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775A -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775A
KR20040022775A KR1020020054039A KR20020054039A KR20040022775A KR 20040022775 A KR20040022775 A KR 20040022775A KR 1020020054039 A KR1020020054039 A KR 1020020054039A KR 20020054039 A KR20020054039 A KR 20020054039A KR 20040022775 A KR20040022775 A KR 2004002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elt
washing
washing water
weigh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957B1 (ko
Inventor
권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9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원료 수송 중 벨트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벨트 워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벨트의 하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하부벨트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배관의 일부에 연관형성되는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과; 상기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과 유동호스를 따라 연결되고, 박스 가이드를 따라 승하강되는 웨이트 박스와; 상기 웨이트 박스와 링크 와이어로 연결되고, 하부벨트의 양측에 위치되는 샤프트 블록에 연결되면서 상하부 상호 엇갈린 방향에 각각 상부 롤 베어링 블록과 하부 롤 베어링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블록과의 연결위치에 샤프트 홀이 형성된 착탈 스탠드와; 상기 착탈 스탠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 블록에 삽입고정설치되는 스탠드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 공급시는 상부 워싱 롤 및 하부 워싱 롤이 자동적으로 하부벨트에 자동압착되며 세척수의 부족 또는 차단시에는 상기 상부 워싱 롤 및 하부 워싱 롤이 하부벨트로부터 자동이완됨으로써 하부 워싱 롤이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한 장점으로 상하부 워싱 롤을 정비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취외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의 반복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DEVICE SHIFTING WASHING ROLL ACCORDING TO SPRAYING DETERGENT}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원료 수송 중 벨트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벨트 워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벨트 워싱 장치의 하부벨트가 세척수 분사노즐배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후 세척수와 오염원이 섞인 상태의 오염수를 상기 하부벨트로분터 제거하는 워싱 롤의 착탈에 관한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벨트(4)가 방향이 전환되어 하부벨트의 위치로 진입되고 이 후 하부벨트(5)가 진행되는 동안 하부벨트(5)의 하부에 위치되는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a)로부터 상기 하부벨트(5) 표면부에 고압의 세척수가 1차적으로 분사된다.
상기 분사된 세척수와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수는 2차적으로 벨트 컨베이어 프레임(7)의 롤 베어링 블록(6)에 삽입설치된 상하부 워싱 롤(2,1)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부 워싱 롤(2)은 하부벨트(5)를 눌러써 장력을 형성시키고 하부 워싱 롤(1)은 상기 형성된 장력에 의해 상기 오염수가 압착제거된다.
또한, 잔여 오염수는 팁 크리너(3)에 의해 재차 세척되며, 상기 하부벨트(5)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오염수는 최종적으로 드롭슈트(9)로 떨어진 후 상기 드롭슈트(9)와 연결되어 있는 폰드(10)를 경유하여 하부 집수조로 이송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처리된다.
그런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워싱 롤(2,1)은 상시적으로 상기 하부벨트(5)의 상하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반면 세척수는 세척수 배관계통의 정비 및 동절기의 세척수 동결로 인하여 상시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벨트(5)에 고정설치된 상하부 워싱 롤(2,1)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집수조로 처리되지 않고 수분의 부족으로 드롭슈트(9) 내부에 적체되거나, 하부 워싱 롤(1)의 표면부에 이물질이 감기는 등 부작용이 발생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 차단조건에서는 상기 부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하부 워싱 롤(2,1)에 인위적인 취외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세척수의 공급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차단될 때 하부 워싱 롤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드롭슈트에서 누적되어 드롭슈트 자체가 붕괴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상하부 워싱 롤을 정비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취외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의 반복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수 공급시는 상부 워싱 롤 및 하부 워싱 롤이 자동적으로 하부벨트에 자동 압착되며 세척수의 부족 또는 차단시에는 상기 상부 워싱 롤 및 하부 워싱 롤이 하부벨트로부터 자동이완되도록 개선된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워싱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워싱 장치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세척수 공급시 작동상태 측면도(a)와 세척수 차단시 작동상태 측면도(b).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 워싱 롤 2 : 상부 워싱 롤
3 : 팀 클리너 4 : 상부벨트
5 : 하부벨트 7 : 벨트 컨베이어 프레임
8 : 세척수 분사노즐배관 9 : 드롭슈트
10 : 폰드 11 : 유동호스
12 : 착탈 스탠드 13 : 스탠드 샤프트
15 : 링크 와이어 16 : 와이어 쉬브
17 : 웨이트 박스 18 : 박스 가이드
19 : 보조 롤 20 : 샤프트 블록
21 :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하부벨트의 하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하부벨트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배관의 일부에 연관형성되는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과;
상기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과 유동호스를 따라 연결되고, 박스 가이드를 따라 승하강되는 웨이트 박스와;
상기 웨이트 박스와 링크 와이어로 연결되고, 하부벨트의 양측에 위치되는 샤프트 블록에 연결되면서 상하부 상호 엇갈린 방향에 각각 상부 롤 베어링 블록과 하부 롤 베어링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블록과의 연결위치에 샤프트 홀이 형성된 착탈 스탠드와;
상기 착탈 스탠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 블록에 삽입고정설치되는 스탠드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하부벨트(5)의 하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하부벨트(5)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b)은 종래의 형상에서 부가되어 그 배관의 일부에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21)이 형성된다.
상기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21)으로 유동호스(11)가 연결되고, 상기 유동호스(11)의 다른 일측은 박스 가이드(18)를 따라 승하강되는 웨이트 박스(17)와 연결된다.
상기 웨이트 박스(17)의 상부로 링크 와이어(15)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 와이어(15)는 와이어 쉬브(16)에 걸쳐져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하부벨트(5)의 양측에 위치되는 샤프트 블록(20)에 연결되어, 상하부 상호 엇갈린 방향에 각각 상부 롤 베어링 블록(6b)과 하부 롤 베어링 블록(6c)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블록(20)과의 연결부위에 샤프트 홀(22)이 형성된 착탈 스탠드(12)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롤 베어링 블록(6b)으로 상부 워싱 롤(2)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하부 롤 베어링 블록(6c)으로 하부 워싱 롤(1)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샤프트 블록(20)에는 그 측부에서 상기 착탈 스탠드(12)가 회전 가능하도록 스탠드 샤프트(13)가 상기 샤프트 홀(22)에 삽입되고 연속하여 상기 샤프트 블록(20)에 삽입고정설치된다.
아울러, 바람직하로는 상기 상부 워싱 롤(2)이 하부벨트(5)를 누를 경우 상기 하부벨트(5)에 형성되는 장력의 발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워싱 롤(2)의 후방으로 보조 롤(19)을 설치한다.
상기 착탈 스탠드(12)의 하단으로 상기 링크 와이어(15)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작동상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의 세척수 공급시 작동상태 측면도(a)와 세척수 차단시 작동상태 측면도(b)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b)에 유입되는 세척수는 하부벨트(5)의 하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b)과 연관되어 있는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21)에도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상기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21)과 유동호스(1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웨이트 박스(17)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충전되어 웨이트 박스(17) 전체 하중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가 충전된 웨이트 박스(17)는 자체 하중으로 인해 박스 가이드(18)를 따라 하강된다.
이로써, 상기 웨이트 박스(17)와 링크되어 있는 착탈 스탠드(12)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워싱 롤(1)은 승강되고 동시에 상부 워싱 롤(2)은 하강된다.
이 때, 상기 상부 워싱 롤(2)이 하부벨트(5)를 누르게 되고 아울러 하부 워싱 롤(1)이 하부벨트(5)를 상부로 올림으로써 상기 하부벨트(5)는 하부 워싱 롤(1) 및 상부 워싱 롤(2)과 밀착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b)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하부벨트(5) 표면의 이물질은 세척수와 섞여진 상태로 상기 하부 워싱 롤(1)과 만난다.
이 때, 상기 세척수와 섞여진 오염물질은 하부 워싱 롤(1)과 이와 밀착된 하부벨트(5)의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그 하부에 위치되는 드롭슈트(9)로 떨어진다.
한편, 상기의 세척작업을 종료하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투입을 정지한다.
이어서, 상기 세척수의 공급이 정지됨으로 인해 상기 웨이트 박스(17)에 충전되어 있던 잔여세척수는 웨이트 박스(17)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된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b)로 이송되고 이로써 웨이트 박스(17)의 전체하중은 감소된다.
이 때, 상기 전체하중이 감소된 웨이트 박스(17)는 착탈 스탠드(12)와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 스탠드(12)와 연결설치된 하부 워싱 롤(1)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승강되고 아울러 하부 워싱 롤(1)은 자체하중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워싱 롤(1)이 하강됨으로써 이와 일체로 연결된 상부 워싱 롤(2)은 지렛대의 원리로 상승하고 결국 상하부 워싱 롤(2,1)이 하부벨트(5)로부터 자동적으로 이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의 공급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차단될 때 하부 워싱 롤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드롭슈트에서 누적되어 드롭슈트 자체가 붕괴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세척수 공급시는 상부 워싱 롤 및 하부 워싱 롤이 자동적으로 하부벨트에 자동 압착되며 세척수의 부족 또는 차단시에는 상기 상부 워싱 롤 및 하부 워싱 롤이 하부벨트로부터 자동이완됨으로써 하부 워싱 롤이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한 장점으로 상하부 워싱 롤을 정비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취외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의 반복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

  1. 하부벨트(5)의 하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하부벨트(5)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배관(8b)의 일부에 연관형성되는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21)과;
    상기 웨이트 박스 연결배관(21)과 유동호스(11)를 따라 연결되고, 박스 가이드(18)를 따라 승하강되는 웨이트 박스(17)와;
    상기 웨이트 박스(17)와 링크 와이어(15)로 연결되고, 하부벨트(5)의 양측에 위치되는 샤프트 블록(20)에 연결되면서 상하부 상호 엇갈린 방향에 각각 상부 롤 베어링 블록(6b)과 하부 롤 베어링 블록(6c)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블록(20)과의 연결위치에 샤프트 홀(22)이 형성된 착탈 스탠드(12)와;
    상기 착탈 스탠드(12)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홀(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 블록(20)에 삽입고정설치되는 스탠드 샤프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벨트(5)가 상부 워싱 롤(2)에 의하여 하강되고 하부 워싱 롤(1)에 의해 승강될시 상기 하부벨트(5)에 형성되는 장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상부 워싱 롤(2)의 후방으로 보조 롤(19)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KR1020020054039A 2002-09-07 2002-09-07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KR10088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039A KR100885957B1 (ko) 2002-09-07 2002-09-07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039A KR100885957B1 (ko) 2002-09-07 2002-09-07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775A true KR20040022775A (ko) 2004-03-18
KR100885957B1 KR100885957B1 (ko) 2009-02-26

Family

ID=3732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039A KR100885957B1 (ko) 2002-09-07 2002-09-07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9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13B1 (ko) * 2005-05-16 2007-02-12 신우기연 주식회사 유체충돌을 이용한 세척 장치
KR100918696B1 (ko) * 2009-01-16 2009-09-22 한국산기 주식회사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KR200447592Y1 (ko) * 2008-02-27 2010-02-11 한국중부발전(주) 세척물 자동 배출장비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세척장치
KR101424444B1 (ko) * 2012-11-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CN113000445A (zh) * 2021-02-24 2021-06-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屏幕表面除尘装置
CN113883871A (zh) * 2021-11-04 2022-01-04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产品加工用烘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3374B (zh) * 2010-06-11 2011-07-27 天津成科传动机电技术股份有限公司 输送带清洗维护机及应用方法
KR101639340B1 (ko) * 2014-11-12 2016-07-13 주식회사 여명이엔지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09A (ja) * 1981-07-23 1983-02-02 Ryowa Kakoki Kk ベルト洗滌器
JPH0952607A (ja) * 1995-08-15 1997-02-25 Yatsu Kobo Kk クリーンローラコンベア
KR19990025867A (ko) * 1997-09-19 1999-04-06 윤종용 컨베이어 벨트 청소장치
KR19990026246U (ko) * 1997-12-19 1999-07-15 이구택 슬러지 운송용 벨트컨베이어의 세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13B1 (ko) * 2005-05-16 2007-02-12 신우기연 주식회사 유체충돌을 이용한 세척 장치
KR200447592Y1 (ko) * 2008-02-27 2010-02-11 한국중부발전(주) 세척물 자동 배출장비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세척장치
KR100918696B1 (ko) * 2009-01-16 2009-09-22 한국산기 주식회사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KR101424444B1 (ko) * 2012-11-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CN113000445A (zh) * 2021-02-24 2021-06-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屏幕表面除尘装置
CN113883871A (zh) * 2021-11-04 2022-01-04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产品加工用烘干装置
CN113883871B (zh) * 2021-11-04 2023-06-02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产品加工用烘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957B1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957B1 (ko)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CN209613670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的分级式清洁装置
KR100679132B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200388515Y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CN205687409U (zh) 一种可喷水冲洗颚板内壁的抓斗
KR200447592Y1 (ko) 세척물 자동 배출장비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세척장치
KR200431454Y1 (ko) 걸레 세척장치
CN211914304U (zh) 一种联轴器除锈装置
KR101208992B1 (ko)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JP6054779B2 (ja) ベルトプレス型脱水装置
US5659973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liquid on a gauze conveyor
CN218424665U (zh) 破桶线喷淋连锁开关装置
KR100525647B1 (ko) 연속소둔라인의 스트립 부착 간지 제거장치
KR100543187B1 (ko) 티피엠 작업롤의 오염물질 제거장치
CN220555534U (zh) 一种传输机构
KR100948919B1 (ko) 소둔산세라인 린스탱크의 분사노즐 막힘 방지장치
CN220925450U (zh) 一种高炉水渣输送胶带清扫装置
CN216271670U (zh) 一种矿石输送节能装置
KR100913157B1 (ko) 탈지설비의 탈지용액 내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82509Y1 (ko) 자동 세륜기
CN217289556U (zh) 一种玻璃碎片清洗装置
KR200204526Y1 (ko) 차량용 세륜장치
KR960007016Y1 (ko) 메쉬벨트 막힘방지용 공기분사노즐을 갖춘 종이필터시스템
CN210619393U (zh) 一种皮运机清扫装置
CN216173195U (zh) 一种煅烧石油焦用除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