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152B1 -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152B1
KR102596152B1 KR1020230083417A KR20230083417A KR102596152B1 KR 102596152 B1 KR102596152 B1 KR 102596152B1 KR 1020230083417 A KR1020230083417 A KR 1020230083417A KR 20230083417 A KR20230083417 A KR 20230083417A KR 102596152 B1 KR102596152 B1 KR 10259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evice
trays
dust collection
upper plate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김치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김치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Priority to KR102023008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7Suction device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DUST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제품이 내부에 삽입됨과 더불어 외면에는 해당 제품의 상품명이나 제조업체 등을 알 수 있도록 여러 이미지가 인쇄된다. 현대에는 해당 이미지가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되도록 점진적으로 발전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정교하게 인쇄할 수 있는 장치가 시장에서 요구되었다.
상기 포장박스에 대한 인쇄기술은 플렉소(Flexo)인쇄와 그라비아오프셋인쇄가 널리 사용된다. 이 중에서 상기 플렉소 기법은 양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포장박스에 인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소 인쇄는 기본적인 제판만 하면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지만, 현대의 흐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디자인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기가 힘들며 디자인이 정교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식들은 잉크와 물과 희석되어 잉크폐수가 많이 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1887566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선행문헌)에 기술된 "포장박스용 인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0), 컨베이어(200), 프린팅장치(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한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공지된 프린팅장치(300)에는 복수 개의 헤드(310)가 구성되며, 포장용 박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200)는 흡착홈(22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흡입장치에 의한 흡착력으로 포장용 박스(10)가 컨베이어 (200)에 밀착되게 하여 인쇄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쇄시 공급되는 포장용 박스(10)를 후방으로 이동시 공기의 흡착력으로 포장용 박스(10)가 컨베이어(200) 상부에 밀착되게 하여 인쇄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였다.
한편 인쇄 단계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인쇄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부; 및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박스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면이 상기 인쇄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집진부 및 덕트부를 통해 흡입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인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판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1000)은 인쇄장치(10), 인쇄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부(100), 집진부(200) 및 덕트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장치(10)는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나 글씨를 인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장치(10)는 포장박스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나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는 잉크 분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부(100)는 인쇄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리부 및 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쇄장치(10)의 길이 보다 길 길이로 형성되고, 인쇄장치(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판부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장치(1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판부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면에 인쇄장치(10)에 투입할 포장박스나, 인쇄장치(10)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포장박스의 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집진부(200)는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부(200)는 하향 방향으로 집진방향을 갖도록 형성하여 인쇄장치(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덕트부(300)는 상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집진부(200)의 밀폐된 상면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덕트부(300)의 일단부는 집진부(200)의 밀폐된 상면 중앙과 연통되고, 타단부는 흡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1000)은 인쇄장치(10)에서의 인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집진부(200) 및 덕트부(300)를 통해 흡입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200)는 본체 프레임(210) 및 연결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10)은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10)은 하단면이 인쇄장치(10)를 향하도록 설치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홀(230)은 본체 프레임(2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230)은 덕트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진부(200)는 덕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는 흡기장치의 작동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인쇄장치(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판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판부는 보조 트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트레이(110)는 상판부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판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트레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포장박스(1)가 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는 연결 밴드(1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밴드(112)는 상판부의 상면과 맞닿는 상태로 배치될 것이다. 즉, 연결 밴드(112)의 하부면은 상판부의 상면과 맞닿고, 연결 밴드(112)의 포장박스(1)가 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는 각각 일단부 및 타단부에 진동 발생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11)는 소정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부(111)는 연결 밴드(112)가 연결되어 연결 밴드(112)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밴드(112)는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하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 사이에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 각각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진동 발생부(111)에 연결 밴드(112)가 연결되고, 연속하는 제2 트레이 및 제3 트레이 사이에는 제2 트레이 및 제3 트레이 각각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진동 발생부(111)에 연결 밴드(112)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 중 양 끝 단에 배치되는 트레이는 손잡이 블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블록(113)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보조 트레이(110)는 상판부의 상부에서 포장박스(1)의 거치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거치된 포장박스(1)로 진동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블록(113)을 통해 복수의 포장박스(1)를 한번에 상판부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집진 시스템
10: 인쇄장치
100: 설치부
200: 집진부
300: 덕트부

Claims (2)

  1.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부; 및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면이 상기 인쇄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기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설치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인쇄장치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장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박스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상판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트레이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포장박스가 거치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트레이는,
    복수의 트레이;
    상기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연결하며, 하부면이 상기 상판부의 상면과 맞닿는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 밴드;
    상기 복수의 트레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연결 밴드와 연결되고, 소정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결 밴드로 진동을 인가하여 상기 연결 밴드에 거치된 포장박스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트레이 중 양 끝단에 배치되는 트레이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는,
    포장박스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며, 잉크 분사형으로 형성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83417A 2022-12-28 2023-06-28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KR10259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417A KR102596152B1 (ko) 2022-12-28 2023-06-28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36A KR102551069B1 (ko) 2022-12-28 2022-12-28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
KR1020230083417A KR102596152B1 (ko) 2022-12-28 2023-06-28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036A Division KR102551069B1 (ko) 2022-12-28 2022-12-28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152B1 true KR102596152B1 (ko) 2023-10-31

Family

ID=87156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036A KR102551069B1 (ko) 2022-12-28 2022-12-28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
KR1020230083417A KR102596152B1 (ko) 2022-12-28 2023-06-28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036A KR102551069B1 (ko) 2022-12-28 2022-12-28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10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501A (ja) * 1996-04-24 1997-11-11 Kinki Seiko Kk 印刷機用集塵装置
KR200347528Y1 (ko) * 2003-10-09 2004-04-17 이광성 인쇄기용 집진장치
KR101887566B1 (ko) * 2017-12-13 2018-08-10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1939551B1 (ko) * 2018-09-03 2019-04-11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2248612B1 (ko) * 2020-10-15 2021-05-06 (주)앤픽스시스템즈 특수소재용 연속 uv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501A (ja) * 1996-04-24 1997-11-11 Kinki Seiko Kk 印刷機用集塵装置
KR200347528Y1 (ko) * 2003-10-09 2004-04-17 이광성 인쇄기용 집진장치
KR101887566B1 (ko) * 2017-12-13 2018-08-10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1939551B1 (ko) * 2018-09-03 2019-04-11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102248612B1 (ko) * 2020-10-15 2021-05-06 (주)앤픽스시스템즈 특수소재용 연속 uv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069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152B1 (ko) 포장박스 인쇄장치용 집진 시스템
ATE276093T1 (de) 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faltschachteln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US3994488A (en) Sheet separation apparatus
EP1122080A3 (en) Frame connection structure in printer device
JPH0260750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於ける台の斜面降下装置
JP2017065022A (ja)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ラテン
JPH11217179A (ja) 板材搬送装置
JPS56107672A (en) Sheet retaining device
CN212827592U (zh) 绝缘片材用双轴雕刻机
CN217451375U (zh) 半导体半自动清洗机的晶圆平台结构
CN216545239U (zh) 一种商标柔版印刷机用换气设备
JPH11236136A (ja) 吸引機構によるワーク分離装置
JP2706885B2 (ja) スクリ−ン印刷における印刷済み基板の高速度搬送方法
JPH04218995A (ja) 厚膜印刷機
JP4184476B2 (ja) 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版離れ制御装置
JPH1135176A (ja) 印刷版取出し装置
JPH10309799A (ja) 半田ペースト印刷機のメタル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タルマスク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S61108576A (ja) シリアルプリンタ用印字台
JPH0221942B2 (ko)
JP2544962Y2 (ja) 謄写式ペースト印刷機用バキュームパット
JPH0420156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2514806Y2 (ja) フラットプラテン
JP4123905B2 (ja) 真空吸着パッド、ノズルプレート吸着盤、およびノズルプレート吸着装置
KR950002002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의 이물제거장치
JPH046167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