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760A -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760A
KR20010020760A KR1020000020592A KR20000020592A KR20010020760A KR 20010020760 A KR20010020760 A KR 20010020760A KR 1020000020592 A KR1020000020592 A KR 1020000020592A KR 20000020592 A KR20000020592 A KR 20000020592A KR 20010020760 A KR20010020760 A KR 20010020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witchgear
switch gear
casing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240B1 (ko
Inventor
사토토시후미
마루야마토시마사
미야모토세이이치
이토타니타카유키
코바야시미노루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113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064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255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748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2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8Operating arrangements with a plurality of interruptible circuit paths in single vacuum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atch Board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진공용기(10)의 내부에 주회로 개폐장치(20)와 접지 개폐장치(30)를 수납하고, 그 진공용기(10)는 절연에 의해 몰드되고, 그 몰드부(60)에는 모선 접속용 단자(71) 및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직접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SWITCH GEAR AND SPECIAL-HEIGHT METAL CLOSED TYPE SWITCH GEAR}
본 발명은, 진공용기 내부에 모선측 도체와 부하측 도체를 접촉하고 이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주회로 개폐장치, 부하측 도체와 접지용 도체를 접촉하고 이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접지 개폐장치와 같은 복수의 개폐장치로 구성된 일체화한 기능 유니트를 구비하는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모선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다양한 부하장치 및 다른 전기실에 배전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기어는, 모선에 접속되는 모선측 도체 및 부하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송전 케이블에 접속되는 부하측 도체와 같은 접속 도체 뿐만 아니라, 모선측 도체와 부하측 도체를 접촉하고 이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주회로 개폐장치, 부하측 도체를 접지하기 위한 접지 개폐장치, 및 이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장치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도 금속으로 제조되고 접지된 용기 내부에 배설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 기어 형태의 예로서, 일본 특허공고 평7-2848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 처럼, 통합체로 접속 도체의 일부와 함께 일체화된 주회로 개폐장치 와 접지 개폐장치로 구성된 기능 유니트를 구비하고, 이 기능 유니트는 상자내에 배치되고, 이 기능 유니트는 모선 및 송전 케이블에 접속만 되는 구성으로 된 스위치 기어가 있다.
이제, 도 37은 상술한 스위치 기어의 주요부의 구성의 평면 단면도이고, 도 38은 이 스위치 기어의 전기적 접속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된 것 처럼, 이 스위치 기어는, 절연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금속제조 용기(1)의 주변 벽의 일부뿐만 아니라, 그 용기(1) 주변 벽의 일부의 내외도 관통하는 송전 케이블 접속용 부싱(2a)과, 유사하게 절연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금속제조 용기(1)의 주변 벽의 일부뿐만 아니라, 그 용기(1) 주변 벽의 일부의 내외도 관통하는 모선 접속용 부싱(2b)을 구비하고, 그 용기(1)의 내부에, 진공 아크 소멸실(9)뿐만 아니라 제1, 제2, 제3의 개폐장치(3, 4, 5)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싱(2b)을 통해 외부에 배치된 모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모선측 분기도체(6)는, 용기(1)의 주변 벽의 일부에 고착된 절연 지지 애자(11)에 의해 지지되고 용기(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 모선측 분기 도체(6)는 진공 아크 소멸실(9)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제1의 개폐장치(3)를 통해, 용기(1)의 주변 벽의 일부에 고정된 절연 지지 애자(6Oa)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 중간도체(6O)에 접속되고, 분기 도체(6)는 중간 도체(60)에 의해 2 방향으로 분기되고, 그 2개의 분기는 제2 및 제3의 개폐장치(4, 5)를 통해 이들 관련 부싱(2a)에 의해 각각 지지된 부하측 도체(2)에 각각 접속되고, 그 부하측 도체(2)를 지나서 외부에 배치된 송전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더 접속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된 것 처럼, 1 상분의 회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스위치 기어의 완벽한 회로는 3상으로 구성되고, 즉, 이 스위치 기어에서는, 상술한 부싱(2a, 2b)과 상술한 제1, 제 2, 및 제 3의 개폐장치(3, 4, 5)가 각 상의 1조씩 또는 2조씩 구비되어 있다.
각 개폐장치(3, 4, 5)는 금속 링크(8) 및 절연 링크(7)를 통해 전달되는 관련 조작기구의 동작에 따라서 요동하는 요동전극을 구비한다. 특히, 제1의 개폐장치(3)는 그 요동전극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폐로 위치, 접지 위치 및 단로 위치를 실현하는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폐로 위치는, 진공 아크 소멸실(9) 내부에 배치된 개폐장치의 출력전극을 중간도체(60)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고 이 대응 위치로부터 돌출된 고정전극에 접속한 위치이고, 접지 위치는, 요동전극과 접지용 도체(1Oa)를 접속한 위치이며, 단로 위치는, 폐로 및 접지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이고 고정전극과 접지용 도체(10a)에서 떨어져 있다.
또한, 제2 및 제3의 개폐장치(4, 5)는, 각각의 요동전극의 요동위치에 따라, 부하측 도체(2)와 중간 도체(6O)의 대응 위치에 각각 설치 및 돌출된 그들의 관련 고정전극 및 접지용 도체(10b, 1Oc)의 사이에서, 제1의 개폐장치(3)와 유사한 그 들 각각의 3개의 위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모선측 분기 도체(6)와 부하측 도체(2)를 접촉하고 그들을 서로 분리하는 주회로 개폐부와, 부하측 도체(2)를 접지하기 위한 접지 개폐부가, 접속용 도체와 함께 용기(1)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모선측 분기 도체(6)를 부싱(2b)을 통해 용기(1) 외부에 설치된 모선에 접속만 해도 좋고, 부하측 도체(2)를 부싱(2a)을 통해 용기(1) 외부에 설치된 송전 케이블에 접속만 해도 좋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스위치 기어는, 절연성 가스가 봉입되는 대형 크기의 용기(1)의 내부에 제1, 제2 및 제3의 개폐장치(3, 4, 5)와 진공 아크 소멸실(9)이 부착됨으로 인하여, 용기(1) 외부에 조작 기구가 부착되는 상태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조작의 효율이 나쁘고 스위치 기어의 크기가 대형화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은, 스위치 기어의 설치 장소에 의해서 여러 가지이므로, 스위치 기어는 여러 가지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종래의 스위치 기어에서, 제1, 제2 및 제3의 개폐장치(3, 4, 5) 및 진공 아크 소멸실(9) 사이의 위치 관계는, 송전 케이블 접속용 부싱(2a)과 모선 접속용 부싱(2b)의 배치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이 제한되어, 상술한 요구를 만족할 수 없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약은 각 스위치 기어 부품의 배치를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여서, 종래 기술에 의해서, 높이 제한과 같은 공간적 제약을 가지는 일부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스위치 기어를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절연성 가스로 사용된 SF6 가스는,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배출 규제 가스중 하나로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SF6 가스의 취급 및 관리에 관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제조 및 점검시의 스위치 기어의 비용과, 스위치 기어 관련 설비 폐기시에 필요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은 또한 전력을 수신하고 배분하기 위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관하여, 특히 이러한 스위치 기어에 사용된 패널의 치수 및 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양한 전력 수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고, 도 47은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의 개요의 일 례의 회로도이다. 이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은, 수전부 또는 전력 수신부(201), 전력회사에 의해 공급되어 전력 수신부(201)에 접속된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이하, VCT라 칭함), 계기용 변압기(203), 피뢰침(204) 및 복수의 피더부(205)로 구성된다.
그 전력 수신부(201)는, 차단기(206), 이 차단기(206)의 양측에 직렬로 각각 접속된 한쌍의 단로 개폐장치(207), 복수의 접지 개폐장치(208) 및 계기용 변류기(209)를 포함한다. 각 피더부(205)는, 단로 개폐기(21O), 접지 개폐장치(211), 차단기(212) 및 계기용 변류기(213)를 구비한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개요가 종래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를 사용하여 구성한 예의 블록 개요도(평면 구성도)이고,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종래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전력 수신부(201)는, 수전 패널(214)에 수용되고, VCT(202)는 VCT 패널(215)에 수용된다. 계기용 변압기(203) 및 피뢰침(204)은, 계기용 변압기· 피뢰침 패널(216)에 각각 수용된다. 피더부(205)는, 피더 패널(217)에 각각 수용된다.
수전 패널(214), VCT 패널(215),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16) 및 피더패널(217)은, 수평 방향의 일 렬(row)로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각 패널(214∼217)의 깊이 및 높이 치수는, 스위치 기어 내부 기기 구성의 최대 치수인 VCT 패널(215)의 깊이 및 높이 치수로 결정되고, 이들은 서로 같게 설정된다. 그러나, 각 패널의 폭 치수는, 그들의 관련 패널의 내부에 각각 수용된 장치의 폭 치수로 설정된다.
상기 구성된 종래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수전 패널(214),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16) 및 피더 패널(217)의 깊이 및 높이 치수가, 최대의 VCT 패널(215)의 깊이 및 높이 치수로 결정되기 때문에, 스위치 기어 전체 구성이 대형화 하여 스위치 기어가 값싸진다. 또한, 이들 패널(214∼217)을 설치 장소로 이동할 경우, 크레인과 같은 장비들을 요구하는 큰 높이 때문에 통상의 크기의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것도 스위치 기어가 비싼 비용의 원인이 된다. 또한, 각 패널(214∼217)은, 서로 매칭된 깊이 치수로 일 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기어의 배치의 자유도가 작고, 전기실의 형상에 따라 전기실의 스위치 기어를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발견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으로 크기를 감소시켜 그것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는 특정 높이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스위치 기어에서 발견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에 복수의 개폐장치를 수납하고, 그 몰드부에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드부에 직접적으로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외부 도체 접속용 부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스위치 기어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II 선에 의한 따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에서 사용되는 3 개의 유니트 열 보드(Unit row board)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에서 사용되는 3 개의 유니트 열 보드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3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VII-Vl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5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6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7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7의 주요부의 구성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8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9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O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1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2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3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4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5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6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XXII-XXI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7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XXIV-XXIV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8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8의 주요부의 구성의 저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XXVII-XXVI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9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O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1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2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3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4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XXXIV-XXXIV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5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XXXVI-XXXV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
도 37은 종래 스위치 기어의 주요부의 구성의 평면 단면도,
도 38은 종래 스위치 기어의 주요부의 구성의 전기적인 접속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6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사용되는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의 개요도,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외관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VCT 패널의 사시도,
도 42는 도 40에 도시된 각 계기용 변압기 및 피뢰침 패널, 모선 변환 패널 및 2개의 피더(feeder) 패널의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7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사용되는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의 개요도,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외관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8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사용되된 각 수전 패널, 2개의 피더 패널, 계기용 변압기 및 피뢰침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사시도,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사용된 VCT 패널을 포함하는 상자 몸체의 분할 및 조립 상태의 설명도,
도 47은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의 개요의 회로도,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개요를 종래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를 사용하여 구성한 예의 블록 개요도,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종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공용기 20 : 주회로 개폐부
30 : 접지 개폐부 21a, 31a : 고정전극
22a, 32a : 가동전극 41, 42 : 조작부
60 : 몰드부 71 : 모선 접속용 단자
72 :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 91 : 모선
92 : 송전 케이블 91a, 92a : 커넥터
215 : VCT 패널 221 : VCT 접속 패널
222 : 접속 도체 223 : 수전 패널
224 : 계기용 변압기 및 피뢰침 패널 225 : 접속 모선
226 : 모선 변환 패널 227 : 피더(feeder) 패널
231, 232 : 분할 상자 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따른 스위치 기어는, 진공용기와, 다른 외부 도체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을 접촉하고 이들을 서로 분리하고, 절연물에 의해 그 진공용기와 함께 몰드되는 그 진공용기에 각각 수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리고 그 진공용기 내에 상기 몰드부에서 돌출되는 외부 도체에 접속하도록 각각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1의 외부 도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 1의 외부 도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 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1의 외부 도체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 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I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 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I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1의 외부 도체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형, L 형 또는 I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9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형, L 형 또는 I 형의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0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의 외부 도체에 소정 각도에서 접속되는 공중 접속용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1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기 제1의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들의 돌출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의 외부 도체에 선형적으로 접속되는 공중 접속용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2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개폐장치들과, 현재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현재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형 또는 L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3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형 또는 L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4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5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상술한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6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개폐장치들과, 현재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현재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T 형 또는 L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7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개폐장치들과, 현재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현재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I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8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개폐장치들과, 상기 단자들이 직접 접속된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1의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들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I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19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그 개폐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제1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1의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들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련된 진공용기내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치된 I 형 커넥터를 통해 제2의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20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각 진공용기내에 제1의 외부 도체와 제2의 외부 도체에 각각 접속된 개폐장치들의 개폐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의 외부도체에 소정 각도로 접속되는 단자들과, 그리고 제1의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들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의 외부 도체에 소정 각도로 접속되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21의 특징에 따른 상기 진공용기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진공용기들과, 개폐될 때의 동일 방향으로 동작되고 각 진공용기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개폐장치들과, 개페장치들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의 외부 도체에 소정 각도로 접속되는 공중 접속용 단자들과, 제1의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들의 돌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의 외부 도체에 소정 각도로 접속되는 공중 접속용 단자들과, 그리고 제1 및 제2의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들의 그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3의 외부 도체에 소정 각도로 접속되는 공중 접속용 단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21의 특징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스위치 기어에서, 본 발명의 제22의 특징에 따른 몰드부의 단자들의 설치 부분은 각각 오목부로 형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23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수전 패널, 피더 패널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 및 피뢰침 패널로 구성되고,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이 설치되되, 수전 패널, 피더 패널,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 및 피뢰침 패널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들이 나란히 설치되고, 이들 패널들중의 적어도 일부의 깊이 치수는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와 같거나 1/2 보다 작게 설정되고, 그리고 모든 패널들중의 적어도 일부는, 그들의 배면이 서로 향하는 상태로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3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24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배면 맞춤으로 배치된 패널들의 내부에 설치된 장치들이, 그 패널들의 전방면으로부터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4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25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양측에, 그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압기 패널을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접속 도체를 수용한 2개의 VCT 접속패널을 각각 배치한 것이다.
상기 제25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26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을 2대의 피더 패널중 하나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 변환 패널을 구비하고, 그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깊이 치수는 각각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와 같거나 1/2 보다 작게 설정되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이,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2개의 VCT 접속패널중의 하나에 이웃하게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그 2대의 피더 패널은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5의 특징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27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을 2대의 피더 패널중 하나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 변환 패널을 구비하고, 그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깊이 치수는 각각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와 같거나 1/2 보다 작게 설정되고, 수전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이 각각 각각의 배면이 관련된 VCT 접속 패널들의 배면에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되고, 수전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 사이에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2대의 피더 패널이 각각 각각의 배면이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배면에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3 내지 제27의 특징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28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수전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의 높이 치수가 각각 1900mm와 같거나 1900mm 보다 작고,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상자 몸체가 1900mm와 같거나 이 보다 작은 높이 치수를 각각 갖는 분할 상자 몸체에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II 선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금속으로 만든 진공용기이다. 진공용기(1O) 내에는, 주회로 개폐 장치(2O) 및 접지 개폐 장치(3O)가, 그 개폐의 동작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상태로 수납된다. 주회로 개폐 장치(2O)는, 세로 방향으로, 즉 도 1에서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고, 크랭크형(crank-like) 형상으로 구성된 고정 전극 막대(21)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 전극(21a)과, 고정 전극 막대(21)의 윗쪽에 설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즉 도 1에서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가동 전극 막대(22)에 설치된 가동 전극(22a)으로 구성된다. 고정 전극 막대(21)의 일부의 주변 면이 절연물을 통해 진공용기(10)에 고정되어서, 고정 전극 막대(21)와 진공용기(1O)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한편, 가동 전극 막대(22)는, 세로 방향으로 절연 로드(23)를 통해 조작 막대(24)와 접속되고, 조작 막대(24)는, 주회로 개폐 장치(20)를 폐로 위치, 차단 위치, 단로 위치로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된 조작부(41)에 접속된다. 또한, 조작 막대(24)의 일부의 주변 면을, 벨로즈(11)와 절연물을 통해 진공용기(1O)에 접속되어, 조작 막대(24)는 진공용기(1O)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이 조작 막대(24)는 진공용기(1O) 내부를 기친밀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접지 개폐장치(3O)는, 상기 주회로 개폐장치(2O)의 정면측에 배치되어, 측면으로부터 볼 때 L 형으로 구성되는 고정 전극 막대(31)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 전극(31a)과, 고정 전극 막대(31)의 윗쪽으로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접지된 가동 전극 막대(32)에 설치된 가동 전극(32a)으로 구성된다. 고정 전극 막대(31)의 일부의 주변 면은 절연물을 통해 진공용기(1O)에 고정되어서, 그 고정 전극 막대(31)는 진공용기(1O)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한편, 가동 전극 막대(32)는, 접지 개폐장치(3O)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41)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조작부(42) 접속된다. 또한, 가동 전극 막대(32)의 일부의 주변 면은, 벨로즈(12)와 절연물을 통해 진공용기(1O)에 접속되어서, 가동 전극 막대(32)는 진공용기(1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그 가동 전극 막대(32)는 진공용기(1O) 내부를 기친밀(airtight) 조건을 유지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주회로 개폐장치(2O)의 가동 전극 막대(22)는, 접지 개폐장치(3O)의 고정 전극 막대(31)와 변형가능한 가요성 도체(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0)가 폐극 상태, 접지 개폐장치(3O)가 개극상태의 경우는,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고정 전극 막대(21)와 접지 개폐장치(30)의 고정 전극 막대(31)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3개의 진공용기(1O, 1O, 1O)가 횡방향으로 즉, 도 2에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설되고, 그 3개의 진공용기(10, 10, 10)는 그 전체가 절연물에 의해서 몰드된다. 3개의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하향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형성된 몰드부(60)의 하면에 각각 배설되고, 또한 3개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상향으로 마주 보는 상태로 몰드부(660)의 정면에 각각 배설된다. 이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서로 위치를 이동하는 상태로 진공용기(10, 1O, 10)의 배설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부하측 송전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서로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관련된 진공용기(10, 10, 10)내에 각각 배치된다. 각 모선 접속용 단자(71)는, 주회로 개폐장치(2O)의 고정 전극 막대(21)의 하단에 접속됨에 따라, 각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접지 개폐장치(30)의 고정 전극 막대(31)의 정면측의 선단에 접속된다. 또한,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T 형 커넥터 및 L 형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몰드된 진공용기(1O, 1O, 1O)는, 이 용기의 일 면에,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의 설치면이 문(81)측에 설치되는 상태로 문(81)을 포함하는 케이싱(80)에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로 케이싱(8O)에 각기 수납된 3개의 유니트는 나란히 배치되어, 3개의 유니트 열 보드(row board)를 제공한다. 이제, 도 3은 3 개의 유니트 열보드의 배면도이고, 도 4는 그 3개의 유니트 열 보드의 하면도이다. 이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T 형 또는 십자형의 커넥터(91a)를 통해 모선(91)에 접속되고, 또한 그 모선(91)은 진공용기(1O, 10, 10)의 배치 방향으로 각각 배선되어 있다. 3개의 진공용기(10, 1O, 10) 각각은, 3상 교류 전력의 1상에 대응하고, 또한 각 모선(91)은 케이싱(8O)의 측면을 관통하여 동상을 갖는 인접 유니트의 모선 접속용 단자(71)에 접속된다. 따라서, 모선(91, 91, 91)은 3개의 유니트 열 보드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병렬로 배선되어 있다. 또한, 각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T 형의 커넥터(92a)를 통해 송전 케이블(92)에 접속된다. 송전 케이블(92)은, 케이싱(80)의 하면을 관통하여, 횡방향에, 즉 도 4에서 수평 방향에 나란히 3개의 유니트 열 보드의 하부에 배선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는, 진공용기(1O)를 절연물에 의해 직접 몰드하기 때문에, 몰드부에 모선 접속용 단자(71)와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직접 배치되고, 밀봉 패킹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기친밀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선 접속용 단자(71)와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를 위해 별도의 부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 스위치 기어는 크기를 감소할 수 있고 이 스위치 기어의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모선들(91)을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선시키고 또한 진공용기(10, 10, 10)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수평 방향에서 나란히 배열하고 케이싱(80)의 바닥으로 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 실시예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이 T 형 또는 L 형의 커넥터(92a)를 갖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의 몰드부(6O)의 하면에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후 방향으로 마주 보도록 몰드부(60)의 배면에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모선 접속용 단자들(71, 71, 71)은, 서로 위치를 이동하는 상태로 관련된 진공용기(10, 1O, 1O)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모선들(91)은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진공용기(10, 10, 1O)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선들(91)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0, 10, 1O)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케이싱(80)의 바닥측으로 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3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VII-VI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이다.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서로 위치를 이동하는 상태로 관련된 진공용기(1O, 10, 1O)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선들(91)을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O, 1O, 10)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O, 10, 10)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한 배선 패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서로 위치를 이동하는 상태로 관련된 진공용기(1O, 1O, 1O)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선들(91)을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O, 1O, 10)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O, 10, 10)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한 배선 패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5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몰드부(60)의 하면에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각각 배치되고, I 형의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부하측 송전 케이블 커넥터(92a)가 I 형 형상을 갖는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6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몰드부(60)의 하면에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각각 배치되고, I 형의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 커넥터(92a)가 I 형 형상을 갖는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7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그 저면도이다.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T형, L형 및 I 형의 커넥터와 각각 접속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송전 케이블(92)의 선단의 커넥터(92a)를 T 형 형상 또는 L 형 형상으로 구성한 경우에, 본 실시예는, 송전 케이블(92, 92, 92)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O, 10, 1O)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8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T형, L형 및 I 형의 커넥터와 각각 접속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6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송전 케이블(92)의 선단의 커넥터(92a)를 T 형 형상 또는 L 형 형상으로 구성한 경우에, 본 실시예는, 송전 케이블(92, 92, 92)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진공용기(1O, 10, 1O)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9의 주요부의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송전 케이블(92)에 직각으로 접속되기 위한 공중 접속용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의 커넥터(92)가 공중 접속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0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송전 케이블(92)에 선형으로 접속되기 위한 공중 접속용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의 커넥터(92)가 공중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1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주회로 개폐장치(2O)의 고정 전극(21a)이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가동 전극(22a)이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주회로 개폐장치(2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41)는 진공용기(1O)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전극(21a)의 상측으로, 고정 전극 막대(21)의 상단부에 접속된 모선접속용 단자(71)가, 몰드부(6O)의 상면에 상향으로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O)의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케이싱(80)의 전후방향에 서로 위치가 이동하게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0)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O, 2O)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0)의 상부 깊이측의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배선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 내의 상부 깊이측 위에, 모선들(91, 91, 91)을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케이싱(8O) 내의 전방부 의 바닥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2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O)가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고정 전극(21a, 31 a)이 깊이측에 각각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가동 전극(22a, 32a)이 정면측에 각각 배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O)는 접지 개폐장치 (3O)의 상측에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41)는 진공용기(1O)의 정면에 부설되고, 접지 개폐장치(3O)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42)는 상기 조작부(41)의 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몰드부(6O)의 상면에 상향으로 마주 보도록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배치되고, 몰드부(60)의 하부 정면에 정면방향으로 마주 보도록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O)의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이동되게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그들이 서로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관련 진공용기(1O, 10, 1O)에 각각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0, 2O, 2O)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O)의 상부 깊이측에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진공용기(10, 10, 10)의 접지 개폐장치(30, 30, 30)에 각각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92, 92, 92)은, 케이싱(80)의 깊이 부 하면을 통하여 연장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하부에 각각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의 상부 깊이측에, 모선들(91, 91, 91)을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진공용기(1O, 1O, 1O)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0)내의 깊이 부 바닥으로부터 도입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1, 42)를 케이싱(80)의 정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조작부(41, 42)의 관리가 간편해질 수 있다.
(실시예 13)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3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몰드부(6O)의 배면 하부에, 접지 개폐장치(3O)의 고정 전극막대(32)에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후 방향으로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0,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0, 20, 2O)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0)의 중앙부 상측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횡방향으로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2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의 중앙부 상측에, 모선들(91, 91, 91)을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진공용기(1O, 1O, 1O)의 배치 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0)내의 깊이 부 바닥으로부터 도입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4)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4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몰드부(6O)의 배면 상부에,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고정 전극 막대(22)에 접속되는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후 방향으로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0, 1O, 1O)의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수직 방향에서 서로 위치가 위동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된다. 또한,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0)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0, 20)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O)의 상부 깊이측의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횡방향에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3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의 상부 깊이측에, 모선들(91)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그 케이싱(8O) 내의 깊이 부 바닥으로 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5)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5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고정 전극(21a)이 정면측에 배치되어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가동 전극(22a)이 깊이측에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를 구동하는 조작부(41)는 진공용기(10)의 배면에 부설된다. 또한, 몰드부(6O)의 상면 전방부에, 주회로개폐장치(20)의 고정 전극 막대(22)에 연결되는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상향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0, 1O)의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이동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된다. 또한,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0, 10,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O, 2O)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O)의 상부 앞측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또한 횡방향으로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4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의 상부 앞측에, 모선들(91, 91, 91)을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시켜, 케이싱(80)내의 깊이 부의 바닥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6)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6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 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XXII-XXI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O)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고정 전극(21a, 31a)이 각각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가동 전극(22a, 32a)이 각각 하측 및 상측에 배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O)는 접지 개폐장치(30)의 앞측에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O)를 구동하는 조작부(41)는 진공용기(1O)의 하면에 부설되고, 접지 개폐장치(3O)를 구동하는 조작부(42)는 진공용기(10)의 상면에 부설된다. 또한, 몰드부(60)의 상면의 상기 주회로개폐장치(2O)의 바로 위에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상향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몰드부(60)의 하면 깊이 부의 접지 개폐장치(3O)의 바로 아래에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I 형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O)의 모선 접속용 단자(71, 71, 71)는, 관련된 진공용기(10, 10, 1O)에서 서로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되고,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는, 관련된 진공용기(1O, 1O, 10)에서 서로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용기(10, 1O, 1O)는 케이싱(80)내에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0, 10,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0, 20, 2O)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O)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선되고, 진공용기(1O, 1O, 1O)의 접지 개폐장치(3O, 3O, 30)에 각각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92, 92, 92)은, 케이싱(8O)의 깊이 부 하면을 관통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케이싱(80)의 하부에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 내의 상부에, 모선들(91)을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연장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배선하여,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을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케이싱(8O) 내의 바닥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7)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7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 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XXIV-XXIV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0)가 그 길이방향을 케이싱(80)의 횡방향으로서, 수직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0)의 고정 전극(21a, 31a)이 동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0)의 가동 전극(22a, 32a)이 그 고정 전극(21a, 31a)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0)는 접지 개폐장치(30)의 상향으로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O)를 구동하는 조작부(41)는 진공용기(1O)의 상기 가동 전극(22a, 32a)측의 측면에 부설되고, 접지 개폐장치(3O)를 구동하는 조작부(42)는 조작부(41)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몰드부(60)의 상면의 가동 전극(22a, 32a)측에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상향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몰드부(6O)의 하면에, I 형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이 모선 접속용 단자(71)의 바로 아래에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0, 2O)에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케이싱의 횡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배선되고, 진공용기(10, 1O, 1O)의 접지 개폐장치(3O, 3O, 3O)에 각각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92, 92, 92)은, 케이싱(8O)의 깊이 부의 하면을 통하여 연장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하부에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6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O)는, 각기 케이싱(80)의 횡방향을 길이 방향으로서 배설되기 때문에, 스위치 기어의 높이를 감소할 수 있고, 즉, 본 실시예는 높이에 제한이 있는 공간에 배설할 수 있다.
(실시예 18)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8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 이고, 도 26은 그 하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XXVII-XXVI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을 케이싱(80)의 수직 방향으로서 하는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가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고정 전극(21a, 31a)이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가동 전극(22a, 32a)이 상측에 각각 배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배치 방향은, 횡방향에 적절한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O) 및 접지 개폐장치 (3O)를 각각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 조작부(41, 42)는, 진공용기(10)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부설된다. 또한, 몰드부(6O)의 하면의 주회로 개폐장치(20)의 바로 아래에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몰드부(6O)의 하면에, I형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하향으로 마주 보도록 접지 개폐장치(30)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O,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0, 20)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0)의 하부에서,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6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0)내의 하부에서, 모선들(91)이 케이싱(8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연장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선되어,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이 케이싱(80)의 전후방향에 나란히 배열되고, 케이싱(8O)의 바닥으로부터 도입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9)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19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용기(1O)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케이싱(80)의 수직방향으로 한 주회로 개폐장치(2O)가 설치되어 있다.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고정 전극(21a)이 하측에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의 가동 전극(22a)이 상측에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41)가 진공용기(10)의 상면에 부설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O)의 근방에는, 측면에서 볼 때 역 L 자형의 도체(25)가, 배치 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O)의 고정 전극 막대(21)에 연결되는 모선 접속용 단자(71)가 몰드부(6O)의 배면에서 돌출하여서, 도체(25)에 연결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몰드부(60)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모선 접속용 단자(71) 및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송전 케이블에 직각으로 접속하기 위한 공중 접속용 단자가 각각 있고, 그들은 공중 접속용 커넥터(91a)를 갖는 모선(91) 및 공중 접속용 커넥터(92a)를 갖는 송전 케이블(92)에 각각 접속된다.
1개 유니트의 진공용기(1O, 10, 1O)의 주회로 개폐장치(20, 20, 2O)에 각각 접속되는 모선들(91, 91, 91)은, 케이싱(8O)의 하면의 깊이 부를 통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나란히 배치된다. 관련된 도체(25)에 접속되는 송전 케이블(92, 92, 92)은, 케이싱(80)의 하면의 전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며, 케이싱(80)의 바닥으로 부터 케이싱(8O) 내부에 도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9와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0)의 깊이 및 전방부에서, 모선(91) 및 송전 케이블(92)이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모선(91) 및 송전 케이블(92)은 케이싱(8O)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있다.
또한, 모선 접속용 단자(71) 및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92)에는, 위로부터 커넥터(91a, 92a)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는 모선(91) 및 송전 케이블(92)이 케이싱(80) 위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선측과 부하측의 단자 형상이 같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모선(91)과 송전 케이블(92)을 도입한 배선 패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0)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O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회로 개폐장치(20, 20)가, 그 길이 방향을 케이싱(80)의 수직 방향으로서 한 진공용기(10) 내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배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0, 20)의 고정 전극(21a, 21a) 및 가동 전극(22a)이 하측 및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주회로 개폐장치(20, 2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41, 41)가, 진공용기(1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다. 주회로 개폐장치(2O, 2O)의 고정 전극 막대(21, 21)에 연결되는 모선 접속용 단자(71, 71)가, 몰드부(6O)의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주회로 개폐장치(2O, 2O) 사이의 중앙에, 수직 방향의 길이로 구성한 도체(25)가 넣어지고, 도체(25)의 하단부에는, 몰드부(6O)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가 접속되어 있다. 도체(25)의 상단부가, 양 주회로 개폐장치(2O, 20)의 가동 전극 막대(22, 22)와 가요성 도체(5O)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선 접속용 단자(71) 및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각각 송전 케이블에 직각으로 접속하기 위한 공중 접속용 단자이고, 특히, 모선 접속용 단자(71)는, 모선 접속용 단자의 선단에 공중 접속용 커넥터(91a, 91a)를 각각 구비한 모선(91, 91)에 각각 접속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선단에 공중 접속용 커넥터(92a)를 구비한 송전 케이블(92)에 접속된다.
1개 유니트의 관련된 진공용기(10, 10, 1O) 내부의 깊이측에 설치된 주회로 개폐장치(20, 2O, 2O)에 접속되는 모선(91, 91, 91)은, 케이싱(8O)의 하면의 깊이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치되며, 케이싱의 바닥부로부터 케이싱(80)내에 도입된다. 유사하게, 전방측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O, 2O)에 접속되는 모선(91, 91, 91)은, 케이싱(80)의 하면 전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치되고, 케이싱의 바닥으로부터 케이싱(8O) 내에 도입된다. 또한, 전방측 및 깊이측의 모선(91, 91)의 중앙부에는, 도체(25, 25, 25)에 접속되는 송전 케이블(92, 92, 92)이, 케이싱(80)의 하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치되며, 케이싱(8O) 내부로 만곡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에 직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0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2개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O)를 구동함으로써, 전원 공급을 2개의 모선(91, 91)에서 선택하여 전원 공급을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 21)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1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체(25)를 제외하고, 접지 개폐장치(3O)가, 주회로 개폐장치(2O, 2O)의 중간부에 넣어진다. 주회로 개폐장치(20)는, 가동 전극(22a)이 상측에 설치되고 고정 전극(21a)이 하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고, 2개의 주회로 개폐장치(20, 2O)의 가동 전극측과 접지 개폐장치(30)의 고정 전극(31)의 사이에, 가요성 도체(50)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O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2개의 주회로 개폐장치(2O, 2O)를 구동함으로써,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접지 개폐장치(3O)를 구동함으로써, 부하측을 접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2)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2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전후방향으로 바꿔서 케이싱(80)내에 수납한다. 주회로 개폐장치(2O)를 정면측에 배치하고, 접지 개폐장치(3O)를 깊이측에 배치하고, 모선 접속용 단자(71)를 몰드부(60)의 하면 전방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를 몰드부(6O)의 배면 하부에서 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8O) 내부의 상부 전방측에, 모선이 케이싱(80)의 전후방향에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선되어,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이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O) 내부의 깊이 부의 바닥으로부터 도입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용기(10)는, 케이싱(80)의 문(81) 근방에 배치하기 때문에, 개폐장치의 점검 조작을 간편화할 수 있다.
(실시예 23)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3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상하를 바꿔서 케이싱(80)내에 수납한다.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고정 전극(21a, 31a)을 상측에 각각 배치하여, 주회로 개폐장치(20) 및 접지 개폐장치(3O)의 가동 전극(22a, 32a)를 하측에 각각 배치한다. 또한, 모선 접속용 단자(71)는, 몰드부(6 O)의 상면 후방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는, 몰드부(60)의 정면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싱(8O) 내부의 상부 후측으로, 모선이 케이싱(80)의 전후방향에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0)의 횡방향에 배선되어, 부하측 송전 케이블(92)이 횡방향에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싱(8O) 내부의 전방부 상면으로부터 도입되는 배선 패턴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4)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4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XXXIV-XXXIV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의 배치를 변화시킨 것, 즉, 1개 유니트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를 정면에서 볼 때 역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를, 일렬로 옆으로 배치하고, 그 단자들(72)을 케이싱(80)의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시킬 수 있어, 스위치 기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25)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의 실시예 25의 주요부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XXXVI-XXXVI 선에 의한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몰드부(60)의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의 설치 부분을 오목부로 각각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몰드부(6O)로부터 부하측 송전 케이블 접속용 단자(72, 72, 72)의 돌출량을 감소할 수 있어, 스위치 기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 처럼,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사용하면, 1 또는 복수의 개폐장치를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에 수납하여, 외부도체 접속용의 단자를 그 몰드부에서 직접 돌출시키기 때문에, 부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스위치 기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대폭적으로 크기에 있어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를 몰드부에 직접 배치하기 때문에, 밀봉용 용 패킹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위치 기어에서 기친밀 조건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21의 특징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사용하면, 개폐장치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대하여, 외부 도체에 접속하기 위해 각각 사용된 단자를 여러 가지 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본 스위치 기어를 외부 도체의 송전 케이블의 여러 가지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배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스위치 기어는 형상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치 기어가 높이 및 깊이에 제한이 있는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스위치 기어를 이러한 경우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문측에 빈도 높게 점검해야하는 스위치 기어의 부분을 배치하기 때문에, 본 스위치 기어의 점검 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의 특징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사용하면, 몰드부 단자의 설치부분을 오목부로 구성하기 때문에, 한층 더 스위치 기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실시예 26)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6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서 이용된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의 개요도(평면 구성도)이고,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39 및 도 40에 있어서, VCT(202)를 수납한 VCT 패널(215)의 양측에, 2개의 VCT 접속 패널(221)이 배치되어 있다. 그 VCT 접속 패널(221)에는, 2개의 접속 도체(222)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그 2개의 VCT 접속 패널(221)중 하나의 이웃에는, 전력 수신부(201)를 수납한 수전 패널(223)이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 VCT 접속 패널(221)의 이웃에는, 계기용 변압기(203) 및 피뢰침(204)을 수납한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과, 접속 모선(225)을 수납한 모선 변환 패널(226)이 배치되어 있다.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에 인접하게, 각 피더부(205)를 수납한 2대의 피더 패널(227)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된 것 처럼, VCT 패널(215)은 깊이 치수 B 를 갖는다. 한편, 도 42에 도시된 것 처럼,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모선 변환 패널(226) 및 피더 패널(227)의 깊이 치수는, VCT 패널(215)의 깊이 치수 B의 1/2(1/2 B)로 각각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 위에, VCT 접속 패널(221)의 높이는, VCT 패널(215)과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모선 변환 패널(226) 및 피더 패널(227)의 높이 치수는, VCT 패널(215) 보다 작아지게 각각 설정된다.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은,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유사하게, 2대의 피더 패널(227)은 또한 각각의 배면이 서로 마주 보게 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전력 수신부(201),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의 내부에 수납된 장치들 및 피더부(205)는, 도47에 도시된 회로 구성과 유사하다. 그렇지만, 이 부들은, 종래의 부들에 비하여 크기에 있어서 감소되고 또한 각 패널의 전방면측에서 보수할 수 있는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을 그들의 배면이 서로 마주 보게 일렬로 배치하고, VCT 접속 패널(221)을 통해, 깊이 치수가 큰 VCT 패널(215)의 측면 측에 배치하므로, 그들은 고효율 및 소형 상태로 일렬로 배치할 수 있어, 전체 스위치 기어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이, 그들의 각 배면이 서로 마주하게 2 열로 배치되고, 모선의 구성의 자유도가 늘어, 스위치 기어를 향상된 유연성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 26에서와 같은 배면 배치를 이용하는 경우, 스위치 기어의 앞 뒤측 각각에 이들 패널의 각 문을 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위치 기어에서도 스위치 기어의 배면측에 보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즉, 이 공간에 관련되는 한, 본 배면 배치를 사용하면, 스위치 기어의 설치 장소에 관해서 새로운 제약이 없다.
(실시예 27)
다음에,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7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이용된 일 회선 전력 수신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전 패널(223)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은 이들의 배면이 관련 VCT 접속 패널(221)의 배면과 각각 마주 보는 상태로 각각 배치되고, 수전 패널(223)과 모선 변환 패널(226)의 사이에,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2대의 피더 패널(227)이, 그들의 배면과 VCT 패널(215)의 배면이 각각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은, 그들의 배면이 폭 치수가 큰 VCT 패널(215)의 배면에 각각 마주 보는 상태로 일렬로 배치되고, VCT 접속 패널(221)을 통해 함께 접속되므로, 이들 패널들을 향상된 효율 및 소형으로 일렬로 배치할 수 있어, 전체 스위치 기어의 크기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이, 그들의 각 배면이 서로 마주보게 2열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의 구성의 자유도가 늘어, 스위치 기어를 유연성 향상되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6 및 27에서, VCT 패널(215)과 VCT 접속 패널(221)을 별도의 패널로서 구성한다. 그렇지만, VCT 패널(215) 및 VCT 접속 패널(221)은 일체로서 구성되는 상태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26 및 27에서,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은, VCT 패널(215) 및 VCT 접속 패널(221)의 패널의 높이보다 각각 낮게 설정된다. 하지만, 전자의 높이를 후자의 높이와 같게 설정할 수도 있다.
더욱이, 실시예 26 및 27에서,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의 깊이 치수는, VCT 패널(215)의 1/2로 모두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러나, 전자의 모든 깊이 치수는 항상 이러한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패널만 크기를 줄여도 좋다. 또한, 전자의 깊이 치수는, VCT 패널(215)의 1/2보다 작게 설정하여도 좋다.
(실시예 28)
다음에,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8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사용되는 수전 패널, 피더 패널,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및 모선 변환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 사용된 VCT 패널을 구성하는 상자 몸체의 분할 및 조립 상태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의 높이 치수는, 19O0mm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된다. 또한, VCT 패널(215)의 상자 몸체는, 2개의 분할체 몸체(231, 232)와 2개의 문(233a, 233b)으로 분할되는 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자 몸체(231, 232)의 높이 치수는 19OOmm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된다.
VCT 패널(215)내에 VCT(202)(도 39 참조)가 구비된다. 그리고, VCT(202)는, 전력회사보다 공급되는 부분이고, 실시예 26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구성이다. 또한, 실시예 26 또는 27과 같은 VCT 접속 패널(22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VCT 접속 패널(221)의 높이 치수를 190Omm 미만 또는 같게 설정해도 좋고, 또는 VCT 접속 패널(221)의 높이 치수를 1900mm 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 치수를 각각 가지는 분할 상자 몸체에 분할할 수 있는 상태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수전 패널(223), 피더 패널(227),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224) 및 모선 변환 패널(226)의 높이치수는, 19O0mm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되고, VCT 패널(215) 및 VCT 접속 패널(221)의 상자 몸체들은, 19OOmm 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 치수를 각각 갖는 분할 상자 몸체로 분할할 수 있는 상태로 각각 구성된다. 이 때문에, 이들 패널을 설치를 위한 장소로 이동할 때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크레인과 같은 설비가 불필요 하여져, 스위치 기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8에서, VCT 패널(215)의 상자 몸체를 2개의 분할 상자 몸체로 분할한다. 그러나, 그 VCT 패널(215)을 3 개 또는 그 이상의 분할 상자 몸체들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처럼, 본 발명의 제23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적어도 수전 패널,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중의 적어도 일부의 패널의 깊이 치수는,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되고, 모든 패널중의 적어도 일부의 패널은 그들의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 기어 전체를 소형화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기어의 배치를 유연성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4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배면 맞춤으로 배치된 패널 내부의 장치들은, 각 패널의 전방면으로부터 보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보수를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5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양측에,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을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접속 도체를 수납한 2개의 VCT 접속 패널을 각각 배치된다. 이 때문에, 패널의 배치를 유연성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6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에서는,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을 2개의 피더 패널중 하나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 변환 패널을 구비하여,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피더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깊이 치수는,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되고, 2개의 VCT 접속 패널중 하나에 인접하게,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이,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에 인접하게 2대의 피더 패널이,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각 패널을 고효율로 배치할 수 있고 전체스위치 기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7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는,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을 2개의 피더 패널중 하나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 변환 패널을 구비하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피더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깊이 치수는, 각각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되고, 수전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은, 각 배면이 관련된 VCT 접속 패널의 배면과 마주 보는 상태로 각각 배치되며, 수전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의 사이에,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및 2대의 피더 패널은, 각 배면이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배면과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각 패널을 고효율로 배치할 수 있고 스위치 기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8의 특징에 따른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는, 수전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의 높이 치수를 19O0mm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하고,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상자 몸체는 19O0mm 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 치수를 각각 갖는 분할 상자 몸체들로 분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일반의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크레인과 같은 설비 준비가 불필요하여서, 스위치 기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를 이용한 효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또는 복수의 개폐장치를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에 수납하여, 외부도체 접속용의 단자를 그 몰드부에서 직접 돌출시키기 때문에, 부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스위치 기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어를 대폭적으로 크기에 있어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를 몰드부에 직접 배치하기 때문에, 밀봉용 용 패킹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위치 기어에서 기친밀 조건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개폐장치의 개폐 동작의 동작 방향에 대하여, 외부 도체에 접속하기 위해 각각 사용된 단자를 여러 가지 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본 스위치 기어를 외부 도체의 송전 케이블의 여러 가지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배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스위치 기어는 형상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치 기어가 높이 및 깊이에 제한이 있는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스위치 기어를 이러한 경우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문측에 빈도 높게 점검해야하는 스위치 기어의 부분을 배치하기 때문에, 본 스위치 기어의 점검 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다.
아울러, 몰드부 단자의 설치부분을 오목부로 구성하기 때문에, 한층 더 스위치 기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를 이용한 효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어도 수전 패널,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중의 적어도 일부의 패널의 깊이 치수는,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되고, 모든 패널중의 적어도 일부의 패널은 그들의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 기어 전체를 소형화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기어의 배치를 유연성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배면 맞춤으로 배치된 패널 내부의 장치들은, 각 패널의 전방면으로부터 보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보수를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양측에,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을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접속 도체를 수납한 2개의 VCT 접속 패널을 각각 배치된다. 이 때문에, 패널의 배치를 유연성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을 2개의 피더 패널중 하나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 변환 패널을 구비하여,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피더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깊이 치수는,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되고, 2개의 VCT 접속 패널중 하나에 인접하게,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이,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에 인접하게 2대의 피더 패널이, 각 배면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각 패널을 고효율로 배치할 수 있고 전체 스위치 기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을 2개의 피더 패널중 하나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 변환 패널을 구비하고,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피더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의 깊이 치수는, 각각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되고, 수전 패널 및 모선 변환 패널은, 각 배면이 관련된 VCT 접속 패널의 배면과 마주 보는 상태로 각각 배치되며, 수전 패널과 모선 변환 패널의 사이에,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 및 2대의 피더 패널은, 각 배면이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배면과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각 패널을 고효율로 배치할 수 있고 스위치 기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수전 패널, 2대의 피더 패널 및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의 높이 치수를 19O0mm 보다 작거나 같게 각각 설정하고,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상자 몸체는 19O0mm 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 치수를 각각 갖는 분할 상자 몸체들로 분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일반의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크레인과 같은 설비 준비가 불필요하여서, 스위치 기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진공용기와,
    고정 전극과 가동 전극을 접촉하고 서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진공용기에 각각 수납하고, 상기 고정 전극과 가동 전극이 다른 외부 도체에 각각 접속되고, 절연물에 의해 상기 진공용기와 함께 몰드되는 1 또는 그 이상의 개폐장치들과,
    상기 몰드부에서 돌출되는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상기 진공용기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스위치 기어.
  2. 수전 패널과,
    피더 패널과,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과,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수전 패널, 상기 피더 패널, 그리고 상기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수전 패널, 상기 피더 패널 및 상기 계기용 변압기·피뢰침 패널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복수의 패널중의 적어도 일부의 패널의 깊이 치수가, 상기 전력 수급 계기용 변압기 패널의 깊이 치수의 1/2 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되고,
    상기 모든 패널중의 적어도 일부의 패널이, 배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KR10-2000-0020592A 1999-04-19 2000-04-19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KR100374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11379 1999-04-19
JP11111379A JP2000306474A (ja) 1999-04-19 1999-04-19 スイッチギヤ
JP11-332551 1999-11-24
JP33255199A JP4397483B2 (ja) 1999-11-24 1999-11-24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60A true KR20010020760A (ko) 2001-03-15
KR100374240B1 KR100374240B1 (ko) 2003-03-03

Family

ID=2645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592A KR100374240B1 (ko) 1999-04-19 2000-04-19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47169B1 (ko)
KR (1) KR100374240B1 (ko)
CN (1) CN1198305C (ko)
AT (1) ATE371973T1 (ko)
DE (1) DE60036149T2 (ko)
HK (1) HK1031036A1 (ko)
PT (1) PT1047169E (ko)
SG (2) SG90725A1 (ko)
TW (1) TW497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1847B (en) * 2003-12-26 2006-03-21 Hitachi Ltd Vacuum switchgear system and kit for system
JP4423598B2 (ja) * 2004-08-17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の単相モジュールおよび真空スイッチギヤ
JP4162664B2 (ja) * 2005-02-22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
JP4197702B2 (ja) 2006-01-31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DE602006019504D1 (de) * 2006-07-13 2011-02-17 Ormazabal & Cie Modulare eingekapselte elektrische anordnung für stromverteilernetze
TWI435355B (zh) * 2006-09-20 2014-04-21 Hitachi Ltd Vacuum insulated switch drive
DE102006062225B4 (de) * 2006-12-22 2009-01-29 Decom Gmbh System eines feststoffisolierten Schalterpols
US7902480B2 (en) 2007-06-13 2011-03-08 Hitachi, Ltd.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4264457B2 (ja) * 2007-07-17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4555857B2 (ja) * 2007-12-21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CN102780172B (zh) * 2012-08-14 2015-01-14 河北箱变电器有限公司 用于高压交流真空开关柜的固体绝缘封闭组件
DE102012215246A1 (de) * 2012-08-28 2014-03-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fluidisoliertes Schaltfeld
JP6120615B2 (ja) * 2013-03-04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JP6328998B2 (ja) * 2014-05-22 2018-05-23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ユニット開閉器及び開閉装置並びに鉄道車両
CN104377073B (zh) * 2014-12-05 2017-10-03 北京合锐清合电气有限公司 接地开关及基于该接地开关的固体绝缘环网柜
CN104485244B (zh) * 2014-12-05 2017-02-22 北京合锐清合电气有限公司 断路器接地开关一体化操作机构
CN106329434B (zh) * 2015-07-03 2019-06-14 伊顿电力设备有限公司 固体绝缘筒
WO2019044274A1 (ja) * 2017-08-30 2019-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000A (en) * 1976-06-30 1978-02-07 S & C Electric Company Electrical interlock apparatus for electrical equipment
JPH05328545A (ja) * 1992-05-15 1993-12-10 Toshiba Corp スイッチギヤ
US6144005A (en) * 1997-07-23 2000-11-07 Hitachi, Ltd. Vacuum switch and a vacuum switchgear using the same
US6088219A (en) * 1998-12-30 2000-07-11 Eaton Corporation Switchgear assembly with removable cell door cover
IT1311693B1 (it) * 1999-06-15 2002-03-19 Elleci Spa Quadro elettrico di tipo perfezion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7169A3 (en) 2001-03-28
SG99391A1 (en) 2003-10-27
PT1047169E (pt) 2007-11-26
DE60036149D1 (de) 2007-10-11
KR100374240B1 (ko) 2003-03-03
CN1198305C (zh) 2005-04-20
HK1031036A1 (en) 2001-05-25
CN1271172A (zh) 2000-10-25
SG90725A1 (en) 2002-08-20
ATE371973T1 (de) 2007-09-15
TW497312B (en) 2002-08-01
DE60036149T2 (de) 2008-05-21
EP1047169A2 (en) 2000-10-25
EP1047169B1 (en)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240B1 (ko) 스위치 기어 및 특정 높이 금속 폐쇄형 스위치 기어
EP0129216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RU2344529C2 (ru) Газоизолирован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крытыми ячейками
US5003427A (en) Metal encapsulated multi-phase high voltage switching system filled with compressed gas
US7417846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EP0065634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JP2011066962A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EP1107408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EP0294766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US5134542A (en) Three-phase package-type gas-insulated switch gear having isolators being aligned in a first plane and earthing switches disposed laterally side by side on a second plane
JP2000306474A (ja) スイッチギヤ
EP1496585B1 (en) Metal closed type distributor
US6175486B1 (en) Switch gear for medium voltage with separately connectable multiple phases
KR10044358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AU2011273744A1 (en)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JP2010022139A (ja) キュービクル形ガス絶縁開閉装置
EP3731356B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100729191B1 (ko) 선박의 발전기용 배전반
JPH0226162Y2 (ko)
EP3671995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of a medium voltage switchgear
GB2264195A (en) Gas insulated switching device
KR0127281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CN112005456A (zh) 电能传输装置
JPH0619742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33130A (ja) 複合密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