 사이를 지나가는 박스(10)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1측부변위센서(610); 및
    상기 프린팅장치(300)에 결합되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하측에 지나가는 박스(10)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1상부변위센서(62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결합되되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인입되는 박스(10)의 변위를 측정하는 제2상부변위센서(720) 및 제2측부변위센서(730)가 형성된 전방측정부(700);를 더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장치(300)는 잉크가 분사되는 복수의 헤드(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00)는 제1모터(21)의 회전력으로 구동되어 상기 박스(10)를 이송하는 이송부(210) 및 상기 이송부(2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착홈(220)을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이송부(210)가 안착되는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통기홈(120)과 연통되되 상기 통기홈(120)을 공기흡입장치(40)로 연결하는 흡기라인(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장치(300)의 전방에 형성되되, 인입되는 박스(10)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롤러(500);
    를 더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70171643A 2017-12-13 2017-12-13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188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43A KR101887566B1 (ko) 2017-12-13 2017-12-13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43A KR101887566B1 (ko) 2017-12-13 2017-12-13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566B1 true KR101887566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43A KR101887566B1 (ko) 2017-12-13 2017-12-13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51B1 (ko) 2018-09-03 2019-04-11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2551069B1 (ko) * 2022-12-28 2023-07-04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387A (ja) * 1998-06-26 2000-01-11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010067276A (ko) * 1999-10-05 2001-07-12 파트릭 제이. 바렛트 프린터 내의 인쇄 매체 가열 장치 및 잉크젯 프린터의인쇄 매체 가열 방법
KR20040031762A (ko) * 2004-03-26 2004-04-13 (주)우진월드 디지털 평판프린터의 헤드위치 조정장치
KR200359395Y1 (ko) * 2004-05-03 2004-08-21 우수범 계란 자동 인쇄기
KR100876666B1 (ko) 2008-04-04 2009-01-07 (주)조은포장 포장박스용 착색 골판지 및 그 인쇄장치
KR101093327B1 (ko) 2011-03-03 2011-12-14 이우순 포장박스용 복합인쇄장치
KR20170097720A (ko) 2014-12-18 2017-08-28 파다루마 인크-젯-솔루션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프린트 헤드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387A (ja) * 1998-06-26 2000-01-11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010067276A (ko) * 1999-10-05 2001-07-12 파트릭 제이. 바렛트 프린터 내의 인쇄 매체 가열 장치 및 잉크젯 프린터의인쇄 매체 가열 방법
KR20040031762A (ko) * 2004-03-26 2004-04-13 (주)우진월드 디지털 평판프린터의 헤드위치 조정장치
KR200359395Y1 (ko) * 2004-05-03 2004-08-21 우수범 계란 자동 인쇄기
KR100876666B1 (ko) 2008-04-04 2009-01-07 (주)조은포장 포장박스용 착색 골판지 및 그 인쇄장치
KR101093327B1 (ko) 2011-03-03 2011-12-14 이우순 포장박스용 복합인쇄장치
KR20170097720A (ko) 2014-12-18 2017-08-28 파다루마 인크-젯-솔루션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프린트 헤드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51B1 (ko) 2018-09-03 2019-04-11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2551069B1 (ko) * 2022-12-28 2023-07-04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
KR102596152B1 (ko) * 2022-12-28 2023-10-31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263B2 (ja) コンベヤ装置及び物品を運ぶ方法
US83535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corrugated cardboard sheets
CN102555541B (zh) 打印机及打印方法
US744530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rinthead gap in an ink jet apparatus that performs bi-directional alignment of the printhead
KR101887566B1 (ko)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JP2006341561A (ja) 印刷装置
US9579908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CN100429076C (zh) 多功能数字印刷机
US20180126725A1 (en) Device for coding printing sheets in a sheet-fed press
JP2019043561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CN102632725B (zh) 打印机以及打印方法
US9493324B2 (en) Detacher for rol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CN103753955B (zh) 一种数码喷墨印刷机
JP2012051127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US10137700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383931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5269960B (zh) 喷墨记录装置
US20190193431A1 (en) Printing apparatus
JP509164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52770A (ja) 動力伝達装置および該動力伝達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7081362B2 (ja) 高さ調整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274629Y1 (ko) 과자 인쇄용 잉크젯 프린터
JP2014214001A (ja) 印刷機
JP20162041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99255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