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368B1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7368B1 KR101387368B1 KR1020130163958A KR20130163958A KR101387368B1 KR 101387368 B1 KR101387368 B1 KR 101387368B1 KR 1020130163958 A KR1020130163958 A KR 1020130163958A KR 20130163958 A KR20130163958 A KR 20130163958A KR 101387368 B1 KR101387368 B1 KR 101387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unit
- unit assembly
- plate
- hole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납유닛의 인출시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인출이 가능하고, 차단기의 온/오프 동작 및 수납유닛의 인출시 과도한 인출동작으로 인한 수납유닛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커버(101)와, 이 전면커버(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02)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103)과, 전면커버(101)의 마주보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판(104)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수납유닛(100)과; 상기 전면커버(101)에 차단기(210)의 조작 및 수납유닛(100)을 인출 및 투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핸들(110)과; 수납유닛(100)의 하부에 수납 유닛(100)이 인출 및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상기 하부판(103)이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31)를 가지는 고정판(130)과; 상기 조작핸들(110)과 연결되어서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투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핸들축(141)과, 상기 핸들축(141)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회동부재(142)와, 이 회동부재(142)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부재(142)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 1링크(143)와, 이 제 1링크(143)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 2링크(144)와, 상기 제 2링크(144)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48)과, 상기 회전축(148)의 단부에 구비되어서 고정판(13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31)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구(149)와, 상기 회동부재(142)의 앞쪽에 고정되는 지지판(146)과, 이 지지판(146)의 뒷쪽으로 구비되어 차단기(210)와 연결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150)을 구비하는 수납유닛 조작조립체(14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커버(101)와, 이 전면커버(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02)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103)과, 전면커버(101)의 마주보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판(104)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수납유닛(100)과; 상기 전면커버(101)에 차단기(210)의 조작 및 수납유닛(100)을 인출 및 투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핸들(110)과; 수납유닛(100)의 하부에 수납 유닛(100)이 인출 및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상기 하부판(103)이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31)를 가지는 고정판(130)과; 상기 조작핸들(110)과 연결되어서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투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핸들축(141)과, 상기 핸들축(141)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회동부재(142)와, 이 회동부재(142)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부재(142)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 1링크(143)와, 이 제 1링크(143)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 2링크(144)와, 상기 제 2링크(144)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48)과, 상기 회전축(148)의 단부에 구비되어서 고정판(13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31)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구(149)와, 상기 회동부재(142)의 앞쪽에 고정되는 지지판(146)과, 이 지지판(146)의 뒷쪽으로 구비되어 차단기(210)와 연결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150)을 구비하는 수납유닛 조작조립체(14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납유닛의 인출시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인출이 가능하고, 차단기의 온/오프 동작 및 수납유닛의 인출시 과도한 인출동작으로 인해 수납유닛이 MCC로부터 낙하하여 발생할 수 있는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는 각종 산업설비에 구비되는 모터를 운전함에 있어서 전원을 중앙에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MCC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차단기, 복수의 커넥터(1차 내지 3차 커넥터), 릴레이, CT(current transformer), 표시램프, 조작 스위치 등이 구비되고, 이러한 구조의 기능은 보수관리의 난이도 및 안전성을 좌우한다.
이러한 MC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유닛(10)들이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유닛(10)들을 인출함에 따라 차단기 및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전면도어(11)에 차단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12)과, 유닛 수용실에 수납유닛(10)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인출핸들(13)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조작핸들(12)에 의한 차단기의 조작은,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 20-458158호(특허문헌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2)과 샤프트를 통해 연동되는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이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푸시돌기가 암의 잠홈에 끼워져서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의 홀에 끼워져 있는 차단기의 스위치가 좌우로 이동하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는, 등록특허 제 10-1667926호(특허문헌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조작레버를 조작핸들과 연결되도록 하고, 이 조작핸들내에는 차단기의 스위치와 연결되는 포지션 플레이트를 마련하여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조작레버의 회전으로 조작핸들내에서 포지션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차단기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서 개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납유닛(10)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수납유닛(10)의 내부에 갖추어진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의 접속상태를 해제시켜서 인출해야 하는데, 커넥터의 접속력이 상당히 강하게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는 초기에 차단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12)을 오프모드에 위치시킨 다음, 인출핸들(13)을 잡고 작업자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될때, 상당한 힘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커넥터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는 순간, 작업자는 잡아당기는 힘의 관성에 의해 수납유닛(10)을 계속해서 강하게 인출하는 동작을 바로 멈추지 못하여 수납유닛(10)이 MCC(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바닥으로 낙하함으로써, 작업자의 발등을 떨어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이러한 과도한 힘에 의한 인출시, 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항상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MCC의 시험, 점검 등과 같은 테스트 작업시, 수납유닛(10)을 테스트 위치로 설정할 수 없어 항상 수납유닛(10)을 인출해야 하고, 따라서, 인출시 쉽게 분리되지 않음으로 인한 상기에서와 같은 수납유닛의 낙하로 인해 항상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조작핸들을 회전시켜서 수납유닛을 인출 및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유닛을 용이하게 인출 및 투입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 위치를 설정하여 수납유닛을 완전히 인출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테스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전면커버와, 이 전면커버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과, 전면커버의 마주보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판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수납유닛과;
상기 전면커버에 차단기의 조작 및 수납유닛을 인출 및 투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핸들과;
수납유닛의 하부에 수납 유닛이 인출 및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상기 하부판이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내해주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고정판과;
상기 조작핸들과 연결되어서 수납유닛의 인출 및 투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회동부재와, 이 회동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 1링크와, 이 제 1링크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 2링크와, 상기 제 2링크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어서 고정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구와, 상기 회동부재의 앞쪽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뒷쪽으로 구비되어 차단기와 연결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을 구비하는 수납유닛 조작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한쪽 단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의 측면판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중앙에 회동축이 형성되어서 걸림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회동축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제 1,2걸림편중 제 1걸림편의 중량이 제 2걸림편보다 많이 나가서 제 1걸림편쪽으로 하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걸림편은 가이드부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된 록킹편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은 상기 걸림구가 걸리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이 갖추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는 고정판에 결합,고정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개의 제 1,2걸림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가 갖추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2걸림홈은 가이드부재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기준대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면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핸들축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핸들축의 선단부 양쪽에는 각각 제 1,2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의 양측으로는 상기 제 1,2걸림돌기가 걸림 및 통과가능하도록 하는 제 1,2걸림공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핸들축에는 환턱이 형성되고, 상기 환턱과 회동부재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탄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에는 제 1링크가 삽입되어 연동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링크는 회동부재와 연동되도록 결합핀으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장공이 형성되어서 각각 결합핀을 통해 지지판과 결합되고, 결합핀을 통해 제 2링크가 결합되어 연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상부 중앙에는 정렬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안쪽면 일측에는 회동부재의 회전시 소정각도로만 회전되어 정지되도록 하는 멈춤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걸림구는 양쪽으로 걸림편이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는 가압판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과 가압판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탄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관은 상,하부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은 관통공과, 이 관통공을 가로질러 양쪽으로 걸림편이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압판의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외면에는, 한쪽면으로는 핸들축이 관통되어 지지되고, 다른쪽면에는 삽입관이 관통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브래킷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의 상단부 저면에는 아래에 고정된 지지판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지지판의 양쪽에 위치하는 회동부재와 가압판의 외주면과 접하여 탄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조작핸들을 통해 수납유닛의 인출 및 투입동작과 차단기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수납유닛의 인출동작시 조작핸들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수납유닛의 하부에 고정된 가이드부재의 걸림홈으로부터 해제하도록 하며, 수납유닛의 양측면에 구비된 걸림부재에 의해 수납유닛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수납유닛의 완전분리에 따른 낙하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테스트 모드시에도 조작핸들을 회전시켜서 수납유닛이 투입된 상태에서 1차 걸림이 해제되고 소정거리 이동하여 1,2차 커넥터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된 다음 2차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테스트 작업(시험 및 고장 진단 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MCC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에서 고정판으로부터 수납유닛이 약간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배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로부터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핸들축과 회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a는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이 없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도 8c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핸들축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판이 스위치 구조체에 접속되기 전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동부재 및 제 1,2링크의 작동관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이 투입된 상태에서의 걸림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이 인출되는 상태에서의 걸림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이 테스트 상태에서의 걸림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와 도 13b는 차단기의 조작을 위해 핸들축을 눌러서 회전시키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차단기의 스위치를 조작(개폐동작)을 하기 위한 차단기 개폐기구부의 일 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에서 고정판으로부터 수납유닛이 약간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배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로부터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핸들축과 회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a는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이 없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도 8c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핸들축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판이 스위치 구조체에 접속되기 전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조작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동부재 및 제 1,2링크의 작동관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이 투입된 상태에서의 걸림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이 인출되는 상태에서의 걸림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이 테스트 상태에서의 걸림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와 도 13b는 차단기의 조작을 위해 핸들축을 눌러서 회전시키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차단기의 스위치를 조작(개폐동작)을 하기 위한 차단기 개폐기구부의 일 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는 전면커버(101)와, 이 전면커버(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02)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103)과, 전면커버(101)의 마주보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판(104)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수납유닛(100)이 제공된다.
상기 전면커버(101)에는 후술하는 차단기(210)의 조작 및 수납유닛(100)을 인출 및 투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핸들(110)이 갖추어진다.
또한, 조작핸들(1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120)가 갖추어진다.
또한, 수납유닛(100)은 그 하부에 수납 유닛(100)이 인출 및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정판(13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판(130)의 양쪽에는 하부판(103)이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31)가 형성되고, MCC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고정판(130)은 MCC에 설치,고정되어서 상기 수납유닛(100)이 인출 및 투입동작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31)의 한쪽 단부에는 걸림공(131a)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의 측면판(102)에는 걸림부재(108)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재(108)는 중앙에 회동축(108a)이 형성되어서 걸림부재(108)가 시소와 같이 회동축(108a)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회동축(108a)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제 1,2걸림편(108b)(108c)중 제 1걸림편(108b)의 중량이 제 2걸림편(108c)보다 많이 나가서 제 1걸림편(108b)쪽으로 하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걸림편(108b)은 가이드부(131)의 걸림공(131a)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된 록킹편(108d)이 형성된다.
또한, 측면판(10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102a)가 갖추어지고, 가이드부(131)에 끼워져서 수납유닛(10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판(103)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3a)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03a)에는 통공(103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03a)에는 조작핸들(110)과 연결되어서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투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납유닛 조작조립체(140)가 갖추어진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03)의 저면에는 고정판(130)에 결합,고정되는 가이드부재(132)가 갖추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d)을 두고 2개의 제 1,2걸림홈(132a)(132b)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2걸림홈(132a)(132b)은 가이드부재(132)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기준대(132c)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 조작조립체(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141)과, 상기 핸들축(141)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회동부재(142)와, 이 회동부재(142)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부재(142)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 1링크(143)와, 이 제 1링크(143)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 2링크(144)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축(141)에는 환턱(141a)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42)는 상기 핸들축(141)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공(14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핸들축(141)의 선단부의 양쪽에는 각각 제 1,2걸림돌기(141b)(141c)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42)의 중앙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142a)의 양측으로는 상기 제 1,2걸림돌기(141b)(141c)가 걸림 및 통과가능하도록 하는 제 1,2걸림공(142b)(142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축(141)과 회동부재(14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5)가 탄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42)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삽입공(142d)이 형성되어서 제 1링크(143)가 삽입되어 연동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42)의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142d)(142e)(142f)(142g)(142h)이 형성되고, 일측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기부(142i)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링크(143)는 회동부재(142)와 연동되도록 결합핀(143a)으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장공(143b)(143c)가 형성되어서 각각 결합핀(143d)(143e)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링크(144)는 장공(143c)을 통과하는 결합핀(143e)과 결합되어 연동되도록 한다.
또한, 회동부재(142)의 앞쪽에는 지지판(146)이 갖추어지고, 상기 지지판(146)의 앞쪽에는 수직면(147a)과 수평면(147b)을 가져서 "ㄴ"자형을 이루는 고정 브래킷(147)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46)에는 관통공(146a)이 형성되고, 관통공(146a)의 상부 중앙에는 정렬공(146b)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지지판(146)의 안쪽면 일측에는 회동부재(142)의 회전시 소정각도로만 회전되어 정지되도록 하는 멈춤돌기(146c)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고정 브래킷(147)의 수평면(147b) 하부에는 회전축(148)이 마련되어서 회전축(148)의 한쪽 단부에는 제 2링크(144)가 결합되고, 회전축(148)의 다른쪽 단부에는 걸림구(14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149)는 양쪽으로 걸림편(149a)(149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147)의 앞쪽에는 스위치 구조체(160)와 접점이 이루어지는 스위치판(161)이 갖추어진다.
상기 스위치판(161))의 안쪽면에는 돌출편(161a)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동부재(142)의 돌기부(142i)에 의해 밀리도록 되어 있고, 바깥면 하부에는 스위치(160)와 접점하기 위한 접점부(161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판(161)의 앞쪽에는 삽입관(150)이 갖추어지고, 이 삽입관(150)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51)가 탄지됨과 동시에, 가압판(152)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151)는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관(150)은 상,하부에 절개홈(150a)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152)은 관통공(152a)과, 이 관통공(152a)을 가로질러 양쪽(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52b)이 돌출,형성되며,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152c)(152d)(152e)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삽입관(150)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차단기(210)의 스위치(211)와 연결되는 로드(156)가 결합되어 차단기(21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140)의 외면에는 지지 브래킷(153)이 갖추어진다.
상기 지지 브래킷(153)은 대략 역 U자형으로 형성되면서 한쪽면으로는 핸들축(141)이 관통되어 지지되고, 다른쪽면에는 삽입관(150)이 관통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153)의 상단부 저면에는 탄성부재(154)가 결합되는데, 상기 탄성부재(154)는 판 스프링의 구조를 가지면서 절곡되어 대략 역삼각형 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54a)가 형성되어서 그 아래에 고정된 지지판(146)의 상단부에 절개부(154a)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런 상태가 되면, 탄성부재(154)는 지지판(146)의 양쪽에 위치하는 회동부재(142)와 가압판(152)의 외주면과 접하여 탄지된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100)의 커넥터 및 차단기와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1차 커넥터(200), 차단기(210), 2차 커넥터(220), 3차 커넥터(230)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2차 커넥터(220)는 암 커넥터(221)와 숫 커넥터(222)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3차 커넥터(230)도 암 커넥터(231)와 숫 커넥터(232)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4에서 1차 커넥터(200)는 부스바(300)와 접속되고, 수납유닛(100)의 인출시 분리된다.
또한, 도 10에서 1차 커넥터(200)가 접속되면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고, 2차 커넥터(220)가 접속되면, MCC의 1차 커넥터(20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이 분기되어 각 부품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고, 3차 커넥터(230)가 접속되면, 별도의 외부 보조전원을 공급받아서 수납 유닛 내부의 각종 표시등(예를 들어 LED 등)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서 점멸되도록 한다.
도 14에서 수납유닛(100)의 우측에 도시된 부분은 MCC 본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투입동작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차단기(210)는 조작핸들(110)과 핸들축(111)을 통해 연결되는데, 차단기(210)의 앞쪽에는 조작핸들(110)의 조작운동으로 로드(156)를 경유하여 차단기(210)의 스위치(211)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차단기 개폐기구부(212)가 구비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기 개폐기구부(212)의 구조의 일 예를 보면, 회동식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조작핸들(110)의 로드(156)와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213)가 갖추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13)의 회전중심에는 연결부재(21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나사(214)가 결합되고, 연결부재(213)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편(213a)이 형성되어서 연결부재(213)의 앞쪽에 간격을 두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부재(215)의 결합공(215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재(215)에 형성된 결합공(215a)에는 차단기(210)의 스위치(211)가 결합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접촉부재(215)의 하단부에는 결합나사(216)가 결합되어서 접촉부재(215)가 핸들축(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나사(216)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재(213)가 핸들축(111)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접촉부재(213)의 결합공(211)에 삽입된 차단기(210)의 스위치(211)가 온 또는 오프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기 개폐기구부(212)의 구조는 수납유닛의 타입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니언 및 랙크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스위치(211)를 삽입하는 삽입편을 마련하여 랙크와 연결함으로써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00)을 MCC로부터 인출 및 투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조작핸들(110)을 회전시켜서 수행하는데, 먼저 조작핸들(11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핸들(110)과 연결된 핸들축(141)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핸들축(141)은 제 1,2걸림돌기(141b)(141c)가 회동부재(142)의 제 1,2걸림공(142b)(142c)안에 걸려 있어 회동부재(14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42)가 회전함에 따라, 회동부재(142)의 하부에 연결된 제 1링크(143)도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 1링크(143)는, 회동부재(142)의 회전에 따라 제 1링크(143)와 결합되는 결합핀(143a)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제 1링크(143)가 하향,이동하게 된다, 제 1링크(143)에는 장공(14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143b)에 결합핀(143d)이 결합되어 있어, 제 1링크(143)가 하향이동함에 따라 고정된 결합핀(143d)의 위치가 장공(143b)의 하부에서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1링크(143)의 장공(143c)을 통해 결합된 결합핀(143e)도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회동부재(142)를 회전시키면, 결합핀(143d)을 중심으로 결합핀(143d)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링크(143) 부분은 회동부재(142)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링크(143)와 결합된 제 2링크(14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링크(144)는 하부에 횡방향으로 회전축(148)이 결합되어 있어, 제 2링크(144)가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회전축(148)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구(149)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149)는 양측으로 걸림편(149a)(149b)이 형성되어 있어, 한쪽 걸림편(149a)이 수납유닛(100)의 하부판(103)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32)에 형성된 제 1걸림홈(132a)에 걸려 있는 상태는 수납유닛(100)이 MCC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110)을 회전시켜서 걸림구(149)를 회전시키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49a)(149b)은 수평상태가 되어서 아무런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아 쉽게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시험 및 점검을 위한 테스트 위치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12a의 상태에서 조작핸들(110)의 계속된 회전으로 회동부재(142) 및 제 1,2링크(143)(144)를 경유하여 회전축(148)의 회전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걸림구(149)를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회전되게 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132)의 제 1걸림홈(132a)으로부터 빠져나와서 간격(d)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걸림홈(132b)안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테스트 위치 상태가 되는 것이다.
물론, 다시 완전히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2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걸림구(149)를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가이드부재(132)의 제 1,2걸림홈(132a)(132b)으로부터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수납유닛(100)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00)의 인출시 수납유닛(100)을 구성하는 측면판(102)에는 걸림부재(108)가 구비되어 있어, 수납유닛(100)을 인출하면, 걸림부재(108)의 록킹편(108d)이 고정판(130)의 가이드부(131)를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공(131a)과 만나면 걸림이 이루어져서 수납유닛(100)이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럼으로써, 수납유닛(100)의 인출과정에서 MCC로부터 낙하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수납유닛(100)을 완전히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108)의 제 2걸림편(108c)을 눌러서 록킹편(108d)이 회동축(108a)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걸림공(131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수납유닛(100)의 완전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차단기(210)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핸들(110)의 위치를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10)을 누르면, 핸들축(141)이 눌려져서 지지판(146)의 관통공(146a) 및 정렬공(146b)을 통과하여 가압판(152)을 눌러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핸들축(141)의 선단부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141b)(141c)가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중 걸림돌기(141b)는 반경방향으로 더욱 돌출되어 있어, 지지판(146)의 통과시, 정렬공(146b)을 통과해야만 통과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만 핸들축(141)이 눌려지게 되고, 핸들축(141)이 눌려지면, 가압판(152)의 직경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걸림편(152b)과 핸들축(141)의 걸림돌기(141b)(141c)와 만나면서 가압판(152)이 이동하게 된다.
가압판(152)의 이동시, 가압판(152)은 삽입관(150)의 상,하부에 형성된 절개홈(150a)을 통해 가압판(152)의 걸림편(152b)이 삽입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삽입관(150)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51)가 탄지되어 있어, 가압판(152)이 삽입관(150)을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재(151)는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141)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축(141)의 걸림돌기(141b)에 의해 삽입관(15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삽입관(150)이 회전함에 따라 가압판(15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삽입관(150)의 단부에 결합되는 로드에 의해 차단기(210)의 스위치(211)를 조작하여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차단기(210)의 조작을 하지 않고 수납유닛(100)의 인출 또는 투입동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눌려져 있던 조작핸들(110)의 핸들축(141)이 빠지도록 하는 위치로 하면, 압축된 탄성부재(151)의 반발력과 핸들축(141)의 환턱(141a)에 의해 탄지되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5)의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서, 지지판(146)에는 관통공(146a)과 더불어 관통공(146a)의 상부중앙 위치에 작은 크기의 정렬공(146b)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축(141)의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41b)가 상기 정렬공(146b)를 통해 빠져나오는 위치로 조작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51)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판(152)이 밀면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145)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141)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동부재(142)의 회전에 의해 회동부재(142)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부(142i)가 스위치판(161)의 돌출편(161a)과 만나면서 밀게되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판(161)이 밀리면서 스위치판(161)의 접점부(161b)가 스위치 구조체(160)를 동작시켜서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되어 알람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판(161)의 움직임에 의한 스위치 구조체(160)의 동작은, 수납유닛(100)의 인출동작이 시작됨을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회동부재(142)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요홈(142d)(142e)(142f)(142g)(142h)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축(141)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는 회동부재(142)가 그 상부에 고정된 탄성부재(154)를 넘어갈때마다 소리와 함께 탄성력을 제공하여 각 회전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한, 핸들축(141)은 360도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46)의 전면에는 멈춤돌기(146c)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핸들축(14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회동부재(142)의 돌기부(142i)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상기 멈춤돌기(146c)와 만나면 정지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차단기(210)의 조작을 위해 핸들축(141)을 눌러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동부재(142)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지지판(146)의 멈춤돌기(146c)와 관계없이 핸들축(141)이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 수납유닛
101 : 전면커버
102 : 측면판
102a : 롤러
103 : 하부판
103a : 가이드 레일
103b : 통공
104 : 후면판
108 : 걸림부재
108a : 회동축
108b : 제 1걸림편
108c : 제 2걸림편
108d : 록킹편
110 : 조작핸들
120 : 손잡이
130 : 고정판
131 : 가이드부
131a : 걸림공
140 : 수납유닛 조작조립체
141 : 핸들축
141a : 환턱
141b : 제 1걸림돌기
141c : 제 2걸림돌기
142 : 회동부재
142a : 슬라이드공
142b : 제 1걸림공
142c : 제 2걸림공
142d,142e,142f,142g,142h : 요홈
142i : 돌기부
143 : 제 1링크
143a : 결합핀
143b,143c : 장공
143d,143e : 결합핀
144 : 제 1링크
145 : 탄성부재
146 : 지지판
146a : 관통공
146b : 정렬공
147 : 고정 브래킷
147a : 수직면
147b : 수평면
148 : 회전축
149 : 걸림구
149a,149b : 걸림편
150 : 삽입관
150a : 절개홈
151 : 탄성부재
152 : 가압판
152a : 관통공
152b : 걸림편
152c,152d,152e : 요홈
153 ; 지지브래킷
154 : 탄성부재
154a : 절개부
156 : 로드
160 : 스위치 구조체
161 : 스위치판
161a : 돌출편
161b : 접점부
200 : 제 1커넥터
210 : 차단기
211 : 스위치
212 : 차단기 개폐기구부
213 : 연결부재
213a : 걸림편
214 : 결합나사
215 : 접촉부재
215a : 결합공
216 : 결합나사
220 : 제 2커넥터
230 : 제 3커넥터
101 : 전면커버
102 : 측면판
102a : 롤러
103 : 하부판
103a : 가이드 레일
103b : 통공
104 : 후면판
108 : 걸림부재
108a : 회동축
108b : 제 1걸림편
108c : 제 2걸림편
108d : 록킹편
110 : 조작핸들
120 : 손잡이
130 : 고정판
131 : 가이드부
131a : 걸림공
140 : 수납유닛 조작조립체
141 : 핸들축
141a : 환턱
141b : 제 1걸림돌기
141c : 제 2걸림돌기
142 : 회동부재
142a : 슬라이드공
142b : 제 1걸림공
142c : 제 2걸림공
142d,142e,142f,142g,142h : 요홈
142i : 돌기부
143 : 제 1링크
143a : 결합핀
143b,143c : 장공
143d,143e : 결합핀
144 : 제 1링크
145 : 탄성부재
146 : 지지판
146a : 관통공
146b : 정렬공
147 : 고정 브래킷
147a : 수직면
147b : 수평면
148 : 회전축
149 : 걸림구
149a,149b : 걸림편
150 : 삽입관
150a : 절개홈
151 : 탄성부재
152 : 가압판
152a : 관통공
152b : 걸림편
152c,152d,152e : 요홈
153 ; 지지브래킷
154 : 탄성부재
154a : 절개부
156 : 로드
160 : 스위치 구조체
161 : 스위치판
161a : 돌출편
161b : 접점부
200 : 제 1커넥터
210 : 차단기
211 : 스위치
212 : 차단기 개폐기구부
213 : 연결부재
213a : 걸림편
214 : 결합나사
215 : 접촉부재
215a : 결합공
216 : 결합나사
220 : 제 2커넥터
230 : 제 3커넥터
Claims (23)
- 전면커버(101)와, 이 전면커버(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02)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103)과, 전면커버(101)의 마주보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판(104)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수납유닛(100)과;
상기 전면커버(101)에 차단기(210)의 조작 및 수납유닛(100)을 인출 및 투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핸들(110)과;
수납유닛(100)의 하부에 수납 유닛(100)이 인출 및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상기 하부판(103)이 끼워져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31)를 가지는 고정판(130)과;
상기 조작핸들(110)과 연결되어서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투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핸들축(141)과, 상기 핸들축(141)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회동부재(142)와, 이 회동부재(142)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동부재(142)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 1링크(143)와, 이 제 1링크(143)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 2링크(144)와, 상기 제 2링크(144)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48)과, 상기 회전축(148)의 단부에 구비되어서 고정판(13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31)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구(149)와, 상기 회동부재(142)의 앞쪽에 고정되는 지지판(146)과, 이 지지판(146)의 뒷쪽으로 구비되어 차단기(210)와 연결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150)을 구비하는 수납유닛 조작조립체(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1)의 한쪽 단부에는 걸림공(131a)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의 측면판(102)에는 상기 걸림공(131a)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재(108)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08)는 중앙에 회동축(108a)이 형성되어서 걸림부재(108)가 회동축(108a)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회동축(108a)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제 1,2걸림편(108b)(108c)중 제 1걸림편(108b)의 중량이 제 2걸림편(108c)보다 많이 나가서 제 1걸림편(108b)쪽으로 하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걸림편(108b)은 가이드부(131)의 걸림공(131a)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된 록킹편(108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03)은 상기 걸림구(149)가 걸리도록 하는 통공(103b)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03a)이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03)의 저면에는 고정판(130)에 결합,고정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d)을 두고 2개의 제 1,2걸림홈(132a)(132b)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32)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2걸림홈(132a)(132b)은 가이드부재(132)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기준대(132c)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42)는 상기 핸들축(141)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공(14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141)의 선단부의 양쪽에는 각각 제 1,2걸림돌기(141b)(141c)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42)의 중앙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142a)의 양측으로는 상기 제 1,2걸림돌기(141b)(141c)가 걸림 및 통과가능하도록 하는 제 1,2걸림공(142b)(14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141)에는 환턱(141a)이 형성되고, 상기 환턱(141a)과 회동부재(14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5)가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42)의 하부에는 제 1링크(143)가 삽입되어 연동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삽입공(142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42)의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142d)(142e)(142f)(142g)(142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42)의 일측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기부(142i)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143)는 회동부재(142)와 연동되도록 결합핀(143a)으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장공(143b)(143c)가 형성되어서 각각 결합핀(143d)을 통해 지지판(146)과 결합되고, 결합핀(143e)을 통해 제 2링크(144)가 결합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46)에는 관통공(146a)이 형성되고, 관통공(146a)의 상부 중앙에는 정렬공(14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46)의 안쪽면 일측에는 회동부재(142)의 회전시 소정각도로만 회전되어 정지되도록 하는 멈춤돌기(146c)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149)는 양쪽으로 걸림편(149a)(149b)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50)의 외주면에는 가압판(152)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50)과 가압판(152)의 사이에 탄성부재(151)가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50)은 상,하부에 절개홈(150a)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152)은 관통공(152a)과, 이 관통공(152a)을 가로질러 양쪽으로 걸림편(152b)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52)의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152c)(152d)(152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 조작 조립체(140)의 외면에는, 한쪽면으로는 핸들축(141)이 관통되어 지지되고, 다른쪽면에는 삽입관(150)이 관통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브래킷(15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153)의 상단부 저면에는 아래에 고정된 지지판(146)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절개부(154a)가 형성되는 탄성부재(154)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54)는 지지판(146)의 양쪽에 위치하는 회동부재(142)와 가압판(152)의 외주면과 접하여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958A KR101387368B1 (ko) | 2013-12-26 | 2013-12-26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958A KR101387368B1 (ko) | 2013-12-26 | 2013-12-26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7368B1 true KR101387368B1 (ko) | 2014-04-22 |
Family
ID=5065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3958A KR101387368B1 (ko) | 2013-12-26 | 2013-12-26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7368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0264B1 (ko) | 2014-05-26 | 2014-09-17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101476344B1 (ko) * | 2014-06-09 | 2014-12-26 | 주식회사 광명전기 | Mcc에 대한 function unit의 interlock 장치의 구조 |
KR101630678B1 (ko) * | 2015-09-18 | 2016-06-24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101679463B1 (ko) | 2010-03-29 | 2016-11-24 |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 배전반 캐비닛 내에 설치하는 가열 장치 |
EP3211738A1 (en) * | 2016-02-26 | 2017-08-30 | LSIS Co., Ltd. | Motor control center |
KR20210104322A (ko) * | 2020-02-17 | 2021-08-25 |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 시험 위치부 멀티 커넥터 구조를 갖는 전동기 제어반 유닛 |
EP4087071A1 (en) * | 2021-01-13 | 2022-11-09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e retention in a motor control center |
KR20230113039A (ko) * | 2022-01-21 | 2023-07-28 | 이현우 |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775Y1 (ko) | 2000-09-04 | 2001-02-15 | 금성제어기주식회사 |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
KR101143817B1 (ko) | 2012-02-14 | 2012-05-09 | (주)서전기전 |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
KR101150330B1 (ko) | 2010-08-30 | 2012-06-08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
-
2013
- 2013-12-26 KR KR1020130163958A patent/KR101387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775Y1 (ko) | 2000-09-04 | 2001-02-15 | 금성제어기주식회사 |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
KR101150330B1 (ko) | 2010-08-30 | 2012-06-08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
KR101143817B1 (ko) | 2012-02-14 | 2012-05-09 | (주)서전기전 |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9463B1 (ko) | 2010-03-29 | 2016-11-24 |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 배전반 캐비닛 내에 설치하는 가열 장치 |
KR101440264B1 (ko) | 2014-05-26 | 2014-09-17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101476344B1 (ko) * | 2014-06-09 | 2014-12-26 | 주식회사 광명전기 | Mcc에 대한 function unit의 interlock 장치의 구조 |
KR101630678B1 (ko) * | 2015-09-18 | 2016-06-24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US10277015B2 (en) | 2016-02-26 | 2019-04-30 | Lsis Co., Ltd. | Motor control center |
CN107134911A (zh) * | 2016-02-26 | 2017-09-05 | Ls 产电株式会社 | 电机控制中心 |
EP3211738A1 (en) * | 2016-02-26 | 2017-08-30 | LSIS Co., Ltd. | Motor control center |
CN107134911B (zh) * | 2016-02-26 | 2019-11-01 | Ls 产电株式会社 | 电机控制中心 |
KR20210104322A (ko) * | 2020-02-17 | 2021-08-25 |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 시험 위치부 멀티 커넥터 구조를 갖는 전동기 제어반 유닛 |
KR102332180B1 (ko) * | 2020-02-17 | 2021-11-30 |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 시험 위치부 멀티 커넥터 구조를 갖는 전동기 제어반 유닛 |
EP4087071A1 (en) * | 2021-01-13 | 2022-11-09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e retention in a motor control center |
US11903154B2 (en) | 2021-01-13 | 2024-02-13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e retention in a motor control center |
KR20230113039A (ko) * | 2022-01-21 | 2023-07-28 | 이현우 |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
KR102602302B1 (ko) | 2022-01-21 | 2023-11-14 | 이현우 |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7368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440264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443314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362256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US10672567B2 (en) | MCC closed door operation (CDO) push button interlock mechanism | |
KR101178740B1 (ko) | 위치표시부 버튼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 |
WO1988001107A1 (en) | Closed switchboard | |
KR101586022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630678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528602B1 (ko) |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 |
KR102467023B1 (ko) | 전동기 제어반의 인출유닛 인터록 장치 | |
KR100932421B1 (ko) | 배전반 유니트 인출장치 | |
CN103821411B (zh) | 键式开关 | |
CN107546630B (zh) | 开关柜抽屉联锁装置 | |
JPH09130930A (ja) | 配電盤 | |
JP5722724B2 (ja) | 安全スイッチ | |
KR20110015920A (ko) |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 |
KR200458158Y1 (ko) | 차단기용 조작 핸들 | |
KR102115325B1 (ko)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
JP6111373B1 (ja) | 防火戸用自動閉鎖装置 | |
KR102357414B1 (ko)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 | |
KR101734230B1 (ko) | 회로 차단기의 입출장치 | |
KR101601910B1 (ko) |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 |
KR20100019043A (ko) |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 |
JP4449667B2 (ja) | 引出形開閉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