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385B1 -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 Google Patents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385B1
KR101194385B1 KR1020120063156A KR20120063156A KR101194385B1 KR 101194385 B1 KR101194385 B1 KR 101194385B1 KR 1020120063156 A KR1020120063156 A KR 1020120063156A KR 20120063156 A KR20120063156 A KR 20120063156A KR 101194385 B1 KR101194385 B1 KR 10119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unit case
loc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근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12006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전기장비가 부분별로 구분 장착되는 의 서랍식 유니트를 인출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에 관한 것으로,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를 받쳐 주면서 이동레일이 설치된 케이스 지지판을 서로 록크하여 상대이동하지 못하게 체결 고정해 주는 록크기구를 해제 작동시키는 록크 해제 기구와;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차단되고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유니트를 완전하게 인출하기 위해 테스트 전원이 차단된 인출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니트가 유니트 케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크 해제기구는 유니트 케이스와 유니트 케이스 지지판을 록크하는 록크기구와 상기 록크기구를 회전작동시켜 록크 및 록크 해제상태로 절환하는 차단기 핸들 및, 상기 차단기 핸들과 록크기구를 연결하는 차단기 가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는 유니트 케이스 지지판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케이스 유도편과, 상기 케이스 유도편의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표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인출드럼, 상기 인출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인출드럼을 강제 회전시키는 인출 레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인출 레버를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으며, 인출표시판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면서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게 한다.

Description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lever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본 발명은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전기장비가 부분별로 구분 장착되는 서랍식 유니트를 갖춘 모터콘트롤센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랍식 유니트를 크랭크 레버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힘으로 인출 제어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유니트의 인출 위치를 표시하게 한 위치표시부 레버식 유니트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관련하는 모터콘트롤센터(Motor Control Center)란 다양한 산업시설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스템을 칭하는 것으로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터콘트롤센터의 내부에는 주로 NFB(No Fuse Breaker)와 MC(Magnet Contactor), OCR(Over Current Relay) 혹은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MPR(Motor Protectiom Relay)가 구비되고, 또한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CT(Current Transfomer), A-meter, V-meter, S/W, Lamp 등이 갖추어진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전기 제어장비가 설치되기 때문에 통상 모터콘트롤센터에는 다수개의 서랍식 유니트가 상하로 배치되고, 이 서랍식 유니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제어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콘트롤센터의 전기 제어장비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서랍식 유니트를 주기적으로 인출하여 각각의 유니트에 배치된 전기 제어장비를 점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인출하는 과정에서는 해당 유니트에 배치된 전기 제어장비에 인가되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전기 제어장비의 시험전원은 연결된 상태 (테스트 상태) 및 시험전원도 차단된 상태(완전 인출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인출할 수 있게 이루어진 장치로서는 특허공고 1996-0004292호와 특허등록 10-0961777호와 같은 장치의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인출장치는 그냥 단순히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전원이 연결된 상태(투입 상태)와 테스트 상태 및 완전 일출상태에 따라 그 위치를 제어해 주기가 곤란하였고, 그 상태에 따른 위치의 제어를 수동으로 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유니트의 인출 작업이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인출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각각의 유니트를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해 주전원은 끊어지고 보조 전원만 연결된 테스트 위치 및 보조 전원도 끊고 전기 제어장비가 완전하게 인출되게 하는 인출위치를 조절하면서 유니트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유니트의 이동을 인출 레버를 사용하여 돌리면서 기계적으로 무리 없이 인출하게 하면서, 유니트의 인출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는,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를 받쳐 주면서 이동레일이 설치된 케이스 지지판을 서로 록크하여 상대이동하지 못하게 체결 고정해 주는 록크기구를 해제 작동시키는 록크 해제 기구와;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주 전원이 차단되고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유니트를 완전하게 인출하기 위해 테스트 전원이 차단된 인출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유니트가 유니트 케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록크 해제기구는 유니트 케이스와 유니트 케이스 지지판을 록크하는 록크기구와, 상기 록크기구를 회전작동시켜 록크 및 록크 해제상태로 절환하는 차단기 핸들 및, 상기 차단기 핸들과 록크기구를 연결하는 차단기 가동축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 핸들을 절환 회전시키면 차단기 가동축이 회전하면서 록크기구를 록크 상태 및 록크 해제 상태로 가동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는 유니트 케이스 지지판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케이스 유도편과, 상기 케이스 유도편의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표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인출드럼, 상기 인출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인출드럼을 강제 회전시키는 인출 레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는, 먼저, 차단기 핸들을 록크 상태에서 해제상태로 회동시키면 록크기구가 록크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그 다음 상기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에 인출 레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인출 드럼이 회전하면서 인출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이 유니트 케이스에 부착된 유도편의 돌출 나사산에 맞물려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는 인출표시판을 통하여 외부에서 인식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면 테스트 위치 및 투입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는 로터리식 차단기 핸들을 돌리면 유니트 케이스와 케이스 받침판의 록크 상태가 해제되게 되어 유니트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크랭크 형으로 이루어진 인출 레버를 돌리면 인출 드럼이 회전하면서 유니트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나사산과 서로 맞물려 유니트 케이스를 이동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인출 레버의 회전각도에 따라 인출표시판의 회전각도가 바뀌면서 인출 위치를 외부로 표시해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는 차단기 핸들을 이용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록크 상태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가 있고, 인출 레버를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으며, 인출표시판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면서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게 모터콘트롤센터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일예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레버식 유니트 인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를 컬러로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록크위치에 있을 때의 절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록크위치에 있을 때의 절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절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절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유니트 케이스가 완전하게 밀착 삽입되어 유니트 케이스에 주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크랭크 타입의 인출 레버를 삽입하여 돌리기 시작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홈에 빨간 표시가 나타나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초기 상태에서 인출 레버를 돌려 유니트 케이스가 케이스 받침판에 대해 앞쪽으로 이동하여 테스트위치로 나오게 한 것으로, 확인홈에 초록색표시가 나타나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인출 레버를 계속하여 돌려 유니트 케이스가 케이스 받침대의 앞쪽으로 빠져나와 인출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인출 표시창에 파란색 표시가 나타나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9(a)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가 완전하게 안쪽으로 밀착된 투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b)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가 테스트위치로 이동하여 약간 앞쪽으로 인출된 상태의 측면도,
도 9(c)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가 완전하게 인출 위치로 이동하여 나온 상태의 측면도,
도 10(a)(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에 따라 유니트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인출드럼과 확인홈이 설치된 톱니기어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인출표시용 기어의 뒷면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유니트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인출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 나선홈에 토션 스프링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가동봉과 인출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위치표시용 톱니기어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지는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동봉이 톱니기어의 걸림 구멍에서 빠져나온 상태의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후면에 구비된 전원제어기구에서 유니트 케이스에 구비된 브라켓이 케이스 받침대에 구비된 소켓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후면에 구비된 전원제어기 기구에서 유니트 케이스에 구비된 브라켓이 케이스 받침대에 구비된 소켓에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일예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로서, 모터콘트롤센터(MCC)에는 내부에 전기 제어장비라 내장된 다수개의 서랍식 유니트(1)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유니트(1)는 모터콘트롤센터(MCC)의 전체 가로폭에 걸쳐 이루어진 1/1유니트(1-1)와 가로폭의 반쪽을 나누어 설치된 1/2유니트(1-2)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버튼식 유니트 인출장치를 개개 부품별로 분해하여 나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면 3은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칼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터콘트롤센터의 전기 제어장비가 장착되는 유니트(1)가 유니트 케이스(2)와, 이 유니트 케이스(2)를 받쳐 주면서 이동레일(3)이 설치된 케이스 지지판(4), 상기 유니트 케이스(2)와 케이스 지지판(4)은 서로 상대이동하지 못하게 록크하거나 록크 상태를 해제하는 록크 제어기구(5) 및,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크 제어기구(5)는 유니트 케이스(2)와 케이스 지지판(4)을 록크하는 록크기구(7)와, 상기 록크기구(7)를 회전작동시켜 록크 및 록크 해제상태로 절환하는 차단기 핸들(8) 및, 상기 차단기 핸들(8)과 유니트(1)에 설치된 전기 제어설비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를 작동하는 차단기 가동장치(9)를 연결하면서 그 중간 부분에 상기 록크기구(7)가 설치되는 차단기 가동축(1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록크 제어기구(5)는 상기 차단기 핸들(8)을 회전 절환시키면 차단기 가동축(10)이 회전하면서 차단기 가동장치(9)를 온오프 시킴과 더불어 차단기 가동축(10)의 중간에 설치된 록크기구(7)를 록크 상태 및 록크 해제 상태로 절환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록크 기구(7)는 차단기 가동장치(9)에 연결되어 있는 차단기 가동축(10)을 지지하기 위해 유니트 케이스(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브라켓(71)과, 축고정 브라켓(72)의 중간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축가동 브라켓(73), 상기 축가동 브라켓(73)이 차단기 가동축(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잡아 줌과 더불어 차단기 가동축(10)의 회전각을 제어해 주는 축고정 브라켓(72), 상기 지지브라켓(71)에 돌출설치된 중심핀(71a)에 축 선회할 수 있게 결합된 가이드 가동브라켓(74), 상기 가이드 가동브라켓(74)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상기 지지브라켓(71)의 중심핀(71a) 뒤쪽에 역시 축선회 할 수 있게 결합되어 중심핀(71a)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고정시키는 록크편(7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록크편(75)은 지지브라켓(71)의 중심핀(71a)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하단이 유니트 케이스(2)에 형성된 록크홈(2a)과 케이스 지지판(4)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4a)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면서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록크 또는 록크해제 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축가동 브라켓(73)에는 돌출핀(73a)이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 가동 브라켓(74)에는 상기 돌출핀(73a)이 끼워지는 상부 스릿홈(74a)과 상기 록크편(75)을 회동 작동시키는 작동핀(75a)이 끼워지는 하부 스릿홈(7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핀(75a)은 축가동 브라켓(73)의 하부 스릿홈(74b)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2)의 앞쪽 선단에 배치된 가이드 커버(76)에 형성된 구멍(76a)을 통과한 후, 다시 상기 지지브라켓(71)의 하단에 형성된 장공(71b)과 록크편(75)에 형성된 경사홈(75b)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그 선단에 너트(75c)로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커버(76)는 도면 2와 도면 4 및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71)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핀(71c)과 안내핀(71 d)에 의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6)는 유니트 케이스 지지판(4)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케이스 유도편(61)과, 상기 케이스 유도편(61)의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표면에 나선홈(62)이 형성된 인출드럼(63), 상기 인출 드럼(63)의 회전축(64)에 형성된 육각홈에 결합되어 인출드럼을 강제 회전시키는 인출 레버(65)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인출드럼(63)의 회전축(64)에는 구동기어(66)가 설치되고, 이 구동기어(66)에 인출표시용 기어(67)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의 전면에는 색깔별로 유니트 케이스(2)의 인출 위치를 나타내는 인출표시판(68)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인출 위치는,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의 안쪽으로 완전하게 밀착 결합되어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주전원이 차단되고 유니트 케이스(2)에 장착된 전기 제어장비(도시 안 됨)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전기 제어장비를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보조 전원도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2)를 완전하게 앞쪽으로 끌어낸 인출 위치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출 위치는 상기 인출표시판(68)에 표시된 3가지의 색깔, 즉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인출 표시판(68)에는 이들 색깔에 따른 마크(68a)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에는 인출표시판(68)의 인출 표시위치에 따라 3개의 인출위치표시용 구멍(6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인출표시용 구멍(67a)에는 비틀림코일 스프링(67b)에 의해 탄력 지지된 가동봉(67c)이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7b)과 가동봉(67c)은 인출드럼(63)의 위쪽을 덮어주는 드럼커버(69) 위에 각각의 지지축(67d,67e)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 레버(65)를 돌려 인출 드럼(63)을 강제 회전시키면, 인출 드럼(63)이 회전하면서 그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62)에 맞물린 케이스 유도편(61)의 돌출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케이스 유도편(61)이 장착된 케이스 지지판(4)은 모터콘트롤센터의 바디(도시 안 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유니트 케이스(2)는 케이스 지지판(4)의 양쪽레일(3)에 구동바퀴(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인출드럼(63)의 나선홈과 케이스 유도편(61)의 돌출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 고정된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유니트 케이스(2)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출드럼(63)이 회전하면 그 회전축(64)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구동기어(66)가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기어(66)에 맞물린 인출표시용 기어(67)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인출 표시용 기어(67)의 전면에 결합되어 설치된 인출표시판(68)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니트 케이스(2)가 앞쪽으로 혹은 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에 맞추어 인출표시용 기어(67)에 결합된 인출표시판(68)도 함께 회전하면서 인출표시판(68)에 표시된 인출 마크(68a)를 통하여 인출 위치를 나타내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전면에 설치되는 유니트 커버(11)에는 차단기 핸들(8)이 장착되어 있으며, 유니트 케이스(2)를 앞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11a)와 상기 인출 레버(65)를 인출드럼(63)의 회전축(64) 선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해 삽입하는 레버 삽입홀(11b), 상기 인출 표시판(68)의 인출 마크(68a)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인출마크 확인홈(11c), 상기 레버 삽입홀(11b)의 전면에 설치되어 레버 삽입홀(11b)을 차단해 주고 있는 차단커버(11d) 및 상기 차단커버(11d)가 이동하는 커버 레일(11e)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마크 확인홈(11c)의 안쪽에는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선단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가이드 커버(7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마크 확인홈(11c)은 유니트 커버(11)의 바깥쪽에서는 차단커버(11d)가 막아주고, 유니트 케이스(2)의 내부에서는 상기 가이드 커버(76)가 막아 줌으로써, 2중으로 안전장치를 하게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에는 도면 12(a)(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1)의 뒷면에 유니트 케이스(2)가 앞쪽으로 인출되어 나왔을 때 주전원과 유니트 케이스(2)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2)가 완전하게 밀착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제어기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제어기구(13)는 케이스 받침판(12)의 뒷면에 전원과 연결된 소켓(14)과, 상기 소켓(14)을 온오프 하는 관통구멍(15)을 갖춘 셔터(16),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 받침판(12)의 소켓(14)에 끼워져 결합하는 플러그(17)를 갖춘 단자대(18), 상기 셔터(16)를 개폐 작동시키는 셔터 개폐기구(19)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셔터 개폐기구(19)는 셔터(1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9a)과, 상기 셔터(16)의 전면에 설치된 상하 이단레일(19b), 한쪽 선단이 상기 이단레일(19b)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결합되고 반대쪽 선단이 수평으로 돌출된 레버(19c), 상기 레버(19c)의 중간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축(19d) 및, 상기 지지축(19d)에 설치되어 레버(19c)를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19e)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원 제어기구(13)를 갖춘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는 도면 12(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2)가 인출위치로 빠져나온 경우에는 유니트 케이스(2)의 후면에 설치된 단자대(18)의 플러그(17)가 소켓(14)에서 빠져 나와 주전원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면서, 셔터(16)가 가이드홈(19a)을 타고 아래쪽으로 내려와 셔터(16)에 형성된 관통구멍(15)이 소켓(14)의 구멍과 어긋나게 되어 소켓(14)의 입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셔터(16)가 아래로 내려와 소켓(14)의 입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면 12(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단 레일(19b)에 끼워진 레버(19c)는 이단 레일(19b)의 상단(A)쪽에 위치하게 되고, 레버(19c)의 반대쪽 선단(E)은 인출된 유니트 케이스(2)쪽을 향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2)를 뒤쪽으로 밀어 넣으면 도면 12(b)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2)의 뒷면이 레버(19c)의 선단(E)에 부딪히면서 상기 지지축(19d)을 중심으로 하여 레버(19c)를 화살표(20)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레버(19c)가 유니트 케이스(2)의 힘을 전달받아 지지축(19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이 지지축(19d)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19e)이 압축되면서 레버(19c)를 탄력적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레버(19c)가 회동하면 상기 이단 레일(19b)에 끼워진 반대쪽 선단은 상단(A)의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와 하단(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19c)가 상단(A)의 위치에서 하단(B)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단(A)의 위치와 하단(B)의 위치에 대한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 셔터(16)가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에서는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앞쪽으로 인출하여 끌어내면 유니트 케이스(2)의 플러그(17)가 주전원을 공급하는 소켓(14)에서 빠져 나와 전원을 차단하면서 셔터(16)가 소켓(14)을 차단하여 자동적으로 막아주게 되고,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 속으로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레버(19c)가 회동하면서 셔터(16)를 밀어 올려 소켓(14)을 개방시켜 유니트 케이스(2)의 플러그(17)가 소켓(14)에 끼워져 주전원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유니트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제어장비에 주전원이 인가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평상시에 도면 4(a)(b)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상기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의 안쪽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록크편(75)이 상기 록크편(75)의 하단이 유니트 케이스(2)의 바닥면에 형성된 록크홈(2a)과 케이스 지지판(4)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4a)속에 끼워져 아래로 돌출되어 내려옴으로써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록크시켜 서로 상대이동할 수 없는 록크상태가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기 핸들(8)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2)가 록크되어 있는 상태일 때는 상기 가이드 가동브라켓(74)이 도면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이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하단이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 핸들(8)을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단기 핸들(8)에 직접 연결된 차단기 가동축(10)이 함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차단기 가동축(10)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차단기 가동축(10)에 끼워져 고정된 축가동 브라켓(73)이 함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축가동 브라켓(73)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축가동 브라켓(73)에 돌출되어 가이드 가동 브라켓(74)의 상단 스릿홈(74a)속에 끼워진 상기 돌출핀(73a)이 가이드 가동 브라켓(74)의 상단을 시계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가동 브라켓(74)은 지지브라켓(71)의 중심핀(71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이드 가동 브라켓(74)은 하단의 스릿홈(74b)에 끼워진 작동핀(75a)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좌측방향으로 당김)시키면서 가이드 커버(76)를 왼쪽으로 주게 되고, 그 결과 유니트 케이스(2)의 전면에 설치되는 유니트 커버(11)에 형성된 레버 삽입홀(11b)을 유니트 케이스(2)의 안쪽에서 열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핀(75a)은 지지브라켓(71)에 형성된 장공(71b)과 록크편(75)에 형성된 경사홈(75b)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71)에 형성된 장공(71b)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록크편(75)에 형성된 경사홈(75b)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핀(75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브라켓(71)에 형성된 장공(71a)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록크편(75)의 경사홈(75b)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록크편(75)에 형성된 경사홈(75b)은 좌측이 아래쪽으로 내려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핀(75a)이 록크편(75)의 경사홈(75b)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 중심핀(71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설치된 록크편(7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유니트 케이스(2)의 바닥면에 형성된 록크홈(2a)과 케이스 지지판(4)의 고정홈(4a)에 끼워진 록크편(75)이 위쪽으로 빠져 나가면서 유니트 케이스(2)가 움직이지 못하게 붙잡아 주는 록크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록크된 상태에서 록크해제 상태로 된다.
그 다음 과정으로, 유니트 케이스(2)를 앞쪽으로 인출하기 위해, 먼저 유니트 커버(11)에 설치되어 레버 삽입홀(11b)을 전면에서 차단하고 있는 차단커바(11d)를 옆으로 밀면 커버레일(11e)을 따라 한쪽으로 이동하면서 레버 삽입홀(11b)이 노출되게 된다.
이때 이미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록킹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레버 삽입홀(11b)을 안쪽에서 막고 있는 가이드 커버(76)가 한쪽(도면에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레버 삽입홀(11b)의 안쪽도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 커버(11d)가 한쪽으로 이동하면 레버 삽입홀(11b)이 완전하게 개방되게 된다.
이렇게 개방된 레버 삽입홀(11b)속으로 인출 레버(65)를 삽입하여, 상기 인출 레버(65)의 선단이 인출드럼(63)의 회전축(64)에 형성된 육각홈 속에 끼워지게 하면, 인출 레버(65)의 회전에 따라 인출드럼(6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인출드럼(63)이 회전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출 드럼(63)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62)이 케이스 유도편(61)의 나사산을 타고 회전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의 레일(2a)이 케이스 지지판(4)의 이동레일(3)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출드럼(63)이 회전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가 이동하면,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의 전면에 설치된 인출표시판(68)이 함께 회전하면서, 이 인출표시판(68)에 표시된 3개의 인출위치 마크(68a) 중의 하나가 유니트 커버(11)에 형성된 확인홈(11c)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어, 상기 확인홈(11c)을 통하여 인출위치 마크(68c)의 색깔을 확인함으로써 인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면 6은 인출 레버(65)를 레버 삽입홀(11b)에 처음 끼워 넣은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의 안쪽으로 완전하게 밀착되어 있고, 이때의 확인홈(11c)에 나타내어지는 인출표시판(68)의 색깔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도면 7은 인출 레버(65)를 돌리면 인출드럼(63)이 회전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여 모터로 인가되는 주전원은 차단하고 보조전원만 연결되어 유니트 케이스(2)에 설치된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확인홈(11c)에 나타내어지는 인출표시판(68)의 색깔이 초록색으로 표시된다.
도면 8은 도면 7의 상태에서 인출 레버(65)를 계속하여 돌리면 인출 드럼(63)이 회전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앞쪽으로 인출되어 주전원과 보조전원을 모두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2)에 설치된 전기제어장비를 점검할 수 있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확인홈(11c)에 나타내어지는 인출표시판(68)의 색깔이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앞쪽으로 인출하여 끌어내면 유니트 케이스(2)의 플러그(17)가 주전원을 공급하는 소켓(14)에서 빠져 나와 주전원을 차단함과 더불어, 전원 제어기구(13)의 셔터(16)가 소켓(14)을 차단하여 자동적으로 막아주어 안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다시 유니트(1)에 설치된 전기제어장비를 수리 유지 보수한 다음,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 속으로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레버(19c)가 회동하면서 셔터(16)를 밀어 올려 소켓(14)을 개방시켜 유니트 케이스(2)의 플러그(17)가 소켓(14)에 끼워져 주전원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유니트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 제어장비에 주전원이 인가되게 한다.
도면 9(a)(b)(c)는 도면 6 내지 도면 8까지의 작동과정에 따라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이동하는 상태를 측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 9(a)는 도면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의 안쪽으로 완전하게 밀착되어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9(b)는 도면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여 모터로 인가되는 주전원은 차단하고 보조전원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 9(c)는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앞쪽으로 인출되어 주전원과 보조전원을 모두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2)에 설치된 전기제어장비를 점검할 수 있게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10(a)(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인출드럼(63)이 인출 레버(65)에 의해 회전할 때 인출 드럼(63)의 회전축(64)에 장착된 구동기어(66)에 맞물린 인출표시용 기어(67)가 함께 회전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출표시용 기어(67)의 뒤쪽에 비틀림 스프링(67b)에 의해 탄력지지 된 가동봉(67c)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봉(67c)은 인출드럼(63)이 회전함에 따라 인출표시용 기어(67)에 구비된 3개의 구멍(67a) 속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가동봉(67c)이 인출표시용 기어(67)에 형성된 3개의 구멍(67a) 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은 가동봉(67c)의 선단이 둥글게 되어 있으면서, 이 가동봉(67c)의 뒷면이 스프링(67b)에 의해 탄력지지 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표시용 기어(67)가 회전하면, 도면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표시용 기어(67)의 3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67a) 속에 삽입되어 있던 둥글게 형성된 가동봉(67c)의 선단부가 도면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럽게 빠져나오게 되고, 계속하여 인출 표시용 기어(67)가 회전하면, 순차적으로 돌아오는 다음의 구멍(67a) 속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동봉(67c)이 인출표시용 기어(67)의 구멍(67a) 속에 끼워지면 순간적으로 가동봉(67c)에 의해 회전 저항을 받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투입위치, 테스트 위치, 인출위치를 인출표시판(68)에 표시된 색깔별 마크(68a)가 확인홈(11c)을 통해 나타내어지게 하는 방법과는 별도로 인출 레버(65)를 돌리는 작동자가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도면 10(c)는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의 뒷면을 나타낸 배면도로서, 인출표시용 기어(67)에는 3개의 인출위치를 나타내는 걸림 구멍(67a)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측 걸림 구멍(67a)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의 걸림돌기(67f)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상기 걸림돌기(67f)는 인출표시용 기어(67)가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임계점에 왔을 때 더 이상 좌우 측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결국 이 걸림돌기(67f)에 의해 인출드럼(63)의 회전각도가 결정되게 되며, 유니트 케이스(2)의 전후이동거리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도면 11은 도면 10(a)(b)에서 설명한 인출표시용 기어(67)와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에 형성된 구멍(67a), 그리고 가동봉(67c)과 스프링(67b)의 작동관계를 인출표시용 기어(67)의 뒤쪽에서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출표시용 기어(67)가 회전하면 가동봉(67c)이 스프링(67b)을 탄력 압축시키면서 뒤쪽으로 물러났다가 다시 스프링(67b)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봉(67c)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음에 돌아오는 걸림 구멍(67a) 속에 끼워지게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터 콘트롤 센서의 전기 제어장비를 장착한 유니트를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하면서, 유니트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장치에서, 상기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에 록크제어기구(5)를 통하여 록크 또는 록크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록크제어기구(5)는 유니트 커버(11)에 설치된 차단기 핸들(8)을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록크하는 록크편(75)을 작동시킴으로써 유니트 케이스(2)의 록크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앞쪽으로 인출하는 인출작동은 인출 레버(65)를 돌림으로써, 나선홈이 구비된 인출 드럼(63)과 나사산이 구비된 케이스 유도편(61)의 상호 작동에 의해 유니트 케이스(2)가 전후진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 드럼(63)의 회전에 따라 인출표시용 기어(67)가 함께 회전하면서 인출위치를 인출표시판(68)에 표시된 인출마크(68a)의 색깔별 및 인출표시용 기어(67)에 형성된 걸림 구멍(67a)을 통하여 감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단기 핸들(8)을 이용하여 유니트 케이스(2)의 록크 상태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가 있고, 인출 레버(75)를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2)의 이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으며, 인출 위치에 따른 색깔이 표시된 인출표시판(68)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2)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의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유니트 케이스(2)의 이동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1 - 유니트 2 - 유니트 케이스
3 - 이동레일 4 - 케이스 지지판
5 - 록크제어기구 6 -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
7 - 록크기구 8 - 차단기 핸들
9 - 차단기 가동장치 10 - 차단기 가동축
11 - 유니트 커버 12 - 케이스 받침판
13 - 전원제어기구 14 - 소켓
15 - 관통구멍 16 - 셔터
17 - 플러그 18 - 단자대
19 - 셔터개폐기구 61 - 케이스 유도편
62 - 나선홈 63 - 인출 드럼
64 - 회전축 65 - 인출 레버
66 - 구동기어 67 - 인출표시용 기어
71 - 지지브라켓 72 - 축고정 브라켓
73 - 축가동 브라켓 74 - 가이드 가동 브라켓
75 - 록크편

Claims (7)

  1.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1)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2)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받쳐 주는 케이스 받침판(12)을 서로 록크하여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록크 및 록크 해제시키는 록크 제어기구(5)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6)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크 제어기구(5)는 유니트 케이스(2)와 케이스 지지판(4)을 록크하는 록크기구(7)와, 상기 록크기구(7)를 회전작동시켜 록크 및 록크 해제상태로 절환하는 차단기 핸들(8) 및, 상기 차단기 핸들(8)과 유니트(1)에 설치된 전기 제어설비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 가동장치(9)를 연결하면서 그 중간 부분에 상기 록크기구(7)가 설치되는 차단기 가동축(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니트 케이스 이동기구(6)는 유니트 케이스 지지판(4)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케이스 유도편(61)과, 상기 케이스 유도편(61)의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표면에 나선홈(62)이 형성된 인출드럼(63), 상기 인출 드럼(63)의 회전축(64)에 형성된 육각홈에 결합되어 인출드럼을 강제 회전시키는 인출 레버(6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드럼(63)의 회전축(64)에 구동기어(66)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66)에 인출표시용 기어(67)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의 전면에는 색깔별로 유니트 케이스(2)의 인출 위치를 나타내는 인출표시판(68)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인출 위치는 유니트 케이스(2)가 케이스 지지판(4)의 안쪽으로 완전하게 밀착 결합되어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주전원이 차단되고 유니트 케이스(2)에 장착된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전기 제어장비를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보조 전원도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2)를 완전하게 앞쪽으로 끌어낸 인출 위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제어기구(5)는 상기 차단기 핸들(8)을 회전 절환시키면 차단기 가동축(10)이 회전하면서 차단기 가동장치(9)를 온오프 시킴과 더불어 차단기 가동축(10)의 중간에 설치된 록크기구(7)를 록크 상태 및 록크 해제 상태로 절환 작동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기구(7)는 차단기 가동장치(9)에 연결되는 차단기 가동축(10)을 지지하기 위해 유니트 케이스(2)의 바닥면에 고정 지지된 지지브라켓(71)과, 축고정 브라켓(72)의 중간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축가동 브라켓(73),상기 축가동 브라켓(73)이 차단기 가동축(7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잡아줌과 더불어 차단기 가동축(71)의 회전각을 제어해 주는 축고정 브라켓(72), 상기 지지브라켓(71)에 돌출설치된 중심핀(71a)에 축 선회할 수 있게 결합된 가이드 가동브라켓(74), 상기 가이드 가동브라켓(74)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상기 지지브라켓(71)의 중심핀(71a) 뒤쪽에 역시 축선회 할 수 있게 결합되어 중심핀(71a)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고정시키는 록크편(7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편(75)은 지지브라켓(71)의 중심핀(71a)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그 하단이 유니트 케이스(2)에 형성된 록크홈(2a)과 케이스 지지판(4)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4a)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면서 유니트 케이스(2)를 케이스 지지판(4)에 대해 록크 또는 록크해제 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표시용 기어(67)에 인출표시판(68)의 인출 표시위치에 따라 인출위치표시용 3개의 구멍(6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표시용 구멍(67a)에는 비틀림코일 스프링(67b)에 의해 탄력 지지된 가동봉(67c)이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1)의 뒷면에 유니트 케이스(2)가 앞쪽으로 인출되어 나왔을 때 주전원과 유니트 케이스(2)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2)가 완전하게 밀착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제어기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제어기구(13)는 케이스 받침판(12)의 뒷면에 전원과 연결된 소켓(14)과, 상기 소켓(14)을 온오프 하는 관통구멍(15)을 갖춘 셔터(16), 상기 유니트 케이스(2)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 받침판(12)의 소켓(14)에 끼워져 결합하는 플러그(17)를 갖춘 단자대(18), 상기 셔터(16)를 개폐 작동시키는 셔터 개폐기구(19)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 개폐개구(19)는 셔터(1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9a)과, 상기 셔터(16)의 전면에 설치된 상하 이단레일(19b), 한쪽 선단이 상기 이단레일(19b)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결합되고 반대쪽 선단이 수평으로 돌출된 레버(19c), 상기 레버(19c)의 중간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축(19d) 및, 상기 지지축(19d)에 설치되어 레버(19c)를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19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20120063156A 2012-06-13 2012-06-13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119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56A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06-13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56A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06-13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385B1 true KR101194385B1 (ko) 2012-10-24

Family

ID=4728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156A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06-13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38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04B1 (ko) 2013-02-12 2013-04-08 (주)두연테크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352593B1 (ko) 2012-10-19 2014-01-17 김진웅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KR101443314B1 (ko) 2013-09-06 2014-09-26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N104348103A (zh) * 2013-08-09 2015-02-11 何启安 一种抽出式开关柜抽屉推进装置
KR101586022B1 (ko) * 2015-03-26 2016-01-15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N105390971A (zh) * 2015-11-23 2016-03-09 金炉电气有限公司 手推式抽屉推进联锁机构
CN106816822A (zh) * 2016-11-07 2017-06-09 广东探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配电盒
KR20190016563A (ko) * 2016-09-06 2019-02-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드 장치
KR20190107539A (ko) * 2018-03-12 2019-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EP3576235A4 (en) * 2017-01-27 2020-0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UNCTIONAL UNIT LOCKING MECHANISM
KR102588765B1 (ko) * 2023-04-26 2023-10-13 (주)광명전기 배전반의 도어에 형성된 핸들 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710A (ja) 2000-03-07 2001-09-14 Yaskawa Electric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位置表示装置
KR100500864B1 (ko) 2001-10-30 2005-07-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KR100549254B1 (ko) 2001-10-30 2006-02-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 센터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2-06-0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710A (ja) 2000-03-07 2001-09-14 Yaskawa Electric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位置表示装置
KR100500864B1 (ko) 2001-10-30 2005-07-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KR100549254B1 (ko) 2001-10-30 2006-02-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 센터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2-06-0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593B1 (ko) 2012-10-19 2014-01-17 김진웅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KR101251604B1 (ko) 2013-02-12 2013-04-08 (주)두연테크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N104348103B (zh) * 2013-08-09 2016-09-14 何启安 一种抽出式开关柜抽屉推进装置
CN104348103A (zh) * 2013-08-09 2015-02-11 何启安 一种抽出式开关柜抽屉推进装置
KR101443314B1 (ko) 2013-09-06 2014-09-26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586022B1 (ko) * 2015-03-26 2016-01-15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N105390971A (zh) * 2015-11-23 2016-03-09 金炉电气有限公司 手推式抽屉推进联锁机构
CN105390971B (zh) * 2015-11-23 2017-06-23 金炉电气有限公司 手推式抽屉推进联锁机构
KR20190016563A (ko) * 2016-09-06 2019-02-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드 장치
KR102184594B1 (ko) 2016-09-06 2020-12-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드 장치
CN106816822A (zh) * 2016-11-07 2017-06-09 广东探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配电盒
EP3576235A4 (en) * 2017-01-27 2020-0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UNCTIONAL UNIT LOCKING MECHANISM
KR20190107539A (ko) * 2018-03-12 2019-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070082B1 (ko) * 2018-03-12 2020-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588765B1 (ko) * 2023-04-26 2023-10-13 (주)광명전기 배전반의 도어에 형성된 핸들 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385B1 (ko)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1178740B1 (ko) 위치표시부 버튼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144331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US8319123B2 (en) System, network protector enclosure, and automatic racking system
KR101387368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N103441439B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US10672567B2 (en) MCC closed door operation (CDO) push button interlock mechanism
CN107546631B (zh) 开关柜抽屉联锁装置
KR10144026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N104752976B (zh) 配电网开关柜验电用辅助操作工具
CN110176734A (zh) 抽屉开关操作机构以及抽屉式开关柜
CN105514851A (zh) 一种联锁结构及具有该联锁结构的抽屉柜
KR101586022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362256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492556B1 (ko)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US20130258103A1 (en) Portable racking device with sliding anti-torque tang for drawout power circuit breakers
KR101403513B1 (ko)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CN105448552A (zh) 隔离开关的操作装置
CN103956667B (zh) 分体结构式功能单元抽屉装置
CN103887728A (zh) 抽屉式低压开关柜
CN203850697U (zh) 分体结构式抽屉装置的增力推进和防误联锁机构
CN107546630B (zh) 开关柜抽屉联锁装置
DE102013114784B4 (de) Feststoffisolierungstrennschalter
KR20130003512U (ko) 기중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2602462B1 (ko) 전동기 제어반 유니트의 인출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