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871A -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 Google Patents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871A
KR20040020871A KR10-2003-7008093A KR20037008093A KR20040020871A KR 20040020871 A KR20040020871 A KR 20040020871A KR 20037008093 A KR20037008093 A KR 20037008093A KR 20040020871 A KR20040020871 A KR 2004002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ntrol
power
main circuit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864B1 (ko
Inventor
하야시가즈후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전원 분백기는 복수의 제어유니트가 수납되는 컨트롤 센터에 탑재되고, 컨트롤 센터내에 설치된 모선과 제어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그바는 전원 분배기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유니트는 컨트롤 센터내에 다단으로 또 각 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수납되고, 전원 분배기는 각 단에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며,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되는 모선계합수단과,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은 분기도체에 접속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각 단에 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POWER DISTRIBUTOR AND CONTROL CENTER}
컨트롤 센터는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어 모터나 조명 등의 설비기기와 각각 권선으로 연결되고, 각 설비기기에 전력을 배전함과 동시에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컨트롤 센터내에는 일반적으로 각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는 제어유니트와 이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 등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유니트는 상술한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브레이커 또는 퓨즈스위치, 릴레이, 스위치 등이 내장되어 유니트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니트는 모선으로 부터의 전력을 설비기기에 배전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외부에서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이 배전을 컨트롤하는 것이다.
또, 제어유니트는 브레이커 또는 퓨즈에 의하여 사고전류로부터 설비기기를보호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컨트롤 센터는 상술한 제어유니트가 복수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는 제어유니트는 센터내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었으나 1단에 1개의 제어유니트만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각 제어유니트에 접속되는 배선, 즉 각 설비기기에서 연결되는 전선 및 모선에서 연결되는 도체 등은 제어유니트의 단자대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컨트롤 센터에 대하여는 제어유니트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키어 컨트롤 센터의 몸체를 작게하여 점유면적을 적게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는 모선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 도체는 제어유니트의 단자대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제어유니트를 추가ㆍ변경시킬 때에 모선전원을 정전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컨트롤 센터내에 있어서, 1단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게 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모선전원을 정전시키지 않고,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전원 분배기 및 전원 분배기를 가진 컨트롤 센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의 전원 분배기는 복수의 제어유니트가 수납되는 컨트롤 센터에 탑재되어 컨트롤 센터내에 배선된 모선과 제어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고,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기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유니트는 컨트롤 센터내에 다단으로 또 각 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수납되고, 전원 분배기는 각 단에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고,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시키는 모선계합수단과,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으로 부터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을 분기도체에 접속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으로 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각 단에 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타입이며,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부하그립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이다.
또, 복수조의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전면 패널에 한면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컨트롤 센터는 복수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하는 상자형 유니트실과 유니트실의 이면측에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모선을 수납하는 모선실 등을 갖고 있으며, 전원 분배기는 유니트실과 모선실 사이의 칸막이를 겸하고 있다.
또, 이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다단으로써 각 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배열수납된 제어유니트, 센터내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제어유니트 사이에 각 단에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어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기를 가진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되는 모선계합수단과,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으로 부터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을 분기도체에 접속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하여 제어유니트에 모선으로 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로 부터의 배전을 외부에 출력시키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각 단에 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전원 분배기의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타입이며, 전원 분배기의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부하그립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이다.
또, 전원 분배기의 복수조의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전면 패널의 한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하는 상자형 유니트실과, 유니트실에 이면측에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장설되어 모선을 수납하는 모선실을 구비하고, 전원 분배기는 유니트실과 모선실 사이의 칸막이를 겸하고 있다.
이 발명은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기동제어 보호 등을 행하는 배전반으로써의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하는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일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컨트롤 센터의 사시도.
도 3는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시킨 요부도.
도 6은 1개의 제어유니트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어유니트를 배후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니트를 전부 제거하고, 배전실의 문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9는 제어유니트를 제거한 1개의 유니트실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유니트실을 형성하는 선반판의 사시도.
도 11은 선반판의 평면도.
도 12는 유니트실의 칸막이판 사시도.
도 13은 칸막이판의 정면도.
도 14는 칸막이판의 측면도.
도 15는 제어유니트와 전원 분배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전원 분배기의 사시도.
도 17은 컨트롤 센터 내부의 제어유니트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시킨 요부 사시도.
도 18은 전원 분배기와 수직 분기모선과의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센터내의 주요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0은 전원 분배기의 평면도
도 21은 전원 분배기의 우측면도.
도 22는 전원 분배기의 구성부품을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3은 전원 분배기의 내부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전원 분배기 내부의 분기도체 모양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26은 분기도체 및 분배도체의 구조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7은 1개의 제어유니트를 시험위치에 인출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28은 제어유니트가 접속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29는 제어유니트가 시험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도 1은 이 발명의 컨트롤 센터의 일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컨트롤 센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직사각 상자형의 컨트롤 센터(1)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어유니트(3)가 바둑판 눈금형태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으로 4열, 종방향으로 10단, 전체로 40개의 제어유니트(3)가 수납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시키어 표시한 요부도이다.
도 3 ~ 도 5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4개 나열한 제어유니트(3)의 배면측에 폭이 좁은 상자형 전원 분배기(4)가 배설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에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니트(3)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원 분배기(4)는 제어유니트(3)의 일단에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제어유니트(3)에 전력을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
전원 분배기(4)에는 흡기구(4a), 배기구(4b,4c)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의 이면에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모선실(5)이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 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16)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외부에서 컨트롤 센터(1)의 내부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한다.
수직 분기모선(16)은 3상 및 중성상의 4개의 도체로 되어 있으며 3개의 도체는 단면이 L자형으로 되어 있고, 1개의 도체는 단면이 I자형으로 되어 있다.
모선실(5)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갖고 있다.
한편, 제어유니트(3) 및 전원 분배기(4)의 측에는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배선실(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에는 제어유니트(3)에서 외부의 설비기기로 연장되는 배선이 수납되어 있고, 내부에는 통풍공간을 갖고 있다.
도 6은 1개의 제어유니트(3)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어유니트(3)를 배후에서 본 사시도이다.
1개의 제어유니트(3)는 컨트롤 센터(1)의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6면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어유니트(3)는 전면을 덮는 전면판(31), 저면 및 한쪽의 측면을 덮는 유니트 베이스(32) 및 이면을 덮는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38), 제어회로 컨텍터 부착금구(40)를 갖고 있다.
유니트 베이스(32)는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세판부(32a)와 한쪽의 측면을 전면에 걸쳐서 덮은 측면부(32b)를 갖고 있다.
제어유니트(3)의 상면 및 유니트 베이스(32)와 반대측의 측면은 밀폐되어 있지 않고 개구되어 있다.
이것은 제어유니트(3)의 조립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제어유니트(3)에는 외부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내부에 여러가지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즉, 우선 전방부에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되는 차단장치(34)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부에 전자 개폐기(35)를 탑재시키고 있다.
또한, 전자 개폐기(35)는 전자 접촉기(35a)와 서멀 릴레이(35b)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니트(3)의 전면에는 차단장치(34)의 ON/OFF를 절환시키는 조작핸들 (3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핸들(33)은 전면판(31)을 관통하여 차단장치(34)와 접속되어 있으며,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단장치(34)의 ON/OFF를 절환시킨다.
한편, 제어유니트(3)의 후반부에 있어서는 상측에 설치된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38)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니트측 전원그립)(2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니트측 부하그립)(37)가 상하방향으로 평행되게 병설되어 있다.
또, 하측에 설치된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에는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컨트롤 센터(1)에서 제어유니트(3)를 전부 제거하고 배선실(6)의 문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어유니트(3)를 제거한 1개의 유니트실(2)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컨트롤 센터(1)에는 선반판(1a)으로 구분된 복수의 유니트실(2)이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형성되어 있다.
각 단에 설치된 유니트실(2)은 칸막이판으로 칸막이된 제어유니트(3)를 각각 4개 수납하는 수납실을 형성한다.
도 10은 유니트실(2)을 형성하는 선반판(1a)의 사시도.
도 11은 선반판(1a)의 평면도.
도 12는 유니트실(2)을 칸막이한 칸막이판(1b)의 사이도.
도 13은 칸막이판(1b)의 정면도.
도 14는 칸막이판(1b)의 측면도이다.
선반판(1a)에는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4조의 슬리트(1a1)가 천공되어 있다.
칸막이판(1b)은 이 슬리트(1a1)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1b1)가 입설되어 있다.
칸막이판(1b)은 각 단의 선반판(1a)에 각각 4매가 입설되어 각 단의 유니트실(2)을 4개의 수납실로 구회되어 있다.
칸막이판(1b)은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측면판(1b2)과, 측면판(1b2)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부(1b3)와, 수평부(1b3)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를 구비하고 있다.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6면체의 제어유니트(3)는 칸막이판(1b)으로 구획된 안쪽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6면체의 공간에 수납된다.
그리고, 전면 개구부방향으로 인출되는 서랍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1b4)는 제어유니트(3)를 입출시킬 때 가이드 역활을 한다,
도 15는 제어유니트(3)와 전원 분배기(4)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에는 4개의 제어유니트(3)가 접속가능 하지만 도 15에서는 양단에 1개의 제어유니트(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접속된 복수의 제어유니트(3)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4)는 횡방향으로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니트(3)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두께가 엷은 직6면체형 갑체이고 대응되는 4개의 제어유니트(3)의 이면을 광폭면으로 덮게끔 제어유니트(3)에 인접되게 배설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의 유니트 실(2)의 뒤에 1개가 설치되어 있고, 즉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병설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바둑판 눈금형으로 배열된 제어유니트(3)군의 이면을 덮게끔 배설되어 있다.
도 4, 도 5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 분배기(4)군의 후측에 모선실 (5)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실(5)은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으로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 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수직 분기모선(16)이 수납되어 있다.
도 16은 전원 분배기(4)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니트 (3)측에는 제어유니트(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스릿트형 흡입구(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이면, 즉 모선실(5)측에는 그리고 이 공간은 배기전용으로 특별히 설치된 것이다.
그러므로 제어유니트(3)의 사고로 발생하는 아크가스를 이 경로에 의하여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모선실(5)내에 수납된 모선에 영향이 미칠 염려가 없고, 유니트실(2)내에서 발생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8은 전원 분배기(4)와 수직 분기모선(16)의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조작반내의 주 구성요소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의 후측에는 외부의 모선에 접속되는 컨트롤 센터(1)내에 수직으로 연설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도전재료로 제작되어 단면이 L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일측의 광폭면을 서로 대향되도록 하여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정열 병설되어 있다.
이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은 상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전원 분배기(4)의 후측에서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수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은 컨트롤 센터(1)내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시키고 있는 것이다.
제어유니트(3)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배선실(6)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선실(6)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한 이동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실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1)에 있어서, 유니트실(2)의 전면 개구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어유니트(3)에서 더워져서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써의 배선실(6)을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된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방출시키는 통풍로로써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많은 제어유니트(3)를 고밀도로 장설할 수 있고, 특별한 통풍구조를 설치함이 없이 제어유니트(3)에서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4c)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출용 개구를 겸하고 있다. 즉,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4a) 및 배기구(4c)가 설치된 부분인 전원 분배기(4)의 상부에 형성된 룸은 어떤 기기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다.
도 17은 컨트롤 센터(1)내부의 제어유니트(3)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시키어 표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제어유니트(3)군 및 전원 분배기(4)군의 측면측에 배선실(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은 제어유니트(3)와 외부의 설비기기와를 연결시키는 배선을 수납하여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공간이다.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니트(3)에서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충분한 통풍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니트(3) 속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니트(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스릿트형 흡기구(4a)가 설치되어 있다.
즉, 배선실(6)측은 전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제어유니트 (3)에서 열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4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배선실(6)내부에는 제어유니트(3)에서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이 통풍공간은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선실(6)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유니트(3)에서 열기를 배출하는 스릿트형 배기구(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는 제어유니트(3)에서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군의 뒤에 설치된 모선실(5)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풍공간이 있다.
또한, 모선실(5)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니트(3)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모설실(5)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모선실(5)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하여 이동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실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1)에 있어서는 유니트실(2)의 전면 개구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어유니트(3)에서 더워져서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모선실(5)의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된다. 즉, 전원 분배기(4)는 열기를 방출시키는 통풍로로써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는 많은 제어유니트(3)를 고밀도로 장설할 수 있고, 또한 특별한 통풍구조를 설치함이 없이 제어유니트(3)에서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0은 전원 분배기(4)의 평면도.
도 21은 전원 분배기(4)의 우측면도.
도 22는 전원 분배기(4)의 구성부품을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3은 전원 분배기(4)의 내부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 분기도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26은 분기도체(8) 및 분배도체(9)의 구조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6에 있어서, 전원 분배기(4)는 폭이 좁은 상자형 직6면체를 이루고 전면인 제어유니트(3)측에 평판형 전면 패널(4d), 이면인 수직 분기모선 (16)측에 후부 패널(4e)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이면에는 모선계합수단으로써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측에 입설되어 있다.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은 각각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원그립(7)은 대향하는 2개의 단자(7a,7b)를 갖고 있으며, 이 2개의 단자(7a,7b)사이에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을 끼우는 소위 그립 접속이다.
2개의 단자(7a,7b)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병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부 내측에는 약간의 모서리가공을 하고, 또 선단부 및 대향하는 내측부에는 1단이 늦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단자(7a,7b)는 입설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즉 컨트롤 센터(1)의 안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직 분기모선(16)을 끼워 넣어 접속시킨다.
전원 분배기(4)를 컨트롤 센터(1)에 재치시킬 때에는 전원 분배기(4)를 수직 분기모선(16)을 향하여 공통 전원그립(7)의 입설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을 끼워 넣어 공통 전원그립(7)과 수직 분기모선 (16)이 접속된다.
다음에 전원 분배기(4)의 내부를 설명한다.
도 23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분기도체(8)는 일단(8a)을 볼트(8c)로 체착되어 각각 공통 전원그립(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분기도체(8)는 각각 전원 분배기(4)내에 배설되어 있고, 타단 (8b)은 4개의 분배도체(9)에 접속되어 있다. 4개의 분배도체(9)는 전원 분배기(4)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분배도체(9)에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으로써 각각 4개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이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제어유니트(3)측으로 돌출되는 평판부를 갖고 있다.
각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각 제어유니트(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평판부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1열로 정열되어 배설되어 있다.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일측을 분배도체(9)에 접속되고, 타측을 제어유니트(3)의 유니트측 전원그립(36)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3)에 대하여 수직 분기모선(16)으로 부터의 전력을 공급시킨다.
전원 분배기(4)의 각 제어유니트(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으로써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는 상하방향으로 정열되어 설치된 4개의 접속 계합자(1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4개의 접속 계합자(11a)는 제어유니트(3)의 유니트측 부하그립(37)에 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3)로부터의 배전을 외부로 외부로 출력시킨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는 4개의 접속 계합자에 대응하는 나사 정지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정지부(11b)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하여 설비기기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접속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의 각 제어유니트(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직선형으로 뻗는 단면이 요철인 2개의 커넥터로 되며, 제어유니트(3)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계합 접속되어 제어유니트(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에 출력시킨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하여 제어반에서의 제어 신호선이 접속된다.
도 16에 있어서, 상술한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모두 전면 패널(4d)에 실질적으로 동일 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과 분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는 전면 패널(4d)에 천공된 스릿트형 구멍에서 볼 수 있다. 또,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전면 패널(4d)에 돌설되어 있다.
다음에, 전원 분배기(4)의 전면 패널(4d)에 대향하는 제어유니트(3)의 이면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유니트(3)의 이면에는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에 대응된 위치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니트측 전원그립) (36)가 돌설되어 있다.
또,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 대응된 위치에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니트측 부하그립)(37)가 돌설되어 있다.
유니트측 전원그립(36) 및 유니트측 부하그립(37)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정열되게 설치된 4개의 그립 접속단자를 갖고 있다.
이 그립 접속단자는 대향하는 2개의 가위형 단자로 되어 있고, 이 대향하는 2개의 단자는 선단부에서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있다.
이 대향하는 단자는 입설방향으로 이동되면 대향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및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의 접속 계합자(11a)를 끼워 넣어서 접속시키게 된다.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대응된 위치에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돌설되어 있다.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직선형으로 뻗는 단면이 요철인 2개의 커넥터로 되어 있고,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와 계합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칸막이판(1b)은 대략 단면이형을 이루고 있고,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부(1b3)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은 제어유니트(3)의 세판부(32a)와 측면부(32b)를 커버되게끔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의 상부에 있어서 수평부(1b3)와 가이드부(1b4)로 형성되는 하방에 개구를 가진 단면이 ㄷ자형의 가이드부는 세판부(32a)에 대하여 세판부(32a)가 제어유니트(3)의 출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미소한 간격을 유지하게 계합된다.
그리고, 제어유니트(3)는 선반(1a)의에 재치될 때에 이 칸막이판(1b)에 가이드되어 소정의 정밀도로서 컨트롤 센터(1)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제어유니트(3)에 설치된 전원그립(36), 유니트측 부하그립(37) 및 유니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각각 전원 분배기(4)에 설치된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양호하게 계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니트 베이스(32)의 세판부(32a)와 칸막이판(1b)은 제어유니트 (3)를 전원 분배기(4)에 대하여 진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수직 분기모선(16)에서 공급된 전력은 전원 분배기(4)에서 분배되어 복수의 제어유니트(3)에 공급된다.
제어유니트(3)는 공급된 전력을 유니트 제어회로 커넥터(39)에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외부에서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어하여 유니트측 부하그립(37)에 출력ㅎ나다. 유니트측 부하그립(37)에 출력된 전력은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를 통하여 외부의 설비기기에 배전되어 이것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4)에 있어서는 일측을 분기도체(8)에 접속시키고, 타측을 제어유니트(3)의 유니트측 전원그립(36)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3)에 수직 분기모선(16)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과, 제어유니트(3)의 유니트측 부하그립(37)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3)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하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 (11)와 제어유니트(3)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 (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로 출력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 등을 갖고 있으므로 제어유니트(3)의 추가ㆍ변경할 때에 제어유니트(3)를 전원 분배기 (4)에 대하여 진퇴시키어 접속, 이간 시킬 수 있어서 수직 분기모선(16)을 정전시킴이 없이 제어유니트(3)의 추가ㆍ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 분배기(4)에 있어서는 제어유니트(3)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면 패널(4d)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컨트롤 센터(1)내에 있어서 1단으로 복수대의 제어유니트(3)를 병설하여 수납되도록 하여서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7은 1개의 제어유니트(3)를 시험위치에 인출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어유니트(3)가 접속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어유니트(3)가 시험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제어유니트(3)는 각 제어유니트(3)의 하부에 배설된 선반판(1a)의 상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어 각 상 단자가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주회로 커넥터 부착금구(38)에 부착시킨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에 전원측 주회뢰 커넥터(3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에 의하여 전원 분배기(4)와 접속되어 수직 분기모선(16)에서 주회로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유니트(3)가 선반판(1a)위를 전방으로 이동시키어 주회로 커넥터 (36,37)를 전원 분배기(4)에서 인출하여 주회로가 단로상태에 있을 때에도 제어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부착시키는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가 제어유니트 베이스(32)위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어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 시험위치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는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상 단자가 상하방향이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 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의 각 상 단자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하게 되고 고밀도 설치를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 주회로 커넥터(36,37)에 관하여는 각 상 단자가 수평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 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의 각 상 단자를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니트(3)의 전후방향으로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를 배치하고 제어유니트(3) 후면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 제어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배치함으로써 고밀도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또 L자형으로 형성된 제어유니트 베이스(32)를 사용함으로써 제어유니트(3)의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 있어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한 시험위치 상태를 얻을 수 있으므로써 외부에서의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시험시에 있어서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보드판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진 제어유니트 (3)를 전원 분배기(4)의 구서요소로써 설치하여 제어유니트(3)의 주회로를 모선 (16)으로 된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가진 컨트롤 센터(1)에 있어서 조작핸들(33)을 가진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되는 차단장치(34)와, 제어동작을 행하는 전자 개폐기(35)와 제어유니트(3)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시키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36,37)와, 제어유니트(3)의 제어회로를 모터 제어회로 등의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39) 등을 구비하고, 제어유니트(3)의 전후방향에 조작핸들(33), 차단장치(34), 전가 개폐기(35), 주회로 컨텍터(36,37)를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39)를 주회로 커넥터(36,37)는 각 상 단자가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나란히 배치하고, 또 제어 커넥터(39)는 제어유니트(3)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모터 제어회로 등의 외부 회로에 접속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되는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 고밀도 설치를 적절하게 실현함과 동시에 주회로 단로상태에 잇어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여 시험시에 있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 분배기는 복수의 제어유니트가 배열되어 수납되는 배전반에 탑재되고, 배전반내에 설치된 모선과 제어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기에 있어서 모선을 끼워 넣어 그립 접속시키는 공통 전원그립과, 공통 전원그립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을 분기도체에 접속하고, 타측을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부하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를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전반내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하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 작동시키어 접속, 이간시킬 수가 있으므로 모선을 정전시키지 않고 배전반에서의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전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1단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병설ㆍ정열시키어 수납되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관한 배전반은 배열시켜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 보드판내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제어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전원 분배기를 가진 배전반에 있어서, 전원 분배기는 모선을 끼워 넣어서 그립 접속시키는 공통 전원그립과, 공통 전원그립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을 분긷도체에 접속되고, 타측을 전원 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부하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분백기측 부하그립 단자대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시키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할 경우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작동시킴으로써 수납, 배출할 수 있으므로 모선을 정전시키지 않고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 작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유니트와 전원 분배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전원 분배기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전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단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병설ㆍ정열시키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어유니트는 다열 다단으로 복수적층되어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제어유니트를 좁은 공간에 수납할 수 있어서 수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전원 분배기 복수의 제어유니트가 수납된 컨트롤 센터에 탑재되고, 컨트롤 센터에 설치된 모선과 제어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전원 분배기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유니트는 컨트롤 센터내에 다단으로 또 각 단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수납되고, 전원 분배기는 각 단에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며,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되는 모선계합수단과,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을 분기도체에 접속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시키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에서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 커넥터는 각 단에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 센터내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효율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 작동시키어 접속,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모선을 정전시키지 않고, 컨트롤 센터에서의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이며,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부하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이기 때문에 전원 분배기측 계합수단이 평판형 탭 또는 평판형 부를 가진 단자대를 되어 계합시 위치결정이 확실해짐과 동시에 공간 확보상 유리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복수조의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전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단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병설ㆍ정열시키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컨트롤 센터는 복수개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하는 상자형 유니트실과, 유니트실의 이면측에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모선을 수납하는 모선실 등을 구비하고, 전원 분배기는 유니트실과 모선실 사이의 칸막이를 겸하고 있으므로 다른 곳에 칸막이 부재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다단으로서 각 단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수납된 제어유니트, 보드판내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제어유니트 사이에 각단에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어 모선에서 복수개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기를 가진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하는 모선계합수단과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은 분기도체에 접속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하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각 단에 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할 때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 작동시킴으로써 수납 배출할 수 있으므로 모선을 정전시킴이 없이 제어유니트의 추가ㆍ변경을 가능하게 된다.
또, 제어유니트를 전원 분배기에 대하여 진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유니트와 전원 분배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원 분배기의 전원측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이며, 전원 분배기의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부하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부하그립 단자대이므로 전원 분배기측의 계합수단이 평판형 탭 또는 평판형 부를 가진 단자대로 되어 계합시 위치결정이 확실해짐과 동시에 공간확보상 유리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원 분배기의 복수조의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전면 패널의 일며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단에 복수대의 제어유니트를 병설ㆍ정열시키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제어유니트를 수납하는 상자형 유니트실과 유니트실의 이면측에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에 설치되어 모선을 수납하는 모선실을 구비하고, 전원 분배기는 유니트실과 모선실 사이의 칸막이를 겸하고 있으므로 다른 곳에 칸막이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복수의 제어유니트가 수납된 컨트롤 센터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 센터내에 설치된 모선과 제어유니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선에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어유니트는 컨트롤 센터내에 다단으로 또 각 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수납되고, 상기 전원 분배기는 각 단에 수납된 복수개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하는 모선계합수단과,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은 분기도체에 접속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상기 제어유니트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상기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각 단에 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전원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이며, 상기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은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부하그립에 끼워 넣어 그립 접속되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기.
  3. 다단으로 또 각 단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수납된 제어유니트, 보드판내에 설치된 모선 및 모선과 제어유니트의 사이에 각 단에 수납된 복수의 제어유니트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되어 모선에서 복수개의 제어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기를 가진 컨트롤 센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배기는 모선과 그립 접속하는 모선계합수단과, 상기 모선계합수단에 접속되어 모선에서의 전력을 제어유니트에 대응하여 분배하는 분기도체와, 일측은 분기도체에 접속되고, 타측이 제어유니트의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 모선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상기 제어유니트의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와 그립 접속시키어 제어유니트에서의 배전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과, 상기 제어유니트의 유니트측 제어회로 커넥터와 접속되어 제어유니트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측 주회로 계합수단, 부하측 주회로 계합수단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는 각 단에 설치된 제어유니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
KR10-2003-7008093A 2001-10-30 2002-03-08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KR100500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2260 2001-10-30
JPJP-P-2001-00332260 2001-10-30
PCT/JP2002/002209 WO2003038961A1 (fr) 2001-10-30 2002-03-08 Distributeur de puissance et centre de comm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871A true KR20040020871A (ko) 2004-03-09
KR100500864B1 KR100500864B1 (ko) 2005-07-18

Family

ID=1914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093A KR100500864B1 (ko) 2001-10-30 2002-03-08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46688B2 (ko)
KR (1) KR100500864B1 (ko)
CN (1) CN100338837C (ko)
TW (1) TW556378B (ko)
WO (1) WO2003038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64B1 (ko) * 2008-12-15 2009-05-18 주식회사 이공 커플링을 이용한 전력 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5334A (ja) * 2007-03-23 2008-10-09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US7499262B1 (en) * 2007-09-11 2009-03-03 Lear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bus bar
JP2009189128A (ja) * 2008-02-05 2009-08-2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制御盤
KR100954557B1 (ko)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KR200457636Y1 (ko) 2010-01-29 2011-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 장치
US8598484B2 (en) * 2010-12-30 2013-12-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apparatus for circuit protection within an equipment enclosure
KR101257240B1 (ko) * 2011-07-21 2013-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KR200480084Y1 (ko) * 2011-12-30 2016-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 장치
JP5338926B2 (ja) * 2012-01-13 2013-11-13 富士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CN104348050B (zh) * 2013-08-08 2017-08-2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电源分配装置及其组装方法
JP6366380B2 (ja) * 2014-06-25 2018-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センタ
CN105071273A (zh) * 2015-07-31 2015-11-18 太仓宏光自控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EP3346561A4 (en) * 2015-09-02 2019-04-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UNIT
JP6246422B2 (ja) * 2015-12-10 2017-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センタ
DE202017107765U1 (de) * 2017-12-20 2018-02-15 Knürr GmbH Stromanschlussverteiler
KR102036574B1 (ko) 2018-10-31 2019-10-25 김진복 전원분배기용 커넥터
CN111427257A (zh) * 2020-04-09 2020-07-17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模块化隔离阀集中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728Y2 (ja) * 1979-05-24 1985-07-06 日立造船株式会社 コントロ−ルセンタ
JPS57197713U (ko) * 1981-06-10 1982-12-15
JPS59222003A (ja) * 1983-05-31 1984-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ルセンタ
US4602313A (en) * 1983-05-31 1986-07-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center with vertical control bus device
JPS62203505A (ja) * 1986-02-28 1987-09-08 株式会社東芝 コントロ−ルセンタ
JPS6339405A (ja) * 1986-07-30 1988-02-19 株式会社戸上電機製作所 閉鎖配電盤
US5532907A (en) * 1993-11-02 1996-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improved power bus
US5905631A (en) * 1995-03-28 1999-05-18 Klockner-Moeller Gmbh Low-voltage switchgear assembly for the output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energy
DE19511347A1 (de) * 1995-03-28 1996-10-02 Kloeckner Moeller Gmbh Niederspannungs-Schaltanlage zur Abgabe oder Verteilung elektrischer Energie
DE19738705A1 (de) * 1997-08-29 1999-03-04 Siemens Ag Verteilungssystem der Energietechnik mit einem Geräteeinsatz
FR2772978B1 (fr) * 1997-12-18 2000-01-21 Schneider Electric Sa Borne de fixation et modul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disjoncteur debrochable
JP2948792B2 (ja) * 1998-01-27 1999-09-13 日東工業株式会社 端子台
CN2349709Y (zh) * 1998-12-31 1999-11-17 厦门Abb低压电器设备有限公司 配电开关柜的主辅电路转接件
US6301094B1 (en) * 1999-11-10 2001-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Drawout unit and load/line terminal assembly
FR2800927B1 (fr) * 1999-11-10 2001-12-21 Socomec Sa Repartiteur de puissance electrique pour tiroir enfichable et tiroir enfich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64B1 (ko) * 2008-12-15 2009-05-18 주식회사 이공 커플링을 이용한 전력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864B1 (ko) 2005-07-18
JPWO2003038961A1 (ja) 2005-02-24
WO2003038961A1 (fr) 2003-05-08
JP4046688B2 (ja) 2008-02-13
CN1630968A (zh) 2005-06-22
TW556378B (en) 2003-10-01
CN100338837C (zh)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64B1 (ko)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EP0144753B1 (en) Enclosed switchgear
KR101337012B1 (ko) 스위치기어
US7417848B2 (en) Multiple height, high density horizontal low voltage motor control center
RU241684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яда модульны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на панел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420845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595343B1 (ko) 저전압 전기 큐비클의 업그레이드가능 피더기능부
KR0185672B1 (ko) 조광기 랙
KR20010020760A (ko)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EP0092774B1 (en) Switch board
RU2225667C2 (ru) Силов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силов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душной изоляцией и выдвижными блоками, для сетей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KR100548174B1 (ko) 컨트롤 센터
JP2013141407A (ja) 配電盤
KR100500865B1 (ko) 컨트롤 센터
US4133994A (en) Cell of low-voltage feed and distribution cellular switchboard
RU22517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ключения для камеры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выдвижными приборными блоками
JPH04255406A (ja) 多段積型配電盤
US11996678B2 (en) Switching and/or distributing device
PL196532B1 (pl) Elektryczna rozdzielnica
RU2806084C1 (ru) Улучшенный четырехполюсный выходной штепсельный узел
KR100729191B1 (ko) 선박의 발전기용 배전반
US5070428A (en) Encapsulated switching system with longitudinal coupling of bus bars, inner partitions, and coupling fields
MX2008013081A (es) Instalacion de conmutacion para media tension aislada con aire.
JP2007318980A (ja) 引出形機器及び配電盤
CN107591262B (zh) 控制与保护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